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263B1 -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 - Google Patents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263B1
KR950003263B1 KR1019840008178A KR840008178A KR950003263B1 KR 950003263 B1 KR950003263 B1 KR 950003263B1 KR 1019840008178 A KR1019840008178 A KR 1019840008178A KR 840008178 A KR840008178 A KR 840008178A KR 950003263 B1 KR950003263 B1 KR 950003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belt
cylindrical
neck
side end
cylindrical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8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4435A (ko
Inventor
오사무 지부
Original Assignee
도오가이고무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노사기 야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오가이고무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노사기 야스오 filed Critical 도오가이고무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4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4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65G15/32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 B65G15/4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troughed or tubular; formed with joints facilitating troug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9/00Rotary conveyors, e.g. rotating discs, arms, star-wheels or c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08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the load-carrying surface being formed by a concave or tubular belt, e.g. a belt forming a troug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6Articles and bul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싱의 원통형 콤베이어의 요부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를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 장치에 건 상태의 요부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의 요부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의 요부 단면도.
제5도는 제3실시예의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를 원통형 콤베이어 장치에 건 상태의 요부 단면도.
제6도는 제3실시예의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의 변형예를 표시하는 요부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 단면도.
제8도는 제4실시예의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를 원통형 콤베이어 장치에 건 상태의 요부 단면도.
제9도는 제5실시예의 원통형 콤베이어의 단면도.
제10도는 종래의 원통형 콤베이어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7,32 :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의 중앙부
2,11,21,36 : 측단부(iug portions)
3,12,14,20,35 : 목부분(neck portion) 4 : 범퍼로 구성된 중앙보강층
5,6 : 측변보강층 7 : 복수개의 안내로울러
8 : 한쌍의 협지로울러 9 : 단면 규제로울러
10 : 표면층
13,15,16 : 목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반원상의 홈
18,33 : 측부(side portion) 19,34 : 경사부.
본 발명은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의 개량된 구성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는 한쌍의 측단부를 이송부 보다 두텁게 하거나 또는 측단부를 이송부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로 경사되게 한 형태를 하였다.
이 때문에 종래의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는 측단부를 가황 성형하기 위하여 특별한 금형을 필요로 하였다. 또한 제조된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는 베일(bale) 포장물을 이송할 때에도 이송부와 측단부는 두께가 상이하거나 형상이 틀리기 때문에 높이가 높아져서 곤란을 당하였다.
또한, 콤베이어 벨트 구동시는 풀리가 굴곡될 때에 콤베이어 두께가 두꺼워지거나 경사부를 갖는 측단부에 큰 스트레인이 작용하고 측단부가 이상 변형되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콤베이어 벨트의 굴곡주행시는 양측의 측부가 근접되고 그 결과 예를들면 제10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부 101 및 저면부 102가 기립되어 단면적이 극단으로 적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들면, 1976.9.30.자로 공고된 일본 실용신안공보 중 출원공고번호 소51-39990에 의한 콤베이어 벨트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벨트의 양측 단부는 접합되어 있고 이 접합부에서 바깥쪽을 향하고 있는 한쌍의 플랜지부(flange부)를 한쌍의 특수 케리어 로울러로써 끼워넣게 되어 있을 뿐이며 원통의 저부를 상향으로 밀어 올려줌으로써 받쳐주는 수단이 없이 아래쪽으로 매달린 상태에서(hang-down방식으로) 운행시키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리하여, 이 실용신안에는 측단부를 콤베이어부에 대하여 팽대된(膨大 : 크게 부풀어 오른) 플랜지 형상이 되게 하여 케리어 로울러등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콤베이어 벨트를 매어단 상태(hang-down된상태)에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그 목부분(neck portion)이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의 하중이 그대로 작용되어 큰 인장응력을 받게 되고 그 결과 이 목부분이 파손되기 쉬우며 그렇다고 하여 이 목부분을 견고하게 보강시키면 목부분에 유연성이 결여되어 그 결과 목부분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는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가 정확한 원형을 이룰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이 실용신안에는 측단부를 팽대된 단연부가 되도록 형성하여 케리어 로울러(13)에 걸리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고 그 때문에 측단부를 콤베이어부와 동일한 두께로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가 없어 콤베이어부와 측단부가 동일한 두께, 동일한 상면, 동일한 저부를 가질 수 없어 벨트의 상면 및 하면 즉, 표면과 이면과의 양면을 물체 이송면으로서 사용할 수가 없고 벨트의 내구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생길 뿐만 아니라, 고무부재를 가황시킬 때에 있어서 종래의 평판상 콤베이어 벨트를 제조하는 경우 사용되는 벨트 플레스는 사용할 수가 없어 중앙부보다 팽대된 측단부 때문에 특수한 금형을 별도로 필요로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렇다고 하여 이실용신안에서 측단부를 콤베이어부와 동일한 두께로 일체적으로 형성시킨 경우에는 측단부가 케리어 로울러에 걸릴 수 없게 됨으로 측단부가 케리어 로울러로부터 탈락되어 콤베이어 벨트로써 사용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야기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인바, 그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는 엔드레스 상태로 횡단면에서 볼 때 중앙 이송부와 그 이송부의 양측끝에 각각 일체적으로 형성된 한쌍의 측단부와 함께 구성되었으며 한쌍의 그 측단부가 접합하여 그 이송부를 원통형으로 형성시키는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횡단면에서 볼 때 최중앙에 위치하고 원통형에 저면을 구성하는 저면부와 그 저면부의 양측에 위치하며 원통형의 측벽을 구성하는 한쌍의 측부와 이 한쌍의 측부의 각 외측에 위치하고 원통형의 경사상방을 구성하는 한쌍의 경사부와 상기 측단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원통형의 열린곳을 구성하는 목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횡단방향에 있어서의 해당 목부분의 강성을 횡단방향에 있어서의 해당 저면부, 측부, 경사부 및 측단부의 강성보다 적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는 엔드레스 상태를 하고 있으며 횡단면에 있어서는 거의 일정한 두께를 갖고 있으며,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시이트상을 이루고 있다.
