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5646B1 - 패킷 교환에서의 가상호 설정시의 동/정적 메모리 할당방법 - Google Patents

패킷 교환에서의 가상호 설정시의 동/정적 메모리 할당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5646B1
KR950005646B1 KR1019920006822A KR920006822A KR950005646B1 KR 950005646 B1 KR950005646 B1 KR 950005646B1 KR 1019920006822 A KR1019920006822 A KR 1019920006822A KR 920006822 A KR920006822 A KR 920006822A KR 950005646 B1 KR950005646 B1 KR 950005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cells
cell
call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6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2766A (ko
Inventor
정중수
전경표
박상규
한기철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통신공사
조백제
재단법인한국전자통신연구소
양승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통신공사, 조백제, 재단법인한국전자통신연구소, 양승택 filed Critical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to KR1019920006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5646B1/ko
Publication of KR930022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2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5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6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패킷 교환에서의 가상호 설정시의 동/정적 메모리 할당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드웨어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전체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앙 처리 장치 2 : 사용자 메모리
3 : 패킷 메모리 4 : X. 25칩 구동부
본 발명은 패킷 교환 방법에 있어서, 착신 가입자와 발신 가입자가 동일한 하드웨어에 접속되어 있을 때 가입자로부터 호 요구 패킷 및 호 접수 패킷 수신 효율적인 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동/정적 메모리 할당방안 및 메모리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킷 교환에 있어서 가입자로부터 수신한 데이타 패킷의 처리량을 높이기 위해 가입자당 충분한 셀을 버퍼내에 할당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패킷 교환 기능 수행시 가입자로부터 수신한 데이타 패킷을 저장하기 위해 가입자당 충분한 셀을 할당함과 동시에 가입자로부터 발생하는 가상호의 설정을 위해 메모리 풀에서 필요한 셀만큼 연속적인 유휴셀만 있으면 가상호를 정상적으로 처리함으로 호처리 능력을 향상시키는 가상호 설정시의 동/정적 메모리 할당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신 가입자로부터 호 요구 패킷 수신 또는 착신 가입자로부터 호 접수 패킷을 수신하여 메모리 할당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의 유무를 조사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의 조사 결과, 변수가 없으면 그에 따른 필요한 셀 갯수를 할당하는 제2단계, 상기 제1단계의 조사 결과, 윈도우 크기 변화를 요구하는 변수가 있으면 그에 따른 가상 호당 필요한 셀 갯수를 할당하는 제3단계, 상기 제1단계의 조사결과, 패킷 크기 변화를 요구하는 변수가 있으면 그에 따른 가상호당 필요한 셀 갯수를 할당하는 제4단계, 상기 제1단계의 조사 결과, 윈도우 크기 변화와 패킷 크기 변화를 요구하는 변수가 있으면 그에 따른 가상호당 필요한 셀 갯수를 할당하는 제5단계, 상기 제2 내지 제5단계 수행 후, 메모리 풀의 첫번째 셀부터 발/착신 가상호당 할당된 셀 갯수만큼 연속적인 순서로 유휴한 셀을 찾아 정상적인 호 설정을 수행하고 종료하는 제6단계에 의해 수행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개략적인 본 발명의 처리 절차를 살펴보면, 발신 가입자로부터 호 요구 패킷 수신시, 착신 가입자로부터 호 접수 패킷 수신시 임의 사용자 기능중 메모리의 할당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중 윈도우 크기 변화와 패킷 크기 변화의 요구에 의해 발/착신호의 원활한 패킷 교환을 위해 필요한 충분한 셀 갯수를 메모리 풀에서 동적으로 구하여, 그 셀의 처음부터 순서대로 데이타 패킷을 복사하는 정적인 메모리 체계를 구축하는 동/정적 메모리 관리 체계를 구현하였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드웨어의 전체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1은 중앙 처리 장치, 2는 사용자 메모리, 3은 패킷 메모리, 4는 X.25칩 구동부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수행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패킷 교환 처리 모듈은, 가입자로부터 패킷을 송/수신하기 위하여 일단 저장할 때 이용되는 메모리 버퍼부와 송신되는 패킷 처리를 수행하는 원시 프로그램 저장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메모리(2)와, 착/발신 가입자가 접속되는 X.25 칩 구동부(4), 상기 X.25 칩 구동부(4)에서 수신되는 패킷의 실시간 처리를 위해 잠시 저장하는 패킷 메모리(3)와, 패킷 교환의 전체 기능을 제어하는 중앙 처리 장치(1)가 각각 버스(데이타,주소, 제어버스)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가입자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타 패킷은 X.25칩 구동부(4)를 통해 수신되어 패킷 메모리(3)에 저장되고, 중앙 처리 장치(1)가 사용자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패킷 메모리(3)에 저장된 데이타 패킷을 사용자 메모리(2)에 복사하여 처리하게 된다.
