KR0138937Y1 - 택트스위치용 버튼조립체의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택트스위치용 버튼조립체의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937Y1
KR0138937Y1 KR2019950019825U KR19950019825U KR0138937Y1 KR 0138937 Y1 KR0138937 Y1 KR 0138937Y1 KR 2019950019825 U KR2019950019825 U KR 2019950019825U KR 19950019825 U KR19950019825 U KR 19950019825U KR 0138937 Y1 KR0138937 Y1 KR 01389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panel
tact switch
button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98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7179U (ko
Inventor
양구용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500198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937Y1/ko
Publication of KR9700071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1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9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9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택트스위치용 버튼조립체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별도의 체결부품이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하우징의 패널상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고, 부품수를 줄이므로써 장착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택트스위치의 설치방향 중심선과 일직선을 이루는 선상에서 그 택트스위치의 전면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가압핀과, 상기 가압핀의 외측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하우징의 패널 외측으로 돌출되며 사용자의 누름힘을 상기 가압핀에 인가하는 누름버튼과, 상기 누름버튼의 일측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상태에서 패널의 내측면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가압핀과 누름버튼이 현가(顯架)되도록 하는 체결편과, 한쪽 끝은 상기 누름버튼의 외주면에 연결되고, 다른쪽 끝은 상기 체결편상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누름버튼과 가압핀의 누름 및 복귀동작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의 텐션편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의 텐션편으로 이루어지는 버튼조립체를 하우징의 패널내측에 장착시키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체결편의 중심부에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그 체결공으로부터 좌우 또는 상하양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체결편의 면상에는 절개공이 형성되며, 상기 패널의 내측면 소정 위치로부터 가압핀누름방향으로 반대방향으로는 상기 체결공에 끼워지는 고정핀이 일체로 절곡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택트스위치용 버튼조립체의 장착구조
제1도는 종래 택트스위치용 버튼조립체의 장착구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제2도는 종래 택트스위치용 버튼조립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택트스위치용 버튼조립체의 정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택트스위치용 버튼조립체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인쇄회로기판 12 : 택트스위치
20 : 버튼조립체 22 : 가압핀
24 : 누름버튼 26 : 체결편
50 : 체결공 60 : 절개공
70 : 탄성편 80 : 고정핀
본 고안은 택트스위치용 버튼조립체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체결부품이나 공구없이도 버튼조립체를 하우징의 패널상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기, 전자제품에는 각종 회로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들이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어 있는데, 이러한 부품들이 회로적인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사용자가 기능을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스위치들이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스위치들은 여러 형태가 있으나 주로 택트스위치(Tact Switch)가 사용되고 있다. 택트스위치는 스위치의 접점이 접속되어 ON, OFF 기능을 수행하는 스위치로서, 사용자의 누름조작에 터치동작에 의하여 스위치기능을 수행한다.
제1도는 종래 택트스위치용 버튼조립체의 장착구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제2도는 택트스위치용 버튼조립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각종 전기, 전자제품의 하우징내부에 설치된 인쇄회로기판(10)상에 정해진 스위칭기능을 수행하는 택트스위치(12)가 설치되고, 그 택트스위치(12)와 마주하는 하우징의 패널(14)에는 택트스위치(12)를 작동시키는 버튼조립체(20)가 설치된다.
상기 버튼조립체(20)는 택트스위치(12)의 설치방향 중심선과 일직선을 이루는 선상에서 그 택트스위치(12)의 전면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가압핀(22)과, 상기 가압핀(22)의 외측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하우징의 패널(14) 외측으로 돌출되며 사용자의 누름힘을 상기 가압핀(22)에 인가하는 누름버튼(24)과, 상기 누름버튼(24)의 일측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상태에서 패널(14)의 내측면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가압핀(22)과 누름버튼(24)이 현가(顯架)되도록 하는 체결편(26)과, 한쪽 끝은 상기 누름버튼(24)의 외주면에 연결되고, 다른쪽 끝은 상기 체결편(26)상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누름버튼(24)과 가압핀(22)의 누름 및 복귀동작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의 텐션편(28)으로 이루어진다.
택트스위치(12)의 설치위치와 마주하는 위치에 해당되는 패널(14)상의 소정 위치에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름버튼(24)이 끼워지는 관통공(14a)이 형성되고, 그 관통공(14a)으로부터 윗쪽 또는 아랫쪽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해당되는 패널(14)의 내측면으로부터는 상기 버튼조립체(20)를 구성하는 체결편(26)이 고정되는 체결보스(14b)가 일체로 돌설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택트스위치용 버튼조립체(20)를 하우징을 구성하는 패널(14)상에 장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체결편(26)을 체결보스(14b)상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별도의 스크루(16)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있다.
