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649B1 - 압연용 복합로울 및 그것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압연용 복합로울 및 그것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649B1
KR950006649B1 KR1019920703212A KR920703212A KR950006649B1 KR 950006649 B1 KR950006649 B1 KR 950006649B1 KR 1019920703212 A KR1019920703212 A KR 1019920703212A KR 920703212 A KR920703212 A KR 920703212A KR 950006649 B1 KR950006649 B1 KR 950006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metal
outer layer
core material
composite rol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703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700693A (ko
Inventor
미쯔오 하시모또
세이지 오오또모
마사또시 아야가끼
겐조오 사와다
시게루 우찌다
Original Assignee
신닛뽄 세이데쓰 가부시끼가이샤
나까가와 하지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닛뽄 세이데쓰 가부시끼가이샤, 나까가와 하지메 filed Critical 신닛뽄 세이데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1992/000798 external-priority patent/WO1993000106A1/ja
Publication of KR930700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700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6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7/00Cast-iron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B32B15/01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all layers being formed of iron alloys or ste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544Roller making
    • Y10T29/4956Fabricating and shaping roller work contacting surface element
    • Y10T29/49563Fabricating and shaping roller work contacting surface element with coating or casting about a co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861Group VIII or 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951Fe-base component
    • Y10T428/12958Next to Fe-base component
    • Y10T428/12965Both containing 0.01-1.7% carbon [i.e., ste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861Group VIII or 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951Fe-base component
    • Y10T428/12972Containing 0.01-1.7% carbon [i.e., steel]
    • Y10T428/12979Containing more than 10% nonferrous elements [e.g., high alloy, stainl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duction Rolling/Reduction Stand/Operation Of Reduction Machin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압연용 복합로울 및 그것의 제조방법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결정입경과 로울사용후의 표면조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제2도는 평균응고속도와 결정입경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로울제조과정에서 조직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로울조직을 나타내는 현미경 조직사진과 그 설명도이다.
제5도는 가열코일의 주파수와 이 물질의 혼입상태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개요를 나타내는 일부단면 사시도이다.
제7도는 제6도의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 개략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고상심재(core material, 芯材)와 이 고상심재의 주위에 주조에 의해 형성된 외층재로 이루어진 압연용 복합로울과, 이것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적당한 내마모성과 내균열성을 가지고 있고, C : 2 내지 3.2%, Cr : 12 내지 18%, Ni : 2%이하 및 Mo : 2%이하로 이루어진 고합금 크롬주철 또는 C : 3 내지 3.4%, Cr : 0.4 내지 1.5%, Ni : 2 내지 5% 및 Mo : 0.2 내지 1.0%로 이루어진 고합금 그레인 주철이 이제까지 열간압연용 로울로서 사용되어 왔다(철강기초공동연구회 “철강재료의 마모”(1984) p.16참조).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58-87249호 공보에는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C : 2.4 내지 3.5%, V : 6.1 내지 14% 및 Cr, Mo, W 및 Co등의 합금원소로 이루어진 내마모성 주철로울재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로울을 제조하는 기술로서, 예컨대 일본 특허공고공보 제59-19786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61-60256호에 개시된 것처럼 냉각 다이를 예열코일에 의해 예열된 심재의 주위에 설치하고, 가열코일에 의해 용융금속을 가열하면서 용융금속을 냉각다이내로 도입하여서 심재의 주위에 용착된 외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내마모성과 내균열성은 상술한 종류의 압연로울에 요구되는 중요한 특성이다. 마모가 작을수록 압연제품의 판두께의 정밀도가 향상되고 이와 동시에 로울의 교환횟수를 줄일수가 있고, 따라서 작업능률의 개선에 도움이 된다.
내균열성이 불충분하면, 사용중 열적 또는 기계적 부하를 받음으로 인하여 균열이 생기고, 이것은 주요한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내마모성과 내균열성을 겸비하고 있는 로울이 강력하게 요망된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고크롬주철과 고합금그레인 주철과 비교할때,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58-87249호에 제안된 내마모성재가 보다 양호한 내마모성을 갖고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 재료에 있어서도 내균열성이 더 개선되는 것이 필요하다.
표면에 요철이 생겨서 표면이 거칠어지는 것에 대한 내성(이하 “내조면화성”이라함)(surface roughening resistance)과 로율표면조도(roughness)는 압연로울에 필요한 기타 특성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압연에 적용되는 로울의 표면조도가 작을수록, 이와같은 로울을 사용해서 압연된 제품의 외관은 보다 양호하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로울의 표면조도에 있어서의 감소를 통한 내조면화성에 있어서의 개량은 당분야의 기술에서 강하게 요청되어 왔다.
