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250B1 - 건재의 운반 및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건재의 운반 및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250B1
KR950002250B1 KR1019900005828A KR900005828A KR950002250B1 KR 950002250 B1 KR950002250 B1 KR 950002250B1 KR 1019900005828 A KR1019900005828 A KR 1019900005828A KR 900005828 A KR900005828 A KR 900005828A KR 950002250 B1 KR950002250 B1 KR 950002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pport plate
fixed
building material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5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8654A (ko
Inventor
타다오 사토
기요시 구보
유키오 노자키
야수노부 미야자키
야수오 토모카네
아츠토모 고미네
히데다카 스즈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고마쯔 세이샤쿠쇼
가타다 데츄야
가지마 코오포레이숀
가지마 쇼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고마쯔 세이샤쿠쇼, 가타다 데츄야, 가지마 코오포레이숀, 가지마 쇼이치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고마쯔 세이샤쿠쇼
Priority to KR1019900005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2250B1/ko
Publication of KR910018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8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건재의 운반 및 부착장치
제 1 도, 제 2 도 및 제 3 도는 각각 본 발명의 일 구체예의 개략 전체 정면도, 개략 전체 평면도 및 개략 전체 측면도.
제 4 도는 구동 차량부의 개략 사시도.
제 5 도는 제 2 프레임 선단에 설치된 선회부 및 지지부의 일 구체예의 단면도.
제 6 도는 각 구동 액튜에이터부를 위한 유압 구동 회로도.
제 7 도는 각 구동 액츄에이터부의 조작을 위한 컨트롤러의 일 구체예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제8a도로부터 제8e도는 각각 제 1 도에 도시된 구체예의 동작 설명도.
제 9 도는 선회부 및 지지부의 다른 일 구체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체 2 : 본체
3 : 하방 프레임 4 : 구동차륜
6 : 차륜 11 : 피니온
12 : 래크 13 : 조정용 실린더
14 :
Figure kpo00001
부 16 : 승강체
18 : 상위위치 결정 실린더 23 : 제 1 프레임
25 : 제 2 프레임 28 : 전후위치 결정 실린더
31 : 설치판 32 : 설치 수직판
37 : 선회판 39 : 링형 가이드
41 : 링형 돌기 45 : 지지판
50 : 좌우위치 결정 실린더
본 발명은, PC판, ALC판, 유리판, 프레임이 달린 유리판, 샤시가 달린 유리판등의 패널형 벽재나, 대들보재, 기둥재등의 내장 마무리재를 포함하는 건재를 건물등의 설치장소까지 운반하여 부착시켜 주기 위한 건재의 운반 및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건축현장에서는 건물 구축체의 외표면이나 내표면에 중량물인 PC판, ALC판등의 패널형 벽재나 내장 마무리재(이하, 간단하게 건재라 칭함)를 부착하여 외벽이나 내벽으로 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건재는 중량물이므로 그의 운반 및 부착 작업이 대단히 큰 문제점이었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작업에 있어서, 건물 구축체의 외표면에 건재를 외장재로서 부착하는 경우, 지상에 건재를 많이 쌓아 놓은 상태에서 이 건재를 크레인에 의하여 설치장소까지 들어올려서 부착하기도 하고, 크레인 또는 작업용 엘리베이터로 어느 층계까지 다수의 건재를 운반한 후, 이들 건재를 한개씩 건물 구축체의 개방부를 통해 외부에 반출하여 다시 외표면의 설치장소에 부착해 주도록 하였다.
또한, 건물 구축체의 내표면에 건재를 내장재로서 취부하는 경우에는, 작업용 엘리베이터 또는 크레인 등으로 다수의 건재를 어느 층계까지 운반하고, 그 건재를 한개씩 내표면에 부착하여 주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크레인으로 들어올려서 외표면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하나씩의 건재를 들어올려 설치하기 때문에 높은 장소에 부착하는 경우 외부에 별도로 조립시킨 발판위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고, 건재의 들어올리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효율이 나빠짐과 동시에, 들어올릴때 다른 건재나 건물 구축체와 간섭을 일으켜 파손되는 일이 있을뿐만 아니라, 잘못하여 건재가 낙하하는 일도 있어서 매우 위험하였다.
