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5882B1 - 볼 밸브 - Google Patents

볼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5882B1
KR950005882B1 KR1019910700923A KR910700923A KR950005882B1 KR 950005882 B1 KR950005882 B1 KR 950005882B1 KR 1019910700923 A KR1019910700923 A KR 1019910700923A KR 910700923 A KR910700923 A KR 910700923A KR 950005882 B1 KR950005882 B1 KR 950005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valve
passage
orifice
down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700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1730A (ko
Inventor
이꾸오 요꼬야마
Original Assignee
아사히 유끼자이 고교 컴파니, 리미티드
가베모리 쭈우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327372A external-priority patent/JP251074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14633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86914B2/ja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유끼자이 고교 컴파니, 리미티드, 가베모리 쭈우기 filed Critical 아사히 유끼자이 고교 컴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920701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1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5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8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6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6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16K5/0605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with particular plug arrangements, e.g. particular shape or built-in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4238With cleaner, lubrication added to fluid or liquid sealing at valve interface
    • Y10T137/4245Cleaning or steam steriliz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718Dividing into parallel flow paths with recombining
    • Y10T137/86743Rotary
    • Y10T137/86751Plu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ps Or Cocks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볼 밸브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볼 밸브의 제1실시예의 개방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볼의 우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을 따라 취한 격벽의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볼의 연통부가 비어있는 상태인 제2실시예의 종단면 정면도.
제5도는 제4도의 볼의 좌측면도.
제6도는 제3실시예의 종단면 정면도.
제7도 내지 제19도는 각각 제6도의 스템의 정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
제10도는 제4실시예의 종단면 정면도.
제11도는 제5실시예의 종단면 정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볼 밸브의 제6실시예의 개방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변형예인 제7실시예의 종단면 정면도.
제14도 및 제15도는 제13도에 도시한 볼 밸브의 폐쇄상태에서의 볼을 중심으로한 횡단면 평면도.
제16도는 제14도의 변형예에 따른 볼을 중심으로 한 횡단면 평면도.
제17도는 제16도의 변형예에 따른 볼을 중심으로 한 횡단면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볼 2 : 밸브본체
3 : 통로 4 : 오리피스
5, 6 : 연통부 7 : 격벽
8 : 밸브실 9 : 개구부
11, 12 : 유니온 13, 14 : 시트링
15, 16 : 플랜지가 부착된 본체 캡 17, 18 : 캡너트
19, 20, 23, 24 : 통로 21 : 스템
26 : 플랜지부 27, 28, 29 : 그루브
본 발명은, 밸브가 개방되었을 때 유체가 고이는 부분이 형성되지 않아 잡균의 발생을 막을 수 있는 볼 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반도체 산업, 바이오 및 의료산업, 식품산업 및 기타의 화학산업분야의 액체수송라인에서, 밸브실내에 제공되고 시트링이 장착된 시트 캐리어에 의해 파지되는 볼로 구성되는 볼 밸브와, 내부에 구상공간이 형성된 케이싱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볼로 구성되어 내부에 포킷을 형성하지 않는 포킷리스 볼 밸브등이 사용되었다.
이들 종래의 볼 밸브에 있어서, 밸브가 장시간 개방되어 그를 통해 유체가 흐를 경우, 밸브실 및 볼 사이에 형성된 공간과 액체 통로간의 연결상태는 완전 차단됨으로써 공간내의 유체는 완전한 사액(체류액)이 되어 잡균의 번식등을 막을 수 없게 된다.
또한, 포킷리스 볼 밸브는, 밸브표면전체가 활주부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큰 회전 토오크를 가지지만, 매끄러운 작용을 행할 수 있도록 볼과 구상공간의 가공정밀도는 매우 정밀해야만 한다. 또한, 미시적인 관점에서, 활주부가 사용되기 때문에, 물이 그 안으로 들어오면 잡균의 번식등을 막을 수 없게 된다.