[발명의 개시]
상기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내마모성과 내균열성 특히 내조면화성에 있어서 우수한 열간압연용 복합로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심재의 주위를 외층재로 클래딩(cladding)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복합로울의 형성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광범위하고도 집중적인 연구를 행한 결과, 복합로울에 있어서의 상술한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특정한 성분과 결정조직을 가지고 있는 강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고, 또 복합로울의 형성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용융금속의 냉각조건(선택적으로 유도가열조건)을 특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의 완성에 도달하였다.
보다 상세하게 말하면, 본 발명의 요지는 복합로울의 외층부가 중량%로 C : 1.5 내지 2.4%, V : 3 내지 6%, Cr, Mo 및 W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한 원소 : 10 내지 20%를 함유하고 필요에 따라 접종재로서 Al : 0.05 내지 0.20% 및 Ti : 0.02 내지 0.10%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고, 잔부가 불가피한 불순물과 Fe로 구성된 강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외층부가 30 내지 150μm의 결정입경을 가지고 있고 결정입계에서 정출하는 공정탄화물로 둘러싸여진 금속조직 또는 초정으로서의 탄화물이 상기 결정의 매트릭스 조직내에서 더 분산 및 정출된 금속조직으로 이루어진 복합로울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술한 강성분으로 이루어진 용융금속을 내화프레임과 심재사이에 주입하고, 유도가열을 행하고, 상기 내화프레임의 하단에 제공된 수냉몰드에 의해 주입된 용융금속을 평균응고속도 4 내지 50mm/min로 냉각 및 응고시켜서 외층부를 형성하고, 심재와 일체화된 외주부를 순차적으로 인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복합로울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복합로울에서 외층부는 경질의 M6C탄화물(특히 Cr, Mo, W)6C탄화물)이 미세한 결정립의 매트릭스 조직(오스테나이트조직)의 결정입계에 정출된 조직 또는 경질 MC탄화물(특히 VC탄화물)이 외층부이 매트릭스 조직내에 분산된 치밀한 조직을 가지고 있고, 매트릭스 조직은 로울의 열처리(소입 및 템퍼링)에 의해 경화되어있고, 그 결과 종래의 열간압연용 로울에 비해서 내조면화성과 내마모성이 극히 우수한 로울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로울의 외층부의 성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C함유량이 1.5 내지 2.4%로 한정된 이유는 다음과 같다. C함유량이 하한치보다 적으면, 경질 탄화물의 결정화 정도가 너무 작아서, 내마모성이 현저하게 열화되어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반면에 C함유량이 상한치를 초과하면, 취약한 탄화물의 양이 증대된다. 이 때문에 내균열성이 손상되고 인성이 저하되므로,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될 수 없다.
일반적으로, C함유량이 높으면 경질탄화물량이 증대되어서 내마모성은 향상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본 발명의 재료는 다량의 합금원소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 탄화물의 형태와 양이 변화된다. 본 발명자들은 내조면화성과 내마모성을 모두 제공하기 위한 C함유량의 최적범위가 1.5 내지 2.4%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58-87249호에 제안된 재료의 C함유량은 너무 높아서 내마모성이 바람직하지 않게 저하된다.
V는 세멘타이트(FeC)계 또는 크롬탄화물(Cr7C3)계 탄화물에 비해 극히 경질인 MC탄화물(본 발명에서는 VC)을 정출시키기 때문에 V함유량은 V함유량과 C함유량간의 균형을 고려해서 선택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 VC탄화물은 용융금속으로부터 초정의 탄화물로서 직접 정출되고, 조직을 제어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인자이다.
구체적으로, C함유량의 범위가 1.5 내지 2.4%이라도, V함유량이 하한치보다 적으면, 즉 3%보다 적으면, 경질의 VC계 탄화물은 정출하지 않고 바람직스럽지 않게 매트릭스 조직내로 들어가 버린다.
반면에, C함유량이 6%이상이면, VC탄화물이 초정으로서 정출하기 때문에, 탄화물의 양이 증대되고 그 결과 내조면화성이 열화된다. 더욱이, VC탄화물의 비중이 용융금속의 비중보다 훨씬 작기 때문에 분포가 편중되고, 그래서 불균질한 재료가 생산된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V함유량은 상술한 범위내에 있어야 한다.