이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는 횡단면에서 볼 때 최중앙에 위치하고 또한 원통형으로 굴곡될 때 그 저면을 구성하는 저면부와 그 양측에 위치하고 원통형으로 구부려진 상태에서 측벽을 구성하는 한쌍의 측부와 또한 그 한쌍의 해당 측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원통형의 경사상방을 구성하는 한쌍의 경사부와 한쌍의 해당 경사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원통형의 열린곳을 구성하는 목부분 및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측단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의 횡단면은 거의 같은 두께를 갖는다. 이 때문에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외관상으로는 저면부, 측부, 경사부, 목부분, 측단부가 명확히 구획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에 있어서는 상기한 각 부분의 횡단방향에서의 강성을 변화시키므로 원통형으로 굴곡한 상태에서 정확한 원형에 가까운 원통형 상태를 유지한다. 측단부는 원통형의 굴곡된 상태에서 양단이 접합되어 원통형의 열린곳의 단부를 막는 부분이 된다. 즉, 측단부는 사용상태에서 각 그 외표면으로부터 회전하는 로울러 등에 의하여 강압되고 접합하는 형성이 된다. 또, 측단부의 각 상단면은 단면 규제로울러에 의하여 압압되도록 되어 있다. 측단부의 폭에 관하여는 콤베이어 벨트 전체의 크기, 운반하는 물체에 따라 정해지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통형을 형성하는 이송부의 횡방향의 길이를 100으로 할 때에 각 측단부의 폭은 2~10 정도가 적당하다. 측단부의 내표면끼리 접촉되도록 하고 외표면에는 강압로울러가 접촉되도록 한다. 이 때문에 측단부의 내표면 외표면은 다른 콤베이어 벨트의 부분 보다 내마모성이 높은 제료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측단부는 횡단방향에 대하여 높은 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측단부에 있어서, 횡단방향에 따른 기울어짐의 발생을 가급적 없도록 한 것이 좋다. 목부분은 각 내측에 위치한다. 이 목부분이 원통형으로 굴곡된 이송부의 열린 부분에 해당된다. 이 목부분의 횡단방향으로 가장 큰 굴곡이 작용한다.
또, 굴곡방행은 다른 이송부와는 달리 내표면이 철상(凸狀)을 이룬다. 목부분의 너비도 콤베이어 벨트의 용도 등에 따라 최적치를 구할 수가 있다. 일반적으로 원통형을 형성하는 이송부의 횡단방향의 길이를 100으로 할 때에 그 너비 부분의 폭(횡방향의 길이)은 0.5~10정도가 적당하다.
또한, 목부분의 강성에 관하여는 뒤에 이송부의 전체와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경사부는 원통형으로 굴곡한 상태에서 경사상방의 아치형 부분을 구성하는 것으로 목부분과 측부 사이에 존재하며 이 각 경사부의 폭도 이송부의 횡방향의 길이를 100으로 했을 때 10~15 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측부는 원통형으로 굴곡한 상태에서 측벽부가 되는 부분을 말한다. 이 측벽부의 횡단방향의 길이는 콤베이어 벨트 전체를 100으로 했을 때 20~30 정도가 적당하다. 저면부는 원통형으로 굴곡한 때에 저면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이 저면부의 횡단방향의 길이는 콤베이어 벨트부를 100으로 했을 때 20~30 정도가 적당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위에서 설명한 목부분의 횡단방향의 강성이 측단부와 다른 이송부를 포함하는 어느 부분에 강성보다 적다.(즉 연하게 되어 있다) 콤베이어 벨트의 강성을 표시하는 지표의 하나로서 일본 고무협회 표준규격에 따른 트러프(trough) 성능의 시험방법이 있다.
여기서는 이 규격에 따른 다음 방법으로 트러프(trough) 성능을 측정했다. 즉, 종방향의 벨트폭을 150mm 횡방향의 벨트폭(이것을 Lmm라 한다)을 900mm로 하고 장방형상의 시료조각의 4모서리를 달아 매는 기구로 매달아 시료조각 중앙의 디플렉숀(deflection)의 평균치(Fmm)를 측정한다. 이 시료조작 트러프 성능 T는 T=F/L로 구할 수 있다. 트러프 성능 T는 강성이 적으면 즉, 유연하면 트러프 성은 커진다.
