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289B1 - 아민-산 증점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민-산 증점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289B1
KR950006289B1 KR1019870007740A KR870007740A KR950006289B1 KR 950006289 B1 KR950006289 B1 KR 950006289B1 KR 1019870007740 A KR1019870007740 A KR 1019870007740A KR 870007740 A KR870007740 A KR 870007740A KR 950006289 B1 KR950006289 B1 KR 950006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composition
viscosity
weight
thick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7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1797A (ko
Inventor
네빌 실버스터 레이몬드
Original Assignee
알 앤드 시 프로덕츠 피티와이. 리미티드
리차드 험프리 울 램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7171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5000628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알 앤드 시 프로덕츠 피티와이. 리미티드, 리차드 험프리 울 램버트 filed Critical 알 앤드 시 프로덕츠 피티와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880001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2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5Amino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38Cationic compounds
    • C11D1/40Monoamines or polyamines;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38Cationic compounds
    • C11D1/58Heterocycl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75Carboxylic acids-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02Inorganic compounds
    • C11D7/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7/08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Cosmetic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Lubricant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nfectioner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아민-산 증점 조성물
본 발명은 산 또는 산성염의 수성 조성물, 특히 증점제(thickening agent)를 함유하는 이러한 산 또는 산성염의 신규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산성염"은 수용액중에서 양성자를 방출하는 화합물을 나타낸다.
산 및 산성염의 수용액은 오랫동안 세정용 조성물로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조성물은 수세식 변기 세정제, 금속 세정제 및 광택제, 녹제거제(rust stain removers), 톨니 세제, 금속 스케일 제거제(descalers), 일반 경질면 세정제 및 소독제를 포함한다.
많은 상기 조성물의 바람직한 특성은, 예를들면 솔질에 의해 이 조성물이 표면에 효과적으로 발라지도록 하거나, 또는 조성물이 충분한 작용시간 동안 표면과 접촉하여 남아있도록 하는 충분한 점도를 갖는 것임이 밝혀졌다. 휴자의 가능은 특히, 효과적인 세정을 위해 조성물과 변기가 오랫동안 접촉해야 하는 수세식 변기에서와 같은 각이진 면의 세정과 관련된다.
필요한 점도 특성을 갖는 많은 이러한 조성물에 본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조성물 대부분은 다음 증점제 하나 이상을 사용함으로써 목적하는 점도에 도달한다 : (a) 셀루로우즈 유도체(예 : 나트륨 카복시메틸 셀루로우즈,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우즈, 메틸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우즈, 메틸 셀룰로우즈,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우즈, 하이드록시부틸메틸 셀룰로우즈) ; (b) 고무(예 : 크산탄 고무) ; (c) 아크릴산 중압체[예 : 카보폴 B. F. Goodrich 의 등록상표명)] ; (d)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예 : 노닐 페놀 에톡실레이트) ; (e)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수지[예 : 폴리옥스(Union Carbide의 등록상표명)] ; (f)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예 : 알킬벤젠 설포네이트 및 알킬에테르 설페이트) ; (g) 나트륨 실리케이트(예 : 나트륨 메타실리 케이트).
그러나, 이러한 증점제 대부분은 수성산 또는 산성염 조성물의 점도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는 있지만, 사용시 약간의 단점이 있다.
즉, 셀룰로우즈 유도체 및 고무는 저장시 가수분해되어 조성물의 점도를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또한, 이들은 일반적으로 용해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때로 용액에 용해시키기 위해 격렬하게 혼합시켜야 한다.
아크릴산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pH가 중성부근 및 그 이상인 용액에서만 유용하다. 이들도 또한 저장시 가수분해되는 경향이 있으며, 목적하는 점도에 도달하기 위해 상당히 강한 알칼리로 중화시켜야 한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만족할만한 점도에 도달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약 5 내지 110%의 고농도가 필요하므로 사용하기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수용성 수지도 또한 목적하는 조성물 점도에 도달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고농도가 필요하며, 이외에 일부 산용액은 현저한 불안정성을 나타낸다.
나트륨 실리케이트는 수성산 또는 산성염 겔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조성물중에서 점도를 증가시킬 경우, 일반적으로 점도가 장시간(예를들어 12시간 만큼)동안에 걸쳐 증가하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그러므로 상업적인 제조공정에서, 이 점은 때로 불편하다. 또한 저장시 이러한 겔을 대부분 바람직하지 않은 작은 조각들로 파괴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도 유의해야 한다.
수성산 및/또는 산성염 조성물과 관련하여 본 분야에 기술된 다른 증점제 및 조성물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영국 특허 제 1,443,244 호(Reckitt & Colman Products Limited)에는 무기산 및, 강 무기산의 산성염의 수성 증점 조성물용으로 다음 일반식의 증점제가 기술되어 있다 :
Figure kpo00001
영국 특허 제 2,071,688 호(Jeyes Limitde)에는 무기산 또는, 강 무기산의 산성염의 수성 증점 조성물용으로 (a) 일반식(Ⅰ) 또는 (Ⅱ)의 거의 산-불용성 화합물 ; 및 (b) 거의 산-가용성 양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인 증점제가 기술되어 있다 :
Figure kpo00002
미합중국 특허 제 3,786,091 호(Bolsing)에는 장쇄 아민의 미분된 수성 분산액을 제조하고, 이 분산액을 예열시키고, 여기에 예열된 인산을 중성으로 될때까지 승온에서 진탕시키면서 가하고, 냉각될 때까지 생성된 혼합물을 교반시켜 제조한 인산-함유 염기 페이스트가 기술되어 있다 :
미합중국 특허 제 4,021,377 호(Borchert 등)에는 모든 시트르산이 용해될 때까지 물중에서 시트르산 및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아민을 혼합시켜 수득한 시트르산-아민 반응 생성물이 기술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 반응은 온도를 1시간 동안 약 40℃로 상승시켜 수행한다. 시트르산의 아민염 및 스트리산 아미드를 함유하는 생성된 염은 점성이다. 예시된 시트르산 및 아민의 농도는 특히 높고, 예시된 아민은 12 내지 45중량%이고, 시트르산은 19.2중량% 임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아민으로는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및 트리에탄올아민만이 예시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산 또는 산성염 수성 조성물용 선행기술 증점제의 문제점을 인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선행기술의 조성물과는 다른 조성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산 및 산성염중에서 선택한 하나 이상의 화합물, 일반식(Ⅰ) 또는 (Ⅱ)의 화합물중에서 선택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인 증점제(여기에서 산 및 산성염중에서 선택한 하나 이상의 화합물과 증점제는 함께 물에 실질적으로 용해된다), 및 임의로 강 이온성염을 함유하며 ; 1번 스핀들을 사용하여 50rpm에서 브룩필드 RVT 점도계로 측정할 경우, 그의 점도가 25℃에서 30cps 이상인 수성 증점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
Figure kpo00003
상기식에서, R 및 R3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알킬, 아릴, 알크아릴, 아르알킬 또는 알케닐 그룹이고 ; R1은 수소,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알킬, 아릴, 알크아릴, 아르알킬 또는 알케닐 그룹이며 ; R2는 수소,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알킬, 아릴, 알크아릴, 아르알킬 또는 알케닐 그룹이고 ; R4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알킬, 아릴, 알크아릴, 알크알킬 또는 알케닐 그룹이며 ; R5는 치환되거나 비치화된 알칠, 아릴, 알크아릴, 아르알킬 또는 알케닐 그룹이거나 ; 또는 R1과 R2또는 R4와 R5는 함께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헤테로 시클릭 환을 형성하는데 ; 단, R, R1또는 R2가, 천연오일 또는 지방에서 수득된 지방산 또는 균등한 합성 지방산에서 유도된 알킬 또는 알케닐 그룹이거나 알킬 잔기의 탄소수가 8 내지 12인 알크아릴 그룹일 경우, 다른 치환체는 각각 일반식 [A]x-H 및 [A]y-H(여기에서 A는 에톡시 또는 프로폭시이고 ; x 및 y는 독립적으로 1,2 또는 3이다)을 갖지 않는다.