또한, 소정의 높이까지 다수의 건재를 운반하고, 그 건재를 하나씩 부착하는 경우에는, 그 건재를 작업자가 사람의 손으로 직접 운반을 실시하고, 부착위치로 임시의 홀딩상태를 유지하면서 외부의 발판을 이용하여 이를 설치하게 되므로, 그 작업이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위험을 수반하는 작업이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건재를 건물등의 설치장소까지 안전하게 운반함과 동시에, 그곳에서의 부착작업 종료까지 임시로 홀딩시켜주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건재의 운반 및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직립하는 본체 및 그 본체하부의 일측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한 좌우 한쌍의 하방 프레임을 대략 L자상으로 형성하고, 자체주행겸 조정수단을 갖는 차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그 본체를 따라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장치와, 이 승강장치의 일측으로부터 수평방향 전방에 돌출하고, 수평면상을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승강장치에 기초단이 설치된 제 1 프레임 수단과, 이 제 1 프레임 수단의 긴쪽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하게 슬라이딩 하도록 해당 제 1 프레임 수단에 장착된 제 2 프레임 수단과, 그리고 건재를 지지하기 위하여 이 제 2 프레임 수단 선단에 상, 하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한편 지지된 건재면에 직교하는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건재의 운반 및 부착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 1 형태에 기재한 건재의 운반 및 부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이 상기 제 2 프레임 수단선단에 축을 통해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설치 수직판 선단부에 고정된 설치판과, 그 설치판의 일측 외주에 고정된 링형 가이드와, 그 링형 가이드 내주면에 복수개의 스틸볼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끼워진 링형 돌기를 상기 설치판의 대향면에 고정하고, 설치판에 지지된 선회모터와 연결하는 선회판과, 그 선회판 타측면의 대략 중앙에 고정된 브라켓트 수단 및 그 브라켓트 수단에 삽입된 축을 통해 좌우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건재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재의 홀을 갖는 지지판과, 그리고 그 지지판 좌우방향의 유동을 제공함과 동시에 이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재의 운반 및 부착장치가 제공된다.
상기한 형태를 갖는 본 발명의 건재의 운반 및 부착장치에 의하면, 제 1 프레임 수단을 구비한 승강장치를 본체를 따라 상, 하 이동 시킴에 따라 지지수단을 상, 하 이동시킬 수 있으며, 승강장치를 따라 제 1 프레임을 수평면상에서 좌우로 이동시킴에 따라 지지수단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가 있으며, 제 2 프레임 수단을 제 1 프레임 수단에 따라 수평면상에서 전후로 이동시킴에 따라 지지수단을 전후로 이동시킬 수가 있으며, 제 2 프레임 수단에 대하여 설치판을 상하로 회전시킴에 따라 지지판을 수평자세와 수직자세에서 각각 회전시킬 수가 있으며, 설치판에 대하여 선회판을 회전시킴에 따라 지지판을 선회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건재를 지지하는 지지판이 차체에 대하여 상하이동, 좌우이동, 전후이동, 상하이동, 회전운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적치된 건재에 지지판을 대향시켜 적어도 1매의 건재를 지지하고, 지지판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건재의 방향을 90도 변경하여 차체의 하방 프레임상에 끌어넣은 상태로 유지하여 주행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안정되고 확실하게 건재를 어느 일정한 장소까지 운반할 수가 있으며, 더구나 차체는 대략 L자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차체 안정성이 좋고 건재중량의 영향을 받아도 전도하는 일이 없다.
일정장소까지 주행하면, 지지판을 상승 및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수직자세로서 건재를 차체보다 전방으로 돌출시켜 수직자세를 유지할 수가 있기 때문에 예를들어 건물 구축체의 개방부보다 전방으로 돌출시킬 수가 있다.
그 상태에서 지지판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건재를 건물 구축체 외표면에 고정, 부착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건재를 부착 종료 작업시까지 홀딩할 수 있음과 동시에 건재를 건물 구축체 내외부로 간단하게 부착할 수가 있다.