본 발명의 콤베이어 벨트의 횡단방향의 강성을 이 트래프 성능으로 표시한다. 또한,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의 가장 중앙에 해당하는 저면부의 트러프 성능을 기준으로 하여 각 부분의 강성(트러프 성능)을 설명한다. 횡방향의 저면부의 트러프 성능을 100으로 할 때에 목부분의 트러프 성능은 150~400이 바람직하다. 또한 목부분의 두께를 다른 콤베이어 벨트의 두께에 비하여 얇고 트러프 성능을 높게 하여도 좋다.
이때에 목부분이 적어도 한면에 길이 방향으로 늘어나는 홈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경사부의 횡단방향의 강성은 트러프(trough) 성능으로 저면부의 트러프 성능을 100으로 할 때에 50~110이 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측부의 트러프 성능은 120~200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에 있어서 정확한 원형에 가까운 콤베이어 벨트를 구성하기 위하여 가장 크게 공헌하는 부분이 이 목부분이다. 이것은 콤베이어 벨트 횡방향의 두께를 일정범위로 두고 단면형상을 평판 형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목부분에 큰 굴곡스트레인 이 작용한다. 목부분을 유연하게 한 것은 이 굴곡변형을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목부분만의 강성을 적게 하고 다른 부분은 목부분의 강성 보다 높은 거의 동등한 강성을 갖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목부분만을 유연하게 한 단면 평판상의 콤베이어 벨트는 원통형으로 변형시켰을때의 정확한 원형정도가 비교적 낮으며 직선 주행용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와 같은 굴곡이 적은 콤베이어 벨트에는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정확한 원형의 정도가 높은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를 이루도록 하기 위하여서는 측부의 강성을 목부분의 강성 다음으로 적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원통형을 정확한 원형에 가깝도록 하고자 할때는 경사부의 강성을 저면부에 강성보다 높게 되도록 한다.(즉, 저면부의 강성을 경사부의 강성 보다 적게 한다.)
이것은 종래의 콤베이어 벨트로서 제10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굴곡주행시에 측부가 들고 일어나는 경향이 있다. 경사부 및 저면부를 측부 보다 단단하게 함으로써 경사부 및 측부를 수평방향으로 늘어나도록 유지시켜 측부에서 만곡하도록 만든다.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의 횡단방향에서의 강성을 변화하기 위하여는 횡단방향으로 매설된 보강층의 수를 증감시키거나 강성이 큰 보강층, 강성이 적은 보강층을 조합하여 사용하던가 하는 등 방법에 의하여 횡단방향의 강성을 변화시킬 수가 있다.
또한, 횡단방향에서의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의 전체적인 일체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중앙부에 배치된 보강층은 횡단방향에 있어서 목부분을 적어도 한개층의 보강층이 연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의 길이 방향의 강성에 관하여는 가능한한 균질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측단부, 목부분, 경사부, 측부, 저면부의 길이 방향의 강성을 동등하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나 이들 각부에서의 길이 방향 강성이 달라도 상관없다.
예컨대, 이들 각부에 있어서 길이 방향의 강성은 횡단방향에서의 각부의 강성과 동일하게 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를 구성하는 보강층 고무등의 재료에 대하여는 종래의 콤베이어 벨트 및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에 사용되어온 보강층 고무등의 재료를 그대로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의 원통형을 변형시키는 로울러로서 제3도 또는 제8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각 경사부, 각 측부, 저면부의 외표면과 접하는 7개 또는 5개의 원통형 안내로울러와 측단부의 외표면에서 협지하는 한쌍의 협지로울러 및 측단부의 상단면을 규제하는 단면 규제로울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는 횡단방향에 있어서의 단면의 거의 일정한 두께를 갖는 시이트상의 것이다. 이 횡단방향에서의 두께는 부분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곳이 없기 때문에 가황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성형모울드를 단순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의 베일(bale) 포장, 수송이 극히 용이하게 된다.
또,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로서 사용할 때에는 측단부 및 목부분에 이상한 스트레인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내구성이 있는 것이 된다.
또한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의 횡단방향의 강성은 각 부분에 따라 일정한 강약이 부여되어 있으므로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정확한 원형에 가까운 것이 되고 따라서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에 있어서 물체의 운반이 용이하게 된다.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가 굴곡하면서 진행될 때에도 비교적 단면이 원형으로 유지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 요부 단면이 제1도에 표시되어 있다.
이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는 전체폭이 132㎝, 두께가 20mm, 길이가 약 50m이다.
전체폭이 132㎝을 이룬 내역은 폭이 약 80㎝인 원통부와 그 양측에 연결되는 폭 약 20㎝의 목부분(3)과 양단에 폭 약 6㎝의 측단부(2)로 되어있다. 또한, 원통형을 구성하는 이송부는 중앙부(1)과 그 양측에 설치된 목부분(3)으로 구성되어 있다. 콤베이어 벨트 두께는 어느 부분에서도 전부 약 20mm이다.
이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에는 범포(帆布)로 구성된 2층의 중앙보강층(4)가 중앙부(1), 목부분(3) 및 측단부(2)에 연통하여 매설되어 있다.
또한, 중앙부(1)에서는 동일한 범포로서 구성된 측변보강층(5)가 중앙보강층(4)의 양단에 각 2층씩 매설되어 있고 측단부(2)에도 범포로 구성된 측벽보강층(6)이 중앙보강층(4)의 양측에 2층씩 형성되어 있다.