두번째 국면으로서, 본 발명은 (a) 산 및 산성염중에서 선택한 하나 이상의 혼합물, (b) 일반식(Ⅰ) 또는 (Ⅱ)의 혼합물중에서 선택한 하나 이상의 증점제(여기서, 산 및 산성염중에서 선택한 하나 이상의 화합물 및 증점제는 함께 물에 실질적으로 용해된다) 및, 임의로 (c) 강이온성 염을, 1번 스핀들을 사용하여 50rpm에서 브룩필드 RVT 점도계로 측정한 25℃에서 점도가 30cps 이상인 되도록 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물에 용해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수성 증점액을 생성하는 방법에도 관한 것이다 :
Figure kpo00004
상기식에서, R 및 R3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알킬, 아릴, 알크아릴, 아르알킬 또는 알케닐 그룹이고 ; R1은 수소,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알킬, 아릴, 알크아릴, 아르알킬 또는 알케닐 그룹이며 ; R2는 수소,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알킬, 아릴, 알크아릴, 아르알킬 또는 알케닐 그룹이고 ; R4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알킬, 아릴, 알크아릴, 아르알킬 또는 알케닐 그룹이며 ; R5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알킬, 아릴, 알크아릴, 아르알킬 또는 알케닐 그룹이거나 ; 또는 R1과 R2또는 R4와 R5는 함께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헤테로 시클릭 환을 형성하는데 ; 단, R, R1또는 R2가, 천연오일 또는 지방에서 수득된 지방산 또는 균등한 합성 지방산에서 유도된 알킬 또는 알케닐 그룹이거나 알킬 잔기의 탄소수가 8 내지 12인 알크아릴 그룹일 경우, 다른 치환체는 각각 일반식 [A]x-H 및 [A]y-H(여기에서 A는 에톡시 또는 프로폭시이고 ; x 및 y는 독립적으로 1,2 또는 3이다)을 갖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거의 수-용성"이란 용어는 25℃에서 물에 함께 용해되거나, 기껏해야 정상 보관 동안 2상으로 분리되지 않는 연무용액을 형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산 또는 산성염 및 증점제를 의미한다.
증점시키기 위하여 거의 산-가용성 양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필요로 하는 거의 산-불용성아민 또는 아민 옥사이드에 관한 것인 상기 영국 특허 제 2,071,688호(Jeyes Limited)의 조성물과 본 발명의 조성물을 쉽게 구별할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반대로 본 발명은 아민일 경우에 용해 및 증점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양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부재하, 및 아민 옥사이드일 경우에는 용해 및 증점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양이온성, 비이온성 또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특히 알킬 설페이트 부재하에, 선택된 산 또는 산성염과 함께 거의 수용성인 아민 또는 아민 옥사이드로 제한된다. 또한, 영국 특허 제 2,071,688호에는 무기산 또는 산성염의 수용액과 함께 아민, 아민 옥사이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중 어느 것도 증점시키는 역할을 할 수 없다고 기술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아민을 시트르산과 함께 가열시켜 여러 반응 생성물을 생성하지 않아도, 본 발명에 의해 제시된 조성물에서 증점이 일어난다는 것이 상기 미합중국 특허 제 4,021,377호(Borchert등)에는 기술되거나 제시되어 있지 않다는 것도 인지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시트르산과 아민의 반응 생성물이 용액중에서 점성인 상기 미합중국 특허가 단지 발명자들에 의한 관찰이었으며, 고농도의 사용된 반응물질 견지에서는 아마 뜻밖은 아니었을 것으로 간주한다. 실제로, 이 미합중국 특허에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예시된 것만큼 가능한한 낮은 농도의 아민이 산 또는 산성염 용액과 함께 증점 조성물을 생성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는 기술이 없다. 상기 특허의 실질적인 중요점은 고농도에서 점성인 목적하는 반응 생성물의 농축액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이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5중량%의 무수 시트르산 및 2중량%의 모노-, 디- 또는 트리에탄올 아민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이러한 용액들은 어느것도 증점되지 않았다.
마찬가지로, 미합중국 특허 제 3,876,091호(Bolsing)에는 선택된 아민과 인산사이의 반응 생성물을 함께 가열하여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기술되어 있다.
즉, 볼싱은 그의 발명의 가장 간단한 태양에서 선택된 아민을 물중에 분산시키고, 분산액을 40 내지 100℃로 가열한 후, 40 내지 120℃로 예열시킨 적어도 중화량의 인산을 가한다. 온도가 5 내지 25℃로 내려갈 때까지 교반하면, 생성된 조성물은 인산과 선택된 아민의 반응 생성물로 이루어진 페이스트이다. 또한, 볼싱은 다른 산(예 : 황산, 염산, 타르타르산, 옥실산, 플루오르화수소산 및 질산)도 그 발명의 염기페이스트에 첨가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는 것도 기술하였다. 그는 또한 다른 아민도 첨가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기술하였다.
볼싱 발명의 아민은 탄소수 8 내지 24의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탄화수소 유도체이어야하며 선택된 아민은 목적하는 점도에 도달하도록 인산과 함께 가열하여 반응시켜야 하는데, 인산이외의 다른 산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제시되어 있지 않은 것을 고려하면, 본 발명 볼싱의 발명과 구별될 것이다. 이외에도, 산성염에 대해서도, 볼싱은 염화암모늄을 보조제로서 언급하고 있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반대로, 본 발명은 산 및 산성염의 범위에서 증점시킬 수 있으며, 증점시키기 위해 가열시킬 필요가 없다는 것을 주지하고, 본 발명자들은 볼싱의 아민 이외의 아민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간주한다.
