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767B1 - 부품성형기의 소재척장치 - Google Patents

부품성형기의 소재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767B1
KR950007767B1 KR1019920005834A KR920005834A KR950007767B1 KR 950007767 B1 KR950007767 B1 KR 950007767B1 KR 1019920005834 A KR1019920005834 A KR 1019920005834A KR 920005834 A KR920005834 A KR 920005834A KR 950007767 B1 KR950007767 B1 KR 950007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ck
arm
reciprocating
carriage
mol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5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오지로오 나다
도시유끼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다이도오 기까이 세이사꾸쇼
시바다 히로유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다이도오 기까이 세이사꾸쇼, 시바다 히로유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다이도오 기까이 세이사꾸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7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27/00Handling devices, e.g. for feeding, aligning, discharging, Cutting-off means; Arrangement thereof
    • B21K27/02Feeding devices for rods, wire, or strips
    • B21K27/04Feeding devices for rods, wire, or strips allowing successive working ste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부품성형기의 소재척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소재척장치의 이동대가 이송위치에 있는 상태의 일부 파단 정면도.
제2도는 동소재척장치의 이동대가 귀환 위치에 있는 상태의 일부 파단정면도.
제3도는 동소재척장치의 주요부의 횡단면도.
제4도는 동소재척장치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제5도는 동소재척장치를 설치한 성형기 기대의 평면도.
제6도는 동소재척장치를 설치한 부품성형기 주요부의 종단면도.
제7도는 동소재척장치의 왕복대의 왕복구동 기구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제8도는 종래의 일반적인 소재척장치 주요부의 정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선행기술에 관한 소재척장치 주요부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13a~13c : 다이스 15 : 왕복대
16,16a~16c : 척유니트 18 : 척구동축
19 : 구동축의 파지아암 21 : 종동축의 파지아암
22 : 링크 55 : 캠원판
W : 소재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발명은 볼트, 너트를 비롯하는 여러가지 기계부품을 압조(壓造)성형하는 트랜스퍼식 부품성형기에 있어서 크로스척 방식의 소재척장치에 관한다.
[종래의 기술]
이 종류의 부품성형기는 성형기 기대의 전면에 순차적으로 거친것에서 정밀한 것으로 단계적으로 변화하는 성형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다이스가 병설되고, 이들 각 다이스에 대응하는 펀치를 전면에 설치한 램의 진퇴 작동에 의하여, 각 다이스에 배치한 부품 소재군을 다이스와 펀치 사이에서 타격 압조하고, 램의 퇴행시에 녹아우트핀에 의하여 다이스를 소재로 부터 추출함과 동시에, 척장치에 의하여 그 소재를 잡아서 다음 위치의 나이스로 이송하고, 이 타격압조와 소재 이송의 반복에 의하여 소재를 목적으로 한 제품형상으로 점차 성형한다.
그리하여, 종래부터 상기 소재이송에 사용하는 척장치로서,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다이스(1…)군의 병설방향으로 왕복동하는 왕복대(2)에, 각각 별도의 지지축 (3,4)에 고착되어 교차상으로 배치하는 한쌍의 파지(把持) 아암(5,6)으로 이루어지는 척유니트를 다이스(1…)와 동수 또는 1개 작은 수만큼 부착한 크로스척 방식의 것이 병용되어 있다. 이 방식에서는 상기 지지축의 한쪽(5)의 회전 구동에 동반하여 다른쪽의 지지축(6)이 부채골기어(7,7)를 사이에 두고 반대 방향으로 종동회전하고, 이로서 양파지아암(5,6)에 개폐작동하고, 그 폐쇄작동으로 쥐어진 소재(W)가 왕복대(2)의 이송이동에 의하여 다음의 다이스 위치로 이송되고, 뒤이어 파지아암(5,6)이 개방작동하여 펀치에 의한 타격압조 후, 왕복대(2)의 귀환이동에 의하여 파지아암(5,6)이 처음 다이스(5) 위치에 와서 상기 동작을 반복한다.