상기 및 다른 본 발명의 목적, 형태, 그리고 장점은 본 발명의 원리에 합치하는 적합한 구체예가 실시예로서 나타나 있는 이하의 기술 및 첨부한 도면에 관련하여 설명됨에 따라 당핵기술의 숙달자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나타낸 적합한 구체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 1 도 내지 제 7 도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제 1 구체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차체(1)는, 직립하는 본체(2)의 좌우양방향 하부에 한쌍의 하방 프레임(3)이 본체(2)의 일측으로부터 차체(1) 전방을 향하여 상호 평행하면서 수평으로 각각 돌출된 수직단면으로 대략 L자형을 이루고, 본체(2)의 좌우방향 중앙부에 자체주행과 함께 조정수단으로서 구동차륜(4)이 조정을 위해 수평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좌우방향에는 횡방향 전도 방지용으로 360도 움직일 수 있는 보조캐스터 바퀴(5)가 필요에 따라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한쌍의 하방 프레임(3) 선단에도 차륜(6)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2)의 좌우방향중 어느한쪽 하방에 가상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은 운전자용 스텝(80)을 설치하여도 좋다.
상기 구동차륜(4)은, 예를들어 제 4 도와 같이, 역 U자형의 브라켓트(7)에 설치되고, 또한 브라켓트(7)에 설치된 주행용 모터(8)로서 회전구동됨과 동시에, 브라켓트(7)의 상단면 중앙에 설치된 종축(9)이 본체(2)에 설치된 상하 한쌍의 지지 브라켓트(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예를들면 이 종축(9)에 설치된 피니온(11)에 래크(12)가 맞물리고, 이 래크(12)는 조정용 실린더(13)에 의하여 수평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되어 있어, 이에 따라 조정을 행할때는, 종축(9)을 회전시켜 구동차륜(4)을 브라켓트(7)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선회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종축(9)을 토오크 액츄에이터로 회전운동시킴에 따라 구동차륜(4)의 조정을 위해 선회시켜도 좋다.
상기 본체(2)는 평면의 대략
Figure kpo00002
자상으로 되어, 차체(1)의 전방이 개방된
Figure kpo00003
부(14)를 가지며, 이
Figure kpo00004
부(14)의 양측벽을 따라 한쌍의 종가이드 레일(15)이 서로 대향하여 설치되고, 이 각각의 종가이드 레일(15)에는 승강체(16), 예를들어 한쌍의 수직판(16a)(16b)에 설치된 로울러(17)가 습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음과 동시에, 상기
Figure kpo00005
부(14)내에는 하단을 본체(2) 하부에 연결한 상하위치 결정 실린더(18)가 한쌍의 수직판(16a)(16b) 사이에 그 선단을 위치하도록 직립상태로 설치되고, 그 피스톤봉(19)의 선단에는 스프라켓트(2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스프라켓트(20)에 걸어진 체인(21)의 일단은 상기 실린더 본체(18a)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기 승강체(16)에 고정되어, 상하위치 결정용 실린더(18)의 피스톤봉(19)을 신축시키게 되면 승강체(16)가 종가이드 레일(15)을 따라 상하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승강체(16)는 수직단면으로 대략
Figure kpo00006
자상으로 형성되어, 차체(1) 전방으로 개방된
Figure kpo00007
부(16c)를 가지며, 이
Figure kpo00008