모든 허용된 원소 즉 Cr, Mo 및 W는 주로 C와 결합하여 공정탄화물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이 공정탄화물은 극히 경질인 M6C탄화물이다. 따라서, 이 탄화물은 재료에 내마모성과 인성을 복합하여 부여할 수 있다. 형성되는 탄화물의 양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술한 3가지 원소중 적어도 한 원소의 함유량은 10 내지 22%로 한정되어야 한다.
하한치가 10%미만일때, 경질탄화물의 양은 너무 적어서 내마모성이 불충분하다. 반면에 상한치가 22%를 초과하면 탄화물의 양은 너무 많아서 내조면화성이 손상된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재료에 내조면화성과 내마모성을 겸비하게 하기 위하여, 그 함유량은 상술한 범위내에 있어야 한다.
Cr과 Mo의 일부는 매트릭스 조직내에 분배되어 경화능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특히 고온에서의 석출경화의 작용을 가지고 있다.
예컨대 Al 또는 Ti와 같은 산화물 형성원소는 로울주조중에 용융금속내에 접종되면, 예컨대 Al2O3또는 TiO2와 같은 산화물이 용융금속내에 형성된다. 이 산화물은 핵으로서 작용하고, VC탄화물이 핵주위에 정출한다. 따라서 산화물 형성 원소는 VC탄화물의 분산 및 정출에 중요하다. Al과 Ti중 적어도 하나는 Al : 0.05 내지 0.20%, Ti : 0.02 내지 0.10%의 범위로 첨가되어야 한다.
상술한 성분외에 용해기술상 유용한 원소인 Si와 Mn이 용융금속의 탈산을 행할 목적으로 각각 약 0.3 내지 1.5%정도 함유될 수 있다.
더욱이, P와 S와 같은 불순물은 그 함유량이 통상의 주조의 경우에 발견되는 함유량 즉, 약 0.03%이하 정도이기만 하면 함유되어도 좋다.
Ni은 이러한 종류의 로울의 내조면화성을 손상시키므로 Ni함유량이 1%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Co는 금속조직내의 고온강도와 고온경도를 향상시키므로, Co를 0.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의 양으로 첨가하면, 로울의 내조면화성과 내마모성을 더욱 향상된다.
다음에, 특히 내조면화성에서 특히 우수한 치밀한 응고조직에 대해 설명한다.
종래의 열간 압연에서 로울의 표면은 600 내지 800℃의 고온으로 되므로, 매트릭스 조직이 템퍼링되어 연화된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고크롬주철, 고합금그레인 주철등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주철계 로울에 있어서 고온인 경우에도 안정한 탄화물에 대하여 매트릭스 조직이 우선적으로 마모되므로, 로울의 표면에 요철이 생겨서 표면이 거칠어진다. 표면이 거칠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매트릭스 조직의 미세화와 다량의 경질의 탄화물을 결정입계와 결정입내에 분산 및 정출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자들은 사용후 로울의 표면조도(Ra(μm))의 범위가 1.6 내지 0.3μm일때, 로울의 표면의 거칠어짐이 방지될 수 있음과 동시에 로울과 압연제품간의 슬립페이지의 발생이 저지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더욱이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범위에 있는 표면조도를 얻기 위해서는 로울조직의 결정입경을 30 내지 150μm의 범위로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구명하였다.
이것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도에서 종축은 표면조도 Ra(μm)를 표시하고 횡축은 결정입경(μm)을 표시한다. 본 발명에서 의도하는 표면조도의 범위는 도면중에 기호 ●에 의해 한정된 범위이다. 이 도면은 이러한 표면조도를 얻기 위해서 필요한 결정입경의 범위가 30 내지 150μm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이와같은 표면조도를 항상 유지하기 위해서 내마모성과 인성을 로울에 부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본 발명에서 경질의 M6C탄화물이 결정입계에 공정으로서 정출된다. 더욱이, 극히 경질인 MC탄화물이 치밀한 조직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매트릭스 조직의 결정립내에 초정으로서 정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직의 생성방법에 대하여 상술한 산화물형성 원소가 용융금속내로 접종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이하 설명한다.
제3도는 용융금속의 냉각에 있어서 응고진행과정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성분으로 이루어진 용융금속(L)(단계 1)을 냉각시켜서 용융금속으로부터 MC(VC)탄화물을 초정으로서 분산 및 정출시킨다. 이 탄화물은 용융금속내에 형성된 산화물(Al2O3등)을 핵으로 하여 용이하고 확실하게 정출된다(단계 2).
