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639B1 - 경량의 무기 안정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경량의 무기 안정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639B1
KR950007639B1 KR1019890701738A KR890701738A KR950007639B1 KR 950007639 B1 KR950007639 B1 KR 950007639B1 KR 1019890701738 A KR1019890701738 A KR 1019890701738A KR 890701738 A KR890701738 A KR 890701738A KR 950007639 B1 KR950007639 B1 KR 950007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on
stage
recoil
passage
cu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701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700844A (ko
Inventor
아더 므라쯔 윌리엄
에드위 버톨프 마틴
제임스 파니 마이클
Original Assignee
로얄 오드넌스 피 엘 씨
더렉 제입스 맥코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얄 오드넌스 피 엘 씨, 더렉 제입스 맥코맥 filed Critical 로얄 오드넌스 피 엘 씨
Publication of KR900700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0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5/00Gun mountings permitting recoil or return to battery, e.g. gun cradles; Barrel buffers or brakes
    • F41A25/16Hybrid systems
    • F41A25/20Hydropneumatic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5/00Gun mountings permitting recoil or return to battery, e.g. gun cradles; Barrel buffers or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3/00Gun mountings, e.g. on vehicles; Disposition of guns on vehicles
    • F41A23/28Wheeled-gun mountings; Endless-track gun moun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Particle Accelerator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경량의 무기 안정화 시스템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복원 혹은 안정화 시스템의 제1실시예와 결합되는 경향의 견인식 호비쯔(Howitzer)의 우현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부분 상부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캐논 장착 메카니즘의 부분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도시된 장착 메카니즘의 캠통로 및 우측 로울러 셋트의 사시도.
제5도는 제3도의 도시된 장착 매카니즘의 캡통로 및 좌측 로울러 셋트의 사시도.
제6도는 제1도의 라인 6-6을 따라 자른, 상기 복원 혹은 안정화 시스템의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상부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복원 혹은 안정화 시스템의 제2실시예와 결합된 경량의 견인식 호비쯔의 부분 우측 사시도.
제9도는 제8도의 상부 평면도.
제10도는 제8도의 라인 10-10을 따라 자른, 제8도에 도시된 상기 복원 혹은 안정화 시스템의 단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라인 11-11을 따라 자른 단면도.
제12도는 반동부 질량 중심의 통로를 구성한 그래프.
제13도는 캐논 반발력 대 반동 길이를 구성시킨 그래프.
제14a도 및 제14b도는 축과 정상 힘 각각 대 시간을 구성시킨 그래프.
제15a도 및 제15b도는 튜브축 및 튜브 정상 반동 속도 각각 대 시간을 구성시킨 그래프.
제15c도는 최대 튜브 정상 변위 대 최대 튜브-축 변위를 구성시킨 그래프.
제16도는 일반적인 건 형상의 도시도.
제17도는 캐논 조립체상에 작용하는 힘의 도시도.
제18도는 캐리지 및 크레이들(cradle) 조립체상에 작용하는 힘의 도시도.
제19a도 내지 제19c도는 캐논상에 작용하는 힘을 도시하는 캐논의 프리 바디(free dody)도시도.
제20a도 및 제20b도는 캐논 상에 작용하는 힘을 도시하는 백터도.
제21도는 오래고 짧은 반동에 대한 오리피스 구역을 구성시킨 그래프.
제22도는 모멘트 대 반동 시간을 구성시킨 그래프.
제23도는 발사 프랫포옴 대 반동 길이상의 수직 반발을 구성시킨 그래프.
제24도는 복원도 혹은 안정도 차이지 효과를 도시하는 그래프 (즉, 수직 그란운드 힘).
제25도는 캐논 속도 대 반동 길이를 구성시킨 그래프.
제26도는 캐논 가속도대 반동 길이를 구성시킨 그래프.
제27도는 트랙 가속도에 반동 길이를 구성시킨 그래프.
제28도는 반동 높이 대 반동 길이를 구성시킨 그래프.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건 시스템(gun system) 특히, 견인식 대포용의 개량된 무기 복원도 즉, 안정도에 대한 곡선 반동 에너지 매네지먼트에 사용되는 복원 즉, 안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 특히 견인식 포용으로 사용되는 반동 시스템은 엄밀하게 직선이다. 한편, 반동동안의 운동축은 튜브축과 동축이다. 상기 반동 파트의 감속은 하나 이상의 공기 유압 실린더에 의하여 제공되는데 여기서, 작동 유체는 하나 이상의 오리피스를 통해서 가압된다. 이러한 통상 사용 시스템에 있어서, 힘을 감소시키는 운동은 후방 너머로 건을 탑시키는 경향을 갖는다. 이것의 반대는 트레일 단부에 대한 무기 중량의 운동이다. 만약, 상기 전복운동이 하향 중량 운동을 초과한다면, 무기는 이것의 트레일 단부에 대해서 순간적으로 이동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비복원” 혹은 “비안정”이라고 지칭하며 또한 조정을 요구하는 그로스(gross)무기 운동과 무기에 대한 손상 가능성 때문에 불필요하다.
교체적으로, 비-직선, 반동 시스템이 애쉬리(Ashley)에 의하여 미합중국 특허 제3,114,291호에 서술되어 있다. 애쉬리 특허의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은 레버 및 가이드를 사용한다. 이것들은 두개의 가이드 웨이(8,23) 및 두개의 레버(6,7)이다.
레버(6,7)는 슬라이드(9) 및 가이드 웨이(8)를 포대(5)에 접속시킨다. 레버(7)는 제2가이드웨이(12)로 연장되는데, 이것은 커브 형성가능하고, 그러므로 포대의 반동동안 후방 및 상향위치로 가압된다. 상기 포대는 반동력이 후방으로만 보다도 하향하도록 이동된다. 그러나, 애쉬리는 상향 속도의 감속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고 결국, 경량의 무기 복원 혹은 안정화 문제는 미해결인 상태로 남아있게 되었다.
앤더슨(Anderson)에 의한 미합중국 특허 제439,570호 및 스필러(Spiller)에 의한 제463,463호는 사격후에 수직으로 회전하여 결국, 이들이 벽 후방으로 경사지는 “디스어피어링(disappearing)”건을 서술하고 있다. 이러한 운동은 반동에 의하여 야기된다. 앤더슨 및 스필러는 역시 경량의 무기 복원성 혹은 안정성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 또한 앤더슨 및 스틸러는 무거운 포에서만 사용하기 위해 적합한 건 장착대로 서술하였다.
요약하면, 상향 속도의 감속 문제점을 해소하거나 혹은 경량의 건인식 무기의 적용가능한 방식으로 복원성 혹은 안정성 문제로 해결하는 어떠한 시스템이 존재하진 않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본 발명이 제안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 시스템을 위한 개량된 무기 복원성 혹은, 안정성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견인식 포에 대한 개량된 무기 복원 혹은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경량의 포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무기 복원 혹은 안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높은 비안정화 혹은 복원 반동 로드의 시간 동안의 전이 복원 혹은 안정화 모멘트를 부과하는 무기 혹원 혹은 안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무기가 결코 땅에 내려 앉지 않는 것을 보장하도록 비안정화 반동 부하를 극복하기 위하여 전이 복원 혹은 안정화 시스템이 적용되는 무기 복원 혹은 안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남은 목적은 트레일 단부에 대한 무기 중량의 정적 모멘트만을 단독으로 따르지 않고 결국, 비복원성 혹은 비안정성의 두려움이 없이 경량의 구조물이 사용가능한 무기 복원 혹은 안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된 본 발명의 목적은, 반동 캐논 고정 캐리지 및, 곡선 통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캐리지상에 캐논을 이동가능하게 장착시키기 위한 장착 시스템을 포함하는 건 시스템의 제공에 의하여 성취된다. 상기 통로는 상기 캐논 조립체를 상향으로 가속시키는 커브형성 제1스테이지와, 상기 캐논 조립체의 상향 운동을 감속시키는 제2스테이지를 갖으며, 또한 이것은 제1스테이지와 동일하거나 대향 방향으로의 직선 혹은 커브이거나, 혹은 필요하다면 이것들의 컴비네이션이다. 만약 제1스테이지에서와 동일한 방향으로 커브 형성된다면, 상기 제2스테이지는 제1스테이지보다 적은 커브를 갖는다. 본 발명의 한 정신에 따라서, 상기 제1스테이지는 캐논의 이동방향(즉, 반동)으로 감소되는 곡률 반경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정신에 따라서, 상기 장착 메카니즘은 캡통로 메카니즘과 이것과 연합된 캡 플로워 메카니즘을 포함하며, 상기 캡통로 메카니즘은 제1의 커브형성 스테이지 및 제2스테이지를 갖는데, 이것은 커브 혹은 직선이거나 혹은 둘다 커브 혹은 직선이다. 상기 메카니즘은 캐리지상에 고정 장착된 캠플로워 매카니즘과 함께, 캐논상에 고정장착 가능하거나, 혹은 상기 캡통로 메카니즘은 캐논상에 고정 장착된 캠플로워 메카니즘과 함께 캐리지상에 고정 장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로서 더욱 상세히 서술될 것이다.
