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503B1 - 와이퍼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와이퍼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503B1
KR950002503B1 KR1019860007791A KR860007791A KR950002503B1 KR 950002503 B1 KR950002503 B1 KR 950002503B1 KR 1019860007791 A KR1019860007791 A KR 1019860007791A KR 860007791 A KR860007791 A KR 860007791A KR 950002503 B1 KR950002503 B1 KR 950002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wiper
relay
speed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7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2973A (ko
Inventor
다다시 이와모또
도시끼 이께다
유끼오 다까이시
노리유끼 스즈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까이 리까 덴끼 세이사꾸쇼
무라세 하루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4297485U external-priority patent/JPH0341965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4297285U external-priority patent/JPH0341964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5142973U external-priority patent/JPS6251066U/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까이 리까 덴끼 세이사꾸쇼, 무라세 하루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까이 리까 덴끼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70002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481Liquid supply therefor the operation of at least part of the liquid supply being controlled by electric means
    • B60S1/482Liquid supply therefor the operation of at least part of the liquid supply being controlled by electric means combined with the operation of windscreen wip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18/00Electricity: motive power systems
    • Y10S318/02Windshield wiper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s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와이퍼 제어 시스템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와이퍼 모터 5 : 자동 정지 스위치
7 : 와이퍼 스위치 8 : 와셔 스위치
9a,10a : 릴레이 스위치 9b,10b : 여자 코일
11 : 타이머 회로
본 발명은 고속 와이핑 모드, 저속 와이핑 모드 및 정지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자동차 와이퍼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윈도우 와셔와 결합된 와이퍼를 작동시킬 수 있는 그러한 와이퍼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 와이퍼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고속 와이핑 모드가 선택될시에만, 즉, 저속 와이핑 모드, 판독 와이핑 모드 또는 미스트 와이핑 모드가 선택되지 않을 시에 와이퍼는 고속으로 작동된다. 더욱이, 종래 시스템에 있어서, 윈도우 와셔가 작동될시에, 와이퍼의 작동은 윈도우 와셔가 작동하기 시작한 후의 잠시 동안 지연되면서, 와이퍼가 윈도우 작동이 정지된 후에 예정된 시간에 작동된다. 통상적으로, 윈도우 와셔가 작동하는 경우에는 와이퍼가 저속으로 작동된다.
그러나, 고속으로 가동되는 자동차의 수는 간선 고속도로 네트워크로 인해 증가되어 왔다. 윈도우 와셔가 고속으로 가동될시에 작동되는 경우에 있어서, 와이퍼가 세척제로 신속히 윈도우를 와이프하도록 윈도우 와셔와 결합되어 고속으로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 와이퍼 제어 시스템의 와이퍼는 윈도우 와싱 시스템이 작동될시에 고속으로 작동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시스템은 만족한 정도의 안정성을 갖지 못하며, 와이퍼 제어 시스템의 기술내에서 해소되어야 할 문제점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시스템에 대한 전술한 결점을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는 시계(視界)가 불량한 시간을 줄임으로써 더욱 안전하게 하도록 윈도우 와셔에 의해 제공된 윈도우 물의 표면에서 제거하는 동작을 신속하게 실행하는 와이퍼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및 다른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와이퍼 제어 시스템은 고속 회전 단자 및 저속 회전 단자에 제공된 와이퍼 모터와, 적어도 고속 와이핑 모드, 지속 와이핑 모드 및 정지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와이퍼 스위치, 와이퍼 모터가 가동됨과 동시에 전기적 전력 공급장치로부터의 경로를 와이퍼 모터에 연결하기 위한 자동 정지 스위치, 윈도우 와셔 스위치가 작동되는 주기 동안에 구동되도록 장치된 윈도우 와셔 액체 분무 펌프 모터를 구비하는데, 상기 전기적 전력 공급 경로는 와이퍼가 예정된 대기 위치로 복귀할때까지 계속된다. 본 발명의 한 견지에 따르면, 와이퍼 스위치가 고속 와이핑 모드 및 정지 모드를 선택할 시에는 고속 단자를 통해 모터를 가동시키며, 와이퍼 스위치가 저속 와이핑 모드를 선택할 시에는 저속 단자를 통해 모터를 가동시키는 속도변환 릴레이 스위치를 구비한 제 1 릴레이를 포함하는 제 1회로 수단이 제공되며, 제 2릴레이를 포함하는 제 2회로 수단은 와이퍼 스위치가 고속 와이핑 모드 및 저속 와이핑 모드를 선택할 시에 활성화되어, 제 1릴레이의 속도 변환 릴레이 스위치를 통해 와이퍼 모터에 대한 전기적 전력 공급 경로를 완성시키며, 그리고 연동 회로는 와셔 스위치의 작동에 응답하여 제 2릴레이를 활성화시키고, 와셔 스위치가 정지한 후에는 예정 시간 동안에 제 2릴레이를 일시 정지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된 바와 같이 고속으로 와이퍼를 작동시킬 수 있는 와이퍼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여, 와이퍼의 예정된 정지 위치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른 와이퍼 제어 시스템은 본 발명의 한 견지에 따른 와이퍼 제어 시스템과 다른데, 그 이유는, 와이퍼 스위치가 고속 와이핑 모드를 선택할 시에는 와이퍼 모터와 고속 단자를 선택하기 위해 가동되고, 와이퍼 스위치가 저속이나 정지 위치를 선택할 시에는 와이퍼 모터의 저속 단자를 선택하기 위해 일정 정지되는 속도 변환 릴레이 스위치를 구비한 제 1릴레이를 포함하는 제 1회로 수단과, 와셔 스위치가 작동할 시에만 가동상태의 제 1릴레이를 지속시킬 스위칭 수단이 제공된다는 점에서 다르며, 상기의 두 수단에 의해 와이퍼는 윈도우 와셔가 작동할 시에 고속으로 구동된 후에, 와이퍼의 작동은 와셔 스위치가 오프 위치로 작동됨과 동시에 저속 작동으로 복귀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속 작동이 불가능할 시에 저속으로 작동할 수 있는 와이퍼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여, 기능이 불량한 경우에 안정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른 와이퍼 제어 시스템은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른 와이퍼 제어 시스템과 다른데, 그 이유는, 와이퍼 스위치가 고속 와이핑 모드를 선택할 시에 가동되는 제 1릴레이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 1릴레이는 제 1릴레이가 가동 상태일 시에만 작동하는 메이크 접점 릴레이 스위치 및 제 1릴레이가 정지 상태일 시에만 작동하는 브레이크 접점 릴레이 스위치를 구비하는 제 1회로 수단과, 와이퍼 스위치가 저속 와이핑 모드를 선택할 시에 가동되는 제 2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 2릴레이는 제 2릴레이가 가동 상태일 시에 저속 단자를 통해 와이퍼 모터에 대한 전기적 전력 공급 경로 및 제 1릴레이의 브레이크 접점 릴레이 스위치 및 자동 정지 스위치를 통해 와이퍼 모터에 대한 다른 전기적 전력 공급 경로를 완성시키는 제 2회로 수단과, 와셔 스위치가 온 위치로 작동함에 응답하여 제 1릴레이를 가공시키며, 와셔 스위치가 오프 위치로 작동한 후 예정된 시간 동안 제 1릴레이를 정지시키는 연동회로가 제공된다는 점에서 다르며, 상기의 3가지 장치에 의해 와이퍼는 윈도우 와셔가 작동할 시에 고속으로 구동된 후에, 와이퍼의 작동은 와셔 스위치가 오프 위치로 작동함과 동시에 저속 작동으로 복귀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아래와 같이 기술됨으로써 명백해진다.
도면에서, 동일 참조번호는 동일하거나 대응부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자동차 와이퍼 제어 시스템에 사용된 제 1실시예를 도시한 제 1도를 참조로 하여 아래에 기술된다.
참조 번호(1)는 플러스 단자가 소스 라인(2)에 접속되며, 마이너스 단자가 접지되는 바테리를 표시한다.
참조번호(3)은 SW단자, WIG단자, Ra단자, Rb단자, AS단자, SWL단자, SWH단자 및 E단자를 갖는 기판을 표시한다. 참조번호(4)는 전방 와이퍼를 구동시키기 위한 와이퍼 모터를 표시하며, 모터는 고속 회전 단자(H)를 통해 전류가 흐르는 경우의 고속에서 또는 저속 회전 단자(L)을 통해 전류가 흐르는 경우의 저속에서 와이퍼가 구동되도록 고속 회전 단자(H) 및 저속 회전 단자(L)를 갖는다. 와이퍼 모터(4)의 고속 및 저속 회전 단자(H) 및 (L)은 각각 SWH 및 SWL단자로 접속되며, 공통 단자(C)는 소스 라인(2)으로 접속된다.