어느 측벽보강층(5)(6)도 벨트의 표면에 가까운 측의 것이 중앙부에 가까운 측의 것에 비하여 역방향의 폭이 짧으며 이 때문에 목부분(3)의 측변보강층(5)(6)을 포함하지 않는 고무만으로 구성된 부분은 표면에 가까울 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보강층(4)(5)(6)을 구성하는 범포는 경사로서 폴리에스터사를 사용하고 위사로서 나일론 6의 실을 사용하여 하프벨트식 조직으로 강도는 295kg/cm2이상이다. 고무로서는 천연고무와 스틸렌, 부타디엔 고무를 혼합한 혼련고무를 사용하고 고무에 경도는 Hs(shoer scale로 측정한 hardness)가 65정도가 되게 하였다.
이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는 종래의 평판상 콤베이어 벨트를 제조할 때 처럼 벨트 프레스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즉, 벨트 프레스의 하측 형틀의 면위에 재치된 미가황의 표면 피복고무, 범포등으로 된 중앙 및 측연부 보강층용의 범포(4),(5),(6)을 종래와 같이 적층하였다.
벨트 프레스로 가열, 가압하여 일정한 길이의 벨트 부분을 가황 성형하고 성형한 부분을 순차적으로 이동시켜서 길이 약 50m의 본 실시예 소기의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를 제조하였다.
이 경우 중앙부(1)과 측단부(2)의 트러프 성능은 0.141, 목부분(3)의 트러프 성능은 0.280정도였다. 이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를 종래의 원통형 콤베이어 장치에다 걸었다. 이 장치에 의하여 원통형으로 변형한 상태를 제2도에 표시하였다.
본 제1실시예의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는 7개의 원통형 안내로울러(7)에 의하여 중앙부(1)과 목부분(3)으로 구성된 이송부가 거의 정확한 원형으로 변형되어 측단부(2)와 한쌍의 협지로울러(8)로 접합되어서 측단부(2)의 단면(端面 : Endface)을 규제하는 단면 규제로울러(9)로서 측단부(2)의 단면의 위치를 규제하도록 하였다.
본 실시예의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는 제2도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측변보강층이 존재하지 않는 목부분(3)에서 중앙부(1)과 측단부(2)와의 변형응력이 흡수되므로 측단부(2)등이 부상(浮上)되는 결함이 생기지 않았다.
또 목부분(3)에는 압출력이 작용하는 경향이 있어 목부분(3)에서의 인장응력에 따른 파손등은 염려할 필요성이 없다는 것도 확인되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 요부 단면을 제3도에 표시하였다.
제2실시예의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는 제1실시예의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에 비하여 측단부(11)의 구성을 변형한 것이다.
즉, 측단부(11)에는 측단부 보강층(6)을 사용하지 않고 그 대신에 부타디엔 고무와 천연고무를 6 : 4의 비율로 혼련한 고무배합 조성물로 된 내마모성 부재인 표면층(10)을 형성하였다. 이송부를 구성하는 중앙부(1)과 목부분(3)의 구성은 실시예 1의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와 동일하게 하였다.
또한, 제2실시예의 중앙부(1) 및 목부분(3)의 트러프 성능은 제1실시예와 같이 0.141과 0.280이고 측단부(11)의 트러프 성능은 0.210이었다. 이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에서는 측단부(11)의 표면이 내마모성 부재를 포함한 표면층(10)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측단부(11)에서의 마모가 적고 내구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이 실시예 2에 있어서는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의 원통형을 변형시키는 로울러로서 제3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각 경사부, 각측부, 저면부의 외표면과 접하는 7개의 원토형 안내로울러(7)와 측단부의 회표면에서 협지하는 한쌍의 협지로울러(8) 및 측단부의 상단면을 규제하는 단면 규제로울러(9)를 구비하도록 하였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인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의 요부단면을 제4도에 표시하였다.
제3실시예의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는 제1실시예의 콤베이어 벨트에 비하여 목부분(12)의 부분을 변경한 것이다. 즉 목부분(12)의 외표면에 길이 방향으로 늘어나는 단면 반원상의 홈(13)을 마련한 것이다. 이 홈(13)에 의하여 그 원통형으로 변형한 상태를 제4도에 표시하였는바, 이 경우에는 목부분(12)의 홈(13)이 있기 때문에 목부분(12)의 굴곡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요부 단면은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목부분(14)의 외표면, 내표면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늘어나는 홈(15)(16)을 마련하여도 좋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 단면을 제7도에 표시하였다. 이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는 길이가 30m이고 전체폭이 110㎝이고 두께는 전체부분이 14mm로 하였다.
폭 방향에 구조는 중앙부로부터 보아 저면부(17) 그양측을 구성하는 측부(18), 경사부(19), 목부분(20) 및 측단부(21)로서 되어 있다. 저면부(17)의 폭 방향의 길이는 275mm, 2개의 각측부(18)의 폭 방향의 길이 165mm, 2개의 각 경사부(19)의 폭 방향의 길이는 147.5mm, 2개의 각 목부분(230)의 폭 방향이 길이는 30mm, 2개의 각 측단부(21)의 폭 방향의 길이는 70mm로 하였다.
보강층으로서는 굵은 실선으로 표시한 항장력성 포지와 점선으로 표시한 고선도포지의 2종류를 사용하였다. 항장력성 포지는 경사가 폴리에스터사, 위사가 나일론사로 구성하였으며 40kg 하중시 연신이 2%인 것을 사용하였다. 또 고시도포지는 경사를 고신도 나일론사로 위사를 보통 나일론사로 구성하고 10kg 하중시 연신이 2%인 것을 사용하였다.