부(16c)의 상하내면에는 한쌍의 횡가이드 레일(22)이 서로 대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이 한쌍의 횡가이드 레일(22)에는 원통형의 제 1 프레임(23)의 기단부 상하에 부착편(23a)을 통해 설치된 로울러(24)가 습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제 1 프레임(23)은 수평면상을 좌우 슬라이딩하며, 또한 차체(1)의 전방을 향하여 수평으로 돌출하고 있음과 동시에, 승강체(16)의 일측 횡가이드 레일(22)(도면에서는 상방의 횡가이드 레일)과 제 1 프레임(23)의 부착편(23a)에 걸쳐 좌우위치 결정 실린더(5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1 프레임(23)내에 원통형의 제 2 프레임(25)이 수평면상을 차체(1)의 전후 방향으로 신축할 수 있도록 습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이 제 2 프레임(25)의 긴쪽방향 선단에는 한쌍의 수직 플레이트(26)가 설치되어 있고, 이 플레이트(26) 상단부와 상기 제 1 프레임(23)의 기단부 상면에 돌출 설치된 브라켓트(27) 사이에 전후위치 결정 실린더(28)가 각각 핀(29)(30)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 전후위치 결정 실린더(28)를 신축하게 되면 제 2 프레임(25)이 제 1 프레임(23)을 따라 전후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2 프레임(25) 선단에는 또한 설치판(31)이 배치되고, 이 설치판(31)의 배면에 고정된 설치수직판(32)이 상기 수직 플레이트(26) 하부에 수평핀(33) 주위로 상하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 설치수직판(32)과 상기 제 2 프레임(25)에 걸쳐 위치결정 실린더(34)가 핀(35)(36)으로 연결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설치판(31)에는 선회판(37)이 선회용 모터(38)로서 설치판(31)에 직교하는 축심을 중심으로 선회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제 5 도와 같이, 설치판(31)에 링형 가이드(39)가 볼트(40)로서 고정되고, 선회판(37)에 링형 돌기(41)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링형 돌기(41)가 복수개의 스틸볼(42)로서 링형 가이드(39)를 따라 회전가능하게 끼워 있으며, 그 링형 돌기(41)의 내주면에 링 기어(43)가 설치되고, 설치판(31)에 설치된 선회용 모터(38)의 출력축(38a)에 설치된 피니온(44)이 링기어(43)에 맞물리고, 선회용 모터(38)의 출력축(38a)을 회전시킴에 따라 피니온(44)과 링기어(43)를 통해 선회판(37)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선회용 모터(38)는 제 2 프레임(25)내에 위치하고 있다. 선회판(37)은 링 기어에 의존하지 않고 설치판(31)에 직접 선회모터를 고정함에 따라 회전시키는 방식도 가능하다.
상기 선회판(37)에는 지지판(45)이 핀(46) 및 그 핀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브라켓트(46a)(46b)로서 좌우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음과 동시에, 선회판(37)에 설치된, 예를들어 각각의 돌출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된 좌우 한쌍의 위치결정 볼트(47)가 이 지지판(45) 배면에 접속하여 지지판(45)의 유동을 규제하고, 또한 선회판(37)에 대하여 지지판(45)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45)에는 복수의 홀(48)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판(45)은 차체(1)에 대하여 상, 하 이동 및 전후 이동을 수행함과 동시에, 수직자세와 수평자세에 있어서, 각각 상하 회전운동하고, 또한 회전과 동시에 좌우방향으로 약간의 움직임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한쌍의 하방 프레임(3) 전면부에는 접촉식 센서(49)가 전방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주행용 모터(8), 조정용 실린더(13), 상하위치 결정 실린더(18), 전후위치 결정 실린더(28), 좌우위치 결정 실린더(50), 선회용 모터(38), 각도위치 결정 실린더(34)의 각 구동 액츄에이터에는, 제 6 도와 같이 제1~제 7 조작밸브(511)~(517)로 유압펌프(52)의 토출압유가 공급되고, 각 조작밸브는 항상 중립위치 N에 위치하여 제1 또는 제 2 솔레노이드(531)(532)를 작동시켜 줌에 따라 제 1 압유공급위치 Ⅰ또는 제 2 압유공급위치 Ⅱ로 절환되는 전자 절환식 조작밸브로 되어 있음과 동시에, 각 솔레노이드는 컨트롤러에 의하여 작동 제어된다.
