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508B1 - 활동 캡을 구비한 와이퍼아암 - Google Patents

활동 캡을 구비한 와이퍼아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508B1
KR950002508B1 KR1019860004869A KR860004869A KR950002508B1 KR 950002508 B1 KR950002508 B1 KR 950002508B1 KR 1019860004869 A KR1019860004869 A KR 1019860004869A KR 860004869 A KR860004869 A KR 860004869A KR 950002508 B1 KR950002508 B1 KR 950002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mounting head
wiper arm
cap
se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4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1072A (ko
Inventor
사우드 애란
케니 애란
Original Assignee
챔피언 스파아크 플러그 유럽 에스. 에이.
윌리암 그래함. 제이크스 브론차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챔피언 스파아크 플러그 유럽 에스. 에이., 윌리암 그래함. 제이크스 브론차아트 filed Critical 챔피언 스파아크 플러그 유럽 에스. 에이.
Publication of KR870001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13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with means for holding the arm off the glass in an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the working position and the fully folded back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79Means to cover the wiper parts
    • B60S1/3481Means to cover the wiper parts for mounting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k Jet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활동 캡을 구비한 와이퍼아암
제 1 도는 본원 발명에 의한 와이퍼아암의 부분 종단면도.
제 2 도는 마운팅헤드에 대하여 캡과 채널이 다른 위치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제 1 도와 같은 단면도.
제 3 도는 마운팅헤드에 대하여 채널이 또 다른 위치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제 1 도와 같은 단면도.
제 4 도는 와이퍼아암의 주요부가 제 1 도에서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제 5 도는 와이퍼아암의 주요부가 제 2 도에서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제 6 도는 본원 발명에 의한 와이퍼아암의 개략 분해 사시도.
제 7 도는 본원 발명에 의한 와이퍼아암의 부품중 하나를 확대한 평면도.
제 8 도는 제 7 도의 부품의 VIII-VIII선에 의한 단면도.
본원 발명은 와이퍼아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캡을 구비한 마운팅헤드와, 마운팅헤드에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는 채널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와이퍼아암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류의 와이퍼아암은 종래 널리 알려져 있으며, 독일연방공화국의 2개 특허출원 제23 26 183호 및 제25 11 103호를 인용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특허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즉 종래의 와이퍼아암의 큰 단점은 그들의 생산원가가 비교적 높다는 것이며, 그 주요원인은, (a) 많은 부품을 결합할 필요가 있다는 것, (b) 부품의 복잡성, (c) 예를들면 마운팅헤드용으로 특수 합금과 같은 비교적 고가의 재료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는데 있다.
종래의 와이퍼아암의 복잡성은 예를들면, 마운팅헤드와 채널 사이의 연결이 리벳에 의하여 이루어진다는 것 때문이다. 이것은 독일연방공화국 특허출원 제23 26 183호의 제 2 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제로 수개의 보조 부품의 결합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2개의 독일연방공화국 특허출원에 기재된 캡 또는 대부분의 종래의 캡들은 일반적으로 비교적 파손되기 쉽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독일연방공화국 특허출원 제23 26 183호는 캡을 제거할 때 마운팅헤드와 채널 사이의 연결부에서 파손되기 쉽다.
본원 발명의 주요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아암의 단점을 제거한 와이퍼아암을 제공하며, 낮은 원가의 와이퍼아암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 목적은 신규의 간략화 한 설계 및 플라스틱재를 많이 사용함으로서 달성할 수 있다.
본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마운팅헤드의 캡이 와이퍼암/와이퍼 블레이드 결합체의 구동축에 마운팅헤드를 접속하는 부착장치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마운팅헤드에 대하여, 최소한 2개 이상의 위치에서 아암의 채널을 로크할 수 있는 와이퍼아암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원 발명에 의한 와이퍼아암은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마운팅헤드와 채널 사이의 상기 연결부를 넘어서 와이퍼아암의 종축에 대하여 대략 평행으로 뻗은 2개의 신장물을 마운팅헤드의 캡에 갖추고 있으며, 마운팅헤드에 대하여, 최소한 2개 이상의 다른 위치에서 채널을 로크하는 수단을 캡의 상기 신장물이 갖추고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에 의한 와이퍼아암의 또 하나의 특징은 마운팅헤드와 채널 사이의 연결부가 마운팅헤드의 반(半)원통형 홈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반원통형 홈은 채널에 형성된 상응된 반원통형 볼록면과 끼워 맞추어질 수 있다는 사실이다.