더욱 8은 펀치를 전후동시키는 램이다. 그런데, 부품의 양산화를 진행시키는데에는 당연히 상기 소재(W)의 파지에서 타격압조를 경유하여 다음 소재의 파지에 이르는 1사이클의 시간을 단축하여 압조 효율을 높일 필요가 있다.
여기서, 본 출원인(이전 명칭은 죠오도오 기카이 고오교오)은 먼저,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양파지 아암(5,6)의 한편의 지지축을 다른편의 지지축(3)보다도 상방으로 위치시킴으로서, 소재 이송방향 전방측의 양파지아암(5)의 개방작동시에 있어서, 상방변위량을 펀치의 램(8)에 간섭하지 않도록 크게 설정하고, 이로서 타격 압조후의 펀치의 퇴행을 기다리지 않고 왕복대(2)의 귀환이동을 개시하고, 이로서 동작시간의 단축을 도모하는 구성을 제안하고 있다(일본 특공소 54-26227호 공보). 더욱이 동도면에서, 9는 파지아암(5)를 폐쇄작동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3a는 지지축(3)의 회전운동용 레버, 10은 그 레버(9)를 동작시키는 승강바이다.
[발명의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러나, 근년에 있어서, 압조효율의 더한층의 향상 및 부품성형기 전체의 소형화가 요구되어 있고, 압조효율에서는 예를들면 일반적인 볼트의 압조사이클을 종래의 100회/분정도에서 300회/분 이상으로 고속화 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지만, 종래의 장치구성으로서는 이미 대응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즉, 이와같이 고속화를 위해서는 왕복대의 왕복동의 개시시기와 이동속도를 같이 빠르게하고, 펀치의 퇴행이 끝나기전에 파지아암을 귀환위치로 배치시켜 그 퇴행과 동시에 소재의 파지동작을 시작하고, 파지하여 바른 다음 위치의 다이스 위치로 보낼 필요가 있지만, 상기 제안구성에서는 개방위치에 있어서 상방변위량이 적은 파지아암(6)이 귀환 위치의 펀치의 램에 부딪쳐 버리므로 고속화에 한계가 있다. 또 왕복대의 왕복동의 이동속도가 빨라지면 스트로우크 양단의 정지시에 큰충격이 발생하고, 특히 귀환 행정에서는 파지아암이 그 충격의 영향에 의하여 다음의 소재를 잡는데 실패하기 쉽다라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 고속화할 수록 각부의 동작의 타이밍에 정확성을 기할 필요가 있고, 특히 파지아암의 작동에 신뢰성이 요구된다.
본발명의 목적은 상술의 상황에 비추어, 근년에 있어서, 압조 사이클의 고속화의 요망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고속화 하에서도 파지아암의 작동의 신뢰성이 높고 확실히 소재를 파지할 수 있고, 그리고 부품성형기 전체로서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는 소재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발명의 청구범위 제1항에 관한 부품성형기의 소재척장치는 거친 것에서 정밀한 것의 순서로 등간격으로 병설한 다이스군의 각각에, 그 병설방향으로 왕복동하는 왕복대에 부착된 척유니트군에 의하여, 부품 소재를 동시에 순차 이송함과 동시에, 이들 소재군을 각 다이스에 대향배치한 펀치군의 진퇴작동에 의하여 동시에 압조성형하는 부품성형기에 있어서, 각 척유니트는 교차상으로 배치한 한쌍의 파지아암과 1개의 왕복회전하는 척구동축과를 구비하고, 그 파지아암의 한쪽이 해당 척유니트의 척구동축에 고착되고, 그리고 그 파지아암의 다른편이 인접하는 척 유니트의 척구동축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양파지아암이 링크 접속에 의하여 척구동축의 왕복 회전에 따라 개폐작동하고, 그 폐쇄동작시에 양파지아암 선단부에서 소재를 양측에서 끼워두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청구범위 제2항에 관계되는 부품성형기의 소재척장치는 상기 청구범위 제1항의 장치에 있어서, 왕복대의 왕복구동부에 파지아암의 폐쇄작동하는 귀환 행정의 속도 구배를 이송행정의 속도구배 보다 작게 설정하는 캠원판의 개재되어서 이루는 구성을 채용한 것이다.
