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863Y1 - 전기제품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된 스위치버턴 - Google Patents

전기제품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된 스위치버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863Y1
KR930003863Y1 KR2019880020381U KR880020381U KR930003863Y1 KR 930003863 Y1 KR930003863 Y1 KR 930003863Y1 KR 2019880020381 U KR2019880020381 U KR 2019880020381U KR 880020381 U KR880020381 U KR 880020381U KR 930003863 Y1 KR930003863 Y1 KR 9300038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button
button
case
switch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203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2889U (ko
Inventor
김종천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203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3863Y1/ko
Publication of KR9000128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28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8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8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2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linear movement, e.g. push butt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제품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된 스위치버턴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체형 스위치버턴을 지니는 전기제품 케이스의 부분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자제품 케이스 2 : T형홈
3 : 버턴부 4 : U자형 연결부
5 : 쌀빼기홀 6,7 : 보스
8 : PCB 9 : 태그스위치
10 : 하단부
본 고안은 전기제품에 사용되는 스위치버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제품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된 스위치버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자제품에 스위치버턴을 설치할 필요가 있을때는 별개의 스위치버턴을 케이스에 취부시켰다.
그런데 이러한 스위치버턴은 여러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져서 가격이 비싸며 케이스에 취부하는데 불편하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전자제품의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된 스위치버턴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설명된다.
제1도에는 본 고안의 일체형 스위치버턴을 지니는 전기제품 케이스의 부분사시도가 도시되는데, 스위치버턴은 케이스(1)의 T형홈(2) 내부에 위치되며 버턴부(3)와 그 상부모서리와 상기의 T형홈(2)의 모서리를 연결하는 U자형 연결부(4)로 구성된다. 또한 버턴부(3)는 상부중앙에 쌀빼기 홀(5)을 지닌다.
제2도에는 본 고안의 스위치버턴이 단면도로서 도시되는데, 전자제품 케이스(1)로 부터 내부로 돌출되는 보스(6,7)에는 PCB(8)가 나사에 의해서 고정되어 PCB(8)상에 설치된 태그스위치(9)가 버턴부(3)의 하단부(1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본 고안의 스위치버턴을 작동시키려면, 버턴부(3)의 상부를 손가락으로 누르면 버턴부(3)의 하단부(10)가 태그스위치(9)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후에 버턴부(3)로 부터 손가락을 떼면, 스위치버턴은 원상태로 되돌아간다. 이러한 스위치버턴의 작동은 케이스(1)와 버턴부(3)를 연결하는 U자형 연결부(4)의 탄성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스위치버턴은 전자제품의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어 종래와 같이 별개의 스위치버턴을 케이스에 부착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조립공수가 적어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전자제품의 스위치버턴에 있어서, 하단부(10)를 지니는 버턴부(3)와 상기 버턴부(3)의 상부 모서리와 전자제품의 케이스(1)에 형성된 T형홈(2)의 모서리를 연결하는 탄성을 지니는 U자형 연결부(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된 스위치버턴.
KR2019880020381U 1988-12-10 1988-12-10 전기제품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된 스위치버턴 KR9300038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0381U KR930003863Y1 (ko) 1988-12-10 1988-12-10 전기제품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된 스위치버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0381U KR930003863Y1 (ko) 1988-12-10 1988-12-10 전기제품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된 스위치버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2889U KR900012889U (ko) 1990-07-04
KR930003863Y1 true KR930003863Y1 (ko) 1993-06-23

Family

ID=19282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20381U KR930003863Y1 (ko) 1988-12-10 1988-12-10 전기제품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된 스위치버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386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2889U (ko) 1990-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3863Y1 (ko) 전기제품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된 스위치버턴
US6233136B1 (en) Structure of water and dust-proof control box
GB2219691A (en) Keyboards
KR0120706Y1 (ko) 모니터용 택트 버튼
JPH02823Y2 (ko)
KR930002678Y1 (ko) 버튼이 달린 도어
KR0133489Y1 (ko) Tv의 버튼 연결 구조
KR0153809B1 (ko) 모니터의 인쇄회로기판 처짐방지구조
KR950008996Y1 (ko) 수직형 택트 스위치 동작용 수평형 노브
KR0138937Y1 (ko) 택트스위치용 버튼조립체의 장착구조
KR0123690Y1 (ko) 가전제품의 버튼장치
KR920004718Y1 (ko) 전자레인지의 태크스위치(Tack Switch)의 보호구조
KR940001638Y1 (ko) 전기, 전자제품의 상, 하부케이스의 체결구조
KR950002910Y1 (ko) 전자렌지의 어스 구조
JPH1070374A (ja) スイッチ構造
KR900010294Y1 (ko) 푸쉬버튼
KR970004504Y1 (ko) 전자제품의 프론트캐비넷 결합장치
KR100316007B1 (ko) 전자 시스템을 위한 스위치 어셈블리
KR900004309Y1 (ko) 전자기기의 푸쉬 버튼
KR0131197Y1 (ko) 기능 선택 버튼
KR930008085Y1 (ko) 전자제품의 접지판의 구조
KR890000522Y1 (ko) 버튼 스윗치 어태치먼트
KR200184079Y1 (ko) 방수구조를 갖는 키버튼 어셈블리
KR200161360Y1 (ko) 조립이 용이한 전자제품용 파워버튼
KR200256633Y1 (ko) 푸시버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