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5055Y1 - 접착성 드레싱 시트 - Google Patents

접착성 드레싱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5055Y1
KR950005055Y1 KR2019890008130U KR890008130U KR950005055Y1 KR 950005055 Y1 KR950005055 Y1 KR 950005055Y1 KR 2019890008130 U KR2019890008130 U KR 2019890008130U KR 890008130 U KR890008130 U KR 890008130U KR 950005055 Y1 KR950005055 Y1 KR 9500050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r
sheet
line
polymer film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81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4553U (ko
Inventor
데쯔지 스기이
신따로 와다
마사유끼 곤노
Original Assignee
닛또 덴꼬 가부시끼가이샤
가마이 고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또 덴꼬 가부시끼가이샤, 가마이 고로오 filed Critical 닛또 덴꼬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45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5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50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0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retention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795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 A61F2013/00817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handles or handling ta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795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 A61F2013/00829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rigid or semi-rigid bac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846Plasters with transparent or translucent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855Plasters pervious to air or vapours
    • A61F2013/00868Plasters pervious to air or vapours thin fil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접착성 드레싱 시트
제 1a 도는 본 고안의 일예를 박리 라이너의 측부에서 본 평면도.
제 1b 도는 1a 도의 I-I'선을 따라 취한 평면 단면도.
제 2a 도 및 제 2b 도는 그 사용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제 3 도는 박리 라이너가 박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 4a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예를 가요성 시트의 측부에서 본 평면도.
제 4b 도는 제 4a 도의 I-I'선을 따라 취한 평면 단면도.
제 5 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 6 도는 박리 라이너의 굽힘선과 겹쳐지는 위치에서 가요성 시트상에 절단선이 제공되어 있는 경우에 박리 라이너의 박리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 7 도는 박리 라이너가 박리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종래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합체 필름 2 : 접착층
3 : 박리 라이너 3A,3B : 분할편
4 : 가요성 시트 30A : 중앙부
32 : 굽힘선 41 : 절단선
300A : 측부
본 고안은 베인 상처를 덮거나 IV카테터를 고착하는 등에 사용되는 접착성 드레싱 시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접착성 드레싱 시트는 예를들어 JP-A-U-57-123129 및 58-124123에 개시된 바와 같이 피부 접합 특성이 우수한 중합체 필름을 기질로서 사용하고, 이 기질의 한 측부상에 접착층을 제공하며, 이 접착층상에 임시로 박리 라이너를 제공한 구조를 갖고 있다. 여기서 사용된 "JP-A-U"란 용어는 "심사되지 않고 공표된 일본국 실용신안등록출원"을 의미한다. 이러한 접착성 드레싱 시트에 있어서는 덮혀질 피부 부위를 살펴보면서 시트를 피부에 정확하게 접착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박리 라이너상에는 미리 굽힘선이 제공되고, 이 굽힘선에서 라니어를 구부려 굽힘 상태를 이용하는 동안, 덮혀질 피부의 환부를 살펴보면서 피부에 시트를 접합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제 7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질로서 사용되고 있는 중합체 필름(1')은 피부 접착 특성의 견지에서 모듈러스가 낮은 박막 형상의 재료이기 때문에, 굽힘력에 대항하는 탄성을 갖고 있지 않다. 