참조번호(5)는 즉, 와이퍼 모터(4)로 부수적으로 제공되는 공지된 자동 정지 스위치를 표시한다. 자동 정지 스위치(5)는 와이퍼가 와이핑 위치를 가동시킬 시에, 접점(c-a)이 폐쇄되며, 와이퍼가 대기 위치로 복귀될시에, 접점(c-b)가 폐쇄되는 것과 같이 배열된다.
고정 접점(
Figure kpo00001
)는 소스 라인(2)에 접속된다. 고정 접점 는
Figure kpo00002
접지되며, 가동 접점
Figure kpo00003
는 AS단자로 접속된다. 참조번호(6)은 윈도우 와셔 액체 분무 펌프 모터를 표시하며, 이는 작동 중일시 전방 윈도우에 윈도우 와셔 액체를 분무하기 위해 세트된다. 참조번호(7)은 고속 와이핑 모드 HI, 저속 와이핑 모드 LC, 중단 와이핑 모드 INT, 미스트 와이핑 모드 MIST 및 정지 모드 OFF를 선택하기 위해 제공되는 와이퍼 스위치를 표시한다. 각각의 모드를 선택하는데는, 단자(7a 내지 7e)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된다(부호 "0"간의 라인은 접속상태를 표시함).
미스트 와이핑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와이퍼 스위치(7)은 짧은 시간동안 단자(7b) 및 (7c)를 상호간에 강제로 접속시키기 위해 작동상에서 턴온되는 일시적인 형태의 스위치이다. 이러한 경우에, 와이퍼 스위치(7)의 단자 (7c)는 WIG 단자로 접속되며 단자(7e)는 접지된다. 참조번호(8)은 단자(8a) 및 (8b)를 상호간에 강제로 접속시키기 위해 작동상에서 턴온되는 일시적인 형태의 와셔 스위치를 표시한다. 와셔 스위치(8)의 단자(8a)는 SW단자로 접속되며 단자(8b)는 접지된다. 참조번호(9)는 속도 변환 릴레이 스위치(9a) (이후에는 간략히 "릴레이 스위치"로 함) 및 여자 코일(9b)를 갖는 제 1릴레이 스위치를 표시한다. 참조번호(10)은 릴레이 스위치(10a) 및 여자 코일(10b)를 갖는 제 2릴레이를 표시한다. 이들 릴레이(9) 및 (10)은 릴레이 스위치(9a) 및 (10a)의 접점(c-a)를 각기 폐쇄시켜 릴레이(9) 및 (10)을 활성화시킨다.
여자 코일(9b)는 와이퍼 스위치(7)의 단자(7a) 및 접지(E단자)간에 접속되며, 여자 코일(10b)는 와이퍼 스위치(7)의 단자(7b) 및 접지(E단자)간에서 접속된다. 릴레이 스위치(9a) 및 (10a)의 각각의 가동 접점
Figure kpo00004
는 상호간에 접속되며, 릴레이 스위치(9a)의 고정 접점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는 각각 SWL 및 SWH단자에 접속되며, 릴레이 스위치(10a)의 고정 접점
Figure kpo00007
및 b는 각각 접지 (E) 및 AS단자에 접속된다.
참조번호(11)은 중단 와이핑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타이머 회로를 표시하며, 이후에 상세히 서술된다. 타이머 회로(11)에서, 양극성을 갖는 전압-조정기 다이오드(12)는 와이퍼 스위치(7)의 단자(7b) 및 WIG 단자간에서 접속되며 ; 저항(13), 캐패시터(14) 및 양극성의 다이오드(15)를 포함하는 직렬회로는 WIG 단자 및 릴레이 스위치(10a)의 고정 접점
Figure kpo00008
간에서 접속되며 ; 캐패시터(14) 및 다이오드(15)간의 공통 접점은 Rb단자에 접속된다.
참조번호(16) 및 (17)은 상호간에 접속되는 에미터를 갖는 PNP-형 트랜지스터를 표시한다. 상기 트랜지스터에서, 에미터는 저항(18)을 경유하여 WIG단자에 접속되며, 트랜지스터(16)의 콜렉터는 여자 코일(10b)를 통하여 접지(E단자)에 접속되며, 트랜지스터(17)의 콜렉터는 저항(19)를 통하여 와이퍼 스위치(7)의 단자(7d)에 접속되며, 트랜지스터(1b)의 베이스는 전방의 다이오드(20)을 통하여 트랜지스터(17)의 콜렉터에 접속되며, 트랜지스터(17)의 베이스는 저항(21)을 통하여 Ra단자에 접속되며, 저항(22) 및 (23)은 트랜지스터(16) 및 (17)의 각각의 에미터 및 베이스간에서 접속된다. 간격 시간을 조정하기 위한 전위차계(24)는 단자(Ra) 및 (Rb)간에 접속된다.
부가적으로, 참조번호(25)는 캐패시터(26), 저항(27) 및 도시된 바와 같은 양극성을 갖는 다이오드(28)을 포함하는 직렬회로와 같이 정렬된 연동회로를 표시하며, WIG 단자 및 와셔 스위치(8)의 단자(8a) 간에 접속되며, 캐피시터(26) 및 저항(27) 간의 공통 접점은 저항(29)를 경유하여 타이머 회로(11) 내에서 트랜지스터(16)의 베이스에 접속된다.
상기 기술된 배열의 작동은 이후에 기술된다. 와이퍼 스위치(7)이 정지 모드 OFF에 있고, 와셔 스위치(8)이 작동되지 않을 시에, 전원 와이퍼 모터(4) 및 펌프 모터(6)에서 분리되며, 따라서 이들 모터는 회전되지 않는다. 그러나, 예를들어, 와이퍼 스위치(7)이 미스트 와이핑 모드 MIST로 변환될시에, 단자(7b) 및 (7c)는 소스라인(2)로부터 단자(7c) 및 (7b)를 통하여 제 2릴레이(10)의 여자 코일의 (10b)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짧은 시간 동안 상호간에 접속되며, 그래서, 릴레이(10)은 접점(c-a)이 폐쇄되도록 활성화된다.
이때에, 제 1릴레이의 여자 코일(9b)가 정지되기 때문에 릴레이 스위치(9a)는 접점(c-b)이 폐쇄되도록 작동되며, 와이퍼 모터는 릴레이 스위치(10a)의 접점(c-a), 릴레이 스위치(9a)의 접점(c-b) 및 고속 회전 단자(H)를 통하여 소스 라인으로부터 활성화되며, 따라서 와이퍼는 고속으로 작동된다. 그러한 작동 상태는 와이퍼 스위치(7)의 단자(7b) 및 (7c)가 상호간에 분리된 후에 계속되는데, 그 이유는 와이퍼가 와이핑 위치에 있는 동안에 와이퍼 모터가 자동 정지 스위치(5)의 접점(c-a)를 통하여 활성화 되기 때문이다. 와이퍼가 자동 정지 스위치(5)의 접점(c-b)를 폐쇄하도록 대기 위치로 복귀될시에만 그러한 작동 상태가 발생하며 이로 인해 와이퍼 모터(4)는 정지된다.
와이퍼 스위치(7)이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미스트 와이핑 모드 MIST로 변환될시에, 와이퍼는 고속으로 일시 작동된다. 와이퍼 스위치(7)이 고속 와이핑 모드 HI로 변환되는 경우에 있어서, 단자(7b) 및 (7c)는 상기 예와 유사하게 릴레이 스위치(10a)이 접점(c-a)이 폐쇄되도록 연속적으로 접속되며, 따라서 와이퍼 모터(4)는 릴레이 스위치(10a)의 접점(c-a), 릴레이 스위치(9a)의 접점(c-b) 및 고속 회전 단자(H)를 경유하여 소스 라인(2)로부터 활성화되며 따라서, 와이퍼는 고속 와이핑 작동을 수행하기 위해 연속적으로 고속으로 작동된다.
와이퍼 스위치가 이러한 상태에서 정지 모드 OFF로 변환되는 경우에는, 릴레이 스위치(10a)의 접점(c-b)가 폐쇄되므로 여자 코일(10b)는 동작하지 않는다. 따라서, 자동 정지 스위치(5)가 폐쇄되는 시간동안 와이퍼 모터(4)는 계속적으로 동작된다. 그 다음에 와이퍼 모터(4)가 정지되어 고속 와이핑이 작동되지 않도록 와이퍼는 자동 정지 스위치(5)의 접점(c-b)을 폐쇄시키도록 대기위치로 복귀한다.