한편, 전자제품에서는 제품의 기능에 따라 다수개의 버튼조립체를 서로 잇대어 시리즈로 설치하는 경우가 많은데, 종래의 버튼조립체 장착구조에서는 각각의 버튼조립체(20)를 일일이 스크루(16)로 체결해야만 하기 때문에 버튼조립체의 장착작업이 매우 불편함은 물론 부품수가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별도의 체결부품이나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도 하우징의 패널상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고, 부품수를 줄이므로써 장착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택트스위치용 버튼조립체의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택트스위치의 설치방향 중심선과 일직선을 이루는 선상에서 그 택트스위치의 전면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가압핀과, 상기 가압핀의 외측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하우징의 패널 외측으로 돌출되며 사용자의 누름힘을 상기 가압핀에 인가하는 누름버튼과, 상기 누름버튼의 일측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상태에서 패널의 내측면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가압핀과 누름버튼이 현가(顯架)되도록 하는 체결편과, 한쪽 끝은 상기 누름버튼의 외주면에 연결되고, 다른쪽 끝은 상기 체결편상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누름버튼과 가압핀의 누름 및 복귀동작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의 텐션편으로 이루어지는 버튼조립체를 하우징의 패널내측에 장착시키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체결편의 중심부에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그 체결공으로부터 좌우 또는 상하양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체결편의 면상에는 절개공이 형성되며, 상기 패널의 내측면 소정 위치로부터 가압핀이 눌러지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는 상기 체결공에 끼워지는 고정핀이 일체로 절곡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에서 상기 고정핀은 그 선단으로부터 기저부(基底部)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커지도록 형성된 특징으로 갖는다.
본 고안에서 상기 고정핀은 체결편상의 체결공의 형상에 상응하는 단면구조로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택트스위치용 버튼조립체의 장착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택트스위치용 버튼조립체의 정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택트스위치(12)의 설치방향 중심선과 일직선을 이루는 선상에서 그 택트스위치(12)의 전면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가압핀(22)의 외측단으로부터 누름버튼(24)이 일체로 연장되고, 상기 누름버튼(24)의 외주면 양쪽에는 상기 누름버튼(24)과 가압핀(22)의 누름 및 복귀동작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쌍의 텐션편(28)의 일체로 연결된다.
또, 상기 각 텐션편(28)의 다른쪽 끝에는 패널(14)의 내측면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가압핀(22)과 누름버튼(24)이 그 텐션편(28)을 매개로 하여 현가(顯架)되도록 하는 체결편(26)이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체결편(26)의 중심부에는 대체로 원형을 이루는 체결공(50)이 형성되고, 그 체결공(50)으로부터 좌우 또는 상하양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체결편(26)의 면상에는 절개공(60)이 형성되며, 체결공(50)과 각 절개공(60)사이에는 탄성편(70)이 형성된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택트스위치용 버튼조립체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전자제품의 하우징을 구성하는 패널(14)의 소정 위치에는 버튼조립체(20)상의 누름버튼(24)을 끼우기 위한 관통공(14a)이 형성되고, 그 관통공(14a)으로부터 아랫쪽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지점에 해당되는 패널(14)의 내측에는 버튼조립체(20)를 구성하는 체결편(26)의 체결공(50)에 끼워지는 고정핀(80)이 소정 높이에서 가압핀누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절곡형성된다.
상기 고정핀(80)은 그 선단으로부터 기저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커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핀(80)은 체결편(26)상의 체결공(50)의 형상에 상응하는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체결공(50)을 반원이 합체되어 원을 구성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체결공(50)에 끼워지는 고정핀(80)은 단면이 원형이 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이와 달리 체결공(50)의 형상이 사각 또는 타원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그 체결공(50)에 끼워지는 고정핀(80)은 그에 상응하는 사각 또는 타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택트스위치용 버튼조립체의 장착상태 및 그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0)상에 설치된 택트스위치(12)의 맞은편에 해당되는 패널(14)의 내측에서 소정의 높이로 돌설된 고정핀(80)이 버튼조립체(20)를 구성하는 체결편(26)상의 체결공(50)에 맞추어 끼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누름버튼(24)의 외측단이 패널(14)상의 관통공(14a)을 통하여 돌출되도록 하면 본 고안에 따른 버튼조립체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버튼조립체의 장착과정에서 고정핀(80)의 선단부의 직경은 체결편(26)상의 체결공(50)의 내경에 비하여 약간 작기 때문에 쉽게 끼워지며, 고정핀(80)의 직경이 선단부로부터 그 기저부로 갈수록 체결공(50)의 직경보다 다소 크게 구성되기 때문에 고정핀(80)이 체결공(50)의 내주면에 긴밀하게 끼워 맞춰진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핀(80)의 직경이 그 기저부로 갈수록 체결공(50)의 직경보다 다소 크게 구성되어 있다 하더라도 상기 체결공(50)과 절개공(60)사이에 형성되는 탄성편(70)의 텐션작용에 의하여 고정핀(80)의 끼움동작이 별다른 문제없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체결상태에서는 버튼조립체(20)가 가압핀(22)의 누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결합되므로 고정핀(80)으로부터 체결편(26)이 분리되지 않게 되고, 과도한 누름힘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체결편(26)상의 