상기 일반식(Ⅰ) 또는 (Ⅱ)에서, R 또는 R3그룹은 탄소수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 탄소수 8 내지 24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 비치환된 알킬 또는 알케닐 그룹중 탄소수 8 내지 24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R1및 R2그룹은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비치환된 저급 알킬 그룹(여기에서 저급이란 탄소수 1 내지 4의 그룹을 의미한다) 또는 치환된 알킬 그룹인 것이 바람직하고 ;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비치환된 저급 알킬 그룹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메틸 그룹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R4및 R5그룹은 독립적으로 비치환된 저급 알킬 그룹(여기서, 저급이란 탄소수 1 내지 4의 그룹을 의미한다) 또는 치환된 알킬 그룹인 것이 바람직하고 ; 독립적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저급 알킬 그룹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 독립적으로 메틸, 하이드록시에틸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 그룹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1급 아민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증점제에는 파르민(Farmin) O (Kao Soap Co.의 등록상표명) 또는 게나민(Genamin) OL-100D(Hoechst의 등록상표명)가 포함되는데, 둘다 주로 올레일아민 및 파르민 T 또는 게나민 TA 100D이고, 증류시킨 우지 지방아민이다. 이러한 증점제는 유기산(예 : 포름산, 아세트산, DL락트산, 아디프산, 글리콜산, 말론산, 석신산, 펜테트산, 아스코르브산, 클로로아세트산, 시트르산 및 프로피온산)을 증점시킬 수 있다. 몇몇의 경우에 있어서는, 증점제의 바람직한 농도범위에서 적절한 조성물 점도에 도달하기 위하여 강 이온성염(예 : 염화나트륨)을 소량 가해야 한다. 자연히, 증점제의 농도가 증가하면, 대부분 점도가 증가한다. 그러나, 이러한 염이 비교적 저렴하기 때문에, 목적하는 점도에 도달하기 위하여 증점제와 강 이온성염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과량의 증점제를 가하면, pH가 증가하여 조성물의 효능이 감소할 수 있다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
3급 아민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증점제에는 게나민 SO 302 D(증류시킨 디메틸 대두유 지방아민) 및 TA 302 D(증류시킨 디메틸 우지 지방아민)가 포함된다. 이러한 아민은 유기산(예 : 시트르산, L-타르타르산, 포름산, DL 말산, 아세트산, DL 락트산, 아디프산, 말레산,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글리콜산, 말론산, 석신산 및 프로피온산) 및 무기산(예 : 설팜산, 인산, 분산, 플루오르화 수소산 및 황산)을 증점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술한 바와같은 이유때문에, 이러한 아민은 증점제의 바람직한 농도범위에서 적절한 조성물 점도에 도달히 위하여 강 이온성 염(예 : 염화나트륨)을 가해야 한다.
산성염을 증점시킬 수 있는 3급 아민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증점제는 게나민 TA 32 D 및 게나민 SO 302 D를 포함한다. 게나민 TA 302 D는 강 이온성 염(예 : 염화나트륨)을 가하면서 시트르산 일나트륨 및 타타르산 수소칼륨의 수용액을 증점시킬 수 있다. 게나민 SO 302 D는 몇몇의 경우에 필요한 강이온성 염(예 : 염화나트륨)을 소량 가하면서 황산알루미늄, 황산수소나트륨, 오르토인산이수소나트륨, 이나트륨 에틸 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및 황산칼륨 알루미늄의 수용액을 증점시킬 수 있는데 ; 여기서 염화나트륨은 상술한 바와같이 적절한 조성물 점도에 도달하는데 필요하다.
산성염을 증점시킬 수 있는 1급 아민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증점제는 파르민, O, 게나민 OL-100D, 파르민 T 및 TA-100 D를 포함한다. 이러한 아민은 아세트산알루미늄의 수용액을 증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주내에 있는 또다른 아민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파르민 DMON(디메틸 올레일아민), 카오-DBA(디메틸 벤질아민) ; N-라우릴 모르폴린 ; N-코코 모르폴린 ; N-세틸모르폴린 ; 게나민 14R 302 D(증류시킨 테트라데실 디메틸아민) ; 게나민 16R 302 D(증류시킨 헥사데실 디메틸아민) ; 게나민 14R 100 D(증류시킨 테트라데실아민) ; 게나민 16R 100 D(증류시킨 헥사데실아민) ; 온아민 1416(N-알킬 C14-C16디메틸아민).
다음 아민은 KenoGard 제품이다 : 아민 2MOL(디메틸올레일아민) ; 아민 28(디옥틸아민) ; 아민 210(디데실아민) ; 아민 M28(메틸디옥틸아민) 및 아민 M210(메틸디데실아민).
상기 바람직한 아민은 실제로 한 아민의 주가되는 다수 아임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자들은 이 주된 아민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소량의 아민을 용해시키는 작용을 할 것으로 간주한다.
예를들면, 파르민 O는 대략 약 6% C14, 13% C16및 81% C18의 알킬 함량을 갖는 주로 올레일아민인 반면, 게나민 SO 302 D는 약 2% C14, 15% C16및 83% C18의 평균 쇄 길이 분포를 갖고, 게나민 TA 302 D는 약 5% C14, 30 %C16및 65% C18의 쇄 길이 분포를 갖는다.
아민 옥사이드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증점제에는 아로목스(Aromox) T/12(비스[2-하이드록시에틸]우지 아민 옥사이드) 및 암모닉스(Ammonyx) MCO(미리스틸 및 세틸 디메틸 아민 옥사이드의 혼합물)가 포함된다. 아로목스는 Armour Hess의 상품명이고, 암모닉스는 Onyx Chemicals Co.의 상품명이다. 아로목스 T/12는 시트르산, 인산 및 황산을 증점시킬 수 있다.
암모닉스 MCO를 함유하는 조성물의 예는 다음을 함유하도록 존재한다 :
암모닉스 MCO (30% 활성) 6.67중량%
황산 3.83중량%
염화나트륨 0.7중량%
물 88.8중량%
점도를 측정하지 않았지만, 조성물이 농후하고 점성인 것으로 나타난 것이 관찰되었다. 또한, 암모닉스 MCO는 수-용이지만, 그의 점도는 2% 염화나트륨만을 추가로 함유하는 6.67% 수용액속에서 조차도 물처럼 묽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아민에 있어서, 본 발명의 범주내에 있는 바람직한 아민 옥사이드는 아민 옥사이드의 혼합물이다. 즉, 아로목스는 1% C12, 3% C14, 27% C16, 24% C18, 1% C14(불포화), 4% C16(불포화), 39% C18(불포화), 1% C18(이중불포화)의 평균 쇄 길이 분포를 갖는다. 유사하게, 본 발명의 아민 옥사이드도 상술한 바와같이 적절한 조성을 점도에 도달하기 위하여 강이온성 염을 소량 가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주내에 있는 또다른 아민 옥사이드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비스(2-히드록시에틸)대두유 아민 옥사이드 ; 디메틸 우지 아민 옥사이드 ; 디메틸 올레일 아민 옥사이드 ; 디메틸 대두유 아민 옥사이드 ; 비스(2-하이드록시에틸)올레일 아민 옥사이드.