[양호한 실시예의 서술]
본 발명에 있어서, 곡선 반동이 경량의 견인식 호비쯔에 복원성 혹은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사용된다. 아래에 상세히 후술되는 바와 같이, 곡선 반동은 다음과 같이 작동되는데 ; 상기 반동부는 반동 크레이들에 장착된 커브 형성 크랙내의 반동동안 후방 및 상향으로 이동된다.
무기 복원도 혹은 안정도는 동일한 또는 대향의 복원 혹은 안정화 모멘트에 의하여 비복원 혹은 비안정화(반동) 모멘트의 평형을 요구한다. 종래의 견인식 무기 즉, 중량의 6803.85kg (15,000파운드)인 M198 호비쯔에 있어서, 이러한 복원 즉, 안정화 모멘트는 무기 중량에 작용하는 중력으로부터 발생된다. 경량의 견인식 호비쯔에 있어서 상기 무기 중량은 대형 캐리버의 1.5배를 조금 넘는 4082.31kg (9000파운드)이고 ; 따라서 이용가능한 복원 즉,안정화 모멘트는 종래의 무기와 비교하여 대체로 감소된다.
본 발명은, 반발명의 비 복원 즉, 비안정화 모멘트에 반작용하는, 보조 복원 즉, 안정화 모멘트를 발생시키는 부가의 수직력의 발생을 부과시킨다. 이러한 수직력은 후방 및 상방의 반발 통로를 야기시키는, 반동부에 작용한다.
이러한 통로의 형상으로부터, 우리는 이것을 종래의 직선 라인 혹은 “직선”반동 운동과 대조하여 “곡선”이라 칭한다.
상기 반동부에 대한 수직 상향력의 적용은 뉴우런의 제3법칙에 따른 비-반동부상의 동일하고 대향된 하향 반발력을 야기시킨다. 이러한 반발은 구배력을 부과시키고, 또한 비안정 상황 결과없이 더욱 큰 반동 부하를 허용하는 트레일 단부에 대한 복원 즉, 안정화 모멘트로서 작용하게 된다. 상기 반동부상의 수직력은 상향 속도를 야기시키고, 또한 이러한 속도는 반동 스트로크의 종료에 의하여 제로로 복귀될 것이다. 이것은 2스테이지 반동 사이클내에서 야기되는데, 이것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결합되는 경량의 견인식 155mm 호비쯔에 대해 서술된다.
제1-7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복원 즉, 안정화 시스템의 제1실시예와 결합되도록 수정된 종래의 경량 견인식 155mm 호비쯔(10)가 도시된다. 호비쯔(10)는 종래의 좌,우 휘일(14,16) 및 종래의 좌,우 트레일(18,20)에 의하여 지지된 종래의 고정 캐리지(12)를 포함한다. 크로스 부재(27)에 의하여 탑에서 소로 유지되며 또한 이후에 상세히 서술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라 변형된 좌,우 사이드(24,26)를 가진 ㅡ레이들(22)은 캐리지(12)상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크레이들은, 여기서 좌,우 피스톤(28,3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평형/상승 메카니즘에 의하여 상,하로 회전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튜브축(a)을 가진 캐논(32)은 제1전방 및 하향 위치(실선) 및 제2, 후방 및 상향 위치(점선) 사이의 왕복 운동을 위해서 크레이들(22)내에 장착된다. 대부분의 반동 에너지는 흡수되고 또한 상기 캐논은, 크레이들(22) 및 캐논(32) 사이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된 좌,우 반동/회복 실린더(34,36)와 같이, 종래의 반동 회복 메카니즘에 의하여 배터리로 복귀된다.
케논(32)용 장착 메카니즘은 튜브 질량 중심의 전방에 위치된 전방 요오크(38)와, 튜브 질량 중심의 후방에 위치된 후방 요오크(40)를 포함한다. 요오크(38,40)는, 중앙 칼라(42,44)의 다른 측부로부터 연장되는 테이퍼 형성 구조의 형태로, 캐논(32) 및 전방 좌,우 이어(46a,46b) 및 좌,우 이어(48a,48b) 각각을 지지하고 둘러싸도록 각각 원통형 중앙 칼라(42,44)를 포함한다. 각각의 칼라는 요오크 및 캐논 튜브, 및 토오크 키이(50)를 둘러싸는 더불어(52)(duobler) 사이의 스피닝을 방지하도록 토오크 키이(50)를 포함한다. 전방 좌,우 트윈 로울러 셋트(54a,54b)는 전방 좌,우 이어(46a,46b) 상에 장착되고 또한 후방 좌, 우 트윈 로울러 셋트(56a,56b)는 후방 좌,우 이어(48a,48b)상에 장착되는데, 각각 스터브 액슬(62)를 경유한다. 좌측 트윈 로울러(54a,54b)는 평평한데, 즉, 장방형 길이방향 횡단면을 갖는 반면에, 우측 로울러(54a,56b)는 부등사변형 길이방향 횡단면을 갖는다.
크레이들(22)의 좌,우 사이드(24,26)는 전방 좌,우 로울러 셋트(54a,54b)를 이동가능하게 계합시키기 위해서 각각 전방 좌, 우 평행 캠통로(64a, 64b)를 또한 각각 후방 로울러 셋트(56a, 56b)를 이동가능하게 계합시키기 위해서 후방 좌,우 평행 캠통로(66a,66b)와 함께 제공된다. 전방 및 후방 좌측 캠통로(64a,64b)는 장방형 횡단면을 갖는 반면에, 전방 및 후방 우측 캠통로(66a,66b)는 측 트러스트 부하를 더욱 잘 조절하도록 외단부에 넥형성된 부분과 함께 장방형인 횡단면을 갖는다. 상기 요오크의 위치 및 로울러 셋트(54a,54b,56a,56b)는 전체 무기 디자인에 대한 고려로서 결정된다. 상기 위치는 상기 전,후방 로울러 셋트사이의 힘의 분포에 영향을 끼친다.
제1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통로(64a,64b,66a 및 66b)는 형태가 동일하고, 제1커브형성스테이지 및 제2직선 스테이지로 구성된다.
튜브축 방향으로 즉, 튜브축(A)을 따르는 반동부의 에너지 대부분은, 반동 사이클의 제1스테이지동안 흡수된다. 이러한 주기동안 무기 복원도 즉, 안정도는 튜브축(A)에 수직 방향으로 반동부(즉, 캐논(32) 및 이것의 장착 메카니즘)를 가속시키므로서 향상된다. 상기 수직력은 커브 형성 캠통로(64a,64b,66a,66b)상의 반동부에 부착된 로울러 셋트(54a,54b,56a,56b)의 작용에 의하여 발생되는데, 이것은 넌-반동 크레이들(22)의 부분이다.