그밖에, 종래의 볼 밸브에 있어서, 밸브가 폐쇄되는 경우, 밸브실 공간내로 유입되는 유체는 밀봉상태로 체류하게 되며, 이것은 때때로 문제를 발생시킨다. 예를들어, 반도체 산업분야에서, 배관내부를 살균할 목적으로 때때로 과산화수소수를 배관내에 유입시키지만, 유체가 흐른 후에 볼 밸브가 폐쇄되면, 밸브실내에 밀봉된 과산화수소수에서 가스가 발생하여 밸브실내의 압력이 상승함에 따라 볼 밸브 본체에 균열이 발생하고 시트링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밸브가 개방되었을 때 유체가 체류될 수 있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고 밸브의 회전토오크가 작으며 특수한 가공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 볼 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밸브가 폐쇄되었을 때 유체의 누출이 전혀 발생하지 않고 밸브가 폐쇄되었을때 체류유체에 의한 볼 밸브의 파손이 일어나지 않는 볼 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밸브실내에 설치된 볼의 회전에 의해 밸브가 개방되고 폐쇄되는 볼 뱁브에 있어서, 볼 밸브의 통로내에는 오리피스가 설치되고, 오리피스의 상류측 및 하류측과 밸브실 공간을 연결하는 연통부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볼 밸브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볼의 통로내에는 오리피스가 설치되고 연통부는 볼내의 통로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오리피스가 볼의 통로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볼의 통로의 중앙부에는 스템의 플랜지부가 끼워맞춤되는 그루브와 연통하는 연통구멍이 설치되며, 플랜지의 측부와 하단부에는 밸브실 공간과 연통하는 연통 그루브가 설치된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오리피스는 볼의 통로내에 설치되고, 오리피스의 상류측에 위치한 연통부는 밸브본체내에 미끄럼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유니온내에 설치되며, 오리피스의 하류측에 위치한 연통부는 볼의 통로단부의 하류측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오리피스는 밸브본체내에 미끄럼 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하류측 유니온의 통로내에 설치되고, 오리피스의 상류측에 위치한 연통부는 볼의 통로의 단부의 상류측에 설치되며, 하류측에 위치한 연통부는 상기 유니온내에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밸브실내에 설치된 볼의 회전에 의해 밸브가 개방되고 폐쇄되는 볼 밸브에 있어서, 상기 볼내에 설치된 통로의 일단부의 구경은 크고 타단부의 구경은 작으며, 볼의 구경이 큰 측부와 구경이 작은 측부에는 밸브가 개방되었을 때 볼 통로와 밸브실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부가 각각 설치되고, 볼의 구경이 작은 측부에서 볼과 면접촉하는 시트 캐리어의 통로의 구경은 볼의 구경이 작은 측부에서의 구경과 사실상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볼 밸브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볼의 구경이 큰 측부에 설치된 연통부는 밸브가 폐쇄되었을 때 구경이 큰 측부에서의 시트 캐리어가 통로와 연통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볼의 통로의 구경이 작은 측부에 설치된 연통부는 밸브가 폐쇄되었을때 구경이 작은 측부에서의 시트 캐리어의 통로와 연통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볼 밸브의 재료로는 금속, 플라스틱 또는 세라믹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볼의 회전에 의해 밸브가 개방 또는 폐쇄되고 밸브는 볼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설치된 시트링에 의해 밀봉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유니온이 두 단부에 미끄럼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밸브본체로 구성되는 염화비닐수지 볼 밸브이 개방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제1도에서, 도면부호 1은 원통형 밸브본체(2)의 밸브실내에 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볼을 나타낸 것이고, 볼의 내부에 설치된 통로(3)의 하류측에는 폭이 좁은 오리피스(4)가 형성되어 있다. 오리피스(4)는 하류측으로 가면서 통로(3)의 구경이 적어지는 형태로 구성되었지만 전 길이에 걸쳐 동일한 크기의 구경을 갖는 통로내에 오리피스부분이 설치될 수도 있는 바, 이러한 설치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따르지 않는다. 이 경우, 링이 통로내에 끼워맞춤되고 그 부분의 폭을 좁게하고 오리피스(4)를 형성하게 된다. 통로(3)내에 설치된 오리피스(4)의 위치는 통로(3)의 하류측에만 국한되지 않고 중앙 또는 상류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면부호 5 및 6은 오리피스(4) 부근의 통로(3)의 상류측단부 및 하류측단부, 즉 입구통로부와 출구통로부에 설치되어 통로(3)와 밸브실 공간(8)을 연결하는 연통부이다. 연통부(5, 6)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로(3)의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그루브로 이루어져 있다. 그루브 사이의 격벽(7)의 단면형상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된 곡면이고, 이후에 설명되는 시트링(13, 14)과 선접촉함으로써 양호한)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볼(1)의 구상표면에서의 방사상 방향으로의 연통부(5, 6)의 길이는 밸브페쇄시 밀봉작용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내에 놓이고, 이후에 설명되는 시트링(13, 14)의 (제2도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유효밀봉구경보다 더 크게 설정되어야 한다.