이외에도, 본 발명의 아민 또는 아민 옥사이드는 일반적으로 우지, 대두유, 올레산, 팔미트산, 미리스트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리시놀레산, 또는 헥사데세노산의 천연 또는 합성 공급원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관련된 산은 무기산(예 : 황산, 플루오르화수소산, 붕산, 설팜산 및 인산) 및 유기산(예 : 포름산, 아세트산, DL 락트산, 프로피온산, 시트르산, DL 말산, L 타라트라산, 아디프산, 말레산 및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 말론산, 글리콜산, 석신산 아스코르브산, 펜테트산 및 클로로아세트산)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산성염은 무기 또는 유기산의 산성염(예 : 시트르산 일나트륨, 황산수소나트륨, 오르토인산 이수소나트륨, 이나트륨에틸렌 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아세트산 알루미늄 및 타르타르산수소칼륨, 황산알루미늄 및 황산칼륨 알루미늄)을 포함한다.
산 또는 산성염의 농도는 조성물의 최종 용도에 의거하여 광범위한 범위에서 변화시킬 수 있다. 몇몇의 경우에 있어서, 특히 강산(예 : 플루오르화 수소산)을 사용하고 거의 중성 생성물이 필요한 경우, 산 또는 산성염의 농도는 0.01중량% 만큼 낮은 수도 있다.
다른 경우에 있어서, 산 또는 산성염의 농도가 90% 과량이 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산 또는 산성염의 농도는 0.1 내지 30중량% 범위이다.
사용시, 일반적으로 증점제는 조성물중 0.1 내지 10중량%의 농도로 존재할 수 있지만, 0.4 내지 5.0중량%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조성물중 목적하는 점도에 도달하기 위하여, 증점제의 농도를 적절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몇몇의 경우에 있어서는, 몇몇 적용시 충분한 조성물 점도에 도달할 수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러한 경우에는 고 이온 강도를 갖는 염을 가하면, 이러한 조성물의 점도가 증가되는 것을 밝혀졌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증점제와 고 이온 강도 염의 농도는 목적하는 점도의 비용면에서 효과적인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최적화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온성 염은 알칼리금속 할로겐화물 또는 황산염 및, 할로겐화 암모늄 또는 황산암모늄 중에서 선택한다. 적절한 이러한 염은 염화나트륨, 황산나트륨, 황산칼륨, 염화칼륨, 염화암모늄 등이다.
이와는 달리, 본 발명자들은 특정한 장쇄 4급 암모늄 화합물이 상술한 염까지 유사하게 증점시킬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그 예는 헥사데실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인 아쿼드(Arquad) 16-50 또는 옥타데카닐과 옥타데카디에닐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의 혼합물인 아쿼드 S-50이다.
또한, 몇몇의 경우에 있어서는, 조성물이 실온에서 농후하고, 투명하며 안전할시, 조성물의 만족할만한 상한 및 하한 운점(cloud point)에 도달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유형의 강이온 효과를 갖는 염, 양이온성, 비이온성 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 또는 조성물에 혼화될 수 있는 용매[예 : 에탄올, 이스프로판올, 부틸이시놀(butyl Icinol, Icinol은 ICI의 상품명) 및 도와놀(Dowanol, Dow Chemicals의 상품명) DPM(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또 다른 성분을 가해야 된다. 이러한 염, 계면활성제 또는 용매를 가하면, 조성물이 춥거나 더운 날씨에서도 안정하게 된다.
최종용도에 따라 여러 다른 성분들을 본 발명의 조성물에 가할 수 있다. 즉, 살균제, 음이온성, 비이온성, 양이온성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 격리(sequestering)제, 부식억제제, 향료 및 착색제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요 장점은 산 또는 산성염 수용액을 쉽게 증점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증점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는 (a) 적절량의 산 또는 산성염을 물에 가하고 교반시켜 용해시키고 ; (b) 본 발명의 농후제를 용액에 가하고, 용해될때까지 교반시키고, ; (c) 필요한 경우, 다른 성분들을 가하고, 교반시켜 용해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증점제는 선택된 산성염 또는 산용액에 가요성인 것으로 규정되며 일반적으로 물에 쉽게 젖기 때문에, 가용성일 수는 있지만 때로 젖기 어려운 다수의 선행 증점제와는 달리, 상기 단계(b)는 비교적 급속할 것이라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본 발명 증점제의 또다른 장점은 이들이 비교적 저렴하며, 사용시 매끄럽고 균일하며 즉시 증점되는 조성물을 제조한다는 것이다. 또한, 증점 조성물은 점도면에서 안전하다. 예를들면, 본 발명자들은 파르민 O로 증점시킨 시트르산 조성물이 12달 동안 실온에서 저장할 경우에도 점도가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본 발명자들이 밝혀낸 또다른 장점은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간의 계면활성 및 부식억제성을 갖는다는 것이다. 계면활성의 발견은 유화제 또는 보조용매를 가하지 않고도 수-비혼화성 물질(예 : 방향제)을 본 발명의 조성물에 직접 용해시킬 수 있으며, 계면활성이 필요한 조성물인 경우, 추가의 계면활성제가 덜 필요하거나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본 발명의 증점제를 용해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산 또는 산성염이 존재한다면, pH가 거의 중성인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다는 것도 밝혀내었다. 즉, 파르민 O를 사용하여 pH 6.5에서 락트산을 증점시킬 수 있다. 이 발견의 장점은 일반적으로 이것을 수성 액체 세정제에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일반적으로 실온에서 수-불용성이라고 간주되는 산 또는 산성염을 본 발명의 증점제를 사용하여 증점시키면서 용액으로 만들 수 있다는 것도 밝혀내었다. 점도는 강이온성 염(예 : 염화나트륨)을 사용하여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산을 물에 분산시키고, 증점제를 혼합시키면서 가한다. 산 및 증점제를 용액에 가하면, 용액의 점도가 증가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 유형의 바람직한 조성물은 에틸렌 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과 증점제로서 게나민 SO 302 D를, 타르타르산 수소칼륨과 증점제로서 게나민 TA 302 D를, 펜테트산과 증점제로서 파르민 O를 포함한다.
하기에는 비교실시예 1A 및 1B와 함께 다수의 실시예 1 내지 54가 있는데, 여기서 각각의 점도(cps)는 적절하게는 스핀들 및 25℃에서의 적절한 속도로 브룩필드 RVT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각각의 경우에 증점제는 *표로 표시한다.
모든 이 실시예들(단, 27,46 및 51은 제외)에서는 산 또는 산성염을 용액을 만들고, 증점제를 가하고 용해될때까지 혼합한 후, 다른 성분들을 가하여 용해될때까지 혼합시켜 제조한다.