용융금속을 더욱 냉각시키면, 오스테나이트(γ1)가 초정으로서의 MC탄화물의 주위에 초정으로서 정출하여 수지상으로 성장한다(단계 3).
잔존 용융금속(L)은 공정온도에서 공정으로 응고하므로, 공정 M6C((Cr, Mo, W)6C)탄화물과 공정 오스테나이트(γ2)가 정출한다(단계 4).
상술한 것처럼, 본 발명에서 결정입경의 범위는 30 내지 150μm이다. 결정입경은 응고시의 결정입경 즉, 단계 4에 나타낸 것처럼 결정입계에서 정출된 공정 M6C탄화물에 의해 둘러싸인 결정립의 최대직경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경질의 탄화물이 미세한 결정립의 입계 또는 입내에 정출되어 있는 조직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로울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복합로울은 제6도와 제7도에 도시된 장치를 사용해서 제조된다.
이를 도면에 나타낸 것처럼, 예컨대 SCM440 등의 합금강으로 이루어진 로드모양의 심재는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예열코일(4), 내화프레임(5), 유도가열코일(6) 및 수냉몰드(7)는 심재(1)가 삽입 및 통과되는 개구를 가지고 있는 플래트홈(3)에서 심재(1)를 중심으로 하여 위로부터 순서대로 동축적으로 설치되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심재(1)는 일정한 낮은 속도로 하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도시되지 않은 수단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 장치에 있어서, 처음부터 심재(1)는 예열코일(4)에 의해서 가열된다. 레이들(8)에 저장된 고속도강등으로 이루어진 용융금속(9)은 예열된 심재(1)의 외부둘레와 내화 프레임(5)에 의해 확정된 환상공간내로 노즐(8a)을 통해서 도입된다. 예열코일(6)은 내화프레임(5)의 외주에 설치되어 있고, 내화프레임(5)내의 용융금속(9)은 가열코일(6)에 의해 가열된다. 내화프레임(5)의 하단부는 수냉몰드(7)와 접촉하고 있고, 수냉몰드(7)과 심재(1)와의 사이로 도입된 용융금속은 점차 응고되어 외층부(2)가 형성된다.
유도 가열코일(6)에 의한 용융금속의 가열과 수냉몰드(7)에 의한 용융금속의 냉각은 상술한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복합로울을 제조하는데 중요하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술한 가열은 심재(1)의 외부둘레를 외층부(2)에 용착하는데 중요하고, 상술한 냉각은 결정입경이 30 내지 150μm인 조직의 생성에 중요하다.
조직의 크기 즉, 결정입경은 응고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결정입경의 감소를 통한 조직의 미세화가 의도된 경우, 응고속도를 증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당분야에서 가장 통상적인 제조방법인 원심주조에서는 주형의 열의 제거에 관한 신뢰성으로 인하여 결정입경에 관한 한계가 있다. 더욱이 이 경우, 로울의 크기는 결정입경에 관한 영향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결정입경은 열간 마무리압연용 로울의 경우 가장 작아도 약 200μm이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된 연속수조방법에서는 수냉몰드를 통해서 물에 의해 냉각을 적극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응고속도는 증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0.3 내지 1.5μm의 로울표면조도(Ra)에 상당하는 30 내지 150μm의 결정입경이 외층부와 일체화된 심재를 4 내지 50mm/min속도로 인출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제2도는 실시예 2에 있어서 결정입경(μm)(종축)과 평균응고속도(mm/min)(횡축)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는 30 내지 150μm의 결정입경을 얻기 위해서는 응고속도를 4 내지 50mm/min으로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제4도는 상술한 주조장치의 사용을 통한 주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로울의 외층부의 현미경 조직사진이며, 상기 주조방법에서는 용융금속은 주로 C : 2.13%, Cr : 5.13%, Mo : 6.48%, V : 5.31%, W : 4.12%, Al : 0.10%로 이루어져 있고, 주조는 20mm/min의 응고속도로 실행되었다. 상기 사진과 해설도로부터 명백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조직에 있어서, 직경이 80μm인 결정립의 주위가 공정 탄화물로 둘러싸여 있고, 초정으로서의 탄화물이 매트릭스내에 산재되어 있다.