연통부(5, 6)는 각각 오리피스(4)의 상류측부 및 하류측부 모두에 설치되어야만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이후에 설명될 본 발명의 특징적인 작용을 얻지 못하게 된다. 원통형 밸브본체(2)에는, 그 중앙부에서 축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개구부(9)를 구비한 머리부(10)가 설치된다. 핸들(22)과 끼워맞춤되는 스템(21)은 개구부(9)내에서 지지되고, 스템(21)의 하단부에 끼워맞춤되는 볼(1)은 밸브실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도면부호 11 및 12는 원통형 밸브본체(2)의 양측에서 미끄럼가능하게 끼위맞춤되는 유니온이다. 볼(1)과 면접촉하는 내부원주측면은 볼(1)과 접촉하여 밀봉작용을 하는 시트링(13, 14)과 끼워맞춤된다. 도면부호 15 및 16은 플랜지가 부착된 본체캡이다. 이 캡에 결합된 캡너트(17, 18)를 원통형 밸브본체(2)의 외부 원주측면 쪽으로 나사회전시키면, 시트링을 통해 유니온(11, 12)에 고정된다. 유니온(11, 12) 및 플랜지가 부착된 본체캡(15, 16)에는 밸브가 개방되었을 때 유체를 연통시키는 연속통로를 형성하는 통로(19, 20, 23, 24)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입구통로(24, 20)를 통과하여 볼(1)의 통로(3)에 다다른 유체는 오리피스(4)를 통과하여 출구통로(19, 23) 밖으로 홀러나간다. 오리피스(4)의 작용으로 인해, 상류측과 하류측에는 유체의 압력차가 발생한다. 즉, 오리피스(4)의 상류측 압력(P1)은 하류측 압력(P2)보다 커지게 된다. 그결과, 통로(3)내로 유입된 유체의 일부는 볼(1)의 상류측 연통부(5)를 통과하여 원통형 밸브본체(2)의 밸브실공간(8)내로 흘러들어간다. 또한, 유체는 밸브실공간(8)을 채우고 오리피스(4)의 하류측부에 설치된 연통부(6) 근방에까지 미치지만, 연통부(6)는 하류측부에서 볼(1)의 통로(3)와 연통하며, 따라서 상기한 압력차로 인해 유체가 연통부(6)를 통과하고, 통로(3)를 통과하여 출구통로(19, 23) 밖으로 홀러나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밸브가 개방되어 있는 동안, 유체는 블 밸브내의 모든 공간에서 체류함없이 연속적으로 유동하여 출구통로 밖으로 흘러 나가게 된다.
제4도는 제1도의 연통부(5, 6)가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는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제1도와 동일한 볼 밸브의 종단면도이다. 제5도는 제4도의 볼(1)의 좌측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의 유체의 흐름은 제1도의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6도 내지 제9도는 제1도의 볼(1)과 스템(21)이 개량된 제3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면에서, 도면부호 25는 볼(1)의 통로(3)의 중앙에 설치되어 스템(21)의 플랜지부(26)가 끼워맞춤되는그루브(27)와 연통하는 연통구멍이다.
플랜지부(26)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템(21)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T형상을 하고 있다. 측면부에는 스템(21)의 축선에 평행하고 밸브실공간(8)과 연통하는 다수의 연통그루브(28)가 설치된다. 또한, 하단부에는 이와 유사하게 종횡으로 연통그루브(29)가 설치된다. 이들 연통그루브를 한정하는 격벽의 단면형상이 약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우수한 효과를 얻게 된다.