제7도는 단면에 있어서 상면이 물체를 운반하는 면이 되고 하면이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로 변형될 때 외측면부에 해당하는 것이다.
콤베이어 벨트 중앙부(17)에는 그 두께 방향의 중심부에 폭 215mm의 항장력성 포지(22) 그 상부에 폭 330mm인 항장력성 포지(23) 하부에 폭 900mm인 고신도포지(24)를 매설하였다.
측부(18)에는 중앙부(17)의 항장력성 포지(22)의 양측에 위치하는 두께 방향의 중심부에 폭 220mm인 고신도포지(25)와 그 상부에 폭 110mm의 고신도포지(26)과 그 (25)하부에는 중앙부(17)에 대하여 앞서 설명한 바 있는 고신도포지(24)를 매설하였다.
경사부(19)에는 그 두께 방향의 중심부에 폭 220mm의 항장력성 포지(27)의 상부에 폭 275mm의 항장력성 포지(28) 또는 그 (28)상부에 폭 150mm의 항장력성 포지(29)를 그리고 그 (29)하부에는 상기 고신도포지(24)를 매설하였다.
목부분(20)에는 상기한 중앙부에 항장력성 포지(27)과 그 상부에 있는 항장력성 포지(28)만을 매설하였다. 측단부(21)에는 상기한 항장력성 포지(27)(28)과 또한 이들 간에는 항장력성 포지(30)이 그 하부에는 항장력성 포지(31)을 매설하였다.
이 콤베이어 벨트 중앙부(17), 측부(18)의 상면측의 피복고무의 두께는6mm 경사부(19), 축단부(21)의 상면측의 피복고무의 두께는 4mm이다. 하면측의 피복고무의 두꼐는 목부분(20)을 제외하고 기타 부분은 4mm이다. 피복고무의 경도는 Hs로 약 56으로 하였다.
이 콤베이어 벨트의 트러프 성능은 저면부(17), 측부(18), 경사부(19), 목부분(20) 및 측단부(21)에 있어서 각 0.220, 0.270, 0.160, 0.282 및 0.143이었다.
이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도 실시예 1의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이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를 콤베이어 장치에 걸고 이 장치에 의하여 원통형이 변형된 상태를 제8도에 표시하였다.
본 실시예의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는 5개의 원통형 안내로울러(7)에 의하여 이송부가 거의 원형으로 변형되고 측단부(21)은 한쌍의 협지로울러(8)로서 접합되어 측단부(21)의 단면을 규제하는 단면 규제로울러(9)로서 측단부(21)의 단면에 위치가 규제되게 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는 5개의 원통형 안내로울러에 의하여 정확한 원형의 형상으로 변형되었다. 이 콤베이어 벨트는 콤베이어 장치의 굴곡주행부에 있어서도 비교적 정확한 원형에 가까운 형상이 유지되었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 단면을 제9도에 표시하였다. 이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는 길이 50m, 전체폭 138, 두께는 전체부분이 약 15mm이다. 폭 방향의 구조는 중앙으로부터 보아 저면부(32) 그 양측을 구성하는 측부(33), 경사부(34), 목부분(35)및 측단부(36)으로 되어 있다.
저면부(32)의 폭 방향의 길이는 350mm, 2개의 각측부(33)의 폭 방향의 길이는 250mm, 2개의 각 경사부(34)의 폭 방향의 길이는 175mm, 2개의 각 목부분(35)의 폭 방향의 길이는 30mm, 2개의 각 측단부(36)의 폭 방향의 길이는 60mm이였다.
보강층으로서는 굵은 실선으로 표시한 항장력성 포지와 점선으로 표시한 고신도포지의 2종류를 사용하였다.
이들 항장력성 포지와 고신도포지는 실시예 4의 것과 동일한 것이다.
제9도의 단면에 있어서 상면이 물체를 운반하는 면이 되고 하면은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로 변형될 때의 외측면이 되는 것이다.
콤베이어 벨트의 중앙부(32)에는 그 두께 방향의 상면으로부터 폭 450mm의 항장력성 포지(37) 그 하부에는 폭 350mm인 항장력성 포지(38) 또 그 하부에는 폭 250mm인 항장력성 포지(39)가 매설되어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하부에는 폭 1200mm의 고신도포지(40)을 매설하였다.
측부(33)에는 중앙부(32)의 항장력성 포지(37)(38)(39)의 측방에 위치한 폭 150mm의 고신도포지(41) 폭 250mm의 고신도포지(42) 폭 350mm의 고신도포지(43) 또는 하부에 중앙부(32)에서 설명한 고신도포지(40)을 매설하였다.
경사부(34)에는 측부(33)의 고신도포지(41)(42)(43)의 측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폭 225mm인 항장력성 포지(44) 폭 265mm인 항장력성 포지(45) 및 폭 215mm인 포지(46) 또한 이들 하부에는 상기 고신도포지(40)을 매설하였다.
목부분(35)에는 상기 항장력성 포지(45)와 (46) 및 그 상부의 항장력성 포지(47)과 또한 이들의 하부에 항장력성 포지(48)이 매설되어 있다.
