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444B1 - 자동차량 추적장치의 데이타 클럭 복조회로 - Google Patents

자동차량 추적장치의 데이타 클럭 복조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444B1
KR950002444B1 KR1019920003380A KR920003380A KR950002444B1 KR 950002444 B1 KR950002444 B1 KR 950002444B1 KR 1019920003380 A KR1019920003380 A KR 1019920003380A KR 920003380 A KR920003380 A KR 920003380A KR 950002444 B1 KR950002444 B1 KR 950002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lock
received
signa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3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8877A (ko
Inventor
이장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03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2444B1/ko
Publication of KR930018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8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4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량 추적장치의 데이타 클럭 복조회로
제 1 도는 종래의 데이타 클럭을 복조하는데 사용되는 PLL회로.
제 2 도는 이 발명에 따른 데이타 클럭을 복조하는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제 3 도는 이 발명에 있어서 데이타 클럭을 복조하는 과정의 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데이타 수신부 20 : 외부 클럭발생기
30 : 분주회로 40 : 마이크로 컴퓨터(MICOM)
이 발명은 자동차량 추적장치에 사용되는 데이타 클럭의 복조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PLL(Phase Locked Loop)회로등과 같은 별도의 클럭 복조회로를 채용하지 않고서도 간단히 수신된 데이타 클럭을 복조할 수 있는 데이타 클럭 복조회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통신을 매개 수단으로 하는 자동차량 추적장치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되고 있고, 그 이용도가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 발명은 이와같은 추세에 부응코자 종래의 자동차량 추적장치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착안되었다. 종래의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자동차량 추적장치의 데이타 클럭 복조회로인 PLL 회로가 제 1 도에 도시되어 있다. 동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부로부터 신호를 입력하는 위상비교기(1), 그 위상비교기와 접속되고, 그 출력을 수신하여 저역여파를 하는 로우페스필터(LPF), 상기 로우패스필터(2)의 출력신호를 입력하고, 그 신호를 적절히 전압제어하는 VCO(Voltage Controlled Oscilator), 상기 VCO(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분주하여 다시 상기 위상비교기로 입력시키는 분주기(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도에 도시된 종래의 PLL 회로를 개선한 종류가 최근 개발되었지만, 그것 또한 넓은 범위의 입력주파수에 대응키 위한 부분적인 개선에 지나지 않는다. 예를 들면, VCO를 다수개로 구성하여서 로킹(Locking)을 유도함으로써 신호의 위상을 일치시키는 회로가 그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종래의 자동차량 추적장치에 사용되는 데이타 클럭 복조회로들은 많은 량의 데이타를 주고 받는 경우에 있어서는 아직도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 이유는 데이타 송신과정에서 신호를 순간적인 누락이 있더라도 전후의 데이타를 참조하여 누락된 데이타를 적절히 보완복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량 추적장치에 사용되는 PLL 회로는 회로가 복잡하고, 복조하는 시간이 느려 송신되는 데이타를 초기 수 비트의 데이타를 복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긴급수단으로 이용되는 짧은 데이타 송수신시에는 그 데이타의 정보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없게 된다. 이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방법의 목적은 데이타가 수신되는 즉시 클럭이 발생하여 누락되는 비트가 없는 간단한 구조의 클럭 복조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량 추적장치의 무선통신에 있어서 긴급상황을 알리는 데이타등에 이용되는 짧은 데이타를 주고 받을 경우 누락없이 그 데이타를 복조하는 데이타 클럭 복조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은 데이타를 수신하고 이 데이타를 TLL 레벨로 바꾸어 전송하는 데이타 수신부와, 전송된 데이타의 에지(Edge)를 검출해서 이 데이타의 주파수에 맞게 클럭을 분주하는 클럭분주수단과, 상기 클럭 분주수단으로부터 수신된 클럭을 데이타에 맞추는 마이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2 도는 이 발명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동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송신된 데이타를 수신하는 데이타 수신부(10)는 마이컴과 연결되어 있고, 또한 데이타를 수신하여 그 데이타 클럭보자 정수배가 빠른 외부클럭(External Clock)를 발생하는 외부 클럭발생기(20)를 그 신호를 분주하는 분주회로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마이컴은 클리어신호를 인가하도록 분주회로와 연결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이 발명의 작동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타는 데이타 수신부(10) 및 외부 클럭발생기(External FClock Generator)(20)에 각각 수신된다. 상기 데이타 수신부(10)는 이 신호를 TTL(Transistor Trasistor Logic) 레벨로 바꾸어 마이컴(40)으로 보낸다. 한편, 외부 클럭발생기(20)는 외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타 클럭보다 정수배 빠른 외부 클럭을 발생시켜 그 신호를 분주회로(20)로 보낸다. 분주회로(30)에서는 상기 외부 클럭발생기(20)로부터의 출력신호를 "N/2분주"하여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타보다 2배 빠른 클럭(Clock)을 얻는다. 또한, 마이컴(40)은 상기 데이타 수신부(10)로부터 입력된 데이타의 하강 에지(Negative edge) 부분을 검출해서 상기 입력 데이타의 폭(width)의 반만큼만 지연(delay)시켜 분주된 클럭의 상승 또는 하강 에지부분과 일치되도록 클리어 신호를 분주회로에 가한다. 여기서, 데이타보다 2배 빠른 클럭을 발생시키는 이유는 데이타의 레벨(level) 부분이 항상 클럭의 일정한 경사(상승 혹은 하강에지)와 일치시키기 위한 것이고, 외부클럭(External Clock)이 입력데이타의 클럭보다 정수배 크게 한 이유는 비교적 정확하고 안정된 클럭을 얻기 위함이다. 더우기, 이 발명에 의하면 데이타 클럭이 마이컴으로도 보내지게 되어 주기적으로 클럭이 일치하는지를 체크하여 다시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데이타 클럭 복조회로는 구성이 간단하고, 마이컴이 외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타 정보를 이미 알고 있으며, 그 정보를 이용하여 분주회로를 적절히 제어해서 다른 배수의 클럭도 쉽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자동차량 추적장치등과 같은 무선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데이타를 주고받는 장치에 적용시 매우 뛰어난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외부로부터 데이타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데이타를 TTL 레벨로 바꾸어 전송하는 데이타 수신부와 ; 외부로부터 데이타를 수신하여 그 수신 데이타의 클럭보다 정수배 빠른 외부 클럭을 발생하는 외부 클럭발생기와 ; 상기 외부 클럭발생기로부터 수신된 클럭신호를 분주하는 분주회로와 ; 상기 분주회로로부터 출력된 클럭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신호의 상승 또는 하강 에지 부분은 검출하여 적절한 클리어신호를 분주회로에 인가하는 마이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량 추적장치의 데이타 클럭 복조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주회로는 입력된 데이타보다 2배 빠른 클럭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량 추적장치의 데이타 클럭 복조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데이타 수신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타의 1/2쪽(width) 지연시켜 분주된 클럭신호의 상승 또는 하강에지부분과 일치되도록 클리어신호를 인가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량 추적장치의 데이타 클럭 복조회로.
KR1019920003380A 1992-02-29 1992-02-29 자동차량 추적장치의 데이타 클럭 복조회로 KR950002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3380A KR950002444B1 (ko) 1992-02-29 1992-02-29 자동차량 추적장치의 데이타 클럭 복조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3380A KR950002444B1 (ko) 1992-02-29 1992-02-29 자동차량 추적장치의 데이타 클럭 복조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8877A KR930018877A (ko) 1993-09-22
KR950002444B1 true KR950002444B1 (ko) 1995-03-20