유압 반동 시스템(즉, 반동 실린더(34,36)은 튜브 축(A)을 따른 반동부를 제동시킨다. 상기 반동 속도가 반동 시스템에 의하여 적당한 레벨로 감소될 때, 반동부는 소형축 및 작은 정상 속도 둘다를 갖는다. 이시간에서(스테이지 II), 상기 높은 초기 반동력은 감소되고, 또한 동시에 튜브 수직력(tube-normal force)은 캠통로(64a,64b,66a,66b)를 직선화시키므로서 제거된다. 인력은 반발/회복 실린더(34,36)로부터의 소형 성분을 플러스시키고, 또한 캠통로(64a,64b,66a,66b)로부터의 가능한 소형 분포는,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동 스트로크의 단부에 의하여 튜브 수직방향의 장착을 위해서 반동부를 느리게 한다.
특히,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플로워[즉, 로울러 셋트(54a,54b,56a,56b)의 상호작용] 및 커브 형성 캠통로(64a,64b 및 66a,66b)의 상호 작용은 반동부의 질량 중심이 유사한 커브 형성 통로를 따르도록 한다. 원심력은 다음식
Figure kpo00001
에 의하여 발생되며, 이것의 방향은 국부적인 반경 벡터를 따른다. Vinst는 반동부 질량 중심의 순간 속도이다.
Rinst는 로울러 셋트(54a,54b,56a 및 56b) 및 캠통로(64a,64b,66a 및 66b) 사이의 접촉 포인트에서의 캠통로의 대응 곡률 반경이다.
발사될때, 발사되고, 또한 추진되는 챠아지의 컴비네이션이 예정가능한 발사 반동 임펄스를 형성하는데, 발사 및 추진 챠아지의 컴비네이션 혹은 테이블을 통하여 테스트하므로서 결정 가능하다. 차례로, 이것은 건의 반동부를 예정 속도에서 후방으로 이동시킬 것이고, 유사하게 테스트하므로서 혹은 테이블로부터 결정 가능하다.
상기 반동 시스템은, 반동 작동 유체가 이것을 통하여 가압되는 오리피스 사이즈의 선택에 의하여 결정된, 감속력을 제공하므로서 제어 방식으로 이러한 속도를 감소시킬 것이다.
다시말하면, 상기 감속력은 실린더를 테스트하거나 혹은 테이블을 통하여 결정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에서, 반동 시스템에 의하여 제공된 힘은 공지되고 또한 반동 스트로크 내의 어떤 포인트에서 예정가능하다.
부가적으로, 반동부의 잔류 속도는 역시 공지되고 예정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역전 모멘트는 공지되고 상기 반동 스트로크 내의 모든 포인트에서 예정가능하다. 상기 역전 및 복원 즉, 안정화 모멘트사이의 차이는 건의 대지와의 접촉을 유지하도록 요구되는 최소의 부가적인 복원 즉, 안정화 모멘트를 제공한다. 이러한 부가의 모멘트는(어떤 부가의 안전 요소와 더불어)상기 캠 플로워/캠통로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발생된 원심력에 의하여 제공된다. 상기 반동부의 질량 및 이들의 순간 속도와 함께, 상기 요구되는 순간 원심력이 이제 공지되기 때문에, 곡률 반경에 대한 대응값이 예정가능하데, 이것은,
Figure kpo00002
이다.
이러한 방식에서, 캠통로(64,66,68,70) 각각의 “Y"좌표는 “X"좌표(튜브-축)의 전체 대응값에 대해서 결정가능하다.
상기 반동 스트로크에서의 모든 포인트에서, 상기 반동부는 “Y"방향(투브축 A에 수직) 및 “X”방향(투브축 A를 따른) 둘다의 속도 성분을 갖는다. 이러한 두 속도는 반동 스트로크의 끝에서 제로로 감소될 것이다. 상기 반동 스트로크의 어떤 포인트에서, 원심력은 무한 곡률 반경을 (즉, 각각의 캠통로(64,66,68,70)가 직선 라인이 되는) 형성하므로서 0으로 감소된다. 따라서, 반동부는 이제 이들의 상향 가속을 그친다. 상기 반동 시스템은, 상기 반동부를 “X” 및 “Y”축 둘다에 설정하는, 부드러운 감속력의 제공을 계속한다.
상기 최종적인 감속력은 작은 비-복원 즉, 비-안정화 모멘트를 야기시키지만, 이것의 크기는 완성된 무기의 정적 중량의 복원 즉, 안정화 모멘트에 의하여 극복가능한 정도이다. 사실상, 상기 곡선 반발 운동은 높은 반동력의 기간동안 무기의 정적 중량보다 큰 중량을 호비쓰(10)에게 제공한다. 상기 곡선 캠통로는 건중량의 안정화 모멘트가 반동 감속력의 전복 모멘트를 극복하기에 충분하며, 대지 접촉의 유지를 보장하도록 설계된다. 반동 이동의 차후의 부분동안, 직선 반동력이 불연속될때, 호비쯔(120)의 중량은 감소되지만, 대지 접촉은 아직 유지된다.
대신에, 제8-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통로 및 캠 플로워의 위치가 역전된다면, 동일하게 가시가능한 안정화 해답이 존재한다. 따라서, 제8-11도에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정화 시스템의 제2실시예와 결합되는 경량의 토우형 155mm 호비쯔(10')]가 제공된다. 또한 호비쯔(10')는 캐리지(12), 휘일(14,16) 및, 트레일(18,20)을 포함한다. 좌,우 사이드(24',26')를 가지고 후술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서 수정된 크레이들(22')은 캐리지(12)상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되다. 크레이들(22')은 좌,우 피스톤(28,30)에 의하여 상,하로 피봇된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톤(22)의 전방, 하향의 제1포지션(실선) 및, 후방 상향의 제2포지션(점선) 사이의 왕복운동을 위해서 크레이들(22')내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에에 따른 캐논(32)용 장착메카니즘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캐논(32)용 장착 메카니즘의 역인데, 여기서 캠 통로는 캐논(32)상에 위치되는 반면에, 캠 플로워는 크레이들(22')상에 위치된다. 상세하게, 케논(32)용 장착 메카니즘은, 캐논(32)상에 장착된 트랙 지지 칼라(72)에 부착 혹은 용접된, 전방 좌, 우 캠 통로(64a',64b') 및, 후방 좌,우 캠통로(66a',66b')를 포함한다.
크레이들(22')의 좌,우 사이드(24',26')는, 전방의 좌,우 캠통로(64a',64b') 및 후방의 좌,우 캠통로(66a',66b')의 각각과의 이동가능한 계합을 위해서, 전방의 트윈 로울러의 좌,우 로울러 셋트(54a',54b') 및, 후방의 좌,우 트윈 로울러 셋트(56a',56b')와 함께 제공된다. 각각의 로울러 셋트(54a',54b',56a',56b')의 각각은 4개의 로울러, 원형 하우징(74)내에 하우즈된, 상부 트윈 로울러 셋트 및 하부 트윈 로울러 셋트로 구성된다. 원형 하우징내에 셋트된 로울러의 변위는 상기 하우징이 작동 빔구조 및 로울러(플로워)시스템작동을 형성하도록 요구되는 응력을 제공하는 면에서 중요하다. 원형 하우징(74)은 캠통로에 대한 트윈 로울러의 법선에 수직으로 로울러를 정지시키도록 허용한다.
본 발명의 제1 혹은 제2실시예의 설계 선택은 복원 혹은, 안정화 시스템의 기능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 또한 전체 무기 설계에 의하여 한정된다. 부가의 교체 설계에 있어서, 상기 제1 혹은 제2실시예의 캠통로는 반동의 제2스테이지동안 즉, “Y”축 내의 더큰 감속을 성취하도록 튜브축 A를 향하여, 대향 방향으로 커브 형성가능하다. 이러한 교체 구조의 사용은 반발 이동의 제2스테이지 동안 대지 접촉을 유지하도록 요구에 의하여 제한된다.
또다른 교체 설계에 있어서, 상기 제1 혹은 제2실시예의 캠 통로는 반발의 제2스테이지 동안 동일 방향으로 커브 형성가능하다. 이 경우에, 제2스테이지의 커버는 제1스테이지보다 얕다.