이러한 콤베이어 벨트의 상면측의 피복고무 두께는 약 5mm이고 하면측의 피복고무 두께는 약 2mm이며 피복고무의 경도는 Hs로 약 63으로 하였다. 이 콤베이어 벨트에 트러프 성능은 저면부(32), 측부(33), 경사부(34), 목부분(35) 및 측단부(36)에 있어서 각각 0.157, 0.195, 0.157, 0.280 및 0.141이었다.
이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는 실시예(1)의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이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를 제8도와 같이 원통형의 직경이 382mm인 콤베이어 장치에 걸었다.
이 실시예의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는 5개의 원통형 안내로울러에 의하여 정확한 원형의 형상으로 변형되어 이 콤베이어 벨트는 이송장치의 굴곡주행부에 있어서도 비교적 정확한 원에 가까운 형상이 유지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전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요지를 변경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설계변형하여 실시할 수도 있는 바 예를들면, 전체폭을 100으로 하였을 때의 저면부, 측부, 경사부, 목부분 및 측단부의 폭의 비율을 반드시 전기한 바람직하다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필요는 없고 ±10% 범위내에서 가감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의 특징을 종래의 기술(특히, 일본 실용신안 출원공고 소51-39990)과 대비하여 요약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 본 발명에 의한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의 저면부를 한개 이상의 원통형 안내로울러(7)에 의하여 상향으로 밀어올리는 상태에서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목부분(3)…에는 하향의 인장력이 작용되지 않고 반대로 상향의 압축력이 작용되로록 하여 이 목부분(3)…이 하향의 장력으로 인한 파손의 염려를 없애도록 하고 따라서 목부분(3)…의 재질을 타부재 보다도 유연하고 강성이 적은 것으로 구성하여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가 정확한 원에 가까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물체의 운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하였다.(그리고, 이 경우 5~7개의 원통형 안내로울러는 시계바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향으로 밀어올리는 힘을 작용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원통부는 5~7개의 원통형 안내로울러가 원통부의 횡단면이 정확한 원을 이루었을 때, 저면부, 양측부, 양 경사부의 외표면과 접촉한 상태로 동일한 원주상에 배치되어 있고 시계바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어 콤베이어 벨트의 원통부가 이들 5~7개의 원통형 안내로울러에 의하여 포위되어 있을 때 정확한 원통형을 형성할 수 있고 상향으로 밀어올리는 상태를 이루고 있어 그 결과 원통부는 베일 운송을 정확·신속·용이하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목부분에는 하향의 인장력 대신에 상향의 압축력을 부여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목부분이 큰 하향의 인장력으로 인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종래의 경우에는 원통부의 저면부를 본 발명과 같은 안내로울러(7)에 의한 상향의 밀어올리는 상태의 지지수단이 없어 원통부가 목부분에 메어달려 있는 상태(hang-down)를 이루고 있어 목부분에는 원통부의 하향의 하중 즉, 큰 하향의 인장력이 그대로 작용되어 그 결과 목부분은 파손되기 쉽고 동시에 원통부는 정확한 원을 유지할 수 없어 물체의 운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없다.
(나) 본 발명에 의한 원통부의 중앙부 즉, 저면부의 두께를 측부, 경사부, 목부분, 측단부의 두께와 거의 같도록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콤베이어 벨트의 상면과 하면을 다 같이 물체의 이동면으로서 교호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따라서, 이들 부재를 성형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평판상 콤베이어 베르를 제조할 때 처럼 벨트 프레스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가 있어 별도의 특수한 벨트 프레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종래, 측단부가 중앙부 보다 팽대된 상태를 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면과 하면은 두께가 크게 상이하여 물체의 이송면으로서 양면을 교호로 사용할 수가 없고 그중 한가지 면만으로 물체의 이송면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제한을 받게 되며, 측단부를 가황성형하기 위하여서는 기존의 평판성 벨트 프레스는 사용할 수가 없어 벨트의 특별한 금형을 필요로 함으로 시설비 인상으로 제조원가가 상승된다.
(다) 본 발명에 의한 이송부의 횡단면에서의 측단부는 내표면끼리 합장하듯이 접촉되어 있고 외표면은 한쌍의 협지로울러로 강압되어 있고 그 상단면은 단면 규제로울러로써 규제되어 있어 목부분의 변형 스트레인이 단면 규제로울러 상방으로 파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원통부가 정확한 원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측단부의 외표면에는 협지로울러에 의한 강한 압력이 가하여져 있어 큰 마찰력이 작용됨으로 이것에 대처할 수 있도록 이 부분은 다른 콤베이어 벨트의 부분보다 내마모성이 높은 재료로 표면층을 이루도록 하여 보강하였다.
(라) 본 발명에 있어서는 측단부에 있어서 횡단방향에 따른 기울어짐의 발생을 가급적 없도록 하기 위하여 측단부는 횡단방향에 대하여 높은 강성을 가지도록 하였다.
(마) 본 발명에서는 원통부가 정확한 원에 가까운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물체의 운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먼저, 목부분은 저면부, 측부, 경사부, 측단부 보다 유연하고 강성이 적은 재질로 구성하여 원형부의 변형에 의한 스트레인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① 원통형을 정확한 원형에 가깝도록 하기 위하여 횡단방향에 있어서의 저면부의 강성을 횡단방향에 있어서의 경사부의 강성보다 적게 하거나,
② 정확한 원형의 정도가 높은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를 이루기 위하여 측부의 강성을 횡단방향에 있어서의 저면부와 경사부의 강성보다 적게 하였다.