더욱이 청구범위 제3항에 관계한 부품성형기의 소재척장치는, 상기 청구범위 제1항 또는 제2항의 장치에 있어서 파지아암의 각 쌍은 확개시에 선단측이 八자 형으로 열리는 형상을 갖춘 구성을 채용한 것이다.
[작용]
본발명의 소재척장치에서는, 각 척유니트에 있어서 구동축의 구동축의 파지아암의 구동축이 인접하는 척 유니트의 종동측의 파지아암의 지지축을 겸용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로서 한쌍의 파지아암에 대하여 1개의 지지축을 갖는 것으로 된다.
여기서, 크로스 척방식에 있어서 파지아암의 개방 자세로서의 열림은, 그 아암의 외측이 쌍을 이루는 다른쪽의 아암의 지지축에 맞닿는 위치에서 규제되지만, 본발명 구성에서는 각 척유니트의 지지축이 1개 뿐이므로, 종래와 같은 각 아암 마다 지지축을 갖는 구성에 비교하여, 다이스의 배치 간격이 일정한 경우에 지지축간의 거리가 커지고, 그 만큼 개방 자세에서의 파지아암의 열림을 넓게하고 폐쇄 자세로 부터의 변위량을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발명에 의하면, 왕복대의 이동에 따르는 개방 자세의 양아암 선단의 궤적을 펀치의 램 외주로 부터 떼어놓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로서 펀치의 퇴행이 끝나기 전에 파지아암을 귀환위치로 배치시켜, 그 퇴행과 동시에 소재의 파지 동작을 시작하여, 잡은 소재를 곧 보내어서 펀치의 퇴행의 종료 시점에서 다음 위치의 다이스에 배치시킬 수가 있고, 그리하여 압조사이클의 비약적인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발명 구성에서는 파지아암의 개방 정도를 종래와 마찬가지로 하는 경우, 지지축이 적은 만큼 왕복대의 일정 길이 사이에 배치하는 척유니트수를 많이 할수 있고, 그만큼 왕복대의 전장이 짧아짐과 동시에 다이스의 병설 간격도 작아지고, 그리하여 부품성형기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그리하여, 다이스의 병설 간격이 작아지면 왕복대의 왕복스트로우크도 짧아지므로, 같은 압조사이클 속도에서는 왕복대의 이동속도를 늦게하여 스트로우크 양단의 정지시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한편, 그 이동속도를 종래와 같게하면, 상기 충격의 증대를 동반하는 일 없이 스트로우크의 짧은 분량 만큼 압조사이클이 고속화되는 것으로 된다.
더욱 청구범위 제2항의 구성에서는 왕복대의 귀환 행정 종단에 있어서 충격이 적어지고, 파지아암에 의한 소재의 파지의 확실성이 증가한다.
또, 청구범위 제3항의 구성에서는 개방 자세에서의 파지아암 선단의 폐쇄자세로 부터의 변위량이 커지고, 척구동축의 배열간격을 작게하더라도 개방자세에서의 펀치의 램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고, 부품성형기 전체의 소형화와 압조사이클의 고속화를 양립시킬 수 있다.
[실시예]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부품성형기의 소재척장치를 도시한다. 더욱 여기서는 도면구성 및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가장 간단한 3단 압조방식을 도시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4단 이상의 다단 압조방식이 많이 이용되고, 본발명도 이들 다단 압조방식에 적용 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11은 성형기 기대이고, 그 전면부에는 소재 공급구멍(12)과 그 공급구멍(12)측에서 순차적으로 거친 것에서 부터 정밀한 것으로의 단계적으로 변화하는 성형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다이스(13a~13c)가 횡일직선상에 등간격으로 장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다이스(13a~13c)의 각 전방의 동축선상에는, 후술하는 펀치를 전단면에 비치하여 왕복 전후동 하는 램(14a~14c)을 배치하고 있다. 15는 성형기 기대(11)의 전방 상부에 배설된 왕복대이고, 수평배치한 종단면 하향개방자 상의 축받이틀(15a)과 그 상부에 배치하는 작동간 지지판(15b)이 좌우의 연결틀(15c,15c)을 사이에 두고 평행상으로 일체화되고 있고, 여기에 복수의 척유니트(16a~16c)가 장비되어 있다.