본 실시예의 유체의 흐름에는, 상기한 흐름외에도 아래의 흐름이 발생한다. 즉, 볼(1)의 통로(3)내로 유입된 유체의 일부는 연통구멍(25)을 통과하여 그루브(27)내로 흐르고, 스템(21)의 플랜지부(26)내에 설치된 연통그루브(29, 28)를 통과한 다음 밸브실공간(8)내로 유츌된다.
따라서, 종래의 볼 밸브의 문제점이었던, 스템과 볼의 연결부에서의 작은 간격에서 체류된 유체가,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밸브가 개방되었을 때 연속적으로 이동하여 하류측으로 흐르기 때문에 종래의 문제점이 해소된다.
제10도는 제4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오리피스(4)의 상류측의 연통부(5)가 유니온(12)내에 설치되며, 이 유니온(12)의 통로(20)와 밸브실공간(8)이 상호 연통된다. 작용은 상기 설명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1도는 제5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오리피스(4)가 유니온(11)의 통로(19)내에 설치되고, 오리피스(4)의 하류측의 연통부(6) 또한 유니온(11)내에 설치된다. 작용은 상기 설명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원통형 밸브본체(2)의 밸브실내에 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볼(1)의 내부에는, 일단부(30)(본 도면에서는 상류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상류측 단부로 지칭함)는 구경이 크고 타단부(31)(본 도면에서는 하류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하류측 단부로 지칭함)는 구경이 작으며, 하류측으로 내려갈수록 구경이 축소되는 횡대 형상단면으로 된 통로(3)가 형성된다. 상류측단부(30)와 하류측단부(31) 근처에는 통로(3)와 밸브실공간(8)을 연결하는 연통구멍(5, 6)이 각각 8개씩 설치되어 있다(제5도 참조). 연통구멍(5, 6)의 구경과 숫자는 볼 재료의 강도를 고려하여 정해지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연통구멍(5, 6)의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캐리어(이하, 이 실시예에서는 유니온으로 지칭함)에 의해 고정되는 시트링(13, 14)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통부가 구멍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그루브로 구성될 수도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밸브개방시에, 유체가 볼(1)의 통로(3)를 통해 흐르지만,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그 일부는 상류측연통구멍(5)과 밸브실(8)을 통과하고 하류측 연통구멍(6)을 경유하여 유니온(11)의 통로(32)의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밸브실공간(8)내에서, 밸브가 개방되어 있을 때, 유체가 연속적으로 하류측으로 유출됨에 따라 유체의 체류현상은 일어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류측에 위치한 유니온(11)내에 설치된 통로에서 볼(1)과 면접촉하는 측부의 통로(32)의 구경은 볼(1)의 구경이 작은 단부의 구경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제1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볼 밸브의 제6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이 실시예는 제12도의 변형예로, 볼(1)에 설치된 통로(3)의 단면형상은 제12도의 경우와 다르다. 상류측의 구경은 크고 하류측의 구경은 작다. 구경이 큰 측부와 구경이 작은 측부는 장방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양측을 연결하는 중간부는 횡대형상, 즉 평행한 통로에서 테이퍼형 통로로 변하고 다시 평행한 통로로 이루어지는 형상을 취한다.
제14도 및 제15도는, 제13도에 도시한 볼 밸브가 폐쇄상태에 있을 때 볼을 중심으로 하는 요부의 횡단면 정면도이다. 예를들어, 제14도의 상태에서 제15도의 상태로 이행한 경우, 즉 볼(1)이 좌측으로 약간 회전이동하여 상류측에 위치한 연통구멍(5)이 유니온(12)의 시트링(14)의 내측과 연통하는 경우에도, 하류측에 위치한 연통구멍(5)은 유니온(11)의 하류측의 시트링(13)의 외측에 위치하게 되어 유니온(12)의 통로(32)와연통하지 않게 됨으로써 시트링(13)에 의해 유체의 누출이 방지된다.