해당 컨트롤러는 제 7 도와 같이, 예를들어 박스(60)에 제1, 제 2 레버(61)(62)를 전후, 좌우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주스위치(63)과 파이롯트 램프(64) 및 비상정지버턴(65), 작동버턴(66)이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제 1 레버(61)를 전방으로 움직이면 제 1 조작밸브(511)의 제 2 솔레노이드(531)가 작동함에 따라 주행용 모터(8)가 정회전하여 전진주행을 이루어주고, 후방으로 움직이면 제 1 조작밸브(511)의 제 2 솔레노이드(532)가 작동하여 주행용 모터(8)를 역회전시킴에 따라 후진 주행하며, 좌측경사방향의 전방으로 움직이면 제1, 제 2 조작밸브(511)(512)의 제 1 솔레노이드(531)(532)가 작동하여 주행용 모터(8)가 정회전 하는 한편 조정용 실린더(13)가 신장하여 구동차륜(4)이 좌측방향으로서 주행 전진한다.
동일하게 제 1 레버(61)을 좌측 경사의 후방, 우측 경사의 전방, 우측 경사의 후방으로 움직이게 되면 각각 좌측 주행 후진, 우측 주행 전진, 우측 주행 후진이 이루어진다.
또한, 제 1 레버(61)의 버턴(61a)를 눌러, 전후로 움직이면 제 3 조작밸브(513)의 제1 또는 제 2 솔레노이드(531)(532)가 작동하여 상하위치 결정 실린더(18)가 신축하면서 지지판(45)이 상하운동하고, 제 2 레버(62)를 전후로 움직이면 제 4 조작밸브(514)의 제1, 제 2 솔레노이드(531)(532)가 작동하여 전후위치 결정 실린더(28)가 신축되는 것에 따라 지지판(45)이 차체(1)의 전방, 후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제 2 레버(62)를 좌우로 이동하면, 제 5 조작밸브(515)의 제1, 제 2 솔레노이드(531)(532)가 작동하여 좌우위치 결정 실린더(50)를 신축하는 것에 따라 지지판(45)이 좌우로 이동한다.
제 2 레버(62)의 버턴(62a)를 눌러 전후로 움직이면, 제 7 조작밸브(517)의 제 1, 제 2 솔레노이드(531)(532)가 작동하여 각도위치 결정 실린더(34)가 신축하는 것에 따라 지지판(45)은 상하로 회전하고, 동일하게 좌우로 움직이면 제 6 조작밸브(516)의 제1, 제 2 솔레노이드(531)(532)가 작동하여 선회용 모터(38)가 정회전, 역회전 함에 따라 지지판(45)은 선회판(37)을 통해 정회전, 역회전한다.
컨트롤러는 제 7 도와 같은 2개의 레버 형식 이외에, 각각의 동작에 따른 레버를 각각 설치하여도 좋고, 전기제어 방식으로 리모트 컨트롤, 또는 라디오 컨트롤도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건재의 운반동작을 설명한다.
제8a도와 같이, 지지판(45)을 수평자세로 함과 동시에, 차체(1)의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하방으로 이동시켜 지지판(45)를 적치한 건재 A에 접촉시키고, 건재 A에 설치된 스터드 볼트를 홀(48)에 끼워 너트로 체결해줌에 따라 건재 A를 지지판(45)에 고정시켜 준다.
이때, 건재 A는 차체 진향방향에 대하여 긴쪽 방향이 직교하도록 횡방향으로 적치되어 있으므로, 건재 A는 차체보다 좌우로 돌출한 상태로 된다.
제8b도와 같이, 지지판(45)을 약간 상승시킴과 동시에 선회용 모터(38)로서 선회판(37)과 함께 90도 회전시켜 건재 A를 차체(1)에 대하여 수직방향 자세로 차체(1)의 좌우 폭내에 들어오도록 하고, 이후에는 제 2 프레임(25)을 축소시켜 지지판(45)을 후방으로 약간 이동시킴에 따라 건재 A를 수평자세로 유지하다.
또한 건재 A를 제8b도의 가상선으로 표시한 자세로 하기 위하여, 제 1 프레임(23)을 상방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지지판(45)을 상방으로 회전시켜 건재 A를 대략 수직자세로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상태로 차체(1)를 전진시켜 제8c도와 같이 건물 구축체 B의 개방부 C에 건재 A를 향하게 한다.
이때, 센서(49)가 건물 구축체 B의 개방부 하부 B1에 접촉하면 차체(1)가 자동적으로 정지한다.