각 척유니트(16)는, 제3도와 같이 축받이틀(15a)에 축받이(17,17)를 사이에 전후방향수평으로 축받이된 척구동축(18), 그 구동축(18)에 고착된 구동축의 파지아암 (19), 인접하는 척유니트(16)의 구동축(18)에 부시(20a)를 사이에 두고 상대회전이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종동측의 파지아암(21), 양파지지암(19,21)에 양단을 원추형 접합연결한 링크(22), 축받이틀(15a)과 작동간 지지판(15b)과의 사이에 부착된 유지통(23)에 승강이 자유롭게 끼워 장착된 승강작동간(24)으로 구성되고, 승강작동간 (24)의 하단이 구동축(18)에 일체화하는 레버편(18a)에 장공(18b)과 핀(24a)과의 걸어맞춤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다. 더욱이 척유니트(16a)의 종동측의 파지아암(21)은, 인접하는 척유니트가 없기 때문에, 축받이틀(15a)에 둘출설치한 지지축(25)에 상대 회전이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축(18…)과 지지축(25)의 배치간격은 다이스(13a~13c)와 소재 공급구멍(12)의 배치간격에 정밀하게 일치하도록 치수설정되어 있다. 26은 왕복대(15)를 수평 좌우방향으로 왕복 요동시키는 왕복작동간이고, 축받이틀(15a)과 작동간 지지판(15b)와의 사이에 부착된 연결축(15d)에 연결구(26a)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다.
제4도는 척유니트(16)의 파지동작부의 상세를 도시한다. 도시하는 바와같이 구동측의 파지아암(19)은, 대략 <자형을 이루고, 선단부 내면측에 사다리꼴 오목부(19a)를 가짐과 동시에, 폭넓은 기단측에 열린 고리모양의 구동축부착부(19b)와 그것보다 약간 선단 가까이에 위치한 링크 부착구멍(19c)을 갖고 있고, 고동축 부착부(19b)를 척구동축(18)에 끼워 맞추고, 슬리트모양으로 열린 고리 모양 부분(19d)에 관통한 볼트(27)를 조여붙여서 축경시키므로서, 그 구동축(18)에 고착된다. 한편, 종동측의 파지아암 (21)은 대략 凡자 형으로 이단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갖추고, 선단부 내면측에 오목 단차부(21a)을 가짐과 동시에, 기단측에 부시(20a)를 끼워 만든 구동축 부착구멍(21b)과 그것보다 약간 선단 가까이에 위치한 링크 부착구멍(21c)을 갖고 있고, 구동축 부착구멍 (21b)을 인접하는 척유니트(16)의 척구동축(18)에 파지아암(19) 보다도 후부위치에서 끼워맞춤으로서 그 구동축(18)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받이 된다. 더욱이 링크(22)는, 대략 八자형으로 형성되고, 양파지아암(19,21) 사이에 배치하여 양단부의 부시(20b)를 끼워 만든 피봇구멍(22a,22b)을 사이에 두고 회전가능하게 지지한 핀(28a,28b)에 의하여 파지아암(19)의 링크 부착구멍(19c) 및 파지아암(21)의 링크 부착구멍(21c)에 피봇 연결된다.
