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373B1 - 자동차용 시트백 이중 허리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백 이중 허리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373B1
KR950002373B1 KR1019920025090A KR920025090A KR950002373B1 KR 950002373 B1 KR950002373 B1 KR 950002373B1 KR 1019920025090 A KR1019920025090 A KR 1019920025090A KR 920025090 A KR920025090 A KR 920025090A KR 950002373 B1 KR950002373 B1 KR 950002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shaft
gear
cam
sector gea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5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3989A (ko
Inventor
배승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성원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25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2373B1/ko
Publication of KR940013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3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373B1/ko

Link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백 이중 허리 지지장치
제 1 도는 종래의 시트백 허리 지지장치의 단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상부에서 바라본 작동부의 단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정단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측단면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 단면도.
제 6 도는 본 발명의 작용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 회전축 2 : 하부 회전축
3 : 상부조절손잡이 4 : 하부조절손잡이
5 : 캠 6 : 가이드
7 : 기어 8 : 섹터기어
9, 10 : 작동와이어 11, 12 : 허리지지플레이트
13, 13', 14, 14' : 고정브래킷 15 : 시트 프레임
16 : 부쉬 17 : 고정편
18 : 고정핀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시트백에 설치되는 자동차용 시트백 허리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트백의 허리와 등이 접촉되는 상부와 하부면을 광범위한 다양한 굴곡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편안하고 안락한 시트를 제공하도록 한 자동차용 시트백 이중허리 지지장치에 있어서, 종래의 것은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조절손잡이(51)를 돌리면 이와 연결된 축(52)이 회전하고 축(52)이 회전함으로서 캠(53)이 회전하여 상기 중심이 편심된 캠(53)이 가이드(54)의 요홈을 따라 회전하며 상기 가이드(54)에 연결된 작동와이어(55)를 밀므로서 작동와이어(55)에 설치된 허리지지플레이트를 전후 운동시켜 시트백에 굴곡를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시트백 허리지지장치는 운전자의 허리부분만 국부적으로 지지할 뿐이므로 운전자에게 완전한 만족감 및 안락함을 주지 못하여 안전운전을 위하여 편안한 시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자동차에 있어서 그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시트백의 측면에 설치된 상부조절 손잡이와 하부조절 손잡이를 돌려서 시트백의 하부는 종전과 같은 방법에 의거 조절하고 상부는 기어에 의하여 작동하도록 하여 시트백의 상부와 하부굴곡을 광범위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장시간에 따른 주행중 운전자의 허리부전체를 지지하여서 피로를 경감시켜주고 요추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시트백 이중허리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백 허리지지장치에 있어서, 시트프레임에 설치된 고정브래킷에 부쉬를 삽입설치하고 하부조절손잡이를 설치한 중공형 하부회전축을 상기 부쉬의 내측으로 삽입하며 상기 하부회전축의 끝단에 캠을 고정설치하여 작동와이어에 부착된 가이드에 상기 편심된 캠이 삽입되어 안내 회전운동하여 시트프레임에 힌지된 작동와이어가 밀림으로서 작동와이어에 설치된 허리지지 플레이트가 전후진하도록하며, 상기 캠은 고정편에 제어되어 제한된 운동을 하도록하고 상기 하부회전축의 내측으로는 하부조절손잡이를 설치한 상부회전축을 삽입하고 상부회전축의 끝단에 기어를 설치하며 시트프레임에 힌지된 작동와이어에 섹터기어를 회전가능하도록 고정설치하고 상기 기어와 섹터기어가 맞물려 회전운동하도록 한 것으로, 상기 작동와이어에 허리지지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섹터기어의 일측에 고정핀을 설치하여 섹터기어의 운동을 제어하도록 설치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백 이중허리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제 2 도와 제 3 도와 제 4 도 및 제 5 도를 바탕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는 본 발명의 상부에서 바라본 작동부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먼저, 시트프레임(15)의 양측에 고정브래킷(13, 14)를 고착하고 일단에 상부조절손잡이(3)가 끼움결합되고 타단에 기어(7)를 구비하며 기어(7)의 일측에 섹터기어(8)가 물림고정되어 있는 상부회전축(1)을 중공형 하부회전축(2)에 삽설하고 하부회전축(2)을 부쉬(16)의 내측으로 삽설하며 상기 부쉬(16)를 고정브래캣(13)에 끼움 결합한다.
이때 하부회전축(2)의 일단에는 하부조절손잡이(4)를 고정하고 타단에는 캠(5)이 고정되며 캠(5)의 상부 끝단으로는 가이드(6)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편(17)이 설치되며 고정편(17)의 상부에 작동와이어(9)를 부착하여 상기 고정편(17)에 형성된 가이드(6)에 캠(5)을 삽입하여 안내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고정편(17)에 제어되어 제한된 운동을 하게 된다.
제 3 도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로서, 섹터기어(8)의 상부에는 작동와이어(10)가 삽설되어 고정브래킷(14')에 설치되고 중간부에는 고정핀(18)이 끼움고정되며 하부는 고정브래킷(14)에 삽입된다. 또한 작동와이어(9)는 고정브래킷(13')에 삽설되고 캠(5)의 하부에 설치된다.
제 4 도는 본 발명의 측단면도로서 시트프레임(15)의 상부에는 섹터기어(8)에 끼움고정된 작동와이어(10)가 고정브래킷(14')에 삽설되고 시트프레임(15)의 하부에 허리지지 플레이트(11)를 작동와이어(9)의 일단에 끼움고정시켜서 삽설한다.
또한 하부회전축(2)의 일끝단에는 캠(5)이 고정되고 캠(5)은 고정편(17)에 삽입되어 있다.
제 5 도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 단면도로서 하부조절손잡이(4)를 회전시키면 하부회전축(2)이 회전하고 하부회전축(2)에 고정된 캠(5)은 상기 제 2 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고정편(17)에 형성된 가이드(6)를 따라서 안내회전운동함으로서 작동와이어(9)를 밀어주며 작동와이어(9)에 설치된 허리지지플레이트(11)를 전후진운동시켜서 시트백의 하부면을 조정하는 것이며, 또한 상부조절손잡이(1)를 회전시키면 상부회전축(3)의 일단에 고정된 기어(7)를 회전시키고 기어(7)에 맞물린 섹터기어(8)를 각운동시키며 섹터기어(8)에 고정 연결된 작동와이어(10)를 회전시킴으로서 작동와이어(10)에 설치된 허리지지플레이트(12)가 전후진 되어 시트백의 상하부조절손잡이(3, 4)를 같이 돌리면 위와같이 작동에 의해 시트백의 상하부면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제 6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광범위한 시트백의 조절량을 얻음으로서 시트백에 확실한 지지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다양한 형태의 지지성을 확보하여 편안하고 안락한 시트를 제공하므로서 안전한 운전이 되도록 하고 기존의 구조를 이용함으로서 값이 저렴하고 설치가 간편하며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 매우 획기적인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 시트백 허리지지장치에 있어서, 시트프레임(15)에 설치된 고정브래킷(13)에 부쉬(16)를 삽입설치하고 하부조절손잡이(4)를 설치한 중공형 하부회전축(2)을 상기 부쉬(16)의 내측으로 삽입하며 상기 하부회전축(2)의 끝단에 캠(5)을 고정설치하여 작동와이어(9)에 부착된 가이드(6)에 상기 편심된 캠(5)이 삽입되어 안내 회전운동하여 시트프레임(15)에 힌지된 작동와이어(9)가 밀림으로서 작동와이어(9)에 설치된 허리지지 플레이트(11)가 전후진하도록 하며, 상기 캠(5)은 고정편(17)에 제어되어 제한된 운동을 하도록하고 상기 하부회전축(2)의 내측으로는 하부조절손잡이(4)를 설치한 상부회전축(1)을 삽입하고 상부 회전축(1)의 끝단에 기어(7)를 설치하며 시트프레임(15)에 힌지된 작동와이어(10)에 섹터기어(8)를 회전가능하도록 고정 설치하고 상기 기어(7)와 섹터기어(8)가 맞물려 회전운동하도록 한 것으로, 상기 작동와이어(10)에 허리지지 플레이트(12)를 설치하고 섹터기어(8)의 일측에 고정핀(18)을 설치하여 섹터기어(8)의 운동을 제어하도록 설치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백 이중허리 지지장치.
KR1019920025090A 1992-12-22 1992-12-22 자동차용 시트백 이중 허리 지지장치 KR950002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5090A KR950002373B1 (ko) 1992-12-22 1992-12-22 자동차용 시트백 이중 허리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5090A KR950002373B1 (ko) 1992-12-22 1992-12-22 자동차용 시트백 이중 허리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989A KR940013989A (ko) 1994-07-16
KR950002373B1 true KR950002373B1 (ko) 1995-03-17