따라서,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리 라이너(3')가 굽힘선(32')까지 박리되어 있는 경우, 라이너 굽힘편(30', 30')들은 펼쳐지며, 단지 약간의 인장 응력을 적용해 주므로서, 접착층(2')의 표면으로부터 라이너의 잔여편이 불가피하게 연속적으로 박리되어진다. 그러므로, 조심스런 취급이 필요하며 덮혀질 피부의 환부를 살펴 보면서 시트를 접착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또한, 예를들어 JP-A-U-62-42814에 개시된 바와같이 접합시에 중합체 필름(1')이 주름지지 않도록 중합체 필름(1')의 후면측에 후면 시트를 임시로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드레싱 시트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드레싱 시트에 있어서는, 중합체 필름(1')에 후면 시트를 접합하여 주름이 지지않을 정도로 후면 시트가 충분한 지지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박리 라이너상에 굽힘선을 제공하여 라이너를 구부리는데 있어서 직면하는 바와같은 불충분한 굽힘 탄성으로 인한 상기한 문제를 회피랄 수가 없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들을 극복할 수 있는 신규한 접착성 드레싱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가요성이 큰 중합체 필름의 한 측부상에 접착층을 제공하고, 이 접착층상에 박리라이너를 제공하며, 중합체 필름의 다른 측부상에는 임시로 가요성 시트가 제공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 접착성 드레싱 시트로써, 라이너 박리 방향과 대략 직각 방향으로 박리 라이너상에는 굽힘선이 제공되며, 상기 가요성 시트는 라이너가 굽힘선까지 박리되어 구부러졌을 때 라이너 굽힘편이 90°각도 이상 펼쳐지지않게 해주는 자체지지 특성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드레싱 시트를 제공해준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 1a 도 및 제 1b 도에 있어서, 참조부호 1은 폴리에테르우레탄, 폴리에스트레우레탄, 아크릴중합체, 나일론유도체, 탄성중합체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우레탄의 혼합물등을 두께가 약 20내지 150㎛이고 50% 모듈러스가 약 20 내지 200㎏/㎠로 되는 높은 가요성을 갖는 필름으로 성형해주므로서 얻어지는 중합체 필름을 나타낸다. 이 필름(1)은 피부에 필름을 접착한 후에 피부의 호흡 작용을 방해하지 않도록 접착한 후에 피부의 호흡 작용을 방해하지 않도록 습기 침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조부호 2는 예를들어 아클릴로된 접착층을 나타내며, 이는 필름(1)의 한 측부상에 제공되고, 필요하다면 이 접착층속에 원하는 약제가 함유된다. 참조부호 3은 접착층(2)상에 임시로 제공된 박리 라이너를 나타내며, 예를들어 실리콘 처리를 한 약 80내지 200g/㎡중량의 박리 종이가 사용된다. 박리 라이너(3)에는 단부(3b)를 따라 그 모서리 방향으로 연장 하는 파형의 절단선(31)(예를들면 컷트부)이 제공되며, 이 절단선(31)에 의해 라이너(3)는 분할편(3A, 3B)으로 나뉘어 진다. 보다 큰 분할편(3A)에는 다른 단부(3a)를 따라 상기 절단선(31)에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직선형 굽힘선(32)(예를들면, 천공부)이 제공되며, 상기 분할편(3A)은 비교적 면적이 큰 중앙부(30A)와 측부(300A)로 구획되어 있다. 굽힘선(32)이 제공되는 방향은 라이너 분할편(3A)의 박리 방향(f)에 거의 직각이다. 참조부호 4는 필름(1)의 다른 측부상에 부착되는 가용성 시트를 나타낸다. 이 시트(4)는 라이너 분할편(3A)이 굽힘선(32)까지 박리되어 구부러졌을 때 라이너 굽힘편〔분할편(3A)〕이 90°각도 이상 펼처지지 않게해주는 자체 지지특성을 갖도록 두께가 약 25 내지 75μ이고 가소성 시트, 종이등에서 선택된 재료로 만들어 진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접착성 드레싱 시트에 있어서는 제 2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체 시트가 가요성 시트⑷의 측부로 구부러진 경우, 절단선(31)부분에 의해 박리 라이너⑶는 분할편(3A, 3B)으로 나뉘어진다. 분할편중의 보다 작은 분할편(3B)부분은 한손의 손가락으로 보유지지되며, 동시에 보다 큰 분할편(3A)의 절단 볼록부(31A)는 다른 손의 손가락들로 보유 지지되어 시트에서 벗겨질 때가지 잡혀있는다. 보다 큰 분할편(3A)이 굽힘선(32)까지 박리되는 경우, 이 분할편(3A)은 굽힘선(32)에 의해 이 부위에서 구부러진다. 이때, 가요성 시트(4)의 커다란 자체 지지특성은 라이너 잔여편〔분할편(3A)의 측부(300A)〕의 복원력(g)에 대한 반발 탄성(y)을 나타내며 구부러진 분할편(3A)이 θ= 90°각도 이상으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해준다. 따라서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분할편(3A)을 구성하는 중앙부(30A)에 인장응력이 가해진다. 할지라도, 측부(300A)상에는 찢김 방향이 아니라 전단 방향으로 응력이 작용하므로서, 상기 측부(300A)는 접착면에서 용이하게 박리되지 않고, 그 부분의 박리가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다음에 시트가 접합되어 있는 피부면을 살펴보면서 시트 중앙부를 접착층⑵의 표면에서 거기에 접합하고, 이어서 분할편(3A)을 강하게 끌어당긴다. 이렇게 해서, 라이너 잔여편〔(측부(300A)〕은 접착층⑵의 표면에서 제거되고, 접착층(2)의 전체표면이 피부에 부착된다. 중합체 필름⑴과 함께 하나의 유니트로 만들어진 가요성 시트(4)가 박리되어 필름⑴의 표면에서 제거되므로서, 접착면에 손가락이 닿지 않고 접착이 완료된다.