그리하여, 양파지아암(19,21)은, 서로의 선단부의 사다리꼴 오목부(19a)와 오목단부(21a)가 성형기 기대(11)의 좌우방향에 대향하여 배치하도록 설정되고, 승강작동간(24)의 승강동작에 의한 척구동축(18)의 왕복 회전 동작에 의하여 파지아암(19)이 회전운동할때에, 파지아암(21)도 링크(22)를 사이에 두고 반대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서로의 선단측이 제1도와 같이 八자형으로 여는 개방 자세와 제2도와 같이 닫히는 폐쇄 자세로 개폐작동한다. 그리고 폐쇄 자세에 있어서 사다리꼴 오목부(19a)와 오목단차부 (21a)와의 사이에 소재(W)를 끼워두고, 또 개방자세에서는 양파지아암(19,21)의 선단위치가 램(14a)의 외주 꼭대기부 보다도 고 위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더욱, 양파지아암(19,21)의 선단측은 착탈이 가능한 봉재(19e,21d)로 구성되고, 소재(W)의 부품 종류에 따라, 그 파지부분의 형상에 대응한 선단분 형상을 갖는 것으로 교환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5도 및 제6도는 성형기 기대(11)에 있어서 척유니트(16)의 구동기구부를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성형기 기대(11)의 상면에 좌우방향으로 긴 지지틀 (29)이 고설되고, 그 좌우 양측에 피봇된 한쌍의 지지링크(30,30)를 사이에 두고 왕복대(15)가 성형기 기대(11)에 지지되도록 있고, 그 지지틀(29)과 링크(30,30)와 왕복대 (15)로 평행 4연 링크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하여 지지틀(29)은 상하 2단상으로 되고, 그 각 척유니트(16)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단측에 보스(31)가 끼워만들어지고, 그 내측에 축받이(32,32)를 사이에 두고 2갈래 모양의 회전운동 브래킷(33)의 하부통축(34)이 수평면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넣어 짐과 동시에, 하단측에 실린더(35)가 형성되고, 그 실린더(35)내에 배치한 피스톤(36)의 상면에 돌출설치한 피스톤로드(36a)가 통축(34)을 지나 상방으로 돌출하고, 또 그 지지틀의 후면상부에 2갈래모양 고정 브래킷(37)이 후방 비스듬히 상향으로 고착되어 있다. 이 고정브래킷(37)에는 제1요동간(38)이, 상기 회전운동브래킷(33)에는 제2요동간(39)이, 각각 중앙부에서 지지판 (40a,40b)을 사이에 두고 수직면내 회전자유로이 피봇되어 있다.
한편 성형기 기대(11)의 상면에는 지지틀(29)의 후방에 축받이(41a,41a)를 사이에 두고 수평회전축(41)이 배설되어 있고, 이 회전축(41)에는 각 척유니트(16)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저 2단의 주면부를 갖는 캠원판(42…)이 고착되어 있다.
그리하여 각 제1요동간(38)은, 그 후단측에 피봇지지한 로울형상 캠종동부(43)가 캠원판(42)의 외주면 상부에 맞닿음과 동시에, 전단측에 부착한 볼트형 록크핀(44)의 하단이 제2요동간(39)의 후단부 상면에 맞닿도록 위치가 정해지고, 그리고 성형기 기대(11)상의 좌우방향에 따라 가설된 횡바아(45)에 유지되는 스프링(46a) 달린 누름핀(46)에 의하여 앞부분 측을 눌러 내리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어 있다.
한편, 제2요동간(39)은, 그 2갈래모양의 전단부(39a)가 승강작동간(24)의 상부에 끼워 맞춤하여 빠짐 방지판(24b)으로 상방이탈 불능으로 걸림과 동시에, 후단부의 하면측에 상기 피스톤로드(36a)의 상단이 맞닿도록 위치되어 진다. 그리고, 각 실린더(35)내에는 일정압력의 압축공기가 도입되고, 그 압력에 의한 피스톤로드(36a)를 사이에 두고, 제2요동간(39)의 후단부를 항상 쳐올림과 동시에, 제1요동핀(38)의 전단부를 누름핀(46)의 가압에 저항하여 항상 쳐올리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소재(W)의 압조를 행하는 경우, 캠원판(42…)을 고착한 회전축(41)은 도시하지 않는 구동수단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회전구동하지만, 캠종동부 (43)가 캠원판(42)의 저주면부(42a)에 맞닿고 있을 동안은 피스톤로드(36a)가 상한 위치에 있고, 승강 작동간(24)은 제2요동간(39)에 의하여 하한위치에 눌러 내려져 있고, 각 척유니트(16)의 양파지아암(19,20)은 제1도와 같이 개방 자세로 유지된다.