첨부된 도면 및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본원 발명에 대하여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 의하면 본원 발명에 의한 와이퍼아암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 마운팅헤드(1)는 기판(2)과 캡(3)을 갖추고 있으며, 캡은 와이퍼아암의 종축에 대하여 대략 평행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다.
- 채널(4)는 가로벽(4a),(4b)과 신장봉(5)을 갖추고 있으며, 그 자유단에는 거기에 와이퍼 블레이드를 부착시키는 수단(5")(제 6 도)을 갖추고 있다.
-마운팅헤드(1) 기판(2)을 채널(4)의 신장봉(5)에 연결하는 나선형 스프링(6)(제 3 도에는 도시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채널(4)은 마운팅헤드(1)에 대하여 다른 위치를 취할 수 있다. 환언하면, 채널(4)은 마운팅헤드(1)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 1 도 및 제 2 도(다음에 제 4 도 및 제 5 도)에 나타낸 마운팅헤드(1)와 채널(4)의 상대적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채널(4)은 이론상의 축 C-D 주위를 회전한다.
마운팅헤드(1)와 채널(4) 사이의 연결부는 마운팅헤드(1)에 형성된 반원통형 홈(18)(제 3 도)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 홈은 채널(4)에 형성된 반원통형 볼록면(19)(제 3 도)과 끼워 맞추어진다. 신장봉(5)과 채널(4)은 마운팅헤드(1)에 대하여 이와 같이 일정 범위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전운동은 나선형 스프링(6)의 작용으로 윈드시일드(windshield)상에 와이퍼 블레이드를 단단히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윈드시일드를 손으로 닦아야 할때 필요한 위치(제 3 도)로 채널(4)을 수동으로 회전시킬 때, 채널(4)의 반원통형 볼록면(19)은 마운팅헤드(1)의 홈(18)으로부터 밖으로 튀어나온다. 채널(4)의 이 위치는 나선형 스프링(6)의 연결점(5'), (9)의 위치가 스프링이 시계바늘 반대방향(제 3 도)으로 작용하도록 위치하기 때문에 안정된 위치이다.
제 6 도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또한 제 1 도 내지 제 5 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마운팅헤드(1)는 와이퍼아암이 결합될 때, 와이퍼아암의 종축에 대하여 대략 평행으로 채널(4)의 안쪽에 그리고 연결부(18),(19)를 넘어서 뻗는 2개의 신장물(1a),(1b)이 반원통형 홈(18)의 측면에 갖추어져 있다.
마운팅헤드(1)의 2개의 각 신장물(1a),(1b)은 상기 채널이 제 3 도의 위치에 있을 때 채널(4)의 반원통형 볼록면(19)을 수납할 수 있는 반원통형 홈(13) (제 3 도)을 갖추고 있다. 이 특징이 채널(4)의 이 위치에서의 안정을 보완한다. 또 채널(4)이 제 3 도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나선형 스프링(6)의 직선부분(6'")은 채널(4)의 반원통형 볼록면의 중앙 또는 하부에 설치된 슬롯(17)에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운팅헤드(1)와 똑같이, 캡(3)도 와이퍼아암의 종축에 대하여 대략 평행으로 마운팅헤드(1)와 채널(4)사이의 연결부(18),(19)를 넘어서 뻗은 2개의 신장물(3a), (3b)이 갖추어져 있다. 캡(3)의 각 2개의 신장물(3a),(3b)은 치수가 다른 2개의 홈(14a), (15a) 및 (14b), (15b)로 이루어진다. 상기 홈은 마운팅헤드(1)에 대하여 채널(4)을 2개의 다른 위치에서 로크하는 수단이다.
캡(3)의 로크수단(14a), (15a)에 대하여 채널(4)의 로크수단(16a), (16b)이 상응한다. 채널(4)의 상기 로크수단은 캡(3)의 4개의 홈(14a), (15a) 및 (14b), (15b)에 각각 끼워 맞추어지는 돌출물(16a), (16b)로 이루어져 있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예를들면 상응하는 돌출물(16a), (16b)과 같이 홈(14a), (15a) 및 (14b),(15b)도 삼각형을 이루고 있다.
