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378Y1 - 핸들러의 트레이 로딩장치 - Google Patents

핸들러의 트레이 로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378Y1
KR950004378Y1 KR92015487U KR920015487U KR950004378Y1 KR 950004378 Y1 KR950004378 Y1 KR 950004378Y1 KR 92015487 U KR92015487 U KR 92015487U KR 920015487 U KR920015487 U KR 920015487U KR 950004378 Y1 KR950004378 Y1 KR 9500043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timing belt
sensor
motor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54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5242U (ko
Inventor
석병호
Original Assignee
정문술
미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문술, 미래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문술
Priority to KR920154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4378Y1/ko
Publication of KR9400052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2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3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3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3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endless chain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05Lif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핸들러의 트레이 로딩장치
제1도는 본고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로서, 제2(a)도는 1개의 트레이가 이송되어 승강판 상부에 위치된 상태도, 제2(b)도는 1개의 트레이가 승강판에 의해 상승됨과 동시에 또 다른 트레이가 이송되어 대기상태로 된 상태도.
제3도는 언로딩부를 나타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5 : 타이핑 벨트 4,7,10,11 : 폴리
6 : 모터 13 : 스토퍼
14 : 승강판 16,17 : 센서
본 고안은 제조공정에서 생산완료된 디바이스(Device)를 테스트하는 핸들러의 트레이 로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QFP(Quad Flat Package)나 PLCC(plastic Leaded Chip Carrier)타입의 디바이스를 담아 이송시키는 트레이의 로딩 시간을 줄일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QFP나 PLCC타입의 디바이스는 통상 상부가 개방되어 디바이스의 형태와 같은 캐비티(Cavity)를 갖는 트레이에 담긴 상태로 핸들러의 공급부에 공급되어져 이송수단에 의해 순차적으로 1개씩 테스터부로 이송되어지고, 테스트 완료된 디바이스는 그 결과에 따라 분류부에 있는 빈트레이에 분류되어 담겨지게 된다.
종래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핸들러에서 디바이스가 담겨진 트레이를 로딩시키기 위해 로딩부에 디바이스가 담겨진 트레이를 적재시킨 상태에서 1개의 트레이가 무빙파트(Moving Part)에 로딩되면 일측의 실린더에 의해 진퇴하는 푸셔가 무빙 파트를 푸싱시키게 되므로 트레이가 얹혀진 무파바트가 공급부로 이송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무빙파트의 이송을 실린더에 의해 실시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싸이클 타임(Cycle time)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린더에 공급되는 공압라인에 장애가 발생될 경우에는 무빙파트의 이송속도가 현저히 저하됨은 물론 반대로 공급되는 공압이 높은 경우에는 무빙파트의 이송속도가 너무 빨라지게 되므로 트레이내의 디바이스가 외부로 이탈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트레이를 벨트콘베어로 이송시킴과 동시에 공급부의 최근접부에 또다른 트레이를 대기상태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하여 싸이클 타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적재부의 하방과, 상기 하방의 일측으로 타이밍벨트를 풀리에 감겨지도록 설치하여 모터의 회전으로 풀리 사이에 감겨진 또 다른 벨트에 의해 이들이 연동되도록하고 상기 타이밍벨트의 일측 끝단부에는 스토퍼를 설치함과 동시에 승강판을 승강가능하게 설치하고 스토퍼의 일측과 승강판의 인입부 일측에는 센서를 각각 설치하여 센서가 트레이를 감지함에 따라 모터의 구동이 제어되도록 하여서 된 핸들러의 트레이로딩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고안을 일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1도는 본 고안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이며 제3도는 언로딩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본고안은 디바이스(1)가 채워진 트레이(2)를 적재시켜놓은 적재부의 하방일측에 타이밍벨트(3)가 풀리(4)에 감겨지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타이밍벨트(3)의 일측, 즉 트레이공급부 측에도 타이밍벨트(5)가 모터(6)에 의해 회전되도록 풀리(7)에 감겨져 있으며 이들은 축(8)(9)에 고정된 또다른 풀리(10)(11)사이에 감겨진 벨트(12)로 연결되어 있어 모터(6)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타이밍벨트(3)(5)는 풀리(4)(7)를 따라 연동된다.
그리고 공급부측에 설치된 타이밍벨트(5)의 일측 끝단부에 트레이(2)의 이송을 제어하는 스토퍼(13)가 고정되어 있고 그 일측으로는 승강판(14)이 실린더(15)의 동작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스토퍼(13)의 일측과 승강판(14)의 인입부 일측에는 트레이(2)를 감지하는 센서(16)(17)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8은 디바이스를 이송시키는 흡착패드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적재부에 적재된 최하방의 트레이(2)가 스톱핀(도시는 생략함)의 동작에 의해 타이밍벨트(3)상에 얹혀지는 상기 트레이(2)를 이송시키기 위한 모터(6)가 구동된다.
이는 벨트 콘베어(3)의 일측에 센서(도시는 생략함)를 설치하여 센서가 이를 감지, 모터를 구동시키므로서 가능하게 된다.
이에따라 벨트(12)로 연결된 축(8)(9)이 동시에 회전하여 타이밍벨트(3)(5)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트레이(2)는 타이밍벨트(3)(5)에 얹혀진 상태로 공급부에 이송되어져 스토퍼(13)에 의해 이송이 중단된다.
이와같이 최초의 트레이(2)가 승강판(14)의 인입부측에 설치된 센서(17)를 통과할때, 즉 핸들러의 초기 가동상태에서는 콘트롤부(도시는 생략함)가 이를 카운터 하지 않도록 셀팅시켜 놓아야 된다.
이는 최초의 트레이(2)가 이송될때 센서(17)가 이를 감지하여 모터(6)의 구동을 중단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후 스토퍼(13)의 일측에 설치된 센서(16)가 트레이(2)의 이송을 감지하여 승강판(14)을 작동시키기 위한 실린더(15)를 작동시키면 승강판(14)이 상승하여 타이밍벨트(5)상에 얹혀진 트레이(2)를 타이밍벨트(5)에서 분리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타이밍벨트(5)에 얹혀진 트레이(2)를 분리시킬때 적재부에 적재된 최하방의 2번째 트레이가 타이밍벨트(3)(5)를 따라 이송되어져 승강판(14)의 인입부측에 설치된 센서(17)에 도달하면 센서(17)가 이를 감지하여 모터(6)의 구동을 중단시키게 된다.
또한 적재부의 최하방 3번째 트레이는 타이밍벨트(3)상에 언혀져 대기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1번째 트레이(2)는 승강판(14)상에, 그리고 2번째 트레이는 승강판(14)의 인입부측에, 3번째 트레이는 적재부의 직하방에 위치된 타이밍벨트(3)상에 얹혀진 상태에서 이송수단에 의해 흡착패드(18)가 이송되어와 승강판(14)에 얹혀져 상승된 트레이(2)내의 디바이스(1)를 순차적으로 1개씩 테스터부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트레이(2) 내에 담겨진 디바이스(1)를 테스터부로 전부 이송시키고 나면 이송수단의 흡착패드(18) 일측에 설치된 또다른 흡착패드가 빈트레이를 흡착하여 언로딩부의 빈트레이 적재판(19)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그후 승강판(14)이 하강됨과 동시에 전술한 바와 같이 모터(6)가 구동하여 트레이(2)를 1스탭씩 이동시키면 승강판(14)의 인입부측에 위치되어 있던 트레이(2)가 승강판(14)에 얹혀지게 되므로 계속해서 작업을 할수 있게 됨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장치는 모터(6)의 구동에 따라 트레이(2)를 타이밍벨트(3)(5)로 이송시킴과 동시에 다음 트레이를 승강판(14)의 최근접부로 이송, 대기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트레이의 이송에 따른 싸이클 타임을 최소화 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구동원인 모터(6)의 스피드 조절이 용이하므로 인해 싸이클 타임을 더욱 줄일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1)