다음 캠종동부(43)가 캠원판(42)의 고주면부(42b)에 올라가면, 제1요동간(38)의 변위에 의하여 제2요동간(39)의 후단측과 피스톤로드(36a)가 강제적으로 눌러 내리워지고, 이에 따라 제2요동간(39)의 전단부(39a)가 일어나서 승강작동간(24)을 상승구동시켜, 레버편(18b)을 사이에 두고 구동축(18)이 회전하고, 각 척유니트(16)의 양파지아암(19,20)은 폐쇄작동하여 제2도와 같이 소재(W)를 끼워둔다.
그리하여 이 척상태에 있어서 왕복대(15)가 이송방향으로 이동함으로서 소재 (W)는 다음 다이스(13)의 전방으로 이송되고, 이것과 동시에 램(14)(제6도 참조) 이 전진하여 그 전단면의 펀치(47)로 소재(W)를 다이스(13)에 밀어넣어 타격압조한다.
그런데, 그 초기단계 즉 소재(W)의 후단이 다이스(13)에 침입하는 시점에서, 캠종동부(43)가 캠원판(42)의 고주면부(42b)를 벗어나서 저주면부(42a)에 이르고, 실린더(35)내의 축압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피스톤로드(36a)가 쳐올려지고, 동시에 변위하는 제2요동간(39)에 의하여 승강작동간(24)이 눌러 내려져 구동축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때문에, 양파지아암(19,20)은 펀치(47) 및 램(14)에 접촉하는 일 없이 개방자세로 복귀한다.
이와같이 양파지아암(19,20)이 개방 자세로 복귀하면, 곧 왕복대(15)가 귀환방향으로 이동하고, 타격압조 후의 램(14)이 퇴행하는 것이 끝나기전에 각 척유니트(16)의 양파지아암(19,20)은 본래의 다이스(13) 위차상에 대가하고, 램(14)이 어느정도 퇴행한 단계로 전술의 작동기구에 의하여 폐소 작동에 들어가고, 압조된 소재(W)가 록아우트핀(48)(제6도 참조)으로 다이스(13)로부터 압축된 직후에 이를 끼워두고, 다시 전술한 바와같이 왕복대(15)의 이송방향의 이동에 의하여 다음의 다이스(13)에 이송하는 것으로 된다.
제7도는 왕보대(15)의 왕복구동기구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면에서, 49는 성형기 기대(11)의 측부에 고착된 실린더이고, 그 내부에 끼워 만들어진 피스톤(50)의 피스톤로드(51)가 실린더(49)에 연달아 설치한 가이드통부(49)를 통하여 외부에 돌출하고, 그 선단에 연결간(52)이 피봇 연결되고, 이 연결간(52)은 기대(11)에 피봇된 회전운동 레버(53)에 피봇 연결되어 크랭크를 구성하고 있다.
또 회전운동 레버(53)에는 로울러(53a)가 피봇되어 있고, 이 로울러(53a)가 회전구동축(54)에 고착된 캠원판(55)의 주면에 맞닿을 수 있도록 위치설정되어 있다.