본 발명의 복원 즉, 안정화 시스템의 제1실시예에 대한 튜브-수직력-시간 커브가 제14a도 및 제14b도에 도시된다. 부가된 이러한 두개의 힘-시간 커브는 실제의 힘 백터 및 결과적인 가속을 제공한다. 적분은 수직 및 수평 성분으로 분해가능한 속도-시간 연속으로 이끈다.
부가의 적분은 반동부의 질량 중심의 수평 및 수직 변위를 제공한다. 양식화된 형태에 있어서, 속도-시간은 제15a도는 및 제15b도에 도시되고 또한 변위는 제15c도에 도시된다. 제15a도 및 제15b도에 의하여 표현된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스테이지 I은 반동 거리의 60% 및 반동 시간의 40%에 대해 계산되는 반면에, 스테이지 II는 반동 거리의 40% 및 반동 시간의 60%로 계산된다.
우리의 곡선 시스템 및 다음의 다이나믹(안정도) 분석의 서술은 제1도 내지 제7도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대해서 서술된 바와 같이 크레이들상의 캡통로 위치를 지지하며, 또한 이것에 의하여 복원 즉, 안정도가 성취된다.
상기 결정식 및 다이나믹 분석의 이용에서와 같이 반동 시스템 및 복원 즉, 안정도의 서술은 두개의 평면형 강체 바디와 같은 건 시스템의 모델링을 기초로하는데 ; 하나는 반동식이고 다른것은 고정식이다. 상기 반동 바디(질량)는 “캐리지”로서 이후에 참조될 것이다. 실제로, 상기 캐리지는 두개의 질량 혹은 중량으로 제조되는데 ; 하나는 상승식(WE)이고 다른것은 고정식(WF)으로 잔류된다.
이것은 건의 상승 및 하강과 연합된 캐리지 중력 중심의 운동에 대해 허용가능할 것이다.
일반적인 건의 형상은 제16도에 도시되어 있다. 캐논 모델과 연합된 두 개의 좌표 시스템이 제공된다. 첫째 형태는 그라운드 레벨에서의 트레일의 단부에서 중심설정된 내지 고정식 좌표 시스템(X-Y)이다. 둘째 형태는 상기 케논이 상승할때 건 튜브와 함께 회전하며 반동 질량의 인-배터리 위치에서 중심 설정되는 좌표 시스템(U/Z)이다.
이러한 잠초 프레임은 캐논과 함께 반발하진 않는다. 캐논(질량 중심)의 반동 변위는 U-Z 좌표 시스템으로부터 측정되고 또한 상기 수평 및 수직 변위는 각각 U,Z로부터 측정된다. 좌표 방향 U 및 Z와 변위 U 및 Z는 혼란스럽진 않을 것이다. 유사하게, 캐논의 질량 중심의 위치(X,Y)는 X-Y좌표 시스템에 대해서 알 수 있다.
상기 두 강체 바디가, 이것들 사이에 작용하는 힘의 서술로 조절하고 또한 이들의 동일하고 대향된 효과를 형성하도록 제17도 및 제18도의 분리 도시되어 있다. 상기 케논은, 반동 메카니즘으로부터의 튜브에 평행하며, 또한 크레이들 지지 포인트로부터 튜브에 수직인, 캐리지로부터의 힘을 경험하게 된다. 제1-7도에 도시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전,후방 둘다 각각의 캡통로(64a,64b,66a,66bb)내에 속박된 로울러(54a,54ab,56a,56b)에 의하여 제공된다. 상기 반동 메카니즘으로부터의 힘은 “로드 풀”(rod pull)로서 여기에 참조되며 또한 상기 반동력(실린더) 및 구속력 둘다의 합계이다. 분석 및 서술을 간단히 하도록, 상기 캐리지 및 캐논 사이의 모든 힘은 튜브에 수직인 Fz 및 튜브에 평행한 힘 성분 Fu의 덩어리이다. Fu 및 Fz는 캐논을 지지하는 반발력이다. Fx 및 Fy는 상기 대지 고정 X-Y좌표 시스템에 기초한 Fu 및 Fz와 아직 동일하다.
제로에서 상한 각은 Fx-Fu 및 Fy=Fz이며,
Fx=+Fu(cos
Figure kpo00003
)-Fx(sin
Figure kpo00004
)
Fy=+Fu(cos
Figure kpo00005
)+Fu(sin
Figure kpo00006
)
Figure kpo00007
=상한 각
안정도에 대한 기준은 제18도의 고려로부터 유도된다. 안정도는 캐리지가 트레일 단부에 대해서 회전하지 않을때의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은 만약, 발사 플랫포옴(R2Y)상의 수직 반동이 양으로 잔류된다면, 만족한다. R2Y는 양으로 잔류될 것이고 또한 만약 안정화 모멘트 Mst가 전복 모멘트 Mov 보다 크게 잔류된다면 건은 복원 즉, 안정가능하다. 제로 상한각에서, 전복 모멘트는 수평력 Fx와 이것의 모멘트 암의 곱인데 ;
Mov=Fu(h+z+hsp) ……………………………………………………식.1
상기 안정화 모멘트는 수직력 Fz, 고정 중량 WF 및 WE와 이들 각각의 모멘트 암의 곱이다 :
Mst=Fz(A+B+U)+WE(A+AF)+WE(A+AE)……………………식.2
안정도에 대해서
Mst>Mov…………………………………………………………………식.3
안정도의 크기는
Mex=Mst-Mov…………………………………………………………식.4
또한
R2Y=Mex/C………………………………………………………………식.5
로서 과도한 안정화 모멘트 Mex를 한정하므로서 알 수 있다.
Mex 및 R2Y가 더 크다면, 건 시스템이 더욱 안정된다.
종래의 반동 시스템에 대해서, Fu는 상기 로드풀(RP)와 동일할 것이고, 또한 힘 Fz는 튜브 및 크레이들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반동중량 WR의 부분(WRZ)을 지지할 것이다. 제로 상한각에서, Fz는 전체 반동중량 즉, Fz=WRZ=WR와 동일할 것이다.
WF,WE 및 WR의 합계가 4082.31kg(9000파운드)으로 제한되기 때문에, 상기 안정화 모멘트는 크게 감소된다.
Mst=Fz(A+B+U)+WF(A+AF)+WE(A+AE)
(종래의 건에 대해서) Fz=WR
Mst=WR(A+B+U)+WF(A+AF)+WE(A+AE)
곡선 반동은 Fz를 증가시키므로서 안정화 모멘트를 증가시킨다. 곡선 반동 Fz가 캐논의 중량을 간단하게 지지하지 않지만, 더 큰 안정도가 필요할때 캐논을 (튜브에 수직으로)상향 가속시키도록 역시 작용한다. 상기 튜브의 상향 가속(Z방향)은 이러한 가속과 연합된 관성력에 의하여 Fz를 증가시킨다 :
Fz=M(Az)+WRz……………………………………………………………식.6
이러한 증가된 Fz 및 Z방향의 캐논의 결과적인 가속은 캐논에게 Z방향의 변위(Z) 및 속도(Vz)를 준다. 상기 스트로크의 이후의 부분에서의 동일한 포인트에서, 이러한 속도(Vz)는 제로로 복귀될 것이다. 이것을 완성하도록, Fz는, 캐논상의 약화에 있어서, Az의 사인을 스위치시키도록 충분히 감소될 것이다. 만약 Fz가 요구되는 바와 같이 반동 스트로크의 이후 부분내에서 감소된다면, 이러한 반동 부분 동안 비안정화를 방지하도록 역시 감소될 것이다. 이것은 곡선 반동동안 두개의 별개의 스테이지로의 상승을 초래 하는데 ; 스테이지 I은 튜브 수직 가속 Az가 양일때(“상향”) 반동 부분으로서 한정되며, 또한 안정도에 대한 비례 튜브 수직력 Fz 및 대형 튜브 축력 Fu(대형 로드 풀)에 의하여 특징되며 ; 또한 스테이지 II는 튜브 수직 가속도 Az가 음일 때 (“하향”) 반동의 부분으로서 한정되며 감소되거나 혹은 음의 튜브 수직력 Fz 및 필요하게 큰 감소된 튜브 축력 Fu(작은 로드 풀)에 의하여 특징된다.