가입자에게 송신하기 위한 데이타 패킷은 중앙 처리 장치(1)가 사용자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상기 데이타 패킷을 사용자 메모리(2)에 저장된 패킷을 패킷 메모리(3)에 복사하고, 그것을 X.25 칩 구동부(4)를 통해 송신하므로 처리된다.
제2도는 상기 중앙 처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처리 흐름도이다.
발신 가입자로부터 호 요구 패킷 수신시 또는 착신 가입자로부터 호 접수 패킷을 수신한 후(10), 메모리 풀중 셀 갯수 할당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있는가의 여부를 조사한다(11).
메모리 할당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없으면, 발/착신 가상호에 "2n"(여기서, n은 일정한 정수)개의 셀을 할당하고 할당된 "2n"개의 셀 중/메모리 풀중의 첫번째 셀번호에 해당하는 셀을 선택하여 메모리 풀의 해당셀이 유휴한지 조사한다(36 및 37).
상기 조사(37) 결과 메모리 해당셀이 유휴하지 않으면 메모리 풀의 셀 번호를 1만큼 증가시켜 메모리풀의 셀번호가 마지막 셀번호인가를 조사하여 마지막이면 종료하고, 마지막이 아니면 다시 상기 조사 과정(37)으로 복귀한다(38, 39).
그런데, 메모리 풀의 해당셀이 유휴하면, 메모리 풀 범위내의 해당셀부터 가상호당 할당된 셀 갯수만큼 유휴한 셀이 있는가를 조사하여 유휴한 셀이 없으면 유휴한 셀 번호에 1만큼 증가시켜 상기 과정(38, 39)을 수행하고, 있으면 정상적인 호 설정을 수행한 후 종료한다(40, 41).
한편, 상기 과정(11)에서 임의 사용자 기능 중 메모리 할당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있고, 메모리 할당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중 윈도우 크기 변화만큼 요구하는 정보를 수신하면(13), 윈도우 크기 변화 요구값 "K"(K는 일정한 상수로 1, 3, 4, 5, 6, 7, 8, 9, 10, 60중 한개의 값)를 수신하여 발/착신 가상호 K×n개의 셀을 취한후(16, 17), 유휴 상태인 셀을 할당하여 호 설정을 수행하는 상기 과정(36 내지 41)을 거쳐 종료한다.
여기서, 윈도우 크기 값은 CCITT 권고안 X.25에서 디폴트 값은 "2"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윈도우 크기변화 요구값 "K"는 2가 아닌 경우에 유효하다.
또한, 임의 사용자 기능 중 메모리 할당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중에서 패킷 크기 변화만을 요구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14)에는, 패킷 크기 변화 요구값 "M(M은 일정한 상수로 16, 32, 64, 256, 512, 1024중 어느 하나의 값. 여기서, 상기 숫자 16, 32, 64, 256, 512, 1024는 X.25 처리 프로토콜의 기능에서 흐름제어 파라메타 협의에 등록된 숫자를 나타낸다)"을 수신하여(18), "M"값이 16, 32, 64중 하나인지 조사한다(19).
여기서, 상기 패킷 크기 변화 요구값 "M"은, CCITT 권고안 X.25에서 규정한 패킷크기 값에 대한 변화요구값이며, 권고안에 따른 디폴트(default) 패킷크기는 128(byte)이다. 따라서 메모리 할당에 영향을 미치는 상구 변수("M")가 수신이 안 될 경우, 크기가 128인 패킷크기로 서비스를 받는다는 의미이다.
이어서, 상기 조사(19) 결과 "M"값이 16, 32, 64중 하나이면 발/착신가상호에 "2n"개의 셀을 취한 후, 유휴 상태인 셀을 할당하여 호 설정을 수행하는 상기 과정(36 내지 41)을 수행하고 종료한다.