절개공(60)과 체결공(50)사이의 탄성편(70)이 벌어지면서 절개공(60)의 내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고정핀(80)에 대한 체결편(26)의 끼움동작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무리한 힘으로 누름버튼(24)을 누르는 경우에는 누름버튼(24)이 패널(14)의 안쪽으로 밀려들어가는 현상이 발생되지만,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누름버튼(24)이 패널(14)의 외측으로 충분한 길이로 돌출되게 하면 누름버튼(24)을 조작하는데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을 뿐 아니라, 오히려 버튼조립체(20)가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는 결과를 낳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택트스위치를 채용한 제품의 패널상에 버튼조립체를 장착시킴에 있어 스크루 또는 드라이버같은 별도의 체결부재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고정핀에 대하여 체결편상의 체결공을 맞추어 눌러 끼우는 간단한 동작에 의하여 손쉽게 장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부품수가 감소되는 것은 물론 장착 및 분리작업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택트스위치(12)의 설치방향 중심선과 일직선을 이루는 선상에서 그 택트스위치(12)의 전면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가압핀(22)과, 상기 가압핀(22)의 외측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하우징의 패널(14) 외측으로 돌출되며 사용자의 누름힘을 상기 가압핀(22)에 인가하는 누름버튼(24)과, 상기 누름버튼(24)의 일측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상태에서 패널(14)의 내측면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가압핀(22)과 누름버튼(24)이 현가(顯架)되도록 하는 체결편(26)과, 한쪽 끝은 상기 누름버튼(24)의 외주면에 연결되고, 다른쪽 끝은 상기 체결편(26)상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누름버튼(24)과 가압핀(22)의 누름 및 복귀동작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의 텐션편(28)으로 이루어지는 버튼조립체(20)를 하우징의 패널(14)내측에 장착시키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체결편(26)의 중심부에는 체결공(50)이 형성되고, 그 체결공(50)으로부터 좌우 또는 상하양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체결편(26)의 면상에는 절개공(60)이 형성되며, 상기 패널(14)의 내측면 소정 위치로부터 가압핀누름방향의 반대방향으로는 상기 체결공(50)에 끼워지는 고정핀(80)이 일체로 절곡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트스위치용 버튼조립체의 장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80)은 그 선단으로부터 기저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커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트스위치용 버튼조립체의 장착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80)은 체결편(26)상의 체결공(50)의 형상에 상응하는 단면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트스위치용 버튼조립체의 장착구조.
KR2019950019825U 1995-07-31 1995-07-31 택트스위치용 버튼조립체의 장착구조 KR01389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9825U KR0138937Y1 (ko) 1995-07-31 1995-07-31 택트스위치용 버튼조립체의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9825U KR0138937Y1 (ko) 1995-07-31 1995-07-31 택트스위치용 버튼조립체의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179U KR970007179U (ko) 1997-02-21
KR0138937Y1 true KR0138937Y1 (ko) 1999-05-15

Family

ID=19419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9825U KR0138937Y1 (ko) 1995-07-31 1995-07-31 택트스위치용 버튼조립체의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9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069B1 (ko) * 2000-01-25 2007-05-07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푸시온 스위치, 그것을 장착한 전자기기 및 그 장착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069B1 (ko) * 2000-01-25 2007-05-07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푸시온 스위치, 그것을 장착한 전자기기 및 그 장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179U (ko) 199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8937Y1 (ko) 택트스위치용 버튼조립체의 장착구조
JP2005116326A (ja) 押釦構造
JPH0526789Y2 (ko)
KR0125742Y1 (ko) 서브 텐션핀을 갖는 택트 스위치용 버튼
JPH07141961A (ja) 操作ボタンの取付構造
KR200161360Y1 (ko) 조립이 용이한 전자제품용 파워버튼
JP2000011800A (ja) 押しボタン装置
KR970004504Y1 (ko) 전자제품의 프론트캐비넷 결합장치
KR960008881A (ko) 조작용스위치장치
KR200162383Y1 (ko) 전자제품의 파워버튼 작동구조
KR200270985Y1 (ko) 전원스위치
KR0123931Y1 (ko) 카 오디오용 택트노브의 설치구조
KR930003863Y1 (ko) 전기제품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된 스위치버턴
KR950004790Y1 (ko) 전자렌지 콘트롤패널의 멤브레인 스위치(membrane switch) 구조
KR19990003515U (ko) Pcb 장착구조
KR0125795Y1 (ko) 전자제품의 스위치접점 구조
KR20020047878A (ko)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
KR920006488Y1 (ko) 전기제품의 컨트롤 패널
KR0135188Y1 (ko) 통신기기의 접점용 스위치 버튼장치
KR200144555Y1 (ko) 콤비네이션 램프의 벌브 홀더
KR860003672Y1 (ko) 풋쉬 스위치용 노브
KR930003868Y1 (ko) 노브의 설치구조
KR940003278Y1 (ko) 텍트(tact)스위치의 작동구조
KR950007821Y1 (ko) 박판 체결용 스프링
KR19990024786U (ko) 수평으로 설치된 택트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누름버튼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