실시예 27,46 및 51에서는 산 또는 산성을 염을 물에 분산시키고, 증점제를 가하고 용해될때까지 혼합시킨 후, 만족할만한 점도에 도달할때까지 염화나트륨(필요할 경우)를 가한다.
[실시예 1]
중량%
무수 시트르산 5.0
* 파르민 O 1.8
물 93.2
점도(2번 스핀들, 속도 20rpm, 25℃) 670cps
pH 2.2
[비교실시예 1A]
수 점도 1번 스핀들 속도 20rpm : 3.5cps
속도 50rpm : 6.5cps
2번 스핀들 속도 20rpm : 0 cps
속도 50rpm : 5.5cps
[비교실시예 1B]
5중량% 무수 시트르산 수용액
점도 2번 스핀들 속도 20rpm : 0 cps
속도 50rpm : 5.5cps
[실시예 2]
중량%
무수 시트르산 5.0
* 파르민 O 2.0
반톡 CL(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BP 50% w/v-반톡은
ICI의 상품명) 2.2
염화나트륨 0.7
향료 0.2
염료 0.005
물 89.9
점도(1번 스핀들, 속도 50rpm, 25℃) 54cps
pH 2.3
[실시예 3]
중량%
DL-락트산 88% 5.0
* 파르민 O 2.0
염화나트륨 3.0
물 92.7
점도(2번 스핀들, 속도 20rpm, 25℃) 820cps
pH 2.9
[실시예 4]
중량%
DL-락트산 88% 5.0
* 파르민 O 2.0
반톡 CL(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BP 50% w/v-반톡은
ICI의 상품명) 0.4
염화나트륨 0.35
향료 0.2
염료 0.005
물 92.05
점도(2번 스핀들, 속도 20rpm, 25℃) 530cps
pH 2.9
[실시예 5]
중량%
DL-락트산 88% 0.85
* 파르민 O 2.0
염화나트륨 0.1
물 97.05
점도(2번 스핀들, 속도 20rpm, 25℃) 740cps
pH 6.5
[실시예 6]
중량%
포름산 88% 4.1
* 파르민 O 2.0
염화나트륨 0.05
물 93.85
점도(2번 스핀들, 속도 50rpm, 25℃) 58cps
pH 2.5
[실시예 7]
중량%
포름산 88% 4.1
* 게나민 TA 100 D 2.0
염화나트륨 0.05
물 98.85
점도(1번 스핀들, 속도 50rpm, 25℃) 30cps
pH 2.45
[실시예 8]
중량%
아세트산(빙) 4.1
* 파르민 O 2.0
염화나트륨 0.25
물 93.05
점도(2번 스핀들, 속도 50rpm, 25℃) 160cps
pH 3.6
[실시예 9]
중량%
아세트산(빙) 4.7
* 파르민 O 2.0
반톡 CL(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BP 50% w/v-반톡
ICI의 상품명) 0.4
염화나트륨 0.35
향료 0.2
염료 0.005
물 92.35
점도(2번 스핀들, 속도 50rpm, 25℃) 180cps
pH 3.6
[실시예 10]
중량%
아세트산(빙) 4.7
* 게나민 TA 100 D 2.0
염화나트륨 0.3
물 93.0
점도(2번 스핀들, 속도 20rpm, 25℃) 660cps
pH 3.6
[실시예 11]
중량%
프로피온산 5.8
* 파르민 O 2.0
염화나트륨 0.3
물 91.9
점도(1번 스핀들, 속도 50rpm, 25℃) 58cps
pH 3.7
[실시예 12]
중량%
무수 시트르산 5.0
* 게나민 SO 302 D 2.0
염화나트륨 2.0
향료 0.2
물 90.8
점도(2번 스핀들, 속도 50rpm, 25℃) 220cps
pH 2.35
[실시예 13]
중량%
무수 시트르산 5.0
* 게나민 TA 302 D 2.0
염화나트륨 2.0
향료 0.2
물 90.8
점도(2번 스핀들, 속도 50rpm, 25℃) 240cps
pH 2.35
[실시예 14]
중량%
L-타르타르산 5.9
* 게나민 SO 302 D 2.0
염화나트륨 1.4
향료 0.2
염료 0.005
물 90.5
점도(2번 스핀들, 속도 20rpm, 25℃) 625cps
pH 2.15
[실시예 15]
중량%
L-타르타르산 5.9
* 게나민 TA 302 D 2.0
염화나트륨 1.4
향료 0.2
물 90.5
점도(2번 스핀들, 속도 20rpm, 25℃) 1065cps
pH 2.1
[실시예 16]
중량%
포름산 88% 4.1
* 게나민 SO 302 D 2.0
염화나트륨 1.3
염료 0.005
물 92.6
점도(2번 스핀들, 속도 50rpm, 25℃) 160cps
pH 2.4
[실시예 17]
중량%
포름산 88% 4.1
* 게나민 TA 302 D 2.0
염화나트륨 1.6
물 92.3
점도(2번 스핀들, 속도 20rpm, 25℃) 500cps
pH 2.5
[실시예 18]
중량%
DL-말산 5.2
* 게나민 SO 302 D 2.0
염화나트륨 1.6
염료 0.005
물 91.2
점도(2번 스핀들, 속도 20rpm, 25℃) 97cps
pH 2.45
[실시예 19]
중량%
DL-락트산 88% 5.0
* 게나민 16 R 302 D 2.0
염화나트륨 2.0
향료 0.2
염료 0.005
물 88.8
점도(1번 스핀들, 속도 20rpm, 25℃) 100cps
pH 2.75
[실시예 20]
중량%
설팜산 7.6
* 게나민 SO 302 D 2.0
염화나트륨 1.1
물 89.3
점도(1번 스핀들, 속도 50rpm, 25℃) 77cps
pH 0.8
[실시예 21]
중량%
설팜산 7.6
* 게나민 TA 302 D 2.0
염화나트륨 1.7
물 88.7
점도(2번 스핀들, 속도 20rpm, 25℃) 390cps
pH 0.9
[실시예 22]
중량%
인산 85% 5.9
* 게나민 SO 302 D 2.0
염화나트륨 1.1
물 91.0
점도(2번 스핀들, 속도 50rpm, 25℃) 170cps
pH 1.35
[실시예 23]
중량%
인산 85% 5.9
* 게나민 TA 302 D 2.0
염화나트륨 1.5
물 90.6
점도(2번 스핀들, 속도 20rpm, 25℃) 395cps
pH 1.35
[실시예 24]
중량%
진한 황산 3.83
* 게나민 TA 302 D 2.0
물 94.17
점도(2번 스핀들, 속도 20rpm, 25℃) 890cps
pH 0.85
[실시예 25]
중량%
진한 황산 3.83
* 게나민 SO 302 D 2.0
물 94.2
점도(2번 스핀들, 속도 20rpm, 25℃) 375cps
pH 0.9
[실시예 26]
중량%
시트르산 일나트륨 8.35
* 게나민 TA 302 D 2.0
염화나트륨 2.0
물 87.65
점도(2번 스핀들, 속도 20rpm, 25℃) 430cps
pH 3.75
[실시예 27]
중량%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0.8
* 게나민 SO 302 D 2.0
염화나트륨 1.7
물 95.5
점도(2번 스핀들, 속도 20rpm, 25℃) 730cps
pH 5.65
[실시예 28]
중량%
Al2(SO4)3·16H2O 6.7