와이퍼 스위치(7)이 저속 와이핑 모드 LO로 변화되는 상황에서는, 단자(7a),(7b) 및 (7c)는 상호간에 연속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릴레이 스위치(9a) 및 (10a)의 각각의 접점(c-a)이 폐쇄되므로 제 1릴레이(9) 및 제 2릴레이(10)의 각각의 여자 코일(9b) 및 (10b)는 단자(7a), (7b) 및 (7c)를 통하여 소스 라인(2)로부터 활성화된다. 따라서, 와이퍼 모터(4)는 저속 회전 단자(L) 및 릴레이 스위치(9a) 및 (10a)의 각각의 접점(c-a)를 경유하여 소스 라인(2)로부터 활성화되며, 따라서 와이퍼 모터(4)는 저속 와이핑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저속으로 계속적으로 작동된다. 와이퍼 스위치(7)이 이러한 상태에서 정지 모드 OFF로 변환될 때, 릴레이 스위치(9a) 및 (10a)는 각각의 접점(c-b)를 폐쇄하기 위해 정지 상태로 복귀된다. 자동 정지 스위치(5) 접점(c-a)가 폐쇄되는 시간 동안 와이퍼 모터(4)는 고속 회전 단자(H)를 경유하여 활성화된다. 따라서, 와이퍼 대기 위치로 복귀될대까지(즉, 자동 정지 스위치(5)의 접점(c-b)가 폐쇄될때까지) 와이퍼는 고속으로 작동된다.
와이퍼 스위치(7)이 단속 와이핑 모드 INT로 복귀되는 경웨는, 단자(7a) 및 (7c) 및 단자(7d) 및 (7e)는 각각 연속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릴레이 스위치(9a)의 접점(c-a)가 폐쇄되므로 제 1릴레이(9)의 여자 코일(9b)는 단자(7a) 및 (7c)를 통하여 활성화되며, 동시에, 제 2릴레이(10)의 여자 코일(10b)가 릴레이 스위치(10a)의 접점(c-a)를 폐쇄하기 위해 트랜지스터(16)을 통하여 활성화되므로 트랜지스터(16)을 턴 온시키도록 다이오드(20), 저항(19) 및 단자(7d) 및 (7e)를 경유하여 트랜지스터(16)으로 베이스 전류가 흐른다. 따라서, 와이퍼가 저속으로 작동되므로 와이퍼 모터(4)는 저속 회전 단자(L)을 통하여 활성화된다.
자동 정지 스위치(5)의 접점(c-a)가 와이퍼의 동작에 응답하여 폐쇄될때, 충전에 대응하는 베이스 전류가 트랜지스터(17)을 턴온시키도록 자동 정지 스위치(5), 다이오드(15), 전위차계(24) 및 저항(21)을 통하여 트랜지스터(17)로 흐르도록, 캐패시터(14)는 접점(c-a), 다이오드(15) 및 저항(13)을 통하여 충전된다. 이때에, 트랜지스터(16)이 트랜지스터(17)의 턴온상태가 턴오프되기 때문에, 여자 코일(10b)는 릴레이 스위치(10a)의 접점(c-b)를 폐쇄하도록 작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와이퍼 모터는 자동 정지 스위치(5)의 접점(c-a)를 경유하여 활성화되며, 동시에 캐패시터(14)는 충전 상태를 유지한다.
와이퍼가 대기 위치로 복귀될시에, 와이퍼의 와이핑 동작이 한번한 와이프한 후에 정지되도록 자동 스위치(5)의 접점(c-b)는 와이퍼 모터(4)가 작동되지 않도록 폐쇄된다. 동시에, 캐패시터(14)는 저항(13), (18) 및 (23), 트랜지스터(17)의 에미터-베이스 경로, 저항(21) 및 전위차계(24)를 통하여 방전되므로, 온 상태로 트랜지스터(17)을 유지하기 위해 방전되는 동안 베이스 전류는 트랜지스터(17)로 흐른다. 방전 후에, 트랜지스터(17)은 턴 오프되며 트랜지스터(16)은 다시 턴 온된다. 따라서, 상기 서술된 바와 같이 와이퍼는 저속으로 다시 작동하기 시작한다. 그래서, 단속 와이핑 동작이 수행된다. 단속 와이핑 동작에서 간격 시간은 방전하는 캐패시터(14)의 시간 상수를 변화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그 후에, 와이퍼 스위치(7)이 정지 모드 OFF로 변환되는 경우에는, 만일 와이퍼가 대기 위치에 있다면 단속 와이핑 동작은 즉시 멈추며, 또한 와이퍼가 와이핑 위치에 있다면 대기 위치로 와이퍼를 복귀시킨 후에 멈추게 된다. 예를 들어, 저속 와이핑 모드 LO가 선택될때와 같은 동일한 방법에서 와이퍼가 정지 위치로 복귀될때까지 또한 와이퍼는 고속으로 작동된다.
와이퍼 스위치(7)이 정지 모드 OFF에 있을때 와셔 스위치(8)이 단자(8a) 및 (8b)를 접속되도록 작동될때 윈도우 와셔 액체를 전방 윈도우에 분무하는 스위치(8)의 동작 동안만 펌프 모터(6)이 작동된다. 이때, 캐패시터(26)은 저항(27), 다이오드(28) 및 단자(8a) 및 (8b)를 통하여 충전되기 시작한다. 충전 시작 이후의 고정시간에서 트랜지스터(16)을 턴온 시키기 위해 저항(29) 및 (27) 다이오드(28)을 통하여 베이스 전류는 트랜지스터(16)으로 흐른다. 따라서,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릴레이 스위치(10a)의 접점(c-a)는 와이퍼 모터(4)를 고속으로 작동되도록 폐쇄되며, 상기 모터는 교대로 고속으로 와이퍼를 작동시킨다.
그후 와셔 스위치(8)의 동작이 정지됐을때, 펌프모터(6)은 윈도우 와셔 액체 분무가 정지되도록 가동되지 않으며 저항(18) 및 (22), 트랜지스터(16) 및 저항(29)의 에미터 -베이스 경로를 통하여 캐패시터(26)은 방전된다. 적절한 지연이 이루어진 방전이 완료됐을때, 릴레이 스위치(10a)가 접점(c-b)를 폐쇄되도록 정지 상태로 복귀되므로 트랜지스터(16)은 턴 오프된다. 따라서, 와이퍼가 대기 위치로 복귀될시에 와이퍼의 동작은 멈추게 된다.
결국 따라서, 제 1실시예에 따라, 저속 와이핑 모드 LC 또는 단속 와이핑 모드 INT에서 와이퍼가 저속으로 작동되는 동안 와이퍼 스위치(7)이 정지 모드 OFF로 변환되는 곳에서, 와이퍼는 자동적으로 고속동작으로 변환되며 대기 위치로 복귀된다. 그래서, 시계가 불량한 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미스트 와이핑 모드 MIST 가 선택되는 경우에는, 와이퍼가 고속으로 작동하며, 또한 시계 불량의 불필요한 시간을 막기 위해 작동 된다. 게다가, 와셔 스위치(8)이 작동되는 경우에는, 윈도우 와셔 액체가 분무된 후 적절한 지연 시간 후 와이퍼는 자동적으로 고속으로 작동된다. 또한 와셔 스위치(8)이 정지된 후 적절한 시간 동안 전기가 와이퍼 모터(4)로 공급된다. 따라서, 전방 윈도우상에 위치한 먼지 및 윈도우와셔 액체는 상기 서술된 바와 같이 와이퍼 동작으로 인해 재빨리 닦여진다. 그래서, 시계 불량 시간은 더욱 짧아진다. 이것은 특히 자동차의 고속 주행동안 안전을 도모한다.