응고속도를 결정입경을 작게하기 위하여 증대시킬때, 외층부와 심재사이의 용착이 종종 열화된다. 이 때문에 상술한 것처럼, 완전한 용착을 얻기위하여 유도가열코일에 의하여 열을 공급하는 것이 필요하다. 유도 가열을 통한 열을 공급할 때, 용융금속은 바람직하지 않게 교반된다. 따라서 가열전력을 증대시키면, 교반력이 증대되고, 그결과 용융금속의 표면상에 있는 산화피막재 및 슬래그와 같은 용융금속의 표면상의 이물질이 응고계면에 잔류하고 결국 제품의 품질이 현저하게 손상된다. 이와같은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교반력을 억제할 목적으로 주파수를 증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제5도에 나타난 것처럼, 이물질이 잔류함으로써 야기되는 결함발생을 주파수가 5kHz이상이면 방지될 수 있다.
연속주조에 의해 제조된 복합로울은 통상의 경화처리(소입처리)된다. 이 경우, 응고중에 정출된 오스테나이트는 경질의 마르텐사이트로 되고, 템퍼링되어 템퍼링된 마르텐사이트로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로울은 경질이고 치밀한 조직을 가지고 있으므로, 열간압연용 로울로서 매우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1]
제6도에 도시한 장치를 사용해서 표 1의 본 발명예 1, 2, 3의 난에 표시된 화학성분으로 이루어진 열간 마무리 압연용 작업로울을 연속 주조함으로써 제조하였다. 용해는 고주파로에서 실행하고, 단조강(SCM440)을 심재로서 사용하였다. 열처리는 주조후 소둔, 소입, 템퍼링등의 열처리를 실행하였다.
[표 1]
구체적인 제조품질과 실제 압연기에서 사용품질에 관하여 본 발명예 1 내지 3과 비교예 1 내지 5와의 비교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예 1, 2 및 3에 있어서 결정입경은 각각 150μm, 80μm 및 50μm이고 사용후 표면조도는 각각 1.6μm, 0.9μm 및 0.5μm이었다. 즉 극히 양호한 로울을 제조할 수 있었다. 더욱이, 로울과 압연제품간의 슬립페이지는 일어나지 않았다.
[실시예 2]
외층부와 심재의 화학성분이 표 2의 본 발명예 1 내지 3에 특정된 열간마무리압연용 작업로울을 제6도에 도시한 장치를 사용하여 연속주조함으로써 제조하였다. 제조조건, 제조품질 및 사용품질을 비교예 1 내지 5의 것과 함께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본 발명의 복합로울은 제조품질뿐만 아니라 사용품질에서도 우수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는 화학성분으로 이루어진 복합로울의 내마모성은 종래의 로울보다 5배 이상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복합로울은 사용후의 작은 표면조도와 향상된 내조면화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예 1, 2 및 3에서 결정입경은 각각 150μm, 80μm 및 50μm이고, 사용후의 표면조도(Ra)는 각각 1.6μm, 0.9μm 및 0.5μm이다. 이 결과는 결정입경이 감소되면 더욱 양호해진다. 비교예 4와 5의 복합로울을 분말야금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이들 복합로울에 있어서, 조직이 과도하게 미세하기 때문에 사용후의 표면조도가 너무 작아서 압연중 로울과 압연제품사이에서 슬립페이지가 일어난다. 그 결과 이들 비교예의 로울은 사용에 부적당하다.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의 열간압연용 로울에 적용하면 양호한 내마모성을 가지고 있고 인성의 결여로부터 유래된 균열발생이 없는 고품질의 로울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내조면화성에 대하여 본 발명의 로울은 종래의 로울에 비해 극히 양호한 성능이 확인되었으므로, 본 발명의 로울 공업적인 측면에서 매우 유용하다.

Claims (10)

  1. 외층부의 내주면과 심재의 외주면을 용착하여 구성한 압연용 복합로울에 있어서, 상기 외층부는 중량%로 C : 1.5 내지 2.4%, V : 3 내지 6%, Cr, Mo 및 W의 3가지 원소를 합해서 10 내지 22%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강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외층부는, 30 내지 150μm의 결정입경을 가지고 있고 결정입계에 정출된 M6C형의 공정탄화물로 둘러싸여짐과 동시에 입자내에 MC형의 초정탄화물을 가지는 금속조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용 복합로울.