Family

ID=19346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5090A KR950002373B1 (ko) 1992-12-22 1992-12-22 자동차용 시트백 이중 허리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237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989A (ko) 1994-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8449A (en) Lumbar support device
US4648656A (en) Car seat
KR950002373B1 (ko) 자동차용 시트백 이중 허리 지지장치
JPH0576436A (ja) 自動車用シート
JP2000270946A (ja)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0127710Y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JPH0418429Y2 (ko)
KR200150394Y1 (ko) 시트 백의 허리 지지 조절장치
KR200154689Y1 (ko) 차량용헤드레스트위치조절장치
KR200156231Y1 (ko) 자동차 시트의 등받이 장치
KR0140166Y1 (ko) 자동차시트의 요추받침대
KR200144113Y1 (ko) 자동차의 내측 도어 손잡이 각도조절장치
KR100196165B1 (ko) 시트 암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
KR100492228B1 (ko) 자동차용 시트백의 요추조절장치
KR0138849Y1 (ko) 시트쿠션 각도 조정장치
KR0140756Y1 (ko) 자동차 시이트의 등받이 허리 받침장치
KR100380483B1 (ko) 프론트 시트 연동 차량용 콘솔박스의 자동 높낮이 조절장치
KR19980017157U (ko) 자동차 의자의 등받이구조
KR19990034578A (ko) 높낮이 조절형 아암레스트
JP2526727Y2 (ja) ランバサポート装置の操作レバー取付構造
KR200220996Y1 (ko) 자동차용 시트백 조절장치
JPH0526691B2 (ko)
KR20010063456A (ko) 자동차용 시트 백 측부 조절 장치
KR100189004B1 (ko) 자동차용 시트의 룸바 서포트 어셈블리
KR100551842B1 (ko) 자동차의 시트백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