제 2 도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하며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만을 아래에 서술한다. 본 실시예는 와이퍼 스위치(7)의 위치에서 공급되는 소수의 단자를 갖는 와이퍼 스위치(30)으로 특성되며, NPN-형 트랜지스터(31) 및 저항(32) 및 (33)은 와이퍼 스위치(30)의 작용을 보조하도록 공급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속 와이핑 모드 HI, 저속 와이핑 모드 LO,스트 와이핑 모드 MIST 및 전지모드 OFF가 선택될시에, 와이퍼 스위치(30)은 단자(30a 내지 30c)가 접속되도록 배열된다. 단자(30a 내지 30c)는 제 1실시예에서 상기 서술된 바와 같이 타이머 회로(11)에 대하여 단자(7a 내지 7c)와 동일한 관계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31)에 있어서, 콜렉터-에미터 경로는 저항(19) 및 접지(E단자)간에 접속되며, 베이스는 저항(32)를 통하여 와이퍼 스위치(30)의 단자 (30a)에 접속된다. 저항(33)은 베이스 및 에미터간에 접속된다. 와이퍼 스위치(30)이 이 중단 와이핑 모드 INT로 변환될시 트랜지스터가 타이머 회로(11)를 시동되도록 턴 온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실시예는 제 1실시예에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제 3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하며,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만을 이하에 서술한다. 미스트 와이핑 모드 MIST가 선택될시, 와이퍼 스위치는 작동력이 존재할 시만 짧은 시간동안 단자(7a) 및 (7c)를 상호 접속하는 일시적 형태의 스위치이다. 와이퍼 스위치(7)의 단자(7a) 및 접지(E단자) 간에, 전방 방향으로 접속된 다이오드(111)을 통하여, 여자 코일(9b)는 접속된다. 여자 코일(10b)는 양극성을 갖는 다이오드(112)를 통하여 와이퍼 스위치(7)의 단자(7a)에 접속되고 와이퍼 스위치(7)의 단자(7b)에 접속된 한쪽 단부 및 접지(E단자)에 접속된 다른 반대쪽 단부를 갖는다. 릴레이 스위치(9a) 및 (10a)의 각각의 가동 접점
Figure kpo00009
는 상호간에 접속되며, 릴레이 스위치의 고정 접점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1
각가 SWH 및 SWL단자에 접속될때, 릴레이 스위치(10a)의 고정 접점
Figure kpo00012
Figure kpo00013
는 접지(E단자) 및 AS단자에 각각 접속된다.
참조번호(132)는 스위칭 소자, 예를들어, PNP-형 트랜지스터를 표시한다. 트랜지스티(132)에 있어서, 에미터는 WIG단자에 접속되며, 콜레터는 제 1릴레이(9)의 여자코일(9b)를 통해 접지되며, 베이스는 저항(133)을 통해 연동회로(25)내의 저항(27) 및 다이오드(28)간의 공통 접점에 접속되며, 저항(134)는 에미터 및 베이스간에 접속된다.
제 3 실시예의 작동은 아래에 기술된다. 와이퍼 스위치(7)이 정지 모드 OFF로 변환되며, 와셔 스위치(8)이 작동되지 않을 시에, 와이퍼 모터(4) 및 펌프 모터(6)은 작동되지 않는다. 와이퍼 스위치(7)이 미스트 와이핑 모드 MIST로 변환될시에, 짧은 시간동안 단자(7a) 및 (7c)는 상호간에 접속되므로 제 1 릴레이(9)의 여자 코일(9b)는 단자(7c) 및 (7a) 및 다이오드(111)을 통해 소스 라인(2)로부터 활성화된다. 또한 제 2 릴레이(10)이 여자 코일(10b)는 각각의 접점(c-a)가 폐쇄되도록 릴레이 스위치(9a) 및 (10a)을 발생되도록 단자(7a) 및 (7c) 및 다이오드(112)를 통해 소스 라인(2)로부터 활성화된다. 그 결과로서, 고속 회전 단자 (H) 및 릴레이 스위치(10a)의 각각의 접점(c-b)를 통해 소스 라인(2)로부터 와이퍼 모터(4)가 작동하므로, 와이퍼는 고속으로 작동된다.
단자(7a) 및 (7c)가 상호간에 분리되는 경우에는, 여자 코일(9b) 및 (10b)는 릴레이 스위치(9a) 및 (10a)의 각각의 접점(c-b)가 폐쇄되도록 작동하지 않는다. 와이퍼는 저속으로 동작되는데, 왜냐하면 와이퍼가 와이핑 위치에 있는한 저속회전 단자 L, 릴레이 스위치(9a) 및 (10a)의 각각의 접점(c-b)및 자동 정지 스위치(5)가 접점(c-a)를 통해 와이퍼 모터(4)가 작동하기 때문이다. 와이퍼 스위치가 접점(c-b)를 폐쇄하도록 대기 위치로 복귀될시에만 작동상태가 정지되는 바와 같이 와이퍼 모터(4)는 작동되지 않는다. 와이퍼 스위치(7)이 상기 서술된 바와 같이 미스트 와이핑 모드 MIST로 변환될시에, 와이퍼는 고속으로 작동된다.
와이퍼 스위치(7)이 고속 와이핑 모드 HI로 변환될시에, 단자(7a) 및 (7c)는 상기 서술된 경우와 유사하게 릴레이 스위치(9a) 및 (10a)의 각각의 접점(c-a)를 폐쇄하도록 계속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고속 회전 단자 H 및 릴레이 스위치(9a) 및 (10a)의 각각의 접점(c-a)를 통해 소스 라인(2)로부터 와이퍼 모터(4) 작동되므로, 와이퍼는 고속 와이핑 동작을 수행하도록 계속적으로 작동된다. 와이퍼 스위치가 HI모드 상태에서 정지 모드 OFF로 변환되는 경우에는, 여자 코일(9b) 및 (10b)는 작동되지 않으므로, 릴레이 스위치(9a) 및 (10a)는 각각의 접점(c-b)를 폐쇄한다.
따라서, 자동 접지 스위치(5)가 접점(c-a)를 폐쇄하는 동안만 저속 회전 단자 L을 통해 와이퍼 모터(4)는 동작상태를 유지하므로, 고속 와이핑 동작으로부터 와이퍼 모터(4)가 정지하도록 자동 정지 스위치(5)의 접점(c-b)를 폐쇄하기 위해 와이퍼는 대기 상태로 복귀된다.
부가적으로, 와이퍼 스위치(7)이 저속 와이핑 모드 LO로 변환되는 경우에는, 단자(7b) 및 (7c)는 상호간에 계속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제 2 릴레이(10)의 여자 코일(10b)는 릴레이 스위치(10a)의 접점(c-a)가 폐쇄되도록 단자(7c) 및 (7b)를 통해 소스 라인(2)로부터 활성화된다. 이때에, 제 1 릴레이(9)의 여자 코일(9b)는 릴레이 스위치(9a)의 접점(c-b)가 폐쇄되도록 정지 상태에 있다. 따라서, 와이퍼 모터(4)는 저속 회전 단자 L, 릴레이 스위치(9a)의 접점(c-b) 및 릴레이 스위치(10a)의 접점(c-a)를 통해 소스 라인(2)로부터 작동되므로, 저속 와이핑 동작을 수행하도록 와이퍼는 저속으로 계속적으로 작동된다. 와이퍼 스위치(7)이 상기 상태에서 정지 모드 OFF로 변환될시에. 릴레이 스위치(10a)는 접점(c-b)가 폐쇄되도록 정지 상태로 복귀된다. 따라서, 자동 정지 스위치(5)인 접점(c-b)가 폐쇄되도록 와이퍼를 대기 위치로 복귀 될시에 와이퍼 모터(4)는 정지한다. 더욱이, 와이퍼 스위치(7)이 단속 와이핑 모드 INT로 변환되는 경우에는, 단자(7d) 및 (7e)는 계속적으로 상호간에 접속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16)이 턴 온되도록 다이오드(20), 저항(19) 및 단자(7d) 및 (7e)를 통해 베이스 전류는 트랜지스터(16)으로 흐르므로, 제 2릴레이(10)의 여자 코일(10b)는 릴레이 스위치(10a)의 접점(c-a)가 폐쇄되도록 턴온된 트랜지스터(16)을 통해 활성화된다.
이때에, 릴레이 스위치(9a)는 접점(c-b)가 폐쇄되도록 가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와이퍼 모터(4)는 저속 회전단자 L을 통해 작동되므로 와이퍼는 저속으로 작동될 수 있다.
자동 정지 스위치(5)의 접점(c-a)가 와이퍼의 동작에 응답하여 턴 온 될시에, 캐패시터(14)는 자동 정지 스위치(5)의 접점(c-a), 다이오드(15) 및 저항(13)을 통해 충전되므로, 충전에 대응하는 베이스 전류는 트랜지스터(17)이 턴 온 되도록 저항(21), 전위차계(24), 다이오드(15) 및 자동 정지 스위치(5)를 통해 트랜지스터(17)로 흐른다. 이때에, 트랜지스터(16)은 트랜지스터(17)의 턴 온 되는데 응답하여 턴 오프 되기 때문에, 여자 코일(10b)는 가동되지 않으므로 릴레이 스위치(10a)의 접점(c-b)는 턴 온 된다. 따라서, 와이퍼 모터(4)는 자동 정지 스위치(5)의 접점(c-a)를 통해 작동되며, 동시에, 캐패시터(14)는 충전 상태를 유지한다. 와이퍼가 대기 상태로 복귀될시에, 자동 정지 스위치(5)의 접점(c-b)는 와이퍼 모터(4)가 정지되도록 턴온되므로, 와이퍼의 와이핑 동작은 한번 와이퍼한 후에 정지한다. 동시에, 캐패시터(14)가 저항(13),(18),(23)및 (21) 및 전위차계(24)를 통해 방전되므로, 트랜지스터(17)가 온-상태로 유지되도록 방전되는 동안 베이스 전류는 트랜지스터(17)로 흐른다.