그리하여 피스톤(50)은 실린더(49)내에 도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항상 피스톤로드(51)가 돌출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고, 이로서 로울러(53a)가 항상 캠원판(54)의 주면에 탄성가압 접촉하고 있다. 한편, 피스톤로드(51)의 주면에는 가이드통부(49a)내에 위치하는 부분에 랙(51a)이 형성되고, 이에 이 맞물림하는 피니온(56c)를 갖춘 작동축(56)이 피스톤로드(51)의 진퇴동작에 동반하여 회전하도록 설정되고, 그 작동축(56)의 가이드통부(49a)로 부터 돌출하는 일단축에 고착된 레버(56b)가 상기의 왕복작동간(26)에 연결되어 있다. 캠원판(55)의 외주는 회전구동축(54)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대원호의 S1 구간 및 소원호의 S2구간와 이들의 이행구간인 R, C 구간의 4구간으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각 구간의 길이가 도시하는 바와같이 S1>S2, R>C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캠원판(55)은 압조사이클의 1회 마다 1회의 비율로 도시된 시계방향으로 정속 회전함과 동시에, 로울러(53a)가 도시하는 바와같이 S1구간에 회전접합한 상태에 있어서 왕복 작동간(26)은 퇴행위치에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캠원판(55)의 1회전 동작에 있어서, 로울러(53a)의 회전접합 위치가 S1구간에 있는 사이에는 왕복대(15)는 이송위치에서 정지하고, 이 사이에 상기와 같이 파지아암(19,21)이 개방작동 한다. 다음에 R 구간이 되면, 연결간(52) 및 피스톤로드 (51)가 도시된 좌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작동축(56)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왕복 작동간(26)을 진출동작시키기 때문에, 왕복대(15)는 귀환작동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S2 구간에서는 왕복대(15)는 귀환위치에서 정지하고, 그 사이에 파지아암 (19,21)이 닫혀서 작동하여 소재(w)를 끼워두고, 계속하여 C구간에 들어가면 연결간 (52) 및 피스톤로드(51)가 강제적으로 눌러 귀환되어 도시된 우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작동축(56)이 반전하여 왕복작동간(26)을 퇴행동작시키기 때문에, 왕복대(15)는 이송작동하여 파지아암(19,21)에 끼워둔 소재(W)가 다음의 다이스(13)로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귀환의 R구간의 이송의 C구간 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왕복대의 귀환작동에 있어서 속도 구배는 이송작동 보다 완만하게 되고, 귀환 정지시의 충격이 적고, 그리하여 파지아암(19,21)에서 소재(W)를 확실히 척할 수 있다.
더욱, 상기 실시예에서는 왕복대(15)가 평행 4면 랭크에 전후동을 동반하면서 좌우로 왕복 동작하지만, 왕복대를 적당한 가이드 레일이나 가이드바아 등의 적당한 가이드부재를 사이에 두고 직선 왕복운동 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 본발명에서는, 왕복대의 구동기구, 파지아암의 개폐구동기구, 척유니트의 수, 파지아암의 선단부형상, 다른 각 부재의 형상 및 배치 등, 세부구성에 대하여는 예시 이외에 여러가지 설계 변경가능하다.
[발명의 효과]
청구범위 제1항의 발명에 의하면, 트랜스퍼식 부품성형기에 적용하는 크로스척 방식의 소재척장치에 있어서, 한쌍의 파지아암이 1개의 지지축에 부착되고, 각 파지아암이 개별로 지지축에 부착된 종래구성에 비교하여 왕복대의 있어서 지지축 간의 거리가 각별히 크게되는 것으로서, 개방 자세에서의 파자이암의 열림을 넓게하여 왕복대의 이동에 따른 개방 자세의 양아암 선단의 궤적을 펀치의 램외주로 부터 뗄수 있고, 이로서 왕복대의 귀환개시 시기를 빠르게하여 펀치의 퇴행이 끝나기 전에 파지아암을 귀환 위치로 복구시킬 수가 있고, 이로서 부품성형기에 있어서 압조사이클의 비약적인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이 파지아암의 지지축이 적은 만큼 왕복대에 있어서 척유니트의 배치간격을 작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이스의 병설 간격도 작아지기 때문에, 부품성형기 전체를 소형화 하는 것이 가능한 것 외에, 왕복대의 왕복스트로우크가 짧아지므로, 같은 압조사이클 속도에서는 왕복대의 이동속도를 느리게 하여 스트로우크 양단의 정지시의 충격을 완화할수 있고, 이로서 고속의 압조사이클에 있어서도 소재의 순차 이송을 확실히 행할 수가 있다.
청구범위 제2항의 발명의 의하면 특히 왕복대의 귀환행정 종단에 있어서 충격이 보다 적어지고 파지아암에 의한 소재의 파지의 신뢰성이 증가한다. 또 청구범위 제3항에 구성에 의하면 개방 자세에서의 파지아암 선단은 폐쇄자세로 부터의 변위량이 보다 커지기 때문에, 척구동축의 배열 간격을 작게 하더라도 개방 자세에서의 펀치의 램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고, 부품성형기 전체의 소형화와 압조사이클의 고속화를 양립할 수 있다.