스테이지 I로부터 스테이지 II로의 전이에 있어서, 상기 반돌력은 스테이지 II 동안 상기 로드 풀은 관류력(recuperator force)에 의하여 제공된다.
상기 다이나믹 분석은 두개의 평형 강체 바디로서 건 시스템을 모델화하는데 ; 하나는 반동식이고 다른 것은 고정식이다. 상기 두개의 강체 바디는 정지시 일체이고 ; 동시에 제로인데, 임펄스의 수진으로부터의 시간 가변력이 인가된다. 이것은 캐논을 음의 U방향으로 가속시키는 반면에, 이것은 모델화된 것과 같이 반동 메카니즘으로부터의 감쇠력에 의하여 작동된다. 어떤 다수의 추진 임펄스 작용이 M203 PIMP, M203노이널, 및 M119를 포함하는 (그러나 제한되지 않는) 전에 적용되는데, 모든 0.7인덱스 뮤즐(muzzle) 브레이크 및 M483 발사를 가진 캐논 튜브의 매취된다. 상기 반동력은 캐논의 자유로운 반동 속도 성취를 방지하도록 작용하고 반동 질량을 정지로 복귀시키는 작용을 계속한다.
상기 캐논은 크레이들내에서 예비-한정된 곡선 캠통로를 부득이 따르도록 한다. 상기 통로는 상항 커브형성되는데, 이것이 축방향으로 반발할때 튜브 중심 라인에 수직으로 가속되고 위치되도록 가압한다. 이러한 가속은 스테이지 I 동안 안정도에 기여하는 힘을 발생시킨다.
모든 시간의 스테이지에서의 Fu 및 Fz의 크기는 반동 질량에 대한 아래에 셋트된 상이한 운동식을 풀므로서 알 수 있다. 한번 다이나믹 포스(dynamic forces)가 알려지면, 모든 주요성분 추진 부하가 공지된 시스템 지수를 사용하는 각각의 시간 스텝에서 정적으로 결정된다.
제19a도는 캐논(반동질량)의 자유 바디 다이아그램이다. 이러한 도식으로부터 건 시스템의 운동을 서술하는 두개의 상이한 방정식을 유도한다. 상기 캐리지는 고정식이라 가정하며, 만약 수직 발사 플랫포옴 반동 R2Y가 양으로 잔류된다면 상황은 만족된다. U방향에서의 합계 힘은 제1상이 방정식을 제공한다.
튜브축 : ∑(u)=M(Au)=Fu-(-)FIMPU-WRU
M(Au)=Fu+FIMPu-WRU
Au=(Fu+FIMPU-WRU)/M……………………………………………………식.7
Z방향의 합계 힘은 제2상이 방정식을 제공한다.
튜브수직 : ∑F(Z)=M(Az)=Fz-WRZ
Az=Fz-WRZ)/M∑………………………………………………………………식.8
제19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량 중심은 튜브의 중심 라인으로부터 위치될 것이다. 이것은 센터링 모멘트를 제공하는 반동력 Fu 및 Fz의 제공 포인트를 이동시키므로서 평형을 이루는 발사 임펄스력으로부터의 모멘트를 유도한다.
질량 중심에 대한 모멘트의 합계는
∑MOM=O=(-)FIMPU(ZEIMP)-Fz(-UEFZ)
UEFZ=FIMPU(ZEIMP)/Fz
상기 발사력이 제로로 갈때, 상기 편심를 UEFZ는 새로로 될 것이고 또한 질량 중심을 통과하여 작용할 것이다.
Fu 및 Fz는 건의 캐리지로부터의 캐논상의 반작용인데 ; 상세하게는, 이러한 힘은 크레이들에 의하여 제공된다. 상기 크레이들은 두개의 수단 즉, 반동 메카니즘 및 켐트랙에 의하여 이러한 힘을 제공한다. 상기 반동 메카니즘은 브리치 밴드(제19b도 및 19c도에 도시)를 경유하여 캐논상에 풀 온되며, 또한 상기 반동매카니즘의 기하에 의하여 관계되는 두 성분을 갖는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록 두 부분의 트랙이 제공되지만, 전방 제어 및 후방 페어, 싱글 평형 트랙포스(TR)이 사용될 것이다(트랙 바디상의 싱글 포스는 어떤 두 위치에 위치된 두 개의 상이한 힘에 의하여 위치 가능한데, 여기서는 전, 후 로울러 포인트이다).
상기 트랙 포스(TR)의 작용 포인트는 고정되지 않는데 ; 질량 중심에 대한 모멘트의 합계가 제로로 남도록 이것이 이동한다. 이것은 캐논이 단지 병진 운동하는 것을 보장한다.
제19a,19b,19c도는 모두 평행하다. 그러므로,
Fu=TRU+RPU………………………………………………………………식.9
그리고
Fz=TRZ-RPZ………………………………………………………………식.10
상기 전체 반동력(RP)은 수학적인 반동 모델로부터 알 수 있고 또한 성분은 반동 메카니즘 경사각 α을 사용하므로서 알 수 있다.
RP=(C)(VS VS)/(Ao Ao)=(Recup.Force), 여기서 C는 실제 위치 구역, 오리피스 계수 및, 오일 밀도를 포함하여 일정하다.
RPU=RP Cos aα
RPZ=RP Sin aα
상기 트랙 포스 TR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상기 성분 사이의 상관관계는 결정 가능하다. 상기 트랙 포스는 캐논이 예비-결정 통로를 따르도록 하므로서 야기된다. 상기 통로는 U,pf(u)의 작용에 의하여 제시 가능하다.
즉, z=pf(u) 혹은 z=pf
상기 트랙 슬로프는
Figure kpo00008
상기 트랙 각도(β)는 음의 CW로서 한정되는데, 그러므로,
tanβ=-슬로프=-dz/du=-pf'
제20a도 및 20b도를 참조하면 ;
tanβ=TRU/TRZ=-pf'
TRU=-(TRZ)pf'…………………………………………………………식.11
두개의 상이한 방정식이 유도되는데, 식 7 및 8이다. 상기 반동 트랙의 제한은, 단지 독립식인 제1 식 7을 야기하는 이러한 두식과 결합된다. 상기 변위 Z는 U(즉, Z=pf)의 함수인데, 그러므로 다음 관계가 유도된다 ;
Z=pf………………………………………………………………………식.12
Figure kpo00009
Vz=pf'"Vu………………………………………………………………식.13
또한
Figure kpo00010
………식.14
이제 Z방향에서의 위치, 속도, 가속도 및, U방향에서의 위치 함수로서의 전체, 속도 및, 가속도가 한정된다.
식.7로부터, Au=(Fu+FIMPU-WRU)/M
식.8로부터, Az=(Fz-WRZ)/M
식.9로부터, Fu=TRU-RPU
식.10로부터, Fz=TRZ-RPZ
식.11로부터, TRU=-(TRZ)pf'
식.9로부터 또한 식.11로부터
Fu=-TRZ(pf')+RPU
식.10으로부터 TRZ=Fz+RPZ
결합하면, Fu=-pf'(Fz+RPZ)+RPU
식.8로부터. Fz=MAz+WRZ
결합하면, Fu=-pf'(MAz+WRZ+RPZ)+RPU
식.14로부터, Az=pf'·Au+pf"·Vu2
Fu=-pf'(M[pf'Au+pf"Vv2]+WRZ+RPZ)+RPU
Au에 식.7을 부가하면
Fu=-pf'(M[pf'(Fu+FI MPU-WRU)/M+pf"Vu2]+WRZ+RPZ)+RPU
Fu에 대해서 풀면 ;
Figure kpo00011
또한 식.8로부터 Fz=M.Az+WRZ
식.14와 결합하면
Fz=Mpf'Au+Mpf"Vu·Vu+WRZ
식.7과 결합하면,
Fz=pf'(Fu+FIMPU-WRU)+Mpf"Vu·Vu+WRZ ……………………식.16
상기 다이나믹 분석에 대해 사용된 트랙 캠통로가 제로 상한각에서 무기 안정도를 보장하도록 유동형상 및 반동 메카니즘 모델에 배취되었다. 현재의 예시에서, 상기 발사 플랫포옴상의 양의 그라운드 포스는 907.18kg (2000lbf)으로부터 453.59kg(1000lbf)으로 쇠퇴하도록 서술되었다. 복원도에 대한 추가적인 안전 요소는 상기 M203 PIMP 차아지에 대한 본 예시내에 캡통로를 설계하므로서 포함되었다. 이것은 노미널 M203이 발사될때 더 큰 복원도가 야기되었다. 상기 통로는 한쌍의 U 및 Z(표 1)로 구성된다. 하나는 상기 포인트 쌍이 반동의 전체 길이로 연장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데이터를 넘는 통로는, 트랙의 최종부분에 수직인 직선 라인으로서, 또한 명백히 평평하게 될 필요는 없는 바와 같이, 한정된다.