제16도는 제14도의 변형예를 보인 요부의 횡단면 평면도이다. 이 실시예와 제14도의 실시예의 차이점은, 밸브가 정상적으로 폐쇄되어 있을 때 볼(1)의 상류측에 위치한 연통구멍(5)은 유니온(12)에 장착된 시트링(14)의 내측으로 개방된다는 점이다 즉, 밸브실 공간(8)과 유니온(12)의 통로(20)를 연통시키기 위해 설치된다. 예를들어, 유체가 휘발성인 경우, 밸브가 폐쇄되었을 때 밸브실공간과 볼 통로내에 체류된 유체의 가스압력이 증가하더라도,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유체가 연통구멍(5)을 지나 상류측 유니온(12)의 통로(20)로 유출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밀폐상태에서 유체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밸브본체가 균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 하류측 유니온(11)의 구경은 상류측에서의 구경보다 작게 설정되기 때문에, 시트링(13)의 내경은 시트링(14)의 내경보다 작고 하류측에 위치한 연통구멍(5)은 시트링(13)의 외측에 위치하게 되며 하류측에는 밀봉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밸브실공간(8)과 상류측 유니온(12)의 통로(20)가 상류측에서 연통하게 되어도 볼 밸브자체의 유체누출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제17도는 제16도의 변형예를 보인 요부의 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제흐름방향이 제16도의 실시예의 경우와 정반대이고, 연통구멍(6)의 일부는 밸브가 폐쇄되었을 때 유니온(11)위에 장착된 시트링(13)내측까지 개방되어 밸브실공간(8)이 유니온(11)의 통로(32)와 소통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작용은 제16도의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제13도에 도시한 구조로 된 볼 밸브를 투명한 아크릴수지로 제조하고 아래에 기재한 조건하에서 기포를 포함하는 물을 흘려서 밸브개방시의 밸브실공간내의 물흐름상태를 측정하였다.
[조건]
1. 볼-상류측 구경 : 250
하류측 구경 : 150
유통구멍 상·하류측 모두 30짜리 8개
2. 물-수 온 : 25℃
통수량 : 0-401/min
수 압 : 1.5kgf/㎠.
그 결과, 기포를 포함한 물은 볼 통로를 통과하는 본류에 더해져서, 볼의 하류측 연통구멍을 지나고 밸브실공간을 통과하며, 하류측 연통구멍을 지난 다음 하류측의 유니온 통로로 유출되는 지류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즉, 밸브개방시, 밸브실공간내로 유입된 물은 체류함이 없이 연속적으로 흐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볼 밸브는 다음의 장점을 갖는다.
(1) 밸브개방시, 볼 통로와 밸브실공간이 상호 연통하게 됨으로써 밸브실공간내에 유체의 체류가 일어나지 않아 잡균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다.
(2) 밸브폐쇄시, 볼의 다소간의 변위에 의해 볼내에 설치된 연통부가 이동하게 되고 밸브실공간과 유니온등의 시트 캐리어내의 통로가 연통되더라도, 구경이 작은 통로를 갖는 시트 캐리어의 시트링에 의해 밀봉이 보장되어 유체가 누출될 염려가 없다.
(3) 밸브폐쇄시 볼의 상류측에 설치된 연통부가 상류측 시트 캐리어의 통로와 연통되도록 설정되면, 밸브실공간내에 체류된 휘발성 액체의 가스압력이 상승하더라도, 그 가스는 볼의 연통부를 통과하는 상류측 시트 캐리어의 통로쪽으로 유출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밀폐상태에서 가스압력이 상승하여(특히, 플라스틱 밸브등에 있어서) 밸브본체가 균열되는 사태를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반도체산업, 바이오 및 의료산업, 식품산업과 기타의 화학산업분야에서 적절히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밸브실내에 설치된 볼의 회전에 의해 밸브가 개방되고 폐쇄되는 볼 밸브에 있어서, 오리피스가 상기볼의 통로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상기 오리피스의 상류측 및 하류측과 밸브실공간을 연결하는 연통부가 설치되고, 볼의 통로의 중앙부에는 스템의 플랜지부가 끼워맞춤되는 그루브와 연통하는 연통구멍이 설치되고, 플랜지부의 측부와 하단부에는 밸브실공간과 연통하는 연통 그루브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볼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연통부가 그루브 또는 구멍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볼 밸브.