제1, 제2 및 제4, 제5도는 마운팅헤드(1)에 대하여 캡(3)이 다른 위치를 취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사실, 캡(3)은 제2 및 제 5 도의 위치로부터 제1 및 제 4 도의 위치로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다. 이것을 위하여 마운팅헤드(1)의 벽(20) (제 6 도)에는 캡(3)의 2개의 신장물(3a), (3b)이 통과하는 2개의 개구(20a), (20b)가 갖추어져 있다.
제2 및 제 5 도에 있어서, 캡(3)과 채널(4)은 장착위치, 즉 와이퍼아암을 차량에 장착할 때의 상기 2부품의 위치에 있다. 이 위치에서는 채널(4)의 삼각형 돌출물(16a), (16b)은 각각 캡(3)의 신장물(3a), (3b)의 삼각형 홈(15a), (16b)과 끼워 맞추어진다.
제1 및 제 4 도에 있어서, 캡(3)과 채널(4)은 와이퍼아암의 작동위치에 있다. 이 위치에서는 채널(4)의 삼각형 돌출물(16a), (16b)은 각각 캡(3)의 신장물(3a), (3b)의 삼각형 홈(14a),(14b)과 끼워 맞추어진다.
캡(3)이 와이퍼아암에 장착되어 있을 때, 신장물(3a), (3b)은 마운팅헤드(1)에 갖추어져 있는 개구(20a), (20b)를 통과할 뿐만 아니라 또한 채널(4)의 반원통형 볼록면(19)에 갖추어져 있는 슬롯(4'), (4")을 통과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스프링(6)의 작용에도 불구하고, 채널(4)이 캡(3)의 신장물(3a), (3b)의 홈(15a), (15b)에 의하여 로크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위치(제 2 도)는 안정된 위치이다. 채널(4)이 캡(3)의 신장물(3a), (3b)의 홈(14a), (14b)에 의하여 로크되어 있는 작동위치(제 1 도)에 있어서도 안정된 위치이다.
제 1 도와 제 2 도를 비교할 때, 제 2 도(장착위치)에서 채널(4)은 마운팅헤드(1)의 기판(2)에 대하여 약간의 각도를 이루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와이퍼아암을 차량에 장착할 때, 채널(4)의 신장봉(5)의 자유단(5")이 그때 윈드시일드와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이것은 유리하다. 제 2 도와 제 1 도에 있어서, 채널(4)의 위치에 차이가 있는 것은 캡(3)의 신장물(3a), (3b)의 홈(15a), (15b)과 홈(14a), (14b)의 깊이가 다르다는 사실 때문이며, 홈(15a), (15b)은 홈(14a), (14b) 보다 깊이가 작다.
제1, 제2, 제3, 제7 및 제 8 도에 마운팅헤드(1)의 기판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낸다. 상기 기판(2)은 와이퍼아암의 구동축을 수납하기 위한 원뿔대의 형태를 가진 개구(8)로 이루어져 있다. 도면상 상기 구동축은 그 중심축 A-B에 의하여 표시되어 있다. 종래의 기술에서 주지된 바와 같이 구동축은 그 상부에, 캡(3)과 마운팅헤드(1) 사이의 공간(7) 안으로 투과하는 나사홈이 갖추어져 있으며, 마운팅헤드(1)를 구동축에 고착시키기 위하여 마운팅헤드에는 너트가 죄어져 있다. 기판(2)을 마운팅헤드(1)에 장착시킬 때, 개구(8)를 형성하는 판의 부분을 마운팅헤드(1)에 갖추어진 원형개구(8") 안으로 밑에서부터 삽입시킨다.
가판(2)의 개구(9) 안으로 연결되는 후크(6')에 의하여 기판(2)는 나선형 스프링(6)을 기판에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며, 나선형 스프링(6)의 가장 끝부분(6'")이 끼워지도록 한다. 나선형 스프링(6)은 그 다른쪽 끝부분(6'")에서 채널(4)의 신장봉(5)의 후크(5')에 연결된다. 기판은 웨브와 측벽(2a), (2b)이 있는 대략 U형의 횡단면을 가지고 있다.
제 6 도는 마운팅헤드의 기판의 간략화 한 변형예(2')를 나타낸다. 기판(2')은 원뿔대(8')의 형태를 한 간단한 평판과 개구로 이루어져 있다. 기판(2')은 또한 제 4 도 및 제 5 도에 나타낸 와이퍼아암에 사용된다.