  2. 외층부의 내주면과 심재의 외주면을 용착하여 구성한 압연용 복합로울에 있어서, 상기 외층부는 중량%로 C : 1.5 내지 2.4%, V : 3 내지 6%, Cr, Mo 및 W의 3가지 원소를 합해서 10 내지 22%, 그리고 Al : 0.05 내지 0.20% 및 Ti : 0.02 내지 0.10%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강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외층부는, 30 내지 150μm의 결정입경을 가지고 있고 결정입계에 정출된 M6C형의 공정탄화물로 둘러싸여짐과 동시에 입자내에 MC형의 초정탄화물을 가지는 금속조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용 복합로울.
  3. 외층부의 내주면과 심재의 외주면을 용착하여 구성한 압연용 복합로울에 있어서, 상기 외층부는 중량%로 C : 1.5 내지 2.4%, V : 3 내지 6%, Cr, Mo 및 W의 3가지 원소를 합해서 10 내지 22%, 그리고 Co : 0.1 내지 10%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강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외층부는, 30 내지 150μm의 결정입경을 가지고 있고 결정입계에 정출된 M6C형의 공정탄화물로 둘러싸여짐과 동시에 입자내에 MC형의 초정탄화물을 가지는 금속조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용 복합로울.
  4. 중량%로 C : 1.5 내지 2.4%, V : 3 내지 6%, Cr, Mo 및 W의 3가지 원소를 합해서 10 내지 22%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용융금속을 내화프레임과 심재와의 사이에 주입하고, 주입된 용융금속을 가열하고, 상기 내화프레임의 하단부에 설치된 수냉몰드에 의해 용융금속을 4 내지 50mm/min의 평균 응고속도로 냉각 및 응고시켜서 외층부를 형성하고, 일체로된 외주부와 심재를 순차적으로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로울의 제조방법.
  5. 중량%로 C : 1.5 내지 2.4%, V : 3 내지 6%, Cr, Mo 및 W의 3가지 원소를 합해서 10 내지 22%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용융금속에 0.05 내지 0.20%의 Al과 0.02 내지 0.10%의 Ti중 적어도 1종이상을 접종재로 첨가한 후, 내화프레임과 심재와의 사이에 주입하고, 주입된 용융금속을 가열하고, 상기 내화프레임의 하단부에 설치된 수냉몰드에 의해 용융금속을 4 내지 50mm/min의 평균 응고속도로 냉각 및 응고시켜서 외층부를 형성하고, 일체로된 외주부와 심재를 순차적으로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로울의 제조방법.
  6. 중량%로 C : 1.5 내지 2.4%, V : 3 내지 6%, Cr, Mo 및 W의 3가지 원소를 합해서 10 내지 22%, 그리고 Co : 0.1 내지 10%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용융금속을 내화프레임과 심재와의 사이에 주입하고, 주입된 용융금속을 가열하고, 상기 내화프레임의 하단부에 설치된 수냉몰드에 의해 용융금속을 4 내지 50mm/min의 평균 응고속도로 냉각 및 응고시켜서 외층부를 형성하고, 일체로된 외주부와 심재를 순차적으로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로울의 제조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용융금속을 가열하기 위해서 5kHz이상의 주파수를 가지고 있는 고주파전류를 상기 내화프레임의 외주에 설치된 가열코일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로울의 제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용융금속을 가열하기 위해서 5kHz이상의 주파수를 가지고 있는 고주파전류를 상기 내화프레임의 외주에 설치된 가열코일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로울의 제조방법.
  9. 외층부의 내주면과 심재의 외주면을 용착하여 구성한 압연용 복합로울에 있어서, 상기 외층부는 중량%로 C : 1.5 내지 2.4%, V : 3 내지 6%, Cr, Mo 및 W의 3가지 원소를 합해서 10 내지 22%, Al : 0.05 내지 0.20% 및 Ti : 0.02 내지 0.10%중 적어도 1종, 그리고 Co : 0.1 내지 10%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강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외층부는, 30 내지 150μm의 결정입경을 가지고 있고 결정입계에 정출된 M6C형의 공정탄화물로 둘러싸여짐과 동시에 입자내에 MC형의 초정탄화물을 가지는 금속조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용 복합로울.
  10. 중량%로 C : 1.5 내지 2.4%, V : 3 내지 6%, Cr, Mo 및 W의 3가지 원소를 합해서 10 내지 22%, Co : 0.1 내지 10%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용융금속에 0.05 내지 0.20%의 Al과 0.02 내지 0.10%의 Ti중 적어도 1종이상을 접종재로 첨가한 후, 내화프레임과 심재와의 사이에 주입하고, 주입된 용융금속을 가열하고, 상기 내화프레임의 하단부에 설치된 수냉몰드에 의해 용융금속을 4 내지 50mm/min의 평균 응고속도로 냉각 및 응고시켜서 외층부를 형성하고, 일체로된 외주부와 심재를 순차적으로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로울의 제조방법.