방전 후에, 트랜지스터(17)은 턴 오프되며, 트랜지스터(16)은 다시 턴온 된다. 따라서, 상기 서술된 바와 같이 와이퍼는 저속으로 작동되기 시작한다. 그래서, 단속 와이핑 동작이 수행된다. 단속 와이핑 동작에서 간격 시간은 캐패시터(14)의 방전을 위해 시간 상수가 변환되도록 전위차계를 조정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그후에, 1 스위치(7)이 정지 모드 OFF로 변환되는 경우에는, 와이퍼가 대기 위치에 있다면 단속 와이핑 동작은 즉시 정지하며, 또는 와이퍼가 와이핑 위치에 있다면 와이퍼를 대기 위치로 복귀시킨 후에 정지한다.
와셔 스위치(7)이 정지 모드 OFF에 있을 시에 와셔 스위치(8)이 단자(8a) 및 (8b)를 접속시키도록 작동될시에, 윈드실드(windshield)에 윈도우 와셔 액체를 분무하기 위해 스위치(8)의 동작 동안만 펌프 모터(6)이 작동된다. 동시에, 트랜지스터(132)가 턴 온되도록 저항(133) 및 다이오드(28)을 통해 베이스 전류는 트랜지스터(132)로 흐른다. 따라서, 릴레이 스위치(9a)의 접점(c-a)가 턴 온되도록 만들기 위해 트랜지스터(132)를 통해 여자 코일(9b)는 가동된다. 이때에, 릴레이 스위치(10a)가 접점(c-b)를 폐쇄하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와이퍼 모터(4)는 결코 작동되지 않는다. 또한 동시에, 와셔 스위치(8)이 작동되므로써, 저항(27), 다이오드(28) 및 단자(8a) 및 (8b)를 통해 캐패시터(26)은 충전되기 시작한다. 충전 시작 후의 예정된 시간 주기에서, 트랜지스터(16)이 턴 온 되도록 저항(29) 및 (27) 및 다이오드(28)을 통해 베이스 전류는 트랜지스터(16)으로 흐른다. 따라서, 상기 서술된 바대로 고속 회전 단자 H를 통해 와이퍼 모터(4)가 동작하도록 릴레이 스위치(10a)의 접점(c-a)가 폐쇄되므로, 와이퍼는 고속으로 작동된다.
와셔 스위치(8)의 작동이 개방됐을 시에, 펌프 모터(6)은 윈도우 와셔 분무가 정지하도록 작동되지 않으며, 저항(134),(133) 및 (27) 및 저항(18),(22) 및 (29)를 통해 캐패시터(26)은 방전한다. 예정된 시간 간격 이후 방전이 완료될시에 릴레이 스위치(9a) 및 (10a)의 접점(c-b)는 폐쇄된다. 저항(27),(29) 및 (133)은 트랜지스터(132)가 턴 오프 되며 트랜지스터(16)이 턴 온 되도록 적당한 저항값을 갖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저속으로 작동되는 와이퍼가 대기 위치로 복귀될시에, 동작은 멈춘다.
결국, 제 3실시예에 따라, 와셔 스위치(8)이 작동될시에, 윈도우 와셔 액체가 분무된 이후 예정 시간에서 와이퍼는 자동적으로 고속으로 작동되며, 와셔 스위치(8)이 개방된 이후 예정된 시간 간격동안 전기는 와이퍼 모터(4)로 계속 공급된다. 따라서, 전방창에 부착된 먼지 및 윈도우 와셔 액체는 재빨리 닦여질 수 있으며 전방 시계가 불량한 시간은 가능한 더욱 많이 짧아진다. 따라서, 특히 자동차의 고속 운전 동안 안전성이 증가된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 와셔 스위치(8)의 작동이 와이퍼가 정지되도록 개방될시에, 저속 회전 단자를 통해 와이퍼 모터는 자동적으로 작동된다. 그래서, 와이퍼의 정지 위치에서 떨림의 가능성은 거의 없으며 또한 와이퍼의 정지로 인한 급작한 충격에서 떨림의 가능성은 거의 없다. 더욱이 미스트 와이핑 모드 MIST가 선택될시에, 와이퍼는 고속으로 작동되며, 전방 시계가 불량한 시간은 단축된다. 부가적으로 미스트 와이핑 모드 및 고속 와이핑 모드에서 와이퍼가 접지되어질시에, 와이퍼는 저속으로 작동된다. 따라서, 와이퍼의 정지 위치에서 떨림의 가능성은 거의 없다.
제 4도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를 도시하며, 제 3실시예와 다른 점만을 아래에서술한다. 참조번호(109)는 메이크-접점 릴레이 스위치(109a), 브레이크 접점 릴레이 스위치(109b) 및 여자 코일(109c)를 갖는 제 1릴레이를 표시하며, 여자 코일(109c)가 활성화 될시에 메이크-접점 릴레이 스위치(109)는 폐쇄되며, 여자 코일(109c)가 작동되지 않을 시에 브레이크-접점 릴레이 스위치(109b)는 폐쇄된다. 참조번호(110)은 제 2릴레이(110b)를 표시하며, 여자 코일(110b)가 활성화될시에만 릴레이 스위치(110a)가 폐쇄된다.
제 1릴레이(109)의 여자 코일(109c)는 와이퍼 스위치(7)의 단자(7a)에 접속된 한쪽 단부 및 접지(E)에 접속된 다른 반대쪽 단부를 갖으며, 반면에 제 2릴레이의 여자 코일(110b)는 와이퍼 스위치의 단자(7b) 및 접지(E단자)간에 접속된다. 제 1릴레이(109)의 메이크-접점 릴레이 스위치(109a)는 SWH단자 및 접지(E단자)간에 접속되며, 브레이크-접점 릴레이 스위치(109b)는 접점을(릴레이 스위치(110a)의 (c-b))통해 SWL 및 AS단자간에 접속된다. 릴레이 스위치(110a)의 접점(c-a)는 SWL단자 및 접지(E단자)간에 접속된다.
참조번호(11)은 중단 와이핑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타이머 회로를 표시하며, 이후에 상세히 서술된다. 타이머 회로(11)에서, 도시된 바대로 극성을 갖는 전압-조정기 다이오드(12)는 WIG단자 및 와이퍼 스위치(7)의 단자(7a)간에 접속되며, 저항(13), 캐패시터(14) 및 도시된 바대로 극성의 다이오드(15)를 포함하는 직렬회로는 WIG 단자 및 AS단자간에 접속되며, 캐패시터(14) 및 다이오드(15)간의 공통 접점은 Rb단자에 접속된다.
참조번호(16) 및 (17)은 상호간에 접속되는 에미터를 갖는 PNP형 트랜지스터를 표시한다. 상기 트랜지스터에서, 에미터는 저항(18)을 경유하여 WIG단자에 접속되며, 트랜지스터(16)의 콜렉터는 여자 코일(109c)를 통하여 접지(E단자)에 접속되며, 트랜지스터(17)의 콜렉터는 저항(19)를 통하여 와이퍼 스위치(7)의 단자(7d)에 접속되며, 트랜지스터(16)의 베이스는 전방방향의 다이오드(20)을 통해 트랜지스터(17)의 콜렉터에 접속되며, 트랜지스터(17)의 베이스는 저항(21)을 통하여 Ra단자에 접속된다. 저항(22)는 트랜지스터(16)의 에미터 및 베이스간에서 접속되며, 반면에 저항(23) 및 캐패시터(124)는 트랜지스터(17)의 에미터 및 베이스간에 접속된다. 저항(125) 및 캐패시터(126)을 포함하는 직렬회로는 여자 코일(109c)로 병렬로 접속된다. 간격 시간을 조정하기 위한 전위차계(24)는 단자(Ra) 및 (Rb)간에 접속된다.