제 4a 도, 제 4b 도 및 제 5 도는 본 고안의 다른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제 4a 도 및 제 4b 도에 있어서, 가요성 시트⑷상에는 이 시트를 두 개의 부분(4A, 4B)으로 분할할 수 있도록 굽힘선(32)에 평행한 방향으로 절단선(41)이 제공되며, 제 5 도에 있어서는 가요성 시트(4)를 세 개의 부분으로 분할할 수 있도록 두 개의 절단선(41,41)이 제공되어 있다. 만약 절단선들이 가요성 시트(4)상에 제공된다면, 전체 시트를 피부면에 부착하는 경우, 이 시트는 피부면의 솟아오른 형상에 따라 구부러지며, 상기 시트(4)의 분할편 (4A, 4B)이 절단선 부분에서부터 표면에 이르는 상태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시트의 박리 및 제거가 용이해진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가요성 시트(4)상에 절단선이 제공되는 경우, 이 절단선은 선이 라이너(3)의 굽힘선(32)과 교차하는 위치 또는 제 4a 도, 제 4b 도 및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행한 상태로 겹쳐있는 위치에 제공될 필요가 있다. 만약 절단선이 라이너의 굽힘선과 겹쳐지면, 본 고안의 원하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즉, 라이너가 굽힘선에서 구부러질 때의 굽힘 응력이 가요성 시트(4)의경우에 있어서, 굽힘선 부분에 집중되게 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가요성 시트(4)가 상술한 바와 같이 커다란 억압 탄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굽힘 응력은 오히려 절단선 부분에 집중되고 시트(4)는 부착전에 용이하게 박리되며(제 6 도 참조), 따라서 취급하기가 어려워진다.
본 고안에서는, 접착 작업에 있어서, 접착될 위치가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해, 중합체 필름(1)과 접착층(2) 및 가요성 시트(4)를 투명하게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라이너 굽힘편의 박리는 라이너상에 제공된 굽힘선에서 라이너를 구부려주므로서 일시적으로 정지될 수가 있다.
그러므로, 인장 응력이 적용된다 할지라도, 라이너의 잔여편은 계속하여 박리되지는 않으며, 접합될 피부면을 확인하면서 시트를 손가락으로 정확히 접합시킬 수가 있어 취급이 용이하다.
본 고안은 그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되어 졌지만, 본 고안의 정신과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에게는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충분히 알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가요성이 큰 중합체 필름과, 이 중합체 필름의 한 측부상에 제공된 접착층과, 이 접착층상에 임시로 제공된 박리 라이너 및, 중합체 필름의 다른 측부상에 제공된 가요성 시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박리 라이너상에는 라이너의 박리 방향과 대략 직각 방향으로 굽힘선이 제공되고, 상기 가요성 시트는 라이너가 굽힘선까지 박리 되어 구부러졌을 때 라이너 굽힘편이 90°각도 이상 펼쳐지지 않게 해주는 자체 지지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드레싱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라이너상에는 라이너를 분할해주기 위해 절단선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드레싱 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시트상에는 박리 라이너의 굽힘선에 겹쳐지지 않게 하여 절단선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드레싱 시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필름과, 접착층 및 가요성 시트가 투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드레싱 시트.