KR1019920703212A 1990-06-13 1991-06-13 압연용 복합로울 및 그것의 제조방법 KR9500066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257690 1990-06-13
JP90-152576 1990-06-13
JP15257790 1990-06-13
JP90-152577 1990-06-13
JP30645890 1990-11-13
JP90-306458 1990-11-13
PCT/JP1992/000798 WO1993000106A1 (fr) 1991-06-27 1992-06-22 Preparation a usage externe contenant de la cyclospor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700693A KR930700693A (ko) 1993-03-15
KR950006649B1 true KR950006649B1 (ko) 1995-06-21

Family

ID=27320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703212A KR950006649B1 (ko) 1990-06-13 1991-06-13 압연용 복합로울 및 그것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419973A (ko)
EP (1) EP0533929B1 (ko)
KR (1) KR950006649B1 (ko)
AU (1) AU650271B2 (ko)
DE (1) DE69127623T2 (ko)
WO (1) WO19910198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86905B1 (fr) * 1992-02-04 1995-03-24 Chavanne Ketin Cylindre de travail composite pour laminage a chaud de produits plats et procede de laminage en comportant application.
US5536230A (en) * 1987-12-23 1996-07-16 Chavanne-Ketin Composite working roll for hot rolling flat products
DE19508947A1 (de) * 1995-03-13 1996-09-19 Patentstelle Fuer Die Deutsche Verschleißfeste, anlaßbeständige und warmfeste Legierung
ATE250999T1 (de) * 1997-03-18 2003-10-15 Zakrytoe Aktsionernoe Obschest Verfahren zur beschichtung mittels des elektroschlackeverfahrens
US6669790B1 (en) * 1997-05-16 2003-12-30 Climax Research Services, Inc. Iron-based casting alloy
JP4831346B2 (ja) * 2004-09-13 2011-12-07 日立金属株式会社 圧延ロール用遠心鋳造外層及びその製造方法
JP4548263B2 (ja) * 2005-07-29 2010-09-2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耐摩耗性に優れた鋳鉄品の製造方法
WO2007077637A1 (ja) * 2005-12-28 2007-07-12 Hitachi Metals, Ltd. 遠心鋳造複合ロール
CN101636235B (zh) * 2007-02-20 2011-09-07 西门子公司 轧辊和/或辊子以及轧辊和/或辊子的制备方法
JP5025315B2 (ja) * 2007-04-19 2012-09-12 株式会社フジコー 熱間圧延用複合ロール、熱間圧延用複合ロールの製造方法及び熱間圧延方法
JP4922971B2 (ja) * 2008-03-07 2012-04-25 株式会社フジコー 熱間圧延用複合ロ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60468B1 (ko) 2013-03-08 2019-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베인 펌프
KR20140110621A (ko) * 2013-03-08 2014-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선회 또는 고정스크롤용 cv 흑연주철 및 그를 이용한 선회 또는 고정스크롤의 제조방법
PL3006124T3 (pl) * 2014-10-09 2018-06-29 Centre de Recherches Métallurgiques asbl - Centrum voor Research in de Metallurgie vzw Walec roboczy wytwarzany za pomocą platerowania laserowego i sposób jego wytwarzania
WO2022079108A1 (en) 2020-10-13 2022-04-21 Centre De Recherches Métallurgiques ASBL Method of manufacturing a hot rolling mill roll by laser cladding
CN113547099A (zh) * 2021-06-11 2021-10-26 中钢集团邢台机械轧辊有限公司 一种薄板坯全无头轧制用粗轧高速钢工作辊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0382B2 (ja) * 1979-10-26 1983-06-29 株式会社クボタ 高クロムワ−クロ−ル
FR2493191A1 (fr) * 1980-10-31 1982-05-07 Usinor Cydindre de laminage a froid fabrique par coule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JPS5919786B2 (ja) * 1980-12-25 1984-05-08 株式会社富士工業所 母材の外周に鋳かけ肉盛リクラツド材を形成する方法