그런데, "M"의 값이 16, 32, 64가 아니면, 그 값이 256, 512, 1024인가를 조사하여(21, 23, 25) 각각의 값이 수신되면 256의 경우에는 "4n"개의 셀을, "M"값이 512이면 "8n"개의 셀을, 또 "M"값이 1024이면 "16n"개의 셀을 취한 후(22, 24, 26), 유휴 상태인 셀을 할당하여 호 설정을 수행하는 상기 과정(36 내지 41)을 각각 거쳐 종료하고, "M"값이 지정한 값에 해당하지 않으면 종료한다. 다른 한편, 임의 사용자 기능중 메모리 하당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중 윈도우 크기와 패킷 크기 변화를 요구하는 변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15)에는 윈도우 크기 변환화 요구값 "K"와 패킷 크기 변화 요구값 "M"을 수신한 후(27) "M"값이 16, 32, 64중 하나인지 "M"값이 256, 또는 512, 또는 1024인지를 조사한다(28, 30, 32, 34).
상기 조사결과 "M"값이 16, 32, 64중 하나이면 발/착신가상호에 "K×n"개의 필요한 셀을, "M"의 값이 256의 경우에는 "K×2n"개의 셀을, "M"값이 512이면 "K×4n"개의 셀을, 또 "M"값이 1024이면 "K×8n"개의 셀을 위한 후(29, 31, 33, 35)유휴 상태인 셀을 할당하여 호 설정을 수행하는 상기 과정(36 내지 41)을 각각 거쳐 종료하고, "M"값이 지정한 값에 해당하지 않으면 종료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처리 절차에 의해 수행되는 본 발명은 메모리 할당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중 윈도우 크기 변화와 패킷 크기 변화의 요구시 및 상기 변수의 미 요구시에도 발/착신호의 원활 패킷 교환을 통해 처리량을 향상시키는 메모리 체계를 구축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사용자 메모리(2)와 X.25칩 구동부(4)와, 패킷 메모리(3)와, 중앙 처리 장치(1)를 구비한 패킷 교환장치에 적용되는 가상호 설정시 동/정적 메모리 할당 방법에 있어서, 발신 가입자로부터 호 요구 패킷 수신 또는 착신 가입자로부터 호 접수 패킷을 수신하여 메모리 할당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의 유무를 조사하는 제1단계(10, 11), 상기 제1단계(10, 11)의 조사 결과, 변수가 없으면 그에 따른 필요한 셀 갯수를 할당하는 제2단계(12), 상기 제1단계(10, 11)의 조사 결과, 윈도우 크기 변화를 요구하는 변수가 있으면 그에 따른 가상호당 필요한 셀 갯수를 할당하는 제3단계(13, 16, 17), 상기 제3단계(13, 16, 17), 상기 제1단계(10, 11)의 조사 결과, 패킷 크기 변화를 요구하는 변수가 있으면 그에 따른 가상호당 필요한 셀 갯수를 할당하는 제4단계(18 내지 26), 상기 제1단계(10, 11)의 조사 결과, 윈도우 크기변화와 패킷 크기 변화를 요구하는 변수가 있으면 그에 따른 가상호당 필요한 셀 갯수를 할당하는 제5단계(27 내지 35), 상기 제2 내지 제5단계(12 내지 35) 수행 후, 메모리 풀의 첫번째 셀부터 발/착신 가상호당 할당된 셀 갯수만큼 연속적인 순서로 유휴한 셀을 찾아 정상적인 호 설정을 수행하고 종료하는 제6단계(36 내지 41)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교환에서의 가상호 설정시의 동/정적 메모리 할당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12)에서의 셀 갯수는 2n(n=일정한 정수)개 임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교환에서의 가상호 설정시의 동/정적 메모리 할당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13, 16, 17)는, 윈도우 크기 변화 요구값을 수신하는 단계(13, 16)와, 상기 단계(13, 16) 수행후, 상기 윈도우가 변화 요구값×n개로 셀 갯수를 할당하는 단계(17)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교환에서의 가상호 설정시의 동/정적 메모리 할당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18 내지 26)는, 패킷 크기 변화 요구값(M)을 수신하여 그 값이 흐름제어 파라메타 협의에 등록된 숫자 중에서 16, 32, 64중의 어느 하나인지를 조사하는 단계(18, 19)와, 상기 단계(18, 19) 조사 결과 16, 32, 64중의 어느 하나일 경우에는 2n개의 셀을 할당하는 단계(28)와, 상기 단계(18, 19) 조사 결과, 16, 32, 64중의 어느 하나가 아니고 256, 또는 512, 또는 1024이면 각각 4n개, 8n개, 16n개의 셀을 할당하는 단계(21 내지 26)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교환에서의 가상호 설정시의 동/정적 메모리 할당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27 내지 35)는, 윈도우 크기 변화와 패킷 크기 변화를 요구하는 변수(K와 M)을 수신하여 패킷 크기 변화 