  3. 밸브실내에 설치된 볼의 회전에 의해 밸브가 개방되고 폐쇄되는 볼 밸브에 있어서, 오리피스가 상기 볼 밸브의 통로내에 설치되고, 상기 오리피스의 상류측 및 하류측과 밸브실 공간을 연결하는 연결부가 설치되고, 상기 오리피스는 볼의 통로내에 설치되고, 오리피스의 상류측에 위치한 상기 연통부는 밸브본체내에 미끄럼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유니온내에 설치되고, 오리피스의 하류측에 위치한 상기 연통부는 볼의 통로의 하류측단부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볼 밸브.
  4. 밸브실내에 설치된 볼의 회전에 의해 밸브가 개방되고 폐쇄되는 볼 밸브에 있어서, 오리피스가 상기 볼 밸브의 통로내에 설치되고, 상기 오리피스의 상류측 및 하류측과 밸브실공간을 연결하는 연통부가 설치되고, 상기 오리피스는 밸브본체내에 미끄럼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하류측 유니온의 통로내에 설치되고, 오리피스의 상류측에 위치한 상기 연통부는 볼의 통로의 상류측단부에 설치되고, 오리피스의 하류측에 위치한상기 연통부는 하류측 유니온내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볼 밸브.
  5. 밸브실내에 설치된 볼의 회전에 의해 밸브가 개방되고 폐쇄되는 볼 밸브에 있어서, 상기 볼내에 설치된 통로의 일단부의 구경은 크고 타단부의 구경은 작으며, 볼의 구경이 큰 측부와 구경이 작은 측부에는 밸브가 개방되었을 때 볼 통로와 밸브실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부가 각각 설치되고, 볼의 구경이 작은 측부에서 볼과 면접촉하는 시트 캐리어의 통로의 구경은 볼의 구경이 작은 측부에서의 구경과 사실상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볼 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연통부가 그루브 또는 구멍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볼 밸브.
  7. 제5항에 있어서, 볼내에 설치된 통로의 단면은 구경이 작은 측부쪽으로 가면서 좁아지는 횡대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볼 밸브.
  8. 제5항에 있어서, 볼내에 설치된 통로의 단면은 구경이 큰 측부와 규경이 작은 측부가 장방형이고 양측을 연결하는 중간부는 횡대형상을 취하는 형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볼 밸브.
  9. 제5항에 있어서, 볼의 통로의 구경이 큰 측부에 설치된 연통부는 밸브가 폐쇄되었을 때 구경이 큰 측부에서의 시트 캐리어의 통로와 연통가능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볼 밸브.
  10. 제5항에 있어서, 볼의 통로의 구경이 작은 측부에 설치된 연통부는 밸브가 폐쇄되었을 때 구경이 작은 측부에서의 시트 캐리어의 통로와 연통가능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볼 밸브.