상기 다이나믹 분석에 대한 드라이빙 작용은 발사체의 추진에 의하여 캐논에 인가된 힘이다. 이러한 시간 종속력은 상기 반동 질량 대 시간에 인가된 전체 펄스의 표로부터 계산된다. 상기 힘은,
FIMPU=(임펄스에서의 변화)/(시간변화)에 의하여 계산된다. 곡선 시스템상의 상이한 차아지의 결과는 입력시의 상이한 추진 임펄스를 사용하므로서 결정된다. 상기 표는 내부 탄도 계산으로부터 형성되며 0.7의 모멘트 계수를 가진 뮤즐 브레이크상의 가스 작용을 포함한다.
3개의 표가 사용되었다:
표 2 : M203 PIMP-M483 발사체
표 3 : M203 노미널-M483 발사체
표 4 : M119 노미널-M483 발사체
상기 반동력은 반동력(F반동)이 F-반동=C(Vs·Vs)/(Ao·Ao)에 의하여 주어진 반동 실린더 모델에 의하여 제공된다. 스테이지 I 반동 및 스테이지 II 사이의 변이는 F-반동에서의 급속 드롭에 의하여 성취된다. 이것은 오리피스 구역을 급격히 확대시키므로써 성취된다. 이것은 오리피스 구역을 급격히 확대시키므로써 성취된다. 상기 오리피스 구역의 급격한 확대는 비약적인 변화에서 보다 스무드하고, 급격한 변이로서 모델화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반동력은 스테이지 II 동안 전체적으로 제거되진 않지만, 453.59kg(1000lbf)의 노미널값으로 설계된다. 이것은 회복력은 제어 스테이지 II만에 제공하므로서 다수의 장점을 갖는다 :
(1)상기 오리피스 구역은 무한대인 것보다도 스테이지 II내에 이제 한정되며 ; (2) 상기 작동되는 반동실린더는 상기 스테이지를 토우식 반동으로 조정하도록 이제 사용되며 ; 또한 (3) 속도 종속 감속력은 이제 과도 압력으로부터의 에너지외 낭비를 도우도록 스테이지 II내에 나타난다.
두개의 오리피스 파일을 반동 모멜에 대해서 제공되는데 ; 하나는 오랜 반동이고 다른 것은 짧은 반동이다. 이러한 오리피스 구역은 제21도에 구성되고 표 5, 6에 제시된다. 이러한 오리피스 구역은 평형 구역이며, 또한 실제의 반동 실린더에 대한 오리피스 구역에 직접 대응하진 않는다.
상기 전체 반동 메카니즘 포스 RP는 회복 작용의 선형 스프링 표현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RP=F-반동+FRCP+DFR CP(S),
여기서, S는 반동 메카니즘의 연장 크기이다.
상기 실제의 건 형태 및 모든 잔류 데이터는 표 7 및 표 8에 도시된 입력 데이타 파일에 포함된다.
상술된 다이나믹 분석의 주요 목적은 곡선 반동을 사용하는 건 시스템의 복원력을 서술하기 위한 것이다. 복원력은, 만약 트레일 단부에 대한 복원 모멘트 Mst가 전복 모멘트 보다 크다면 Mov.Mey=Mst-Mov보장된다. 만약 Mst가 Mov 보다 크다면, Mex는 양이고 또한 전방 수직 대지 반동(R2Y)은 양으로 잔류될 것이고 상기 건은 “호프(hop)”되지 않을 것이다. 제조 상한각의 상황 및 상기 M203(노이널) 차아지에 대해서, 제22도는 Mst가 Mov 보다 큰 것을 시술하고 또한 제23도는 R2Y가 양으로 잔류하는 것을 서술한다. 상기 건 시스템은 복원되도록 설계된다.
제24도는, 상기 차아지가 감소될때 건 시스템이 점차적으로 복원되는 것을 도시하는데, 상기 M119 차아지는 3개의 도시도 가운데 가장 복원이 훌륭한 것이다.
각각의 다이나믹 분석 런(run)에 대해서, 부지수(suffixes)“ .CP1,”“.CP2,”“.CP3,”및 “.CP4.”를 가진 출력 표 5은 4개의 파일이 제공된다. 각각의 런은 이것과 연합된 파일 명칭을 갖으며, 이러한 분석에 대해 형성된, 또한 이러한 분석에 의하여 사용된 모든 파일과 동일한 접두사 “X1”와 함께 시작된다. 상기 파일명칭의 나머지는 건의 상한 각 및 차이지와 동일하다. 모든 플롯은 제공된 표로부터 형성되고, 또한 상기 소스의 파일 명칭은 타이틀의 최우측부에 프린트된다.
부가의 데이타는, 제로와 동일한 산한각 및 M203(노이널 차아지)의 경우에 대해서 제3도 및 제25 내지 28도에 구성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 건이 안정되게 잔류되어야 하는 최악의 상황이 이것이기 때문이다.
표 9는 표10 내지 16에 대한 모든 헤드를 서술한다. 더불어 플로트된 결과는 상한각 및 차아지의 변화에 대한 모든 데이타를 포함하는 표이다. 상기 제시된 결과는 다음을 포함한다.
Figure kpo00012
따라서, 곡선 반동이 모든 발사 상황에서 4082.31kg(9000파운드), 155mm의 토우형 호비쯔에 대한 복원력이 보장될 것이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서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정신 및 범위가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될 것이고, 서술된 실시예의 수정이 당업자에게 가능할 것이다.
[표 1]
Figure kpo00013
[표 2]
Figure kpo00014
[표 3]
Figure kpo00015
[표 4]
Figure kpo00016
[표 5]
Figure kpo00017
[표 6]
Figure kpo00018
[표 7]
Figure kpo00019
Figure kpo00020
이들의 값이 데이터 파일에 나타날때 가변 명칭이 리스트된다.
[표 8]
Figure kpo00021
컴퓨터 프린트용 힘의 서술
모든 힘은 파운드(16f)이다. 또한 프린트된 힘은 건의 양 사이드에 대한 합계이다.
모든 힘 및 칫수는 다이나믹 분석에 대해 양으로 가정되는 방향으로 도표로 도시되고 또한 컴퓨터 프린트의 결과는 도시된 방향이 음을 나타내는 “(-)”에 의하여 알려진 것을 제외한다.