요구 값을 조사하는 단계(27, 28, 30, 32, 34)와, 상기 단계(27, 28, 30, 32, 34) 수행 후, 상기 패킷 크기 변화를 요구하는 변수가 흐름제어 파라메타 협의에 등록된 숫자 중에서 16, 32, 64인지, 256인지, 512인지, 1024인지를 판단하여 각각 K(윈도우 크기 변화 요구값)×n, K×2n, K×4n, K×8n개의 셀 갯수를 할당하는 단계(28, 31, 33, 35)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교환에서의 가상호 설정시의 동/정적 메모리 할당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36 내지 41)는, 메모리 풀 중의 첫번째 셀 번호에 해당하는 셀을 선택하고 메모리 풀의 해당셀이 유휴한지 조사하는 단계(36, 37)와 상기 단계(36, 37) 조사 결과, 해당 셀이 유휴하지 않으면 셀 번호를 하나 증가시키고 셀번호가 마지막 셀이 아니면 상기 단계(36, 37)로 복귀하고 마지막 셀이면 종료하는 단계(38, 39)와, 상기 단계(36, 37) 조사 결과, 해당 셀이 유휴하면 유휴한 셀을 찾아 정상적인 호 설정을 수행하고 종료하는 단계(40, 41)에 의해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교환에서의 가상호 설정시의 동/정적 메모리 할당 방법.
KR1019920006822A 1992-04-22 1992-04-22 패킷 교환에서의 가상호 설정시의 동/정적 메모리 할당방법 KR950005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6822A KR950005646B1 (ko) 1992-04-22 1992-04-22 패킷 교환에서의 가상호 설정시의 동/정적 메모리 할당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6822A KR950005646B1 (ko) 1992-04-22 1992-04-22 패킷 교환에서의 가상호 설정시의 동/정적 메모리 할당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766A KR930022766A (ko) 1993-11-24
KR950005646B1 true KR950005646B1 (ko) 1995-05-27

Family

ID=19332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6822A KR950005646B1 (ko) 1992-04-22 1992-04-22 패킷 교환에서의 가상호 설정시의 동/정적 메모리 할당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564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766A (ko) 1993-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0328A (en) Protocol parallel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CPUs allocated to process hierarchical protocols
JPH0626341B2 (ja) 通信装置
KR950005646B1 (ko) 패킷 교환에서의 가상호 설정시의 동/정적 메모리 할당방법
JPH10308826A (ja) 通信システムのサービス及び該サービスを実現するサービス装置
KR0179501B1 (ko) 다수개의 무선 단말기를 구비한 무선 전화시스템에서의 통화제어방법
KR950000673B1 (ko) 송신 데이타 패킷의 처리방법
KR950003676B1 (ko) 메모리 관리 방법
JP3251677B2 (ja) 通信制御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US6950509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 free connecting line in a switching center having a number of subscriber access units
JP2963707B2 (ja) ファクシミリ蓄積交換装置
KR100333943B1 (ko) 이동 통신 시스템 제어국에서의 호 처리 장치 및 방법
JP2761880B2 (ja) 構内交換装置の伝送制御方式
JP2831687B2 (ja) 端末アドレスの管理方式
KR100539938B1 (ko) 교환시스템의 개별 번호 헌팅 방법
JP3442307B2 (ja) ルータ装置
KR100372723B1 (ko) 티씨피/아이피 서버의 전송 대역 확장 방법
JP2535811B2 (ja) 交換機の交換制御装置
KR100258753B1 (ko) 전전자 교환기의 디에스피에이 블록간 통신 방법
US20040196831A1 (en) Signaling of multi-task calls carried by a hybrid circuit/packet network
JP2005333312A (ja) メディアゲートウェイ装置の負荷分散システム
JPH01202962A (ja) 通信方式
KR950001516B1 (ko) 패킷교환의 흐름제어 방법
JP2680662B2 (ja) 発着信制御装置
KR19980067068A (ko) 웹을 이용한 인터넷폰의 실행방법
KR20020069942A (ko) 네트워크상의 콜 센터에서 호를 분배하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