KR1019910700923A 1989-12-19 1990-12-18 볼 밸브 KR9500058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27372A JP2510740B2 (ja) 1989-12-19 1989-12-19 ボ―ルバルブ
JP1-327372 1989-12-19
JP2146336A JPH0686914B2 (ja) 1990-06-06 1990-06-06 ボールバルブ
JP2-146336 1990-06-06
PCT/JP1990/001651 WO1991009243A1 (en) 1989-12-19 1990-12-18 Ball val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1730A KR920701730A (ko) 1992-08-12
KR950005882B1 true KR950005882B1 (ko) 1995-06-02

Family

ID=26477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700923A KR950005882B1 (ko) 1989-12-19 1990-12-18 볼 밸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181539A (ko)
EP (1) EP0458980B1 (ko)
KR (1) KR950005882B1 (ko)
CA (1) CA2046334C (ko)
DE (1) DE69028018T2 (ko)
ES (1) ES2090296T3 (ko)
WO (1) WO19910092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7796A (en) * 1995-03-24 1995-11-21 Hydronic Components, Inc. Ball valve with a strainer and integrated means for flushing the strainer
JP3012204B2 (ja) * 1996-09-30 2000-02-2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ボール弁
DE19604209A1 (de) * 1996-02-06 1997-08-07 Borsig Kugelhahn Gmbh Kugelhahn
PT101871A (pt) * 1996-05-07 1997-12-31 Valvulas Arco S A Valvula de passagem e derivacao paralelas, para condutas de fluidos gasosos
NO975262L (no) * 1996-11-19 1998-05-20 Stolco Stoltenberg Lerche Gmbh Dreneringskran
DE29905371U1 (de) * 1999-03-24 1999-06-10 Stuebbe Asv Gmbh Kugelhahn
DE10010716C1 (de) * 2000-03-04 2001-10-31 Honeywell Ag Absperrarmatur
US6971633B2 (en) 2002-10-15 2005-12-06 Banjo Corporation Rotatable seal for ball valve
ITBS20030092A1 (it) * 2003-10-09 2005-04-10 Valvosanitaria Bugatti S P A Otturatore a sfera per valvole o rubinetti con funzione di lavaggio della sede nel quale e' alloggiato.
ATE374332T1 (de) * 2004-07-09 2007-10-15 Geberit Technik Ag Kugelhahn
US8047228B2 (en) * 2005-02-23 2011-11-01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Metering system and use thereof
US20080169443A1 (en) * 2007-01-17 2008-07-17 Donald Loloff Ball valve
JP2009281475A (ja) * 2008-05-21 2009-12-03 Asahi Organic Chem Ind Co Ltd バルブ
JP5202101B2 (ja) * 2008-05-21 2013-06-05 旭有機材工業株式会社 ミキシングバルブ及びそれを用いたミキシング装置
JP2011174540A (ja) * 2010-02-24 2011-09-08 Tokyo Electron Ltd 真空排気用のボールバルブ及び真空排気装置
US8375977B2 (en) * 2010-04-22 2013-02-19 A.S. Jones & Company Inc. Ball valve with single access port
CN101858445B (zh) * 2010-06-08 2012-02-29 武汉艾力特阀门自控有限公司 自洁式球阀
US20120012770A1 (en) * 2010-07-15 2012-01-19 Valvosanitaria Bugatti S.P.A. Ball Valve
CN102011876A (zh) * 2010-12-06 2011-04-13 无锡四方友信股份有限公司 吨包装耐腐蚀放料球阀
CN103047439A (zh) * 2012-08-17 2013-04-17 太仓长鸿工程塑胶有限公司 Ibc桶专用聚乙烯放料球阀
JP5700021B2 (ja) * 2012-10-22 2015-04-15 Smc株式会社 流路開閉弁
US8881767B2 (en) * 2013-02-25 2014-11-11 Conbraco Industries, Inc. Ball valve and seat assembly with life-sustaining flow
DE102014101794B4 (de) * 2014-02-13 2020-02-13 Hanon Systems Vorrichtung zur Expansion von Kältemittel
ES2785925T3 (es) * 2015-02-18 2020-10-08 Velan Inc Válvula esférica multipuerto con flujo inducido en la cavidad de cuerpo de bola
DK3283797T3 (da) * 2015-04-14 2020-05-04 Omni Valve Company Llc Selvrensende dobbelt blokerings- og udluftningsventil
JP6546874B2 (ja) * 2016-04-13 2019-07-17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ガス供給機構及び半導体製造システム
EP3260745A1 (en) * 2016-06-23 2017-12-27 Eaton Industrial IP GmbH & Co. KG Flow control valve
WO2018035219A1 (en) * 2016-08-16 2018-02-22 Rjc Products, Llc Valve for fluid ejector
US20180369837A1 (en) * 2017-06-26 2018-12-27 Zhejiang Rongpeng Air Tools Co., Ltd. Compressed air distributor for spray gun
US11054044B2 (en) * 2018-02-14 2021-07-06 Fisher Controls International Llc Ball valve having a ball valve element with rotation control
IT201800007982A1 (it) * 2018-08-08 2020-02-08 Greiner Spa Rubinetto per fluido
JP6472924B1 (ja) * 2018-10-17 2019-02-20 東フロ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ボールバルブ
US11255539B2 (en) * 2020-07-11 2022-02-22 Dongsheng Zhou Gas burner control ball valve
US11110258B1 (en) * 2021-04-26 2021-09-07 Virgil Collins Liquid antimicrobial delivery system (L.A.D.S.) to help improve autoimmune regulation
US20230241534A1 (en) * 2022-02-03 2023-08-03 Nibco Inc. Water sediment filter assembly
US20230304591A1 (en) * 2022-03-24 2023-09-28 Bayotech, Inc. In-line medium pressure valv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34405A (en) * 1961-03-09 1964-05-26 Gen Dynamics Corp Valve
US3322149A (en) * 1963-11-06 1967-05-30 Norman H Haenky Valve having small quantity flow passages
DK113545B (da) * 1966-11-01 1969-03-31 W Jensen Kugleventil.