제 6 도에, 본원 발명에 의한 와이퍼아암의 모든 주요부품을 나타낸다. 부품(3), (1), (4)은 모두 서로 결합되며, 이들은 주로 적합한 플라스틱재로 만들어진다. 이와 반대로, 부품(2'), (6), (5)은 밑으로부터 상기 부품(3), (1), (4) 안으로 삽입되며 이들은 주로 강재로 만들어진다.

Claims (12)

  1. 캡(3)을 구비한 마운팅헤드(1)와 마운팅헤드(1)에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된 채널(4)로 이루어진, 특히 자동차용 와이퍼아암에 있어서, 마운팅헤드(1)의 캡(3)은 마운팅헤드(1)와 채널(4) 사이의 연결부(C-D)를 넘어 와이퍼아암의 종축에 대하여 대략 평행으로 뻗어 있는 2개의 신장물(3a), (3b)을 갖추고 있으며, 캡(3)의 상기 신장물(3a), (3b)은 마운팅헤드(1)에 대하여 최소한 2개 이상의 상이한 위치에서 채널(4)을 로크하는 수단(14a), (15a) 및 (14b), (15b)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아암.
  2. 제 1 항에 있어서, 채널(4)에는 캡(3)의 신장물(3a), (3b) 위에 형성된 로크수단(14a), (15a) 및 (14b), (15b)과 끼워 맞추어지는 로크수단(16a), (16b)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아암.
  3. 제 1 항에 있어서, 캡(3)의 신장물(3a), (3b) 위에 형성된 로크수단은 채널(4)의 제1로크위치에 대한 소정의 치수를 가진 2개의 다른 홈(15a), (15b)과 채널(4)의 제 2 의 로크위치에 대한 소정의 보다 큰 치수를 가진 2개의 다른 홈(14a), (14b)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아암.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채널(4)의 로크수단은 캡(3)의 신장물(3a), (3b)의 4개의 홈(14a), (15a) 및 (14b), (15b)과 끼워 맞추어지는 2개의 돌출물(16a), (16b)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아암.,
  5. 제 4 항에 있어서, 캡(3)의 신장물(3a), 3b)의 홈(14a), (15a) 및 (14b), (15b)과 채널(4)의 돌출물(16a) ,(16b)은 삼각형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아암.
  6. 제 1 항에 있어서, 마운팅헤드(1)의 캡(3)은 와이퍼아암의 종축에 대하여 대략 평행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마운팅헤드(1)에는 캡(3)의 2개의 신장물(3a), (3b)이 통과하는 2개의 개구(20a), (20b)가 갖추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아암.
  7. 제 1 항에 있어서, 마운팅헤드(1)와 채널(4) 사이의 연결부는 마운팅헤드(1)의 반원통형 홈(18)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반원통형 홈(18)은 채널(4)에 설치된 상응하는 반원통형 볼록면(19)과 끼워 맞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아암.
  8. 제 7 항에 있어서, 채널(4)의 반원통형 볼록면(19)에는 캡(3)의 2개의 신장물(3a), (3b)이 통과하는 2개의 슬롯(4'), (4")이 갖추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아암.
  9. 제 7 항에 있어서, 마운팅헤드(1)는 마운팅헤드(1)와 채널(4) 사이의 상기 연결부(C-D)를 넘어서, 와이퍼아암의 종축에 대하여 대략 평행으로 뻗어 있는 2개의 신장물(1a), (1b)로 이루어져 있으며, 마운팅헤드(1)의 상기 신장물(1a), (1b)은 각각 채널(4)의 상기 반원통형 볼록면(19)을 수납할 수 있는 반원통형홈(13)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하는 와이퍼아암.
  10. 제 1 항에 있어서, 마운팅헤드(1)는 기판(2), (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채널(4)은 자유단에 와이퍼블레이드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을 갖추고 있는 신장봉(5)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마운팅헤드(1)의 기판(2), (2')은 나선형 스프링(6)에 의하여 채널(4)의 신장봉(5)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아암.
  11. 제10항에 있어서, 마운팅헤드(1)와 그의 기판(2), (2')은 이음매없이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아암.
  12. 제10항에 있어서, 마운팅헤드(1), 캡(3) 및 채널(4)은 적합한 플라스택재로 만들어지며, 마운팅헤드(1)의 기판(2),(2'), 나선형 스프링(6) 및 채널(4)의 신장봉(5)은 강재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아암.