JPS5887249A (ja) * 1981-11-18 1983-05-25 Hitachi Metals Ltd 耐摩耗鋳鉄ロ−ル材
JPS601392B2 (ja) * 1982-02-20 1985-01-14 関東特殊製鋼株式会社 ピルガ−圧延用ロール材
JPS59153869A (ja) * 1983-02-21 1984-09-01 Kanto Tokushu Seikou Kk 非晶質金属圧延用ロ−ル材
JPS60124407A (ja) * 1983-12-06 1985-07-03 Kubota Ltd 高バナジウム複合鋳鉄ロ−ル
JPS6160256A (ja) * 1984-08-30 1986-03-27 Hitachi Metals Ltd 鋳かけ肉盛方法
JPS61199051A (ja) * 1985-02-28 1986-09-03 Kubota Ltd 耐ヒ−トクラツク性、耐摩耗性及び耐焼付性に優れた圧延用ロ−ル材
US4596282A (en) * 1985-05-09 1986-06-24 Xaloy, Inc. Heat treated high strength bimetallic cylinder
US4721153A (en) * 1986-09-12 1988-01-26 Hitachi Metals, Inc. High-chromium compound roll
US4726417A (en) * 1986-09-12 1988-02-23 Hitachi Metals, Ltd. Adamite compound roll
JPS63114937A (ja) * 1986-11-04 1988-05-19 Kubota Ltd 圧延用複合ロ−ルおよびその外層材
EP0309587B1 (en) * 1987-03-24 1993-07-28 Hitachi Metals, Ltd. Abrasion-resistant composite roll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JPS63266043A (ja) * 1987-04-23 1988-11-02 Nkk Corp 熱間圧延用ロ−ル
JPH0191901A (ja) * 1987-10-05 1989-04-11 Hitachi Metals Ltd 圧延用複合ロールの製造方法
EP0347512A1 (en) * 1988-06-23 1989-12-27 INNSE CILINDRI S.r.l. A bimetal construction roll for reducing and finishing stands in a rolling mill train
DE69024762T2 (de) * 1989-11-30 1996-05-15 Hitachi Metals Ltd Verschleissfeste Verbundwalze
US5225007A (en) * 1990-02-28 1993-07-06 Hitachi Metals Ltd. Method for wear-resistant compound roll manufacture
US5305522A (en) * 1991-07-09 1994-04-26 Hitachi Metals, Ltd. Method of producing a compound ro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33929A1 (en) 1993-03-31
EP0533929A4 (ko) 1994-04-13
EP0533929B1 (en) 1997-09-10
US5419973A (en) 1995-05-30
DE69127623D1 (de) 1997-10-16
DE69127623T2 (de) 1998-01-22
KR930700693A (ko) 1993-03-15
AU7991291A (en) 1992-01-07
WO1991019824A1 (en) 1991-12-26
AU650271B2 (en) 1994-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09587B1 (en) Abrasion-resistant composite roll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KR950006649B1 (ko) 압연용 복합로울 및 그것의 제조방법
JP3205745B2 (ja) 耐摩耗耐焼付性熱間圧延用ロール
EP0646052B1 (en) Rolls for metal shaping
EP0560210B1 (en) Compound roll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JP6474038B2 (ja) 連続鋳掛け肉盛鋳造製圧延用複合ロール
CN110000362B (zh) 一种高钨钒高速钢耐磨轧辊及其制造方法
JP5025315B2 (ja) 熱間圧延用複合ロール、熱間圧延用複合ロールの製造方法及び熱間圧延方法
WO1998045493A1 (fr) Rouleau composite pour laminage a froid
JP6516093B2 (ja) 連続鋳掛け肉盛鋳造製圧延用複合ロール
JP4922971B2 (ja) 熱間圧延用複合ロ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3028514B2 (ja) 耐摩耗性・耐肌荒れ性等にすぐれた圧延用複合ロール
EP2660344A1 (en) Centrifugally cast roll for last finishing stands in hot strip mills
JPH0775808A (ja) 形鋼圧延用耐摩耗複合ロール
JP2686207B2 (ja) 圧延用ロール材
JP3030077B2 (ja) 耐クラック性に優れた耐摩耗複合ロ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H0225205A (ja) 熱間圧延用作業ロール及びその圧延方法
JPS6157083B2 (ko)
JPH0390270A (ja) 熱間圧延用作業ロールの製造法及び圧延方法
JPH0338325B2 (ko)
JPH0641676A (ja) 耐摩耗性複合ロール
JPH0567697B2 (ko)
JPH07166291A (ja) 黒鉛を有するハイス系複合回転部材の製造方法
JPH07108369A (ja) 複合材料の製造方法
CN117467903A (zh) 一种高性能铸钢轧辊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