* 게나민 SO 302 D 2.0
염화나트륨 0.3
물 91.0
점도(2번 스핀들, 속도 20rpm, 25℃) 390cps
pH 3.65
[실시예 29]
중량%
AlK(SO4)3·12H2O 10.0
* 게나민 SO 302 D 2.0
염화나트륨 0.1
물 87.9
점도(2번 스핀들, 속도 50rpm, 25℃) 240cps
pH 3.75
[실시예 30]
중량%
황산수소나트륨 9.5
* 게나민 SO 302 D 2.0
물 88.5
점도(2번 스핀들, 속도 20rpm, 25℃) 1500cps
pH 0.9
[실시예 31]
중량%
오르토인산 이수소나트륨 이수화물 12.0
* 게나민 SO 302 D 2.0
물 86.0
점도(2번 스핀들, 속도 20rpm, 25℃) 585cps
pH 5.2
[실시예 32]
중량%
아디프산 1.0
* 게나민 SO 302 D 2.0
염화나트륨 2.0
물 95.0
점도(2번 스핀들, 속도 50rpm, 25℃) 255cps
pH 4.55
[실시예 33]
중량%
아디프산 1.4
* 라르민 O 2.0
물 96.6
점도(2번 스핀들, 속도 5rpm, 25℃) 4095cps
pH 3.95
[실시예 34]
중량%
말레산 1.0
* 게나민 SO 302 D 2.0
염화나트륨 0.5
물 96.5
점도(1번 스핀들, 속도 20rpm, 25℃) 113cps
pH 2.6
[실시예 35]
중량%
이나트륨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6.6
* 게나민 SO 302 D 2.0
염화나트륨 1.7
물 89.7
점도(2번 스핀들, 속도 20rpm, 25℃) 785cps
pH 5.8
[실시예 36]
중량%
DL-락트산 88% 8.0
* 게나민 TA 100 D 2.0
염화나트륨 0.6
물 89.4
점도(2번 스핀들, 속도 20rpm, 25℃) 1255cps
pH 2.7
[실시예 37]
중량%
포름산 88% 4.1
* 파르민 O 2.0
반톡 CL(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BP 50% w/v-반톡은
ICI의 상품명) 0.4
염화나트륨 0.15
향료 0.2
염료 0.005
물 93.15
점도(1번 스핀들, 속도 50rpm, 25℃) 89cps
pH 2.5
[실시예 38]
중량%
포름산 88% 5.5
* 파르민 O 2.0
반톡 CL(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BP 50% w/v-반톡은
ICI의 상품명) 0.4
염화나트륨 0.2
향료 0.2
염료 0.005
물 91.7
점도(2번 스핀들, 속도 20rpm, 25℃) 450cps
pH 2.05
[실시예 39]
중량%
글리콜산 70% 8.5
* 파르민 O 2.0
염화나트륨 0.2
물 89.3
점도(2번 스핀들, 속도 250rpm, 25℃) 660cps
pH 2.5
[실시예 40]
중량%
글리콜산 70% 8.5
* 게나민 SO 302 D 2.0
염화나트륨 1.8
물 87.7
점도(2번 스핀들, 속도 50rpm, 25℃) 290cps
pH 2.3
[실시예 41]
중량%
말론산 4.0
* 파르민 O 2.0
점도(2번 스핀들, 속도 50rpm, 25℃) 185cps
pH 2.0
[실시예 42]
중량%
말론산 4.0
* 게나민 SO 302 D 2.0
염화나트륨 1.6
물 92.4
점도(1번 스핀들, 속도 50rpm, 25℃) 69cps
pH 1.9
[실시예 43]
중량%
석신산 4.6
* 파르민 O 2.0
염화나트륨 0.1
물 93.3
점도(2번 스핀들, 속도 50rpm, 25℃) 230cps
pH 3.1
[실시예 44]
중량%
석신산 4.6
* 게나민 SO 302 D 2.0
염화나트륨 2.4
물 91.0
점도(1번 스핀들, 속도 50rpm, 25℃) 105cps
pH 3.1
[실시예 45]
중량%
L(+)-아스코르브산 13.75
* 파르민 O 2.0
염화나트륨 0.5
물 83.75
점도(2번 스핀들, 속도 20rpm, 25℃) 705cps
pH 2.9
[실시예 46]
중량%
D.T.P.A.(펜테트산) 1.3
* 파르민 O 2.0
물 96.7
점도(2번 스핀들, 속도 20rpm, 25℃) 1185cps
pH 3.2
[실시예 47]
중량%
클로로아세트산 8.6
* 파르민 O 2.0
물 89.4
점도(1번 스핀들, 속도 50rpm, 25℃) 96cps
pH 1.7
[실시예 48]
중량%
플루오르화수소산 50% 3.1
* 게나민 SO 302 D 2.0
염화나트륨 0.6
물 94.3
점도(2번 스핀들, 속도 50rpm, 25℃) 370cps
pH 1.2
[실시예 49]
중량%
붕산 5.0
* 게나민 SO 302 D 2.0
염화나트륨 1.4
물 91.6
점도(1번 스핀들, 속도 20rpm, 25℃) 280cps
pH 6.2
[실시예 50]
중량%
알류미늄 아세테이트 5.3
* 파르민 O 2.0
염화나트륨 0.3
물 92.7
점도(2번 스핀들, 속도 20rpm, 25℃) 1055cps
pH 5.2
[실시예 51]
중량%
타르타르산 수소 칼륨 1.1
* 게나민 TA 302 D 2.0
염화나트륨 0.7
물 96.2
점도(1번 스핀들, 속도 50rpm, 25℃) 78cps
pH 6.3
[실시예 52]
중량%
인산 85% 5.9
* 아로목스 T/12 4.0
염화나트륨 1.0
물 89.1
점도(2번 스핀들, 속도 20rpm, 25℃) 395cps
pH 1.5
[실시예 53]
중량%
진한 황산 8.0
* 아로목스 T/12 4.0
물 88.0
점도(2번 스핀들, 속도 20rpm, 25℃) 380cps
pH 0.7
[실시예 54]
중량%
무수 시트르산 5.0
* 아로목스 T/12 4.0
염화나트륨 2.0
물 89.0
점도(1번 스핀들, 속도 20rpm, 25℃) 160cps
pH 2.5
물(1A) 및 5중량% 시트르산(1B)의 점도와 비교할 경우, 실시예 1의 점도가 상당히 크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증점제가 수-불용성이기 때문에, 이 경우에 증점제의 수용액과는 비교할 수 없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 1 내지 54는, 예를들면 수세식 변기 세정제, 금속 세정제 및 광택제 뿐아니라 겔 전지와 같은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0)

  1. 하나 이상의 산 또는 산성염, 임의로 하나 이상의 강이온성 염 및 조성물을 증점시키고 조성물에 목적하는 점도를 부여하기 위한 유일한 유기 증점제로서의 하나 이상의 일반식(Ⅰ)의 화합물 0.1 내지 10중량%(여기서, 증점제 및 산 또는 산성염은 모두 실질적으로 수용성이다)포함하여 25℃에서 1번 스핀들을 사용하여 50rpm에서 브룩필드 RVT 점도계로 측정한 점도가 30mPas 이상이고 pH가 6.5이하인 증점 수성 변기 세정 조성물.