상기 서술된 제 4실시예의 작동은 아래에 서술된다. 와이퍼 스위치(7)이 정지 모드 OFF로 변환되고 와셔 스위치(8)이 작동되지 않을시에, 와이퍼 모터(4) 및 펌프 모터(6)은 활성화되지 않으며, 따라서, 상기 모터는 회전하지 않는다. 와이퍼 스위치(7)이 미스트 와이핑 모드 MIST로 변환될시에, 소스 라인(2)로부터 단지(7c) 및 (7a)를 통해 제 1릴레이(109)의 여자 코일(109c)가 활성화되도록 짧은 시간동안 단자(7a) 및 (7c)는 상호 접속되므로 메이크-접점 릴레이 스위치(109a)는 폐쇄되며 브레이크-접점 릴레이 스위치(109b)는 개방된다. 그 결과로써, 고속으로 와이퍼가 작동하도록 소스 라인(2)로부터 고속 회전 단자 H 및 메이크-접점 릴레이 스위치(109a)를 통해 와이퍼 모터(4)는 활성화된다. 와이퍼 스위치의 단자(7a) 및 (7c)가 상호간에 분리될시에, 여자 코일(109c)는 메이크-접점 릴레이 스위치(109a)가 개방되도록 하여 브레이크-접점 릴레이 스위치(109b)가 폐쇄되도록 가동되지 않는다. 이때에 제 2릴레이(110)의 여자 코일(110b)는 릴레이 스위치(110a)의 접점(c-b)가 폐쇄되도록 가동되지 않는다.
와이퍼가 와이핑 위치에 있는 동안, 저속 회전 단자 L, 릴레이 스위치(110a)의 접점(c-b), 브레이크-접점 릴레이 스위치(109b) 및 자동 정지 스위치(5)의 접점(c-a)를 통해 와이퍼 모터(4)는 활성화된다. 따라서, 와이퍼 스위치 OFF로 된후 와이퍼는 대기위치로 저속으로 작동되기 시작하며, 접점(c-b)는 와이퍼 모터(4)가 정지되도록 폐쇄된다. 상기 서술된 바와 같이 와이퍼 스위치(7)이 미스트 와이핑 모드 MIST로 변환될시에, 와이퍼는 고속으로 잠시 작동된다.
와이퍼 스위치(7)이 고속 와이핑 모드 HI로 변환되는 경우에는, 상기 서술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메이크-접점 릴레이 스위치(109a)가 폐쇄되도록 단자(7a) 및 (7c)는 계속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고속 회전 단자 H 및 메이크-접점 릴레이 스위치(109a)를 통해 소스 라인(2)로부터 와이퍼 모터(4)는 활성화되므로, 와이퍼는 고속 와이핑 동작을 수행하도록 계속적으로 작동된다. 와이퍼 스위치가 HI 상태로부터 정지 모드 OFF로 변환되는 경우에는, 여자 코이(109c)가 가동되지 않으므로써 브레이크-접점 릴레이 스위치(109b)는 폐쇄된 상태로 복귀된다. 따라서, 자동 정지 스위치(5)는 접점(c-a)가 폐쇄되도록 하는 시간 동안 와이퍼 모터(4)는 계속적으로 활성화된다. 그후에 와이퍼는 자동 정지 스위치(5)는 접점(c-b)가 폐쇄되는 대기 위치로 저속으로 복귀하여, 와이퍼 모터(4)는 고속 와이핑 동작이 정지되도록 가동되지 않는다.
와이퍼 스위치(7)이 저속 와이핑 모드 LO로 변환되는 경우에는 단자(7b) 및 (7c)는 계속적으로 상호 접속되며 제 2릴레이(110)의 여자 코일(110b)은 릴레이 스위치(110a)의 접점(c-a)가 페쇄되도록 단자(7c) 및 (7b)를 통해 소스 라인(2)로부터 활성화된다. 따라서, 저속 회전 단자(L) 및 릴레이 스위치(110a)의 접점(c-a)을 통해 소스 라인(2)로부터 와이퍼 모터(4)는 활성화되므로, 와이퍼는 저속 와이핑 모드 동작을 수행하도록 계속적으로 작동된다. 와이퍼 스위치(7)이 LO 상태로부터 정지 모드 OFF로 변환될시에, 릴레이 스위치(110a)는 접점(c-b)가 폐쇄되도록 정지 상태로 복귀된다. 그러므로, 와이퍼가 자동 정지스위치(5)의 접점(c-b)가 폐쇄하도록 대기 위치로 복귀될시에만 와이퍼 모터(4)는 가동되지 않는다.
더욱이, 와이퍼 스위치(7)이 중단 와이핑 모드 INT로 변환되는 경우에 단자(7d) 및 (7e)는 계속적으로 상호접속된다. 다이오드(20), 저항(19) 및 단자(7d) 및 (7e)를 통해 베이스 전류는 트랜지스터(16)으로 흐르며 이에 의해 트랜지스터(16)은 턴온된다.
그러므로 턴 온된 트랜지스터(16)을 통해, 제 1릴레이(109)의 여자 코일(109c)는 메이크-접점(109a) 릴레이 스위치가 폐쇄되도록 활성화된다. 따라서, 와이퍼 모터(4)는 고속 회전 단자 H를 통해 활성화되므로, 와이퍼는 고속으로 작동되지 시작한다. 와이퍼의 동작에 따라 자동 정지 스위치(5)의 접점(c-a)가 폐쇄될시에, 캐패시터(14)는 접점(c-a), 다이오드(15) 및 저항(13)을 통해 충전되므로, 충전에 대응한 베이스 전류는 트랜지스터(17)이 턴 온 되도록 저항(21), 전위차계(24), 다이오드(15) 및 자동 정지 스위치(5)를 통해 트랜지스터(17)로 흐른다. 이때에, 트랜지스터(17)의 턴 온에 응답하여 트랜지스터(16)이 턴오프되기 때문에 여자 코일(109c)는 메이크 접점 릴레이 스위치(109a)가 개방되도록 가동되지 않으며, 브레이크 접점 릴레이 스위치(109b)를 폐쇄한다. 따라서, 와이퍼 모터(4)는 와이퍼를 저속 동작 상태로 변환되도록 저속 회전 단자 H, 릴레이 스위치(110a)의 접점(c-b), 브레이크 접점 릴레이 스위치(109b) 및 자동 정지 스위치(5)의 접점(c-a)를 통해 활성화되며, 캐패시터(14)는 충전 상태를 유지한다.
와이퍼가 대기 위치로 복귀될시에, 자동 정지스위치(5)의 접점(c-b)는 와이퍼 모터(14)가 가동되지 않도록 폐쇄되므로, 와이퍼의 와이피 동작은 한번의 와이프 후에 정지된다. 동시에, 충전된 캐패시터(14)는 저항(13),(18),(23) 및 (21) 및 전위차계(24)를 통해 방전되므로, 방전하는 동안 트랜지스터(17)을 온 상태로 유지되도록 베이스 전류는 트랜지스터(17)로 흐른다.
반전이 끝난후에, 트랜지스터(17)은 턴 오프되며 트랜지스터(16)은 다시 턴온된다. 따라서, 와이퍼는 고속으로 가동되기 시작하며, 상기 서술한 바대로 연속적으로 저속으로 회전한다. 그러므로, 중단 와이핑 동작이 수행된다. 중단 와이핑 동작에서 간격 시간은 캐패시터(14)의 방전의 시간 상수를 변환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와이퍼 스위치(7)이 정지 모드 OFF로 변환되는 경우에는, 만일 와이퍼가 대기 위치에 있다면 중단 와이핑 동작은 즉시 정지하며 또는 만일 와이퍼가 와이핑 위치에 있다면 대기 위치로 와이퍼가 복귀된후에 정지한다. 후자의 경우에는, 와이퍼가 대기 위치에 도달될때까지 와이퍼는 저속으로 작동된다.
와셔 스위치(8)이 단자(8a) 및 (8b)를 상호간에 접속하도록 작동할시나, 와이퍼 스위치(7)이 정지모드 OFF에 있을시에, 펌프 모터(6)은 윈도우 와셔 액체가 분무되도록 스위치(8)의 동작 동안만 활성화된다. 이때에, 저항(27), 다이오드(28) 및 단자(8a)및 (8b)를 통해 캐패시터(26)이 충전되기 시작한다. 충전 시간 이후의 예정된 시간에서, 트랜지스터(16)이 턴온 되도록 저항(29) 및 (27) 및 다이오드(28)을 통해 베이스 전류는 트랜지스터(16)으로 흐른다. 따라서, 와이퍼 모터(4)가 고속으로 작동되도록 상기 서술한 방법으로 메이크 접점 릴레이 스위치(109a)는 폐쇄된다. 그후에, 와셔 스위치(8)의 동작이 정지됐을시에, 펌프 모터(6)은 윈도우 와셔 액체 분무를 정지하도록 가동되지 않으며, 저항(18),(22) 및 (29)를 통해 캐패시터(26)은 방전된다.