KR2019890008130U 1988-08-11 1989-06-13 접착성 드레싱 시트 KR95000505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6557 1988-08-11
JP10655788 1988-08-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553U KR900004553U (ko) 1990-03-07
KR950005055Y1 true KR950005055Y1 (ko) 1995-06-22

Family

ID=14436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8130U KR950005055Y1 (ko) 1988-08-11 1989-06-13 접착성 드레싱 시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354315B1 (ko)
KR (1) KR950005055Y1 (ko)
DE (1) DE68901510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6150A (ko) * 2011-01-07 2014-03-25 네오다인 바이오사이언시스, 인코포레이티드 상처 또는 피부 치료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00812A (en) * 1994-02-05 1996-11-20 Smith & Nephew Adhesive material with removable carrier
GB9402235D0 (en) * 1994-02-05 1994-03-30 Smith & Nephew Dressing
US8801681B2 (en) 1995-09-05 2014-08-12 Argentum Medical, Llc Medical device
US7214847B1 (en) 1997-09-22 2007-05-08 Argentum Medical, L.L.C. Multilayer conductive appliance having wound healing and analgesic properties
US8455710B2 (en) 1997-09-22 2013-06-04 Argentum Medical, Llc Conductive wound dressings and methods of use
US6861570B1 (en) 1997-09-22 2005-03-01 A. Bart Flick Multilayer conductive appliance having wound healing and analgesic properties
US5814094A (en) 1996-03-28 1998-09-29 Becker; Robert O. Iontopheretic system for stimulation of tissue healing and regeneration
US6841716B1 (en) * 1999-05-13 2005-01-11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Patch
EP1260565B1 (en) 2001-05-11 2006-03-29 Nitto Denko Corpora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for fixing a joint porti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DE60217925T2 (de) 2001-12-20 2007-11-08 Noble Fiber Technologies, Llc Metallisches silber enthaltende wundverbände
JP2006130085A (ja) * 2004-11-05 2006-05-25 Nitto Denko Corp 貼付製剤
SE0950362A1 (sv) * 2009-05-20 2010-11-21 Moelnlycke Health Care Ab Metod för att tillverka ett filmförband
DE102011080390B3 (de) * 2011-08-03 2012-07-12 Acino Ag Applikationshilf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5809A (en) * 1981-12-11 1984-12-04 Johnson & Johnson Products, Inc. Film window dressing
DE3344334C2 (de) * 1983-12-08 1986-11-13 Lohmann Gmbh & Co Kg, 5450 Neuwied Folienverband
US4598004A (en) * 1985-01-24 1986-07-0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hin film surgical dressing with delivery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6150A (ko) * 2011-01-07 2014-03-25 네오다인 바이오사이언시스, 인코포레이티드 상처 또는 피부 치료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54315A1 (en) 1990-02-14
EP0354315B1 (en) 1992-05-13
DE68901510D1 (de) 1992-06-17
KR900004553U (ko) 1990-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6371A (en) Adhesive dressing sheet
KR950005055Y1 (ko) 접착성 드레싱 시트
US4926850A (en) Wound dressing
US5074293A (en) Wound dressing having peeling-force varying release liners
US5336162A (en) Medical bandag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AU607567B2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ated sheets and tape pad with easily separable tabs
JPH0323063B2 (ko)
KR20110073576A (ko) 필름 드레싱
US20010049485A1 (en) Duct tape bandages
JP2596722Y2 (ja) 貼付材
JP3152966B2 (ja) 粘着シート
JPH0738138U (ja) 貼付材
JPH074806Y2 (ja) 粘着性ドレッシングシート
JP2524217Y2 (ja) 医療用粘着テ−プ
JPH09238975A (ja) 粘着フィルム
JP3955354B2 (ja) 貼付シートの貼付用補助具、それを製造するための型紙、及びそれを用いた貼付シートの貼付方法
JP3314003B2 (ja) 注射用絆創膏
JP2003153938A (ja) 粘着シート
JP6243987B1 (ja) 患部保護具
JPH02107247A (ja) 皮膚粘着テープ
JP3386985B2 (ja) 救急絆創膏
JPH05179Y2 (ko)
KR200342831Y1 (ko) 1회용 의료밴드
JP2598797Y2 (ja) ドレッシング
WO2023054670A1 (ja) 医療用ドレッシング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