    Figure kpo00005
    상기식에서, R은 탄소수 8 내지 24의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알킬, 아릴, 알크아릴, 아르알킬 또는 알케닐 그룹이고 ; R1은 수소,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알킬, 아릴, 알크아릴, 아르알킬 또는 알케닐 그룹이며 ; R2는 수소,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알킬, 아릴, 알크아릴, 아르알킬 또는 알케닐 그룹이며 ; 단, R, R1또는 R2가, 천연오일 또는 지방에서 수득된 지방산 또는 균등한 합성 지방산에서 유도된 알킬 또는 알케닐 그룹이거나 알킬 잔기의 탄소소수가 8 내지 12인 알크아릴 글부일 경우, 다른 치환체는 각각 일반식[A]x-H 및 [A]y-H(여기서, A는 에폭시 또는 프로폭시이고 ; x 및 y는 독립적으로 1,2 또는 3이다)을 갖지 않는다.
  2. 제1항에 있어서, 증점제가 수-불용성인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그룹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알킬 또는 알케닐 그룹인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R이 우지, 대두유, 올레산, 팔미트산 또는 미리스트산의 천연 또는 합성 공급원으로부터 유도되는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R이 리놀렌산, 리시놀레산, 리놀레산 또는 헥사데카노산의 찬연 또는 합성 공급원으로부터 유도되는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1및 R2그룹이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수 1 내지 4의 비치환된 저급 알킬 그룹 또는 치환된 알킬 그룹인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R1및 R2그룹이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메틸 그룹인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증점제가 일반식(Ⅰ) 화합물의 혼합물인 조성물.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산이 인산, 황산, 붕산, 설팜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락트산, 포름산, 아세트산, 글리콜산, 펜테트산,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말산, 아디프산, 말레산, 말론산, 석신산, 플루오르화수소산, 아스코르부산 또는 클로로아세트산인 조성물.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산성염이 일나트륨 시트레이트, 황산수소나트륨, 오르토인산이수소나트륨, 이나트륨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황산칼륨알루미늄, 알루미늄 아세테이트, 칼륨수소 타르트레이트 또는 황상알루미늄인 조성물.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증점제의 농도가 0.1 내지 10중량%의 범위인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제2항에 있어서, 증점제의 농도가 0.4 내지 5.0중량%의 범위인 조성물.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산 또는 산성염의 농도가 0.01중량% 이상인 조성물.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산 또는 산성염의 농도가 0.1 내지 30중량%의 범위인 조성물.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향료, 염료, 격리(sequestering)제, 계면활성제 또는 살균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조성물.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강이온성 염이 알칼리 금속 할로겐화물, 알칼리 금속 황산염, 암모늄 할로겐화물, 황산암모늄 또는 장쇄 4급 암모늄 화합물인 조성물.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상한 및/또는 하한 운점을 조절하는데 효과적인 화합물을 추가로 함유하는 조성물.
  18. 제17항에 있어서, 화합물이 강이온성 염,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 조성물과 혼합될 수 있는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19. 제18항에 있어서, 용매가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톡시 에탄올 또는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에테르인 조성물.
  20. (a) 하나 이상의 산 또는 산성염 ; (b)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같은 증점제(여기서, 증점제 및 산 또는 산성염은 함께 실질적으로 수용성이다) 및 임의로 (c) 강이온성 염을 1번 스핀들을 사용하여 50rpm에서 브룩필드 RVT 점도계로 측정한 25℃에서의 점도가 30mPas 이상이 되도록 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물에 용해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제1항, 제2항, 제3항 내지 제6항, 제7항, 제8항 내지 제15항, 제16항, 제17항 내지 제19항 및 제20항에서 청구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19870007740A 1986-07-17 1987-07-16 아민-산 증점 조성물 KR9500062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H698986 1986-07-17
AUPH6989 1986-07-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797A KR880001797A (ko) 1988-04-26
KR950006289B1 true KR950006289B1 (ko) 1995-06-13

Family

ID=3771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7740A KR950006289B1 (ko) 1986-07-17 1987-07-16 아민-산 증점 조성물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EP (1) EP0253676B2 (ko)
JP (1) JPS6324000A (ko)
KR (1) KR950006289B1 (ko)
AT (1) ATE64753T1 (ko)
AU (1) AU602707B2 (ko)
BR (1) BR8703747A (ko)
DE (1) DE3771008D1 (ko)
DK (1) DK170538B1 (ko)
EG (1) EG18545A (ko)
ES (1) ES2022360T5 (ko)
GR (1) GR3002573T3 (ko)
IE (1) IE60070B1 (ko)
IN (1) IN172271B (ko)
MX (1) MX170920B (ko)
MY (1) MY102871A (ko)
NO (1) NO175967C (ko)
NZ (1) NZ221105A (ko)
PT (1) PT85352B (ko)
ZA (1) ZA875279B (ko)
ZM (1) ZM5787A1 (ko)
ZW (1) ZW132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169902B (es) * 1986-07-10 1993-07-30 Colgate Palmolive Co Mejoras a composiciones acondicionadoras de tela a traves del lavado
US4743395A (en) * 1986-09-12 1988-05-10 The Drackett Company Thickened acid cleaner compositions containing quaternary ammonium germicides and having improved thermal stability
US4869836A (en) * 1988-05-03 1989-09-26 Colgate-Palmolive Co. Wash cycle fabric conditioning compositions: tertiaryamine-multi-functional carboxylic acid complex
EP0486113A3 (en) * 1990-11-16 1992-07-08 Akzo N.V. Biodegradable fabric softeners derived from aspartic acid or glutaminic acid
CA2107939C (en) * 1993-01-13 2001-01-30 Stephen B. Kong Acidic aqueous cleaning compositions
ATE194380T1 (de) 1993-06-01 2000-07-15 Ecolab Inc Verdickte reiniger fuer harte oberflaechen
DE4331942C2 (de) * 1993-09-21 1996-02-22 Loeffler Karl Gmbh & Co Kg Verwendung einer Zusammensetzung zur Reinigung und Desinfektion von Gegenständen in der Brauindustrie
DE69534500T2 (de) * 1994-06-07 2006-07-06 Reckitt Benckiser Inc. Mit n-alkyl-n-acylaminosäuren und myristyl/cetyl-dimethylaminoxide verdickte reinigungszusammensetzungen
MX9703154A (es) * 1994-10-28 1998-02-28 Procter & Gamble Composiciones limpiadoras de superficie dura que comprenden aminas protonadas y agentes tensioactivos de oxido de amina.