③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각 구성부재 즉, 저면부, 측부, 경사부, 목부분, 측단부의 강성에 강약을 부여함으로써 원통형이 정확한 원에 가깝거나 정확한 원형의 정도가 높은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를 구성하도록 하여 물품의 운송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종래의 경우에는 각 부재의 강성의 차이에 의한 원통형을 정확한 원형에 가깝도록 하는 수단을 찾아볼 수 없다.
(바) 본 발명에서는 콤베이어 벨트 횡방향의 두께를 일정범위로 두고 단면 형상을 평판 형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목부분에 큰 굴곡 스트레인이 작용함으로 목부분을 유연하고 적은 강성의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목부분이 굴곡변형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종래의 경우에는 측단부의 팽대된 부분이 한쌍의 케리어 로울러등에 걸려서 메어달려 있기 때문에 목부분에는 원통부의 하중에 의한 하향의 큰 인장력을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목부분은 인장강도가 크고 강성이 높은 경직한 재질로 되어 있어 글곡스트레인이 목부분에 작용할 때 이를 흡수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서 목부분에 파손이 쉽게 야기된다.
(사) 본 발명에서는 목부분의 외표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단면 반원상의 홈을 마련함으로써, 원통형으로 변형할 때 목부분의 굴곡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 본 발명에서는 경사부 및 저면부의 강성을 측부의 강성 보다 크게 함으로써 경사부 및 측부를 수평방향으로 늘어나도록 유지시켜 양측부가 용이하게 만곡될 수 있도록 하였다.
(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저면부, 양측부, 양 경사부의 강상을 각각 달리하였을 뿐만 아니라, (따라서 그 재질도 달리하였을 뿐만 아니라) 폭 방향의 길이도 바람직한 범위내로 한정함으로써 원통부가 정확한 원형에 가까운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였는 바, 이로 인하여 본 발명에 의한 원통부를 구성하고 있는 저면부, 양측부, 양 경사부는 그 재질 및 폭 방향의 길이가 한정되어 있어 이들은 실제적으로 명백히 구분될 수가 있다.
종래의 경우에는 저면부, 양측부, 양 경사부가 외형상 존재하고 있으나 그 실질적인 한계가 명백하지 않아서 정확한 원에 가까운 원통부를 형성할 수가 없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저면부, 양측부, 양 경사부의 개념은 종래의 저면부, 양측부, 양 경사부의 개념과는 사실상 상이하다.

Claims (5)

  1. 길이는 엔드레스이고 폭은 원통화 되었을 때 횡단방향에 있어서 중앙부로 이루어진 저면부를 중심으로 하여 그 양 외측에 각각 측부, 경사부, 목부분, 측단부의 순서로 연속하여 대칭되게 대향되도록 형성시키고 측단부는 한쌍의 협지로울러 등에 의하여 합장하듯이 접합되도록 구성된 엔드레스 콤베이어 벨트에 있어서, 측단부의 상단면을 단면 규제로울러로 규제되도록 하고, 한조(一組)를 이루고 있는 5개 이상의 원통형 안내로울러에 의하여 원통부를 형성되게 하고 이들 원통형 안내로울러에 의하여 원통부가 상향으로 밀어올리는 상태로 지지되도록 하고 따라서, 목부분은 저면부, 양측부, 양 경사부 및 측단부 보다도 유연하고 강성이 적은 재질로 구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
  2. 제1항에 있어서, 횡단방향에 있어서의 측부의 강성을 저면부와 경사부의 강성보다 적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
  3. 제1항에 있어서, 횡단방향에 있어서의 저면부의 강성을 경사부의 강성보다 적게 구성함으로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
  4. 제1항에 있어서, 측단부의 상·하표면피부에 내마모성 부재의 표면층을 형성시키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
  5. 제1항에 있어서, 목부분(首部)의 적어도 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홈을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
KR1019840008178A 1983-12-29 1984-12-20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 KR9500032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248580A JPS60144211A (ja) 1983-12-29 1983-12-29 円筒形コンベアベルト
JP?58-248580 1983-12-29
JP???58-248580 1983-1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4435A KR850004435A (ko) 1985-07-15
KR950003263B1 true KR950003263B1 (ko) 1995-04-07

Family

ID=17180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8178A KR950003263B1 (ko) 1983-12-29 1984-12-20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JP (1) JPS60144211A (ko)
KR (1) KR950003263B1 (ko)
AU (1) AU564136B2 (ko)
CA (1) CA1228320A (ko)
DE (1) DE3447248C2 (ko)
FR (1) FR2557546B1 (ko)
GB (1) GB2152000B (ko)
ZA (1) ZA84976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35307A (zh) * 2017-06-29 2017-10-10 宁德师范学院 一种管带机圆管部分自动调偏装置的控制方法
CN107344665A (zh) * 2017-06-29 2017-11-14 宁德师范学院 一种物料输送机管带调偏装置的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83552B2 (en) * 1984-11-12 1989-05-04 Technosearch Pty. Limited A conveying means
AU573309B2 (en) * 1985-02-27 1988-06-02 Sumitomo Heavy Industries Ltd. Tubular belt conveyor
GB2195309A (en) * 1986-09-30 1988-04-07 Okazaki Haruo A belt for a tubular belt conveyor
JPS63119515U (ko) * 1987-01-27 1988-08-02
AU579506B2 (en) * 1987-03-20 1988-11-24 Bridgestone Corporation Method of conveying materials and tubular belt conveyor therefor
DE3878920T2 (de) * 1987-12-18 1993-10-14 Karl August Lennart Tingskog Förderband und band dafür.