예정된 지연 이후 방전이 완료됐을시에, 트랜지스터(16)은 턴 오프되므로, 브레이크-접점 릴레이 스위치(109b)가 폐쇄되어 와이퍼의 동작이 대기위치에서 정지할때까지 모터(4)가 저속으로 작동되도록 한다.
양호한 실시예가 서술된 바에 있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서술한 바 및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단 와이핑 모드 및 미스트 와이핑 모드는 필요하다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윈도우 표면으로부터 먼지 및 윈도우 와셔 액체를 제거하는 운동은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재빨리 행해지며, 상기 운동이 정지할시에, 와이퍼에 의해 발생되는 시계 불량이 단축되도록 와이핑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로 와이퍼가 재빨리 복귀된다는 상기 서술한 내용이 명백해 진다.
더욱이, 또다른 실용적인 효과는 와이퍼가 윈도우 와셔와 공동으로 고속으로 작동하는 곳에서 본 발명의 와이퍼 제어 시스템은 와이퍼의 예정된 정지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서, 고속 동작을 위해 폐쇄된 메이크 접점 및 정지 동작을 위해 폐쇄된 브레이크 접점을 갖는 릴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회로이기 때문에, 부가적인 안전 특성을 제공하는 고속으로 와이핑하는 릴레이 고장이 있을 때마다 저속 와이핑이 항상 실행된다.

Claims (10)

  1. 각 대응 단자를 통해 활성화될시에 선택된 고속이나 저속을 와이퍼를 작동시키기 위한 고속 단자 및 저속 단자를 구비한 와이퍼 모터, 적어도 고속 와이핑 모드, 저속 와이핑 모드, 또는 정지 모드를 선택할수 있는 와이퍼 스위치, 상기 와이퍼 스위치가 상기 고속 와이핑 모드 및 정지 모드를 선택할 시에는 상기 고속 단자를 통해 상기 모터를 가동시키며, 상기 와이퍼 스위치가 상기 저속 와이핑 모드를 선택할 시에는 상기 저속 단자를 통해 상기 모터를 가동시킬 수 있는 속도 변환 릴레이 스위치를 구비한 제 1릴레이를 포함하는 제 1회로 수단, 상기 와이퍼 모터가 가동됨과 동시에 상기 속도 변환 릴레이 스위치를 통해 상기 와이퍼 모터에 전기적 전력 공급 경로를 완성시키는데, 상기 전기적 전력 공급 경로는 상기 와이퍼가 예정된 대기 위치로 복귀될때까지 유지되는 자동 정지 스위치, 상기 제 1릴레이의 상기 속도 변환 릴레이 스위치를 통해 상기 와이퍼 모터에 대한 전기적 전력 공급경로를 완성시키도록, 상기 와이퍼 스위치가 상기 고속 와이핑 모드 및 저속 와이핑 모드를 선택할 시에 활성화되도록 배치된 제 2릴레이를 포함하는 제 2회로수단, 와셔 스위치가 온 위치로 작동될시에 활성화될 수 있는 윈도우 와셔 액체분무 펌프 모터 및, 상기 와셔 스위치의 작동에 응답하여 상기 제 2릴레이를 동작시켜, 상기 와셔 스위치가 오프 위치로 작동된 후에 예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 2릴레이를 정지시키도록 배치된 연동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제어시스템.
  2. 각 대응 단자를 통해 활성화될시에 선택된 고속이나 저속을 와이퍼를 작동시키기 위한 고속 단자 및 저속 단자를 구비한 와이퍼 모터, 적어도 고속 와이핑 모드, 저속 와이핑 모드, 또는 정지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와이퍼 스위치, 속도 변환 릴레이 스위치를 구비한 제 1릴레이를 포함하는데, 상기 릴레이는 상기 와이퍼 스위치가 상기 고속 와이핑 모드를 선택할시에는 상기 고속 단자 및 상기 릴레이 스위치를 통해 상기 모터를 활성화시키며, 상기 와이퍼 스위치가 상기 저속 와이핑 모드 및 상기 정지모드를 선택할시에는 상기 저속 단자 및 상기 릴레이 스위치를 통해 상기 모터를 정지시키는 제1회로수단, 상기 와이퍼 모터가 가동됨과 동시에 상기 속도변환 릴레이 스위치를 통해 상기 와이퍼 모터에 전기적 전력 공급 경로를 완성시키는데, 상기 전기적 전력 공급 경로는 상기 와이퍼가 예정된 대기 위치로 복귀될 때까지 유지되는 자동 정지 스위치, 상기 제 1릴레이의 상기 속도 변환 릴레이 스위치를 통해 상기 와이퍼 모터에 대한 전기적 전력 공급 경로를 완성시키도록, 상기 와이퍼 스위치가 상기 고속 와이핑 모드 및 저속 와이핑 모드를 선택할시에 활성화될 수 있는 제 2릴레이를 포함하는 제 2회로 수단, 와셔 스위치가 온 위치로 작동됨에 응답하여 활성화된 윈도우와셔 액체분무 펌프 모터, 상기 와셔 스위치의 작동에 응답하여 상기 제 2릴레이를 동작시켜, 상기 와셔 스위치가 오프 위치로 작동된 후에 예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 2릴레이를 정지시키는 연동 회로 및, 상기 와셔 스위치가 온 위치로 작동될시에만, 상기 제 1릴레이를 상기 작동 상태로 유지하는 스위칭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제어 시스템.
  3. 각 대응 단자를 통해 활성화될시에 선택된 고속이나 저속을 와이퍼를 작동시키기 위한 고속 단자 및 저속 단자를 구비한 와이퍼 모터, 고속 와이핑 모드, 저속 와이핑 모드, 또는 정지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와이퍼 스위치, 메이크 접점 릴레이 스위치를 폐쇄하여, 브레이크 접점 릴레이 스위치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고속 와이핑 모드를 선택하는 상기 와이퍼 스위치에 응답하여 가동된 제 1릴레이를 포함한 제 1회로수단, 상기 와이퍼 모터가 가동됨과 동시에 상기 속도 변환 릴레이 스위치를 통해 상기 와이퍼 모터에 전기적 전력 공급 경로를 완성시키는데, 상기 전기적 전력 공급 경로는 상기 와이퍼가 예정된 대기 위치로 복귀될때까지 유지되는 자동 정지 스위치, 상기 저속 단자를 통해 상기 와이퍼 모터에 대한 제 1전기적 전력 공급 경로를 완성시켜, 상기 제 1릴레이의 상기 브레이크 접점 릴레이 스위치 및 상기 자동 정지 스위치를 통해 상기 와이퍼 모터에 대한 다른 전기적 전력 공급 경로를 완성시키도록, 상기 저속 모드를 선택할 상기 와이셔 스위치의 작동에 응답하여 가동된 제 2릴레이를 포함하는 제 2회로 수단, 와셔 스위치가 온 위치로 작동됨에 응답하여 작동되는 윈도우 와셔 액체 분무 펌프 모터 및, 상기 와셔 스위치의 작동에 응답하여 상기 제 1릴레이를 가동시켜, 상기 와셔 스위치가 오프 위치로 작동된 후에 예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 1릴레이를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와이퍼 모터는 상기 제 1릴레이가 가동될시에 상기 폐쇄된 메이크 접점 릴레이 스위치 및 상기 고속 단자를 통해 활성화되는 연동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제어 시스템.