즉, 센서(49)의 신호로 상기 제 1 조작밸브(511)의 제 1 솔레노이드(531)를 중립위치로 한다.
건재 A를 홀딩한 상태로 주행할 시에는, 차체 안정성이 좋고 건재 중량에 의하여 차체(1)이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일이 없다.
즉, 차체(1)는 본체(2)와 하방 프레임(3)에 의하여 종단면이 대략 L자형이 되고, 차체(1)는 축간 거리가 긴 구동차륜(4)과 차륜(6)으로 지지됨과 동시에 건재 A를 하방 프레임(3)의 상부까지 끌어올린 상태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건재의 중량이 차체(1)에 작용하는 전도 모멘트는 차륜(6) 및 본체(2)의 자중으로 지탱할 수 있어 차체 안정성이 좋다.
차체(1)가 정지한 상태에서 제 1 프레임(23)을 상승, 제 2 프레임(25)을 신장시켜 지지판(45)을 상방 및 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설치판(31)을 상방으로 회전시키고 지지판(45)을 상방으로 회전시켜 건재 A를 건물 구축체 B의 개방부 C보다 외측방향으로 돌출시킨 상태로 수직자세로 이루어준다.
이 다음에, 제 2 프레임(25)을 감소시켜 지지판(45)을 차체(1)의 후방측으로 이동시켜서 건재 A를 건물 구축체 B의 외표면 B2에 접촉시킴과 동시에, 제 1 프레임(23)을 상방, 좌우로 이동시켜 지지판(45)을 상하, 좌우로 이동시켜서 건재 A를 소정의 부착위치로 위치결정을 하여 홀딩시킨다.
이때, 차체(1)의 전후 중심선이 건물 구축체 B의 외표면 B2와 직교하지 않으면 건재 A를 밀착시킬 수가 없으므로, 좌우의 위치결정 볼트(47)를 조이거나 풀어 지지판(45)을 제8d도와 같이 좌우로 이동시켜 건재 A를 좌우로 이동시킴에 따라 건재 A를 건물 구축체 B의 외표면 B2에 밀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건재 A를 건물 구축체 B의 외표면 B2에 어떤 수단으로서 부착하고, 부착 완료후에는 너트를 풀어 건재 A와 지지판(45)을 분리한다.
또한, 제8e도와 같이 건재 A를 코너부 D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좌우위치 결정 실린더(50)로거 제 1 프레임(23)을 좌우로 이동시켜 지지판(45)을 좌우로 이동시킴에 따라, 건재 A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가 있으므로 용이하게 위치결정을 하여 부착할 수가 있다.
이상의 구체예에서는 지지판(45)의 홀(48)에 건재 A의 스터드 볼트를 끼워 너트조임을 함에 따라 지지판(45)에 건재 A를 홀딩시켰으나, 지지판(45)에 진공흡착 기구나 클램프 기구를 설치하여 지지판(45)에 건재 A를 지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지지판(45)에 각종 파지 어탯치먼트를 교환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에 따라, 여러가지 종류 및 용도의 건재운반 및 부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 9 도와 같이 선회판(37)에 설치판재(70)를 설치하고, 이 설치판재(70)에 나사구멍(71)을 갖는 원통형의 너트부재(72)를 회전가능하게 끼우고 긴쪽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하여 그 지지판측에 면한 측면으로 형성된 나사구멍(71)에 체결된 볼트(73)를 지지판(45)에 연결하여 너트부재(72)의 타측면에 형성한 각주 돌출부(72a)에 렌치를 걸어 회전시킴에 따라 지지판(45)의 경사를 조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동일한 형태로서, 건재 A를 건물 구축체 B의 내표면에 내장재로서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6)

  1. 직립된 본체와, 상기 본체 하부의 좌우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수평면과 평행하게 돌출되어진 한쌍의 하방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L자형을 띠는 차체와, 상기 차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차체의 이동 및 이동시 방향을 조정하는 주행 및 조정수단과, 상기 직립된 본체에 설치되어 본체를 따라 상하이동하는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수단에 횡방향으로 형성되어지는 횡가이드 레일과, 상기 횡가이드 레일에 수평적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횡가이드 레일과 수직을 이루는 제 1 프레임 수단과, 상기 제 1 프레임 수단의 길이방향으로 출몰가능하도록 상기 제 1 프레임 수단에 삽입, 장착되는 제 2 프레임 수단과, 판상의 건축자재를 지지, 부착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프레임 수단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며, 동시에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건재 지지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재의 운반 및 부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및 조정수단이 상기 본체의 횡폭방향 거의 중앙하부에 설치되고, 모터에 연결된 구동차륜과, 상기 차체의 좌우 한쌍의 하방 프레임의 각 선단에 각각 설치된 차륜과, 상기 구동차륜의 차축과 그 차축에 연결되는 상기 모터를 지지하는 역