US3542337A (en) * 1968-07-29 1970-11-24 Domer Scaramucci Throttling valve with protected seals
FR2266070A1 (en) * 1974-03-25 1975-10-24 Pons & Cie Ets Nozzle for fire fighting hose - changes from jet to spray without water hammer, simplified manufacture
JPS5381436U (ko) * 1976-12-09 1978-07-06
JPS5381436A (en) * 1976-12-27 1978-07-18 Odensha Kk Preparation of outer edge of electric razor by nickellcobalt alloy electrotyping and its electric razor edge
US4342444A (en) * 1980-10-14 1982-08-03 Xomox Corporation Ball valve assembly
JPS6128918Y2 (ko) * 1981-02-27 1986-08-27
JPS59101055A (ja) * 1982-11-29 1984-06-11 Nakamichi Corp ダブルキヤプスタン駆動制御装置
JPS59101055U (ja) * 1982-12-27 1984-07-07 株式会社日阪製作所 排液孔を有するボ−ルバルブ
DE3248704A1 (de) * 1982-12-30 1984-07-12 Tuflin Armaturen XOMOX International GmbH, 8990 Lindau Absperrarmatur fuer aggressive medien
JPH0668577B2 (ja) * 1984-07-20 1994-08-3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レ−ザビ−ム走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58980B1 (en) 1996-08-07
KR920701730A (ko) 1992-08-12
DE69028018T2 (de) 1996-12-05
WO1991009243A1 (en) 1991-06-27
US5181539A (en) 1993-01-26
CA2046334A1 (en) 1991-06-20
EP0458980A4 (en) 1992-06-03
EP0458980A1 (en) 1991-12-04
DE69028018D1 (de) 1996-09-12
ES2090296T3 (es) 1996-10-16
CA2046334C (en) 1998-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5882B1 (ko) 볼 밸브
US3990475A (en) Low noise valve trim
US5172728A (en) Three-way-valve
US3821968A (en) Control valve structure having double ports
US5524863A (en) Quarter turn rotatable flow control valve
US2748798A (en) High pressure check valves
US5573037A (en) Faucet valve with external cam and pinch tubes
US2695036A (en) Valve
KR900014800A (ko) 유체방향 조정밸브
US20180250695A1 (en) Apparatus for Increasing Flux from an Ampoule
KR101746982B1 (ko) 용수저장탱크
JP2510740B2 (ja) ボ―ルバルブ
US5507190A (en) Flowmeter with improved end stops
CN215950490U (zh) 防沉积逆止阀
JP4126578B2 (ja) ボールバルブ
JPS6140871B2 (ko)
JPH0686914B2 (ja) ボールバルブ
RU2697783C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обратный клапан низкого давления
RU221202U1 (ru) Пластмассовый шаровой кран
JP2004190851A (ja) バタフライ弁
JPH04321885A (ja) 非滞留ボールバルブ
US11566714B2 (en) Fluid flow control devic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CN208072539U (zh) 一种面盆用翻板式自密封排水阀
KR101999440B1 (ko) 비선형 유량특성을 갖는 쓰리웨이 밸브
CN113418032A (zh) 液封阀及液封阀的气相介质截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1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