KR1019860004869A 1985-07-10 1986-06-19 활동 캡을 구비한 와이퍼아암 KR9500025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510565 1985-07-10
FR8510565A FR2584666B1 (fr) 1985-07-10 1985-07-10 Bras moteur pour balai d'essuie-glace avec capuchon couliss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1072A KR870001072A (ko) 1987-03-11
KR950002508B1 true KR950002508B1 (ko) 1995-03-21

Family

ID=9321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4869A KR950002508B1 (ko) 1985-07-10 1986-06-19 활동 캡을 구비한 와이퍼아암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704761A (ko)
EP (1) EP0209276B1 (ko)
JP (1) JPS6212446A (ko)
KR (1) KR950002508B1 (ko)
CA (1) CA1258559A (ko)
DE (1) DE3670612D1 (ko)
ES (1) ES2000489A6 (ko)
FR (1) FR2584666B1 (ko)
IN (1) IN1664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7789Z2 (it) * 1986-04-02 1988-02-15 Fister Spa Braccio tergicristallo di tipo perfezionato
DE3714650A1 (de) * 1987-05-02 1988-11-17 Swf Auto Electric Gmbh Wischarm, insbesondere fuer scheibenwischeranlagen an kraftfahrzeugen
US4791697A (en) * 1987-10-05 1988-12-20 General Motors Corporation Wiper arm for curved windshield
FR2629030B1 (fr) * 1988-03-22 1991-08-23 Valeo Systemes Dessuyage Porte-balais d'essuie-glace comportant un verrou
GB8926219D0 (en) * 1989-11-20 1990-01-10 Trico Folberth Ltd Lock-back control device for a windscreen or like surface wiper
FR2669880B1 (fr) * 1990-12-03 1995-07-28 Journee Paul Bras d'essuie-glace surbaiss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KR950002921Y1 (ko) * 1991-01-30 1995-04-17 삼성전자 주식회사 멀티에어콘의 제어회로
FR2693692B1 (fr) * 1992-07-15 1994-09-16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d'essuie-glace.
FR2696138B1 (fr) * 1992-09-25 1994-12-02 Valeo Systemes Dessuyage Bras d'essuie-glace à carter moulé, notamment pour véhicule automobile.
IT1260909B (it) * 1993-03-10 1996-04-29 Cooper Ind Inc Gruppo tergitore per dispositivi tergicristallo di autoveicoli, con organo ausiliario avente funzione di zeppa.
DE4444328A1 (de) * 1994-12-13 1996-06-20 Bosch Gmbh Robert Befestigungselement für Scheibenwischer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 seiner Herstellung
AUPN620195A0 (en) * 1995-10-26 1995-11-23 Trico Products Corporation Improvements in drive arm assemblies for wiper blades
NL1004634C2 (nl) * 1996-11-28 1998-05-29 Champion Spark Plug Sa Ruitenwisserarm.
FR2774050B1 (fr) 1998-01-27 2000-02-25 Valeo Systemes Dessuyage Essuie-glace de vehicule automobile
DE10015065A1 (de) * 2000-03-25 2001-10-04 Bosch Gmbh Robert Wischarm für Scheibenwischer
DE10035462A1 (de) * 2000-07-21 2002-02-07 Bosch Gmbh Robert Wischarm
JP3869232B2 (ja) * 2001-04-20 2007-01-17 アスモ株式会社 ワイパアーム
DE10126258A1 (de) * 2001-05-29 2002-12-05 Bosch Gmbh Robert Wischerarm, insbesondere für eine Scheibenwischvor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FR2839692B1 (fr) * 2002-05-17 2004-12-10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d'essuie-glace en particulier pour vehicule automobile
US7996952B2 (en) * 2006-10-26 2011-08-16 Federal-Mogul World Wide, Inc. Wiper arm assembly having a locking catch
US8037569B2 (en) * 2006-10-26 2011-10-18 Federal Mogul World Wide, Inc. Wiper arm assembly having a locking member
US8042219B2 (en) * 2006-10-30 2011-10-25 Federal-Mogul World Wide, Inc. Wiper arm assembly having locking surfaces
US7992249B2 (en) * 2006-10-30 2011-08-09 Federal-Mogul World Wide, Inc. Wiper arm assembly having locking arms
US7971313B2 (en) * 2006-10-30 2011-07-05 Federal-Mogul World Wide, Inc. Wiper arm assembly having a locking tab