  4. 가동될시에 선택된 저속이나 고속으로 와이핑 및 대기 위치 사이에서 와이퍼를 구동시키도록 고속 단자 및 저속 단자를 갖는 와이퍼 모터, 윈도우에 분무하도록 가동되는 와셔 액체 분무수단, 온 위치 및 오프 위치로 작동 가능한 윈도우 와셔 스위치, 적어도 고속 모드, 저속 모드 또는 정지 모드로 선택할 수 있는 와이퍼 스위치, 제 1상태일시에는 저속 상태, 그리고 제 2상태일시에는 고속 상태로 작동할 수 있는 속도 변환 스위치를 갖는 제 1릴레이 수단, 와이퍼가 대기 위치에 있을 시에는 제 1상태, 그리고 와이핑 위치에 있을 시에는 제 2상태로 작동할 수 있는 자동 정지 스위치, 상기 와이퍼 스위치가 고속 모드나 저속 모드를 선택할 시에는 제각기 대응 속도 변환 스위치 상태를 통해 선택된 고속이나 저속으로 상기 모터를 가동시키기 위한 상기 제 1릴레이 수단을 포함한 제 1회로 수단 및, 상기 와셔 수단이 가동된 후에 예정된 시간 동안 고속으로 상기 모터를 가동시키도록 와셔 스위치를 온 위치로 작동됨에 응답하는 상기 선택된 오프 모드의 상기 와이퍼 스위치를 포함하는 제 2회로 수단을 구비하는데, 상기 제 2회로 수단은 상기 자동 정지 스위치가 상기 제 2상태에 위치할시에 상기 자동 정지 스위치에 의해 조절된 속도로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와셔 스위치가 오프 위치로 작동된 후에 예정된 시간 동안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제어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회로 수단은 상기 와셔 스위치가 오프 위치로 작동된 후에 상기 예정된 시간 동안 저속으로 상기 모터를 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제어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로 수단은 상기 와셔 스위치가 오프 위치로 작동된 후에 상기 예정된 시간 동안 고속으로 상기 모터를 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제어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릴레이 수단은 가동시에 상기 고속 단자에 접속할 수 있는 제 1스위치 및 가동되지 않을시에 상기 저속 단자에 접속할 수 있는 제 1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회로 수단은 가동되지 않을 시의 한 모드 및 가동될시에 제 2모드로 작동된 스위칭 수단을 구비한 제 2 릴레이 수단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회로 수단은 상기 제 2 릴레이가 가동될시에 저속으로 상기 모터를 가동시킬 수단 및, 상기 제 2 릴레이가 가동되지 않은 상태의 상기 제 1 릴레이의 상기 스위치와 상기 정지 스위치를 통해 가공되지 않을 시에 고속으로 상기 모터를 가동시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제어 시스템.
  8. 가동될시에 선택된 제 1 속도나 제 2 속도로 와이핑 및 대기 위치 사이에서 와이퍼를 선택적으로 구동 시키도록 제 1 속도 단자 및 제 2 속도 단자를 갖는 와이퍼 모터, 윈도우에 분무하도록 가동되는 와셔 액체 분무 수단, 온 위치 및 오프 위치로 작동 가능한 윈도우 와셔 스위치, 적어도 제 1 속도 모드, 제 2 속도 모드 또는 정지 모드로 선택할 수 있는 와이퍼 스위치, 가동될시의 제 1 속도 단자 및 가동되지 않을 시의 제 2속도 단자에 접속된 속도 변환 스위치를 갖는 제 1 릴레이 수단, 와이퍼가 대기 위치에 있을 시에는 제 1 상태, 그리고 와이핑 위치에 있을 시에는 제 2 상태로 작동할 수 있는 자동 정지 수단, 가동되지 않을 시에는 속도 변환 스위치를 상기 자동 정지 수단에 접속하며, 가동시에는 속도 변환 스위치를 에너지원의 한 단자에 접속하는 릴레이 스위치를 갖는 제 2 릴레이 수단, 에너지원의 상기 한 단자의 상기 속도 변환 스위치를 통해 제 1 속도로 모터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릴레이 수단을 가동시키기 위해 제 1 속도 모드에 대한 와이퍼 스위치의 작동에 응답하는 제 1 회로 수단, 제 2 상태의 속도 변환 스위치 및 에너지원에 접속된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통해 상기 제 2 속도로 모터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제 2 릴레이 수단을 가동시키기 위해 제 2 속도 모드에 대한 와이퍼 스위치의 작동에 응답하는 제 2 회로 수단과, 상기 와셔 스위치가 온 위치에 있을 시에 상기 액체 분무 펌프를 가동시키도록 와이퍼 스위치가 오프 모드에서 동작할시에 와셔 스위치가 온 위치로 작동됨과 응답하는 제 3 회로 수단과, 와셔 스위치가 온 위치로 작동된 후에 상기 제 2 속도로 모터를 작동시키도록 예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 2 릴레이를 가동시킬 상기 와셔 스위치의 작동에 응답하는 상기 제 2 릴레이의 권선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와셔 스위치가 상기 오프 위치로 작동된 후에 상기 제 1 릴레이의 상기 속도 변환 스위치 및 상기 자동 정지 스위치를 통해 와이퍼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예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 2 릴레이를 가동시키지 않을 오프 위치에 대한 와셔 스위치의 작동에 응답하는 타이밍 회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제어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속도는 고속에 해당하여, 상기 제 1속도는 저속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제어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회로 수단 및 상기 자동 정지 수단은, 와이퍼가 상기 와이핑 위치에 있을 시에, 상기 와셔 스위치가 오프 위치로 작동됨과 동시에 저속으로 상기 모터를 작동시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제어 시스템.
KR1019860007791A 1985-09-19 1986-09-16 와이퍼 제어 시스템 KR9500025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297485U JPH0341965Y2 (ko) 1985-09-19 1985-09-19
JP14297285U JPH0341964Y2 (ko) 1985-09-19 1985-09-19
JP60-142972 1985-09-19
JP60-142974 1985-09-19
JP1985142973U JPS6251066U (ko) 1985-09-19 1985-09-19
JP60-142973 1985-09-19
JP142972 1985-09-19
JP142973 1985-09-19
JP142974 1985-09-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973A KR870002973A (ko) 1987-04-14
KR950002503B1 true KR950002503B1 (ko) 1995-03-21

Family

ID=27318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7791A KR950002503B1 (ko) 1985-09-19 1986-09-16 와이퍼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4720664A (ko)
KR (1) KR9500025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553B1 (ko) * 2008-05-16 2015-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와이퍼 제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3670A (en) * 1994-01-03 1995-09-26 Schaefer; Eric G. Method of controlling a windshield wiper system
US5860185A (en) * 1996-08-23 1999-01-19 Itt Automotive Electrical Systems, Inc. Reversing wiper motor system
KR100217618B1 (ko) * 1996-12-12 1999-09-01 정몽규 와셔액 분사위치 조절 장치
JP4795903B2 (ja) * 2006-09-12 2011-10-19 アスモ株式会社 ワイパ装置
US7764034B2 (en) * 2007-10-30 2010-07-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windshield wipers
JP5864500B2 (ja) * 2013-09-26 2016-02-17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ワイパウォッシャ装置
JP5981973B2 (ja) * 2014-09-30 2016-08-31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ワイパ装置
JP5965449B2 (ja) * 2014-09-30 2016-08-03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ワイ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901645A (en) * 1969-11-17 1972-05-30 Trico Products Corporation Coordinated windshield washer and wiper
GB1434683A (en) * 1973-08-04 1976-05-05 Rau Swf Autozubehoer Wiping and washing installation for a vehicle windscreen and headlamps
US3849711A (en) * 1973-11-23 1974-11-19 Gen Motors Corp Windshield wiper control circuit
US4393341A (en) * 1981-06-15 1983-07-12 Gulf & Western Manufacturing Company Windshield clean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553B1 (ko) * 2008-05-16 2015-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와이퍼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720664A (en) 1988-01-19
KR870002973A (ko) 1987-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2503B1 (ko) 와이퍼 제어 시스템
US6335601B1 (en) Wiper control device
US3963969A (en) Apparatus for washing and wiping vehicle windscreens and headlamps
JPH0341964Y2 (ko)
JPH0341965Y2 (ko)
US3609496A (en) Windscreen wiper control systems
JPH05319213A (ja) 車両用ウオッシャ連動ワイパ制御装置
JP3688389B2 (ja) 車両用ワイパ制御装置
JPH0117482Y2 (ko)
JPS6236673Y2 (ko)
JP2580559Y2 (ja) ウォッシャ連動ワイパ駆動装置
JPH0537888Y2 (ko)
JP2556454B2 (ja) ウオツシヤ連動式ワイパ駆動装置
JPS6343176Y2 (ko)
JPS58128944A (ja) 車両用リアワイパ装置
JPH09226523A (ja) 車両用ワイパ制御装置
JPH061041U (ja) 車両用ワイパ制御装置
JPH0939744A (ja) 車両用ウォッシャ連動ワイパ駆動装置
JP3654803B2 (ja) 間欠ワイパ即起動回路
JP3654805B2 (ja) ワイパ駆動システム
JPH0357563Y2 (ko)
JPH028559Y2 (ko)
JPH0826074A (ja) ワイパー制御装置
JPS6344290Y2 (ko)
JP2546724Y2 (ja) ワイパの駆動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13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