Family

ID=19329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3380A KR950002444B1 (ko) 1992-02-29 1992-02-29 자동차량 추적장치의 데이타 클럭 복조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244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8877A (ko) 1993-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39282A (en) Radio receiver for single sideband reception
US5661765A (en) Receiver and transmitter-receiver
JPH07154287A (ja) 直接変換受信機
AU2001286987A1 (en) Digital-data receiver synchronization method and apparatus
KR920002897B1 (ko) 수신기용 회로 장치
JPH0748710B2 (ja) 直接シーケンス拡散スペクトラム通信システム用の受信機
JPH10322259A (ja) デジタルコードレス通信システム
KR940008319A (ko) 위상 록크 상태에 따른 간헐 동작시 동작가능한 위상 록크 루프 국부 발진기를 갖는 주파수-변위 방식 수신기
US6069927A (en) Digital signal link
JP3850063B2 (ja) 位相同期ループにおいてフィードバック分周比を決定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5889423A (en) Generating circuit including selection between plural phase regulators
US5727019A (en) Digital modem
US4656431A (en) Digital frequency discriminator
KR950002444B1 (ko) 자동차량 추적장치의 데이타 클럭 복조회로
JP3874942B2 (ja) 周波数可変方式、これを用いた電圧制御発振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の受信機
US5745004A (en) FPLL with third multiplier in an AC path in the FPLL
KR100389845B1 (ko) 디지털 수신기를 동기화하는 장치
JP2687851B2 (ja) 受信機
US5923704A (en) Transmit clock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JP2005303632A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
JP2005303631A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
JPH06326740A (ja) 移動無線機
JPH04297150A (ja) スペクトル拡散通信におけるディジタル変調方式
JPH0445636A (ja) Fsk受信機
JP2550701B2 (ja) Fsk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