[표 9]
Figure kpo00022
[표 10a]
Figure kpo00023
[표 10b]
Figure kpo00024
[표 10c]
Figure kpo00025
[표 10d]
Figure kpo00026
[표 11a]
Figure kpo00027
[표 11b]
Figure kpo00028
[표 11c]
Figure kpo00029
[표 11d]
Figure kpo00030
[표 12a]
Figure kpo00031
[표 12b]
Figure kpo00032
[표 12c]
Figure kpo00033
[표 12d]
Figure kpo00034
[표 13]
Figure kpo00035
[표 14]
Figure kpo00036
[표 15]
Figure kpo00037
[표 16]
Figure kpo00038

Claims (28)

  1. 제12스테이지를 가진 반동 사이클, 예비 발상방위 및, 길이 방향 튜브축을 가진 반동 캐논과 ; 비-반동 캐리지와 ; 캐리지를 지지하기 위한 트레일 단부와 ; 캐리지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크레이들과 ; 곡선 통로의 제1스테이지는 상기 제1스테이지 반동동안 캐논의 상향 푸쉬를 제공하는 커브 형상을 갖으며, 또한 곡선 통로의 제2스테이지는 제2스테이지 반동 동안 캐논의 수직 가속을 야기시키기 위한 곡선 통로의 제1스테이지에서와 상이할 형상을 갖는, 반동 이동 방향을 한정하는 제1,2스테이지를 가진 곡선 통로를 따른 반동 동안 이동용 크레이들 상에 캐논을 이동 가능하게 장착시키기 위한 장착 수단 및; 상기 곡선 통로의 제1, 제2스테이지의 형상에 적용된 감속 특성을 갖는데, 상기 제1반동 스테이지내에서 트레일단부에 대한 반동력의 비복원 운동이 건 시스템의 정적 중량 및 곡선 통로의 제1스테이지를 따라 캐논의 곡선 운동으로부터 야기되는 힘의 복원 운동에 의하여 극복되고, 또한 제2반동 스테이지내에서 상기 반동력은 캐논의 최종적인 부드러운 감속을 제공하도록 반동의 제1스테이지에서의 이것의 적은 마찰값으로 감소되는, 튜브 축을 따라 캐논을 제동시키기 위한 유압 공기 반동 시스템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논은 튜브 질량 중심을 갖으며, 상기 곡선 통로의 제1, 2스테이지는 캐논이 캐리지에 장착되는 상기 통로를 따른 포인트에서 “Rinst”의 곡률 반경을 갖으며, 상기 곡률 통로의 제1스테이지는 캐논의 반동 이동 방향의 감소되는 곡률 반경을 갖으며, 상기 캐논은 질량 “M”과 원심력 “F”를 갖고, 상기 원심력 “F”는 건 시스템의 정적 중량 모멘트와의 연합으로 일어날때 트레일 단부에 대한 반동력의 순간적인 비복원 모멘트를 극복하기 위하여 트레일 단부에 대해 모멘트를 충분히 발생시키도록 요구되는 크기이며, 또한 상기 캐논의 튜브 질량 중심은 “Vinst”의 순간 속도를 갖으며, 상기 곡선 통로의 두 스테이지 동안의 곡률 반경은
    Figure kpo00039
    의 식에 의하여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통로의 제2스테이지는 직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통로의 제2스테이지는 상기 곡선 통로의 제1스테이지와 같은 동일한 방향으로 커브 형성되며, 또한 곡선 통로의 제2스테이지의 커브는 곡선 통로의 제1스테이지의 커브보다 더욱 얕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통로의 제2스테이지는 곡선 통로의 제1스테이지로부터의 대향 방향으로 커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수단은 상기 반동 사이클을 통한 초기 예비-추진 방향에 평행하게 튜브축을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 시스템.
  7. 반동 사이클, 예비-추진 방위, 길이 방향 튜브축 및 튜브 질량 중심을 가진 반동 캐논과 ; 비-반동 캐리지와 ; 캐리지를 지지하는 트레일 단부와 ; 캐리지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크레이들과 ; 캠 통로 수단이 반동 이동 방향을 한정하며 제2반동 스테이지 동안 캐논의 수직 가속을 야기시키기 위해서 곡선 통로의 제1스테이지에서와는 상이한 형상을 갖는 제2스테이지 및 반동의 제1스테이지 동안 상기 튜브 질량 중심을 상향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제1커브 형성 스테이지를 가지는, 캠 통로 질량을 따른 반동동안 이동을 위한 크레이들 상에 캐논을 이동 가능하게 장착시키기 위해서 캠 통로 수단과 연합된 캠 플로워 수단 및 캠 통로 수단 및; 상기 곡선 통로의 제1, 제2스테이지의 형상에 적용된 감속 특성을 갖는데, 상기 제1반동 스테이지내에서 트레일 단부에 대한 반동력의 비복원 운동이 건 시스템의 정적 중량 및 곡선 통로의 제1스테이지를 따라 캐논의 곡선 운동으로부터 야기되는 힘의 복원 운동에 의하여 극복되고, 또한 제2반동 스테이지내에서 상기 반동력은 캐논의 최종적인 부드러운 감속을 제공하도록 반동의 제1스테이지에서의 이것의 적은 마찰값으로 감소되는, 튜브 축을 따라 캐논을 제동시키기 위한 유압 공기 반동 시스템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통로의 제2스테이지는 직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통로의 제2스테이지는 상기 곡선 통로의 제1스테이지와 같은 동일 방향으로 커브 형성되며, 또한 상기 곡선 통로의 제2스테이지의 커브는 곡선 통로의 제1스테이지의 커브보다 얕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통로의 제2스테이지는 상기 곡선 통로의 제1스테이지로부터의 대향 방향으로 커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캠 통로 수단은 크레이상에 고정 장착되며 또한 상기 캠 플로워 수단은 캐논에 고정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캠 플로워 수단은, 상기 튜브 질량 중심 전방의 튜브축의 대향 측부상의 캐논에 부착된 평행한 좌,우 전방 캠 플로워와 튜브 질양 중심 후방의 튜브축의 대향 측부상에 캐논에 부착된 평행한 좌, 우 후방 캠 플로워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캠 통로 수단은 좌, 우 전방 및 후방 캠 플로워를 이동가능하게 계합시키도록, 위치된 평행한 좌,우 후방 캠 통로와 평행한 좌,우 전방 캠 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 시스템.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캠 통로는 캐논상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캠 플로워는 크레이들상에 고정 장착되는 것을 특지으로 하는 건 시스템.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캐논은 튜브 질량 중심을 갖으며, 상기 곡선 통로의 제1,2스테이지는 캐논이 캐리지에 장착되는 상기 통로르 따른 포인트에서 “Rinst"의 곡률 반경을 갖으며, 상기 곡률 통로의 제1스테이지는 캐논의 반동 이동 방향의 감소되는 곡률 반경을 갖으며, 상기 캐논은 질량 “M”과 원심력 “F”를 갖고, 상기 원심력 “F”는 건 시스템의 정적 중량 모멘트와의 연합으로 일어날때 트레일 단부에 대한 반동력의 순간적인 비복원 모멘트를 극복하기 위하여 트레일 단부에 대해 모멘트를 충분히 발생시키도록 요구되는 크기이며, 또한 상기 캐논의 튜브 질량 중심은 “Vinst”의 순간 속도를 갖으며, 상기 곡선 통로의 두 스테이지 동안의 곡률 반경은
    Figure kpo00040
    의 식에 의하여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 시스템.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캠 통로 수단 및 캠 플로워 수단은 반동 사이클을 통한 초기 예비-추진 방위에 평행하게 튜브축을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 시스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전방 및 후방 캠 플로워는 각각 좌,우 전,후방 트윈 로울러 셋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전방 및 후방 트윈 로울러 셋트는 장방형의 길이 방향 단면을 갖고, 상기 좌측 전방 및 후방 캠 통로는 대응하는 장방형 단면을 갖으며, 상기 우측 전방 및 후방 트윈 로울러 셋트는 사다리꼴의 길이 방향 단면을 갖으며, 또한 상기 우측 전방 및 후방 캠 통로는 넥 형성부를 가진 장방형의 단면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 시스템.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건 시스템은, 상기 좌,우 전방 캠 플로워를 캐논에 부착시키기 위한 튜브 질량 중심의 전방에서 상기 캐논을 지지 및 하우징시키는 전방 요오크 수단과, 상기 좌,우 후방 캠 플로워를 캐논에 부착시키기 위해서 튜브 질량 중심의 후방에 캐논을 지지 및 하우징시키기 위한 후방 요오크 수단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 시스템.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캠 통로 수단은, 튜브 질량 중심의 전방의 튜브축의 대향 측부상의 캐논에 부착된 평행한 좌,우 전방 캠 통로와 튜브의 질량 중심의 후방의 튜브축의 대향 측부상의 캐논에 부착된 평행한 좌,우 후방 캠 통로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캠 플로워 수단은 상기 좌,우의 전,후방 캠 통로와 각각 이동 가능하게 계합되도록 위치된 평행한 좌,우의 전,후방 캠 플로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전,후방 캠 플로워는,상기 좌,우의 전,후방, 상하 트윈 로울러 셋트를 각각 하우징시키는 좌,우의 전,후방, 상하 트윈 로울러 셋트 및 좌,우의 전,후방 및 원형 하우징을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 시스템.