GB9600030D0 (en) * 1996-01-03 1996-03-06 Johnson & Son Inc S C Cleaning compositions
EP0808892A1 (en) * 1996-05-21 1997-11-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cidic cleaning compositions
EP0808891A1 (en) * 1996-05-21 1997-11-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cidic cleaning compositions
US6617293B2 (en) 2001-08-06 2003-09-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hickening on dilution liquid soap
US9668471B2 (en) 2003-05-28 2017-06-06 AgQuam LLC Manufacture and use of agricultural spray adjuvants for hard water conditions
FR2897611B1 (fr) * 2006-02-20 2008-05-30 Gilles Allard Produit de traitement d'un reservoir et d'une cuvette de chasse d'eau
DE102019211844A1 (de) * 2019-08-07 2021-02-11 Beiersdorf Ag Kosmetische Nanoemulsion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56962A (en) * 1964-10-30 1967-02-01 Grace W R & Co Improvements in forming cold water dispersions of aliphatic fatty amines
GB1240469A (en) * 1967-08-08 1971-07-28 Atlas Preservative Company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leaning compositions
DE1931768C3 (de) 1969-06-23 1985-05-30 Bölsing, Friedrich, Prof. Dipl.-Chem. Dr., 3067 Lindhors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phosphorsäurehaltigen Pastengrundlage und deren Verwendung
US3925229A (en) * 1969-06-23 1975-12-09 Boelsing Friedrich Cleaning composition containing phosphoric acid, a process for its manufacture and its uses
FR2207984B1 (ko) * 1972-11-27 1975-11-21 Reckitt & Colmann Sa
US3943234A (en) * 1973-08-09 1976-03-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cidic emollient liquid detergent composition
US4021377A (en) * 1973-09-11 1977-05-03 Miles Laboratories, Inc. Liquid detergent composition
US4299739A (en) * 1976-03-25 1981-11-10 Lever Brothers Company Use of aluminum salts in laundry detergent formulations
FR2459830A1 (fr) * 1979-06-26 1981-01-16 Voreppe Ind Chimiques Compositions nettoyantes et detartrantes a base d'acide sulfamique, ayant une viscosite stable
JPS5655499A (en) * 1979-10-11 1981-05-16 Lion Corp Manufacture of liquid detergent composition
JPS6031360B2 (ja) * 1979-12-18 1985-07-22 ライオン株式会社 液体洗剤組成物
GB2071688B (en) * 1980-03-13 1984-02-08 Jeyes Ltd Liquid cleaning and descaling compositions
ZA826902B (en) * 1981-10-01 1984-04-25 Colgate Palmolive Co Safe liquid toilet bowl cleaner
US4597975A (en) * 1981-11-06 1986-07-01 Woodward Fred E Iodine surface active compositions
US4587030A (en) * 1983-07-05 1986-05-06 Economics Laboratory, Inc. Foamable, acidic cleaning compositions
FR2548682B1 (fr) * 1983-07-08 1985-11-08 Lesieur Cotelle Composition pour le nettoyage automatique des cuvettes de wc
GB8508129D0 (en) * 1985-03-28 1985-05-01 Procter & Gamble Ltd Textile treatment composition
GB2172910B (en) * 1985-03-28 1989-06-21 Procter & Gamble Detergent containing a fabric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372187A (da) 1988-01-18
MY102871A (en) 1993-03-31
PT85352A (en) 1987-08-01
NO175967C (no) 1995-01-11
NO873000L (no) 1988-01-18
EP0253676B1 (en) 1991-06-26
ATE64753T1 (de) 1991-07-15
EP0253676A2 (en) 1988-01-20
JPS6324000A (ja) 1988-02-01
NO175967B (no) 1994-10-03
NO873000D0 (no) 1987-07-17
KR880001797A (ko) 1988-04-26
EG18545A (en) 1993-07-30
DK372187D0 (da) 1987-07-16
NZ221105A (en) 1990-01-29
BR8703747A (pt) 1988-03-29
EP0253676A3 (en) 1988-09-21
IN172271B (ko) 1993-05-29
ES2022360B3 (es) 1991-12-01
DK170538B1 (da) 1995-10-16
EP0253676B2 (en) 1994-08-03
AU602707B2 (en) 1990-10-25
ZW13287A1 (en) 1987-10-28
AU7578787A (en) 1988-01-21
ZM5787A1 (en) 1989-09-29
MX170920B (es) 1993-09-22
ZA875279B (en) 1988-04-27
PT85352B (pt) 1990-04-30
GR3002573T3 (en) 1993-01-25
IE60070B1 (en) 1994-06-01
DE3771008D1 (de) 1991-08-01
IE871943L (en) 1988-01-17
ES2022360T5 (es) 1995-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6289B1 (ko) 아민-산 증점 조성물
US5472629A (en) Thickened acid microemulsion composition
EP0690909B1 (en) Cleaning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JPH0796671B2 (ja) 増粘用の水性組成物および増粘用プレミックス組成物
US5192460A (en) Safe acidic hard surface cleaner
US5039441A (en) Safe acidic hard surface cleaner
US5294364A (en) Safe acidic hard surface cleaner
US4203872A (en) Surfactant system
US4020016A (en) Cleaning compositions effective in dissolving soap curd
JPH08510772A (ja) 濃厚硬質表面洗浄剤
US5393454A (en) Thickened composition containing polymeric thickener and aliphatic hydrocarbon
JPS6390600A (ja) 増粘された水性清掃組成物
JPS5925894A (ja) 脂肪酸含有洗剤組成物
US5656580A (en) Acidic cleaning compositions self-thickened by a mixture of cationic and nonionic surfactants
US5922667A (en) Cleaning gels
JP2001525020A (ja) グリセロールモノステアレート補助柔軟剤を含む安定なすすぎ洗いサイクル布帛柔軟剤組成物
JP2001519846A (ja) 布帛柔軟用に有効な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520260A (ja) アルコキシル化アミンを含む酸洗浄用組成物及びその使用
EP0601990B1 (en) Self-thickened acidic cleaning composition
US5393453A (en) Thickened composition containing glycolipid surfactant and polymeric thickener
JP4323093B2 (ja) アルコキシル化アミン及び洗浄組成物におけるこれらの使用
WO1994013769A1 (en) Self-thickneded acidic cleaning composition
JP2001506694A (ja) モノアルキル陽イオン界面活性剤を含む洗浄剤組成物
JP3306327B2 (ja) 硬質表面用洗浄剤組成物
WO2003074643A1 (en) Acidic cleaning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