WO2016167090A1 (ja) * 2015-04-17 2016-10-20 株式会社ミツバ ワイパ装置
KR102441731B1 (ko) * 2021-05-18 2022-09-08 (주)엠피코 플라스틱 복합소재를 적용한 차량용 리어 와이퍼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6053A (en) * 1956-02-28 Windshield wiper carrybsfcs arm
US2226358A (en) * 1939-02-25 1940-12-24 Trico Products Corp Windshield wiper arm
FR2195957A5 (ko) * 1972-08-08 1974-03-08 Ducellier & Cie
DE2511013A1 (de) * 1975-03-13 1976-09-23 Bosch Gmbh Robert Wischvorrichtung fue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GB1574822A (en) * 1976-03-23 1980-09-10 Lafon Labor Acetohydroxamic acid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US4050832A (en) * 1976-11-10 1977-09-27 The Anderson Company Windshield wiper pivot arm connection
GB1584462A (en) * 1977-03-31 1981-02-11 Lafon Labor N-diaryl-malonamide and diarylmethyl-sulphinyl-acetamide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DE2755918A1 (de) * 1977-12-15 1979-06-21 Rau Swf Autozubehoer Wischarm mit einem befestigungsteil
US4170804A (en) * 1978-05-15 1979-10-16 Vanauto Accessories Proprietary Limited Wiper arm and mounting head
DE2821522A1 (de) * 1978-05-17 1979-11-29 Vanauto Accessories Proprietar Wischarm und zur befestigung dienendes vorderteil sowie wischeranordnung
FR2528038B2 (fr) * 1982-06-04 1985-08-09 Lafon Labor Derives de benzhydrylsulfinylacetamide et leur utilisation en therapeutique
DE3329146A1 (de) * 1983-08-12 1985-02-21 SWF Auto-Electric GmbH, 7120 Bietigheim-Bissingen Wischarm fuer scheibenwischer in fahrzeugen, insbesondere kraftfahrzeugen
DE3433106C2 (de) * 1984-09-08 1986-08-14 SWF Auto-Electric GmbH, 7120 Bietigheim-Bissingen Wischarm, insbesondere für Wischanlagen an Kraftfahrzeu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09276A2 (en) 1987-01-21
JPS6212446A (ja) 1987-01-21
EP0209276B1 (en) 1990-04-25
EP0209276A3 (en) 1988-08-03
DE3670612D1 (de) 1990-05-31
FR2584666B1 (fr) 1989-06-16
CA1258559A (en) 1989-08-22
IN166477B (ko) 1990-05-19
KR870001072A (ko) 1987-03-11
FR2584666A1 (fr) 1987-01-16
ES2000489A6 (es) 1988-03-01
US4704761A (en) 198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2508B1 (ko) 활동 캡을 구비한 와이퍼아암
US5566577A (en) Driving mechanism of a windscreen wiper for an automotive vehicle
JPS62268778A (ja) フロントスポイラ装置
EP1040962A2 (de) Innenrückblickspiegel für Fahrzeuge, insbesondere Kraftfahrzeuge
US5392488A (en) Rotatable windshield wiper having a dual blade assembly
EP0673813A1 (fr) Essuie-glace de véhicule automobile comportant des moyens d'orientation de la tête d'entraînement
DE3626925A1 (de) Lenkradverriegelung fuer kraftwagen
US4716612A (en) Wiper arm assembly
EP0294526A1 (en) Windshield wiper
US4642838A (en) Bearing device of bending and stretching type windshield wiper
EP0021914B1 (fr) Essuie-glace, notamment pour véhicules automobiles
US20230057122A1 (en) Wiping device for a detection system
US4750235A (en) Wiper arm with helical torsion spring
US4949421A (en) Connector for a wiper system
EP1034981B1 (en) Stalk lever fixed with holder member for operating turn signal switch or knob switch and the like
KR850000630Y1 (ko) 벨트식 연삭공구
US3052492A (en) Windshield wiper arm attachment
KR200145914Y1 (ko) 자동차 윈드실드 스페이셔
JPS6317149A (ja) 自動車用ワイパ装置
KR960004740Y1 (ko) 자동차용 후사경의 취부구조
KR100334468B1 (ko) 스위치의장착구조
GB2145621A (en) Windscreen wiper unit
KR19990006128U (ko) 윈도우 와이퍼 장치의 볼핀구조
KR20010055947A (ko) 자동차의 리어 와이퍼
KR100235872B1 (ko) 자동차용 플라스틱 패스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