  2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건 시스템은 캠 플로워를 캐논상에 장착시키기 위해서 캐논을 둘러싸고 하우징시키는 요오크 수단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 시스템.
  22. 비-반동 캐리지, 캐리지를 지지하기 위한 트레일 단부, 캐리지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크레이들, 길이 방향 튜브축 및 튜브 질량 중심을 가지고 반동동안의 이동을 위해서 크레이들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 되는 반동 캐논 및, 캐논을 튜브축을 따라 제공시키기 위한 반동 시스템으로 구성된 건 시스템을 발사시 안정화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캐논의 반동 속도가 반동 시스템에 의하여 예정된 레벨로 감소될때 까지 축방향으로 반동할때 튜브축에 수직인 제1커브 형성 통로를 다라 상향으로 튜브 질량 중심을 위치시키고 ; 반동시 캐논을 수직으로 가속시키도록 형성된 제2통로를 따라 캐논을 위치시키는데 ; 여기서, 상기 제1,2통로의 형상은 반동 시스템의 감속 특성에 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 시스템 안정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브 형성 통로를 따라 상향으로 캐논을 위치시키는 공정은 반동 이동 방향으로의 감소되는 곡률 반경을 가진 제1커브 형성 통로를 따라 캐논을 상향으로 위치시키므로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 시스탬 안정화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커브 형성 통로 각각은, 캐논이 캐리지에 장착되는 통로를 따른 포인트에서 “Rinst”의 곡률 반경을 갖으며, 상기 캐논은 질량 “M” 및 원심력 “F”를 갖고, 상기 원심력 “F”는 트레일 단부에 대한 반동력의 순간 비 안정화 모멘트를 극복하도록 건 시스템의 정적 중량 모멘트와 연합할 때 트레일 단부에 대한 모멘트를 충분히 발생시키는데 요구되는 크기이며, 캐논의 질량(“M”) 중심은 순간 속도 “Vinst”를 갖으며, 또한 상기 위치 설정 공정은
    Figure kpo00041
    의 식에 의하여 정의된 곡률 반경을 갖는 통로를 따라 캐논을 위치 설정시키므로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제2통로를 다른 캐논의 위치 설정 공정은 직선의 제2통로를 따라 캐논을 위치 설정시키므로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22항에 있어서, 제2통로를 따른 캐논의 위치 설정 공정은 제1통로와 동일한 방향으로 커브 형성되는 제2통로를 따라 캐논을 위치 설정시키므로서 수행되며, 상기 제2통로의 커브는 제1통로의 커브보다 얕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22항에 있어서, 제2통로를 따른 캐논의 위치 설정 공정은 제1통로로부터의 대향 방향으로 커브형성되는 제2통로를 따라 캐논을 위치 설정시키므로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설정 공정은 반동 사이클을 통하여 이것의 초기 예비-추진 방위에 평행하게 잔류되는 캐논의 길이 방향 튜브축과 함께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890701738A 1988-01-22 1989-01-23 경량의 무기 안정화 시스템 KR9500076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731788A 1988-01-22 1988-01-22
US147,317 1988-01-22
PCT/US1989/000177 WO1989006778A1 (en) 1988-01-22 1989-01-23 Lightweight weapon stabiliz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0844A KR900700844A (ko) 1990-08-17
KR950007639B1 true KR950007639B1 (ko) 1995-07-13

Family

ID=22521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1738A KR950007639B1 (ko) 1988-01-22 1989-01-23 경량의 무기 안정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0354242B1 (ko)
JP (1) JP2752208B2 (ko)
KR (1) KR950007639B1 (ko)
AU (1) AU615041B2 (ko)
BR (1) BR8904796A (ko)
CA (1) CA1336237C (ko)
DE (1) DE68910042T2 (ko)
DK (1) DK166638B1 (ko)
FI (1) FI894479A (ko)
WO (1) WO198900677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7212A (ko) * 2011-02-24 2012-09-0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로봇 이동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0370A (en) * 1988-01-22 1993-05-11 Royal Ordnance Lightweight weapon stabilizing system
GB8829192D0 (en) * 1988-12-14 1998-03-18 Vickers Shipbuilding & Eng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ield howitzers
GB9415799D0 (en) * 1994-08-04 1994-09-28 Royal Ordnance Plc Recoi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463A (en) 1891-11-17 Eusvjatically-operated gun-carriage
DE75137C (de) * F. ollivier in Paris, 15 rue des Halles Aus Untergestell und Rohrträger bestehende Feldlaffete
US439570A (en) 1890-10-28 William anderson
DE134007C (ko) *
FR9806E (fr) * 1908-05-18 1909-02-02 Rheinische Metallw & Maschf Pièce d'artillerie à recul du canon sur l'affut
DE631716C (de) * 1933-04-04 1936-06-25 Boehler & Co Akt Ges Geb Rohrruecklaufgeschuetz
DE677095C (de) * 1935-05-21 1939-06-19 Rheinmetall Borsig Akt Ges Ruecklauflagerung lafettierter Maschinenwaffen
US3114291A (en) 1960-12-30 1963-12-17 Gen Electric Recoil mechanism
NL8615014A (nl) * 1985-11-21 1988-07-01 Kanonstelsels.
NL8615013A (nl) * 1985-11-21 1988-07-01 Kanonstelse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7212A (ko) * 2011-02-24 2012-09-0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로봇 이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8904796A (pt) 1990-05-08
EP0354242A1 (en) 1990-02-14
DK465689A (da) 1989-09-21
KR900700844A (ko) 1990-08-17
JP2752208B2 (ja) 1998-05-18
WO1989006778A1 (en) 1989-07-27
DE68910042D1 (de) 1993-11-25
FI894479A0 (fi) 1989-09-21
EP0354242B1 (en) 1993-10-20
FI894479A (fi) 1989-09-21
DE68910042T2 (de) 1994-02-10
CA1336237C (en) 1995-07-11
AU3191289A (en) 1989-08-11
DK465689D0 (da) 1989-09-21
JPH02503350A (ja) 1990-10-11
DK166638B1 (da) 1993-06-21
AU615041B2 (en) 1991-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1102B2 (en) Recoil control mechanism for a weapon
TW201303256A (zh) 軟性回彈系統
KR950007639B1 (ko) 경량의 무기 안정화 시스템
US6167794B1 (en) Gun barrel vibration absorber
US5210370A (en) Lightweight weapon stabilizing system
CN209209038U (zh) 一种用于步枪后坐缓冲的小型无人机低后坐前冲机构
JP2002527712A (ja) 自走形大砲
US5945625A (en) Tank turret
US6595103B1 (en) Inertial breechblock gun system
EP2090859B1 (de) Werfer mit mindestens einem Startrohr für raketengetriebene Flugkörper
EP2400255A2 (en) Recoil absorber
CN109204828B (zh) 一种用于步枪后坐缓冲的小型无人机低后坐前冲机构
CN113932657A (zh) 一种采用电磁复进机构的无后坐力焰火发射装置及方法
US2291867A (en) Firearm of the recoiling type
Kari et al. Stress analysis of integrated 12.7 mm machine gun mount
SA515360257B1 (ar) مدفع ميدان
NO170242B (no) Fremgangsmaate for stabilisering av et vaapensystem ved avfyring, samt vaapensystem for avfyring
WO1998048235A1 (en) Recoil absorbing device
US4353285A (en) Recoil force correction for elevation in automatic weapons employing soft recoil
EP4379307A1 (en) Artillery weapon
EP2730881A1 (en) Field gun
Gerasimov et al. Transverse Motion of a Projectile in the Barrel of a Light-Gas Gun.
Yalamanchili New Concepts in Recoil Mechanism
US1934700A (en) Artillery
Jie The Simulated Analysis on Shooting Stability of Vehicle Artillery Considering Soil Proper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7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