  1. 핸들러의 적재부에 적재된 트레이가 얹혀지는 타이밍 벨트(3)와, 상기 타이밍 벨트의 일측에 설치되고 모터(6)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트레이를 공급부로 이송시키는 타이밍벨트(5)와, 상기 각 타이밍 벨트의 구동축 사이에 설치되어 각 타이밍 벨트를 연동시키는 벨트(12)와, 상기 타이밍벨트(5)에 의해 이송이 완료된 트레이를 감지하는 센서(16)와, 상기 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이동 완료된 트레이를 타이밍 벨트에서 분리시키는 실린더(15) 및 승강판(14)과, 상기 타이밍 벨트(5)의 승강판 인입부측에 설치되고 트레이의 이송을 감지하여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센서(17)로 구성된 핸들러의 트레이 로딩장치.
KR92015487U 1992-08-18 1992-08-18 핸들러의 트레이 로딩장치 KR9500043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5487U KR950004378Y1 (ko) 1992-08-18 1992-08-18 핸들러의 트레이 로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5487U KR950004378Y1 (ko) 1992-08-18 1992-08-18 핸들러의 트레이 로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5242U KR940005242U (ko) 1994-03-16
KR950004378Y1 true KR950004378Y1 (ko) 1995-05-30

Family

ID=19338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5487U KR950004378Y1 (ko) 1992-08-18 1992-08-18 핸들러의 트레이 로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437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5242U (ko) 1994-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7282A (en) Depalletizing and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US9481530B2 (en) Depalletizing system and removal unit
US7475768B2 (en) Accumulation device and box packing system having same
JP3159989B2 (ja) 包装袋整理装置
KR101100746B1 (ko) 포장용 포대 자동 공급장치
US4181214A (en) Wafer transfer apparatus
US5664661A (en) Conveyor assembly for reorienting items
KR950004378Y1 (ko) 핸들러의 트레이 로딩장치
JP3198401B2 (ja) ウェーハリングの供給・返送装置
CN213293664U (zh) 输送装置
JPH07137712A (ja) 長尺物箱詰め装置
JPH0776302A (ja) 包装物の箱詰め装置
KR100365133B1 (ko) 수평식 핸들러의 디바이스 로딩 및 언로딩용 버퍼
JPH09194035A (ja) パレット供給装置および供給方法
KR950002576Y1 (ko) 핸들러의 트레이 위치 결정장치
JPS63154524A (ja) 荷積み装置
KR940007228Y1 (ko) 핸들러의 디바이스 자동분류 장치
JP3228397B2 (ja) 供給装置
KR0140289B1 (ko) 카세트의 이송장치
JP3404684B2 (ja) 長尺物箱詰め装置
KR0139310Y1 (ko) 회전식 콘베이어 이송장치
JPH0585608A (ja) パレツトストツカー
JP2775993B2 (ja) 搬送装置
KR910002790Y1 (ko) 블럭성형기용 제품 파렛트 운반장치
JPH0930630A (ja) コンベア及びコンベア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3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