DE58903907D1 (de) * 1988-04-07 1993-05-06 Phoenix Ag Rohrfoerdergurt.
SE461212B (sv) * 1988-06-23 1990-01-22 Scaniainventor Conveyor Sicon Brandtransportoer
DE4024359A1 (de) * 1990-08-01 1992-02-06 Continental Ag Foerdergurt fuer schlauchband-foerderanlagen
DE4121572C1 (ko) * 1991-06-29 1992-12-03 Fa. Ernst Siegling, 3000 Hannover, De
JP2517840B2 (ja) * 1994-01-24 1996-07-24 三ツ星ベルト株式会社 可撓性コンベアベルト
FR2761352B1 (fr) * 1997-03-25 1999-05-28 Sfbt Societe Francaise De Band Bande transporteuse souple et convoyeur en faisant application
MX2008015881A (es) * 2006-06-13 2009-04-02 Filter Pty Ltd Z Manejo y tratamiento de materiales.
US9381454B2 (en) 2009-05-19 2016-07-05 Z-Filter (Pty) Ltd Materials handling and treatment
EP2830978A1 (en) * 2012-03-30 2015-02-04 P. Ellegaard A/S Flexible closed belt conveyor
WO2014056036A1 (en) * 2012-10-10 2014-04-17 Z-Filter Pty Ltd Separation apparatus and method
JP6762085B2 (ja) 2015-07-31 2020-09-30 横浜ゴム株式会社 コンベヤベルト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75744A (fr) * 1963-06-06 1964-10-23 Erbo Maschb Erley & Bonninger Transporteur à courroie
US3661244A (en) * 1968-06-28 1972-05-09 Masaaki Koyama Automatic circular winding and releasing belt conveyor
DE2001910A1 (de) * 1970-01-16 1971-07-22 Koyama Masaaki Zylindrischer Bandfoerderer
FR2077707B1 (ko) * 1970-02-06 1974-06-14 Koyama Masaaki
JPS4720556U (ko) * 1971-02-22 1972-11-08
JPS5511858Y2 (ko) * 1974-09-19 1980-03-14
JPS5772506A (en) * 1980-10-23 1982-05-06 Bridgestone Corp Conveyer bel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35307A (zh) * 2017-06-29 2017-10-10 宁德师范学院 一种管带机圆管部分自动调偏装置的控制方法
CN107344665A (zh) * 2017-06-29 2017-11-14 宁德师范学院 一种物料输送机管带调偏装置的控制方法
CN107344665B (zh) * 2017-06-29 2019-12-31 宁德师范学院 一种物料输送机管带调偏装置的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557546A1 (fr) 1985-07-05
FR2557546B1 (fr) 1987-12-18
CA1228320A (en) 1987-10-20
ZA849760B (en) 1985-08-28
AU3718284A (en) 1985-07-04
GB2152000B (en) 1987-01-14
KR850004435A (ko) 1985-07-15
DE3447248A1 (de) 1985-07-11
GB8431907D0 (en) 1985-01-30
AU564136B2 (en) 1987-07-30
JPS60144211A (ja) 1985-07-30
DE3447248C2 (de) 1993-12-16
JPS638008B2 (ko) 1988-02-19
GB2152000A (en) 1985-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3263B1 (ko) 원통형 콤베이어 벨트
EP0310992B1 (en) Conveyor and/or accompanying belt
US5460261A (en) Tubular conveyor belt
US4402395A (en)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a flexible tubular belt from twisting for use in a tubular belt conveyer
TW407107B (en) A method for making tyres for vehicle wheels
US9108800B2 (en) Conveyor belt system and conveyor belt
US7942259B2 (en) Tubular conveyor belt
US11147212B2 (en) Belting with longitudinal cogs
FI72700B (fi) Anordning foer transport av kontinuerligt faerdigblivande planformade pappersprodukter.
US5525194A (en) Extended nip press belt
US3978976A (en) Conveyor with metallic mesh belt distortion compensating means
CA1166990A (en) Conveyor belt
US20170241511A1 (en) Device for linking conveyor belts
US10533630B2 (en) Belting connection mechanism
US6216852B1 (en) Conveyor belt with heavier lower reinforcing layer
US289346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cable reinforced conveyor belts
US8997974B2 (en) Transversely deformable endless conveyor belt for a conveyor device
US5107983A (en) Fold-over conveyor belt
US3279587A (en) Spring belt conveyor assembly and roller therefor
US7594573B2 (en) Conveying apparatus
US20020151198A1 (en) Two-sided roll support with multiple ribs
JPH05500939A (ja) ホースベルト―輸送設備用コンベヤベルト
NL8602614A (nl) Band voor een buisvormige bandtransporteur.
US6991093B2 (en) Fold-over conveyor belt
EP0046690A1 (en) Stretchable load-retaining conveyor be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