Claims (3)

  1. 거친것에서 정밀한것의 순서로 등간격으로 병설한 다이스군(13a~13c)의 각각에, 그 병설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왕복대(15)에 부착된 척유니트군(16a~16c)에 의하여, 부품소재를 동시에 순차 이송함과 동시에, 이들 소재군을 각 다이스에 대항배치한 펀치군의 진퇴작동에 의하여 동시에 압조성형하는 부품성형기에 있어서, 각 척유니트(16a~16c)는 교차상으로 배치한 한쌍의 파지아암(19,21)과 1개의 왕복 회전하는 척구동축(18)등을 비치하고, 그 파지아암(19)의 한쪽의 해당 척유니트의 척구동축(18)에 고착되고, 그리고 그 파지아암(21)의 다른쪽의 인접하는 척유니트의 척구동축(18)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양파지아암이 링크(22) 접속에 의하여 척구동축(18)의 왕복회전에 동반하여 개폐작동하고, 그 폐쇄동작시에 양파지아암(19,21) 선단부에서 소재를 양측에서 끼워두도록 구성되어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성형기의 소재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왕복대(15)의 왕복구동부에 파지아암의 폐쇄작동하는 귀환행정의 속도구배를 이송행정의 속도구배 보다 작게 설정하는 캠원판(55)이 개재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성형기의 소재척장치.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파지자암(19,21)의 각 쌍은 확개시에 선단측이 八자 형으로 열리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성형기의 소재척장치.
KR1019920005834A 1991-10-31 1992-04-08 부품성형기의 소재척장치 KR9500077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13228A JPH0755350B2 (ja) 1991-10-31 1991-10-31 パーツホーマーの素材チャック装置
JP91-313228 1991-10-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767B1 true KR950007767B1 (ko) 1995-07-18

Family

ID=18038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5834A KR950007767B1 (ko) 1991-10-31 1992-04-08 부품성형기의 소재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55350B2 (ko)
KR (1) KR9500077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08905A (zh) * 2021-02-05 2021-05-18 东莞市泰基山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冷镦机的拉料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7810U (ko) * 1977-07-11 1979-03-12
JPH03272Y2 (ko) * 1986-10-24 1991-01-08
US4898017A (en) * 1988-08-09 1990-02-06 The National Machinery Company Quick-change tooling for progressive formers and the like
JP3068939U (ja) * 1999-11-12 2000-05-26 忠行 坂本 装着位置が識別できるタイヤ用ラベ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123811A (ja) 1993-05-21
JPH0755350B2 (ja) 1995-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27738A (en) Bending apparatus
US3604242A (en) Transfer and ejection mechanism for forging machine
US6692686B1 (en) Blow molding method and apparatus
JPH01215419A (ja) プレス用加工片移送組立体
DE1808444A1 (de) Foerderanordnung fuer Pressen
JP3802116B2 (ja) 鍛造機
EA013444B1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захвата заготовок транспортиру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формующей машины
KR950007767B1 (ko) 부품성형기의 소재척장치
CA1214356A (en) Cam actuated ejector for a shell press
KR930009939B1 (ko) 프레스 장치
JP3207244U (ja) 多段式圧造成形機のブランク移送装置
JP6661470B2 (ja) 多段式鍛造プレス機のトランスファ装置
JP6661471B2 (ja) 多段式鍛造プレス機のトランスファ装置
JPH0128908Y2 (ko)
KR100599182B1 (ko) 다단식 단조성형기의 이송유닛
US4627264A (en) Cam actuated ejector for a shell press
US4048838A (en) Arrangement for controllably reciprocating a workpiece gripping assembly of a multi-stage press
US4292734A (en) Commonly actuated in-line assembly machine
KR100629211B1 (ko) 다단식 단조성형기의 이송유닛 회전장치
JP2000158086A (ja) 圧造機におけるワークの飛び出し防止及び押し込み装置
JP4664522B2 (ja) フィンガ開閉機構付きトランスファ装置
KR950005625Y1 (ko) 다단식 압조 성형기의 소재 이송 장치
JPH03275Y2 (ko)
JPS6141651B2 (ko)
JPH011621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6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