    Figure kpo00009
    자상의 브라켓트 상단면 중앙에 일체로 설치되어 상방에 돌출하는 종축과, 상기 종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본체에 설치되어 수평으로 돌출된 지지브라켓트와, 상기 종축에 동축심상으로 고정설치된 피니온과, 상기 피니온과 맞물리도록 설치된 래크와, 상기 래크를 구동하도록 본체에 고정설치된 조정용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재의 운반 및 부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이, 상기 차체의 일측면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Figure kpo00010
    부의 양측벽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각각 종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각각의 가이드 레일에 습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로울러에 각각 연결된 좌우 한쌍의 수직판을 가지며, 상기 제 1 프레임 수단의 기초단부를 지지하는 승강체와, 상기 실린더 본체 기초단부에서 본체의
    Figure kpo00011
    부 저면에 연결되고, 피스톤봉 선단이 본체
    Figure kpo00012
    부 내에 위치하는 한쌍의 수직판 사이에 위치하도록 직립상태로 설치된 상하위치 결정 실린더와, 상기 상하위치 결정 실린더의 피스톤봉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스프라켓트와, 일단이 상기 실린더 본체에 고정되고, 다른단이 상기 승강체에 고정되며 상기 스프라켓트에 걸어진 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재의 운반 및 부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재 지지수단이, 상기 제 2 프레임 수단과 선단에 축을 통하여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설치 수직판의 선단부에 고정된 설치판과, 그 플레이트의 일측 외주에 고정된 링형 가이드와, 그 링형 가이드의 내주면에 복수개의 스틸볼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끼워진 링형 돌기를 상기 설치판의 대향면에 고정하고, 설치판에 지지된 선회모터와 연결하는 선회판과, 그 선회판의 타측면 거의 중앙에 고정된 브라켓트 수단 및 그 브라켓트 수단에 삽입된 축을 통해 좌우방향으로 습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건재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홀을 갖는 지지판과, 그 지지판 좌우방향의 유동을 제공하며 조절하기 위한 유동제공 및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재의 운반 및 부착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유동제공 및 조절수단이, 상기 선회판의 타측면 중앙에 고정된 브라켓트 수단의 좌우위치에 각각 고정되고, 지지판 방향으로의 각각 돌출길이가 조절가능하게 된 한쌍의 위치 결정 볼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재의 운반 및 부착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유동제공 및 조절수단이, 상기 선회판에 고정된 설치판재와, 그 설치판재를 관통하고, 설치판재에 고정하여 회전이 가능하나, 그 자체의 긴쪽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도록 설치판재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판측에 면한 단면에 나사구멍을, 또한 타측단면에 렌치를 취부하기 위한 각주 돌출부를 각각 형성한 너트부재와, 그 너트부재의 상기 나사구멍에 일측이 들어가고, 타측이 상기 지지판에 연결된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재의 운반 및 부착장치.
KR1019900005828A 1990-04-25 1990-04-25 건재의 운반 및 부착장치 KR950002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5828A KR950002250B1 (ko) 1990-04-25 1990-04-25 건재의 운반 및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5828A KR950002250B1 (ko) 1990-04-25 1990-04-25 건재의 운반 및 부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654A KR910018654A (ko) 1991-11-30
KR950002250B1 true KR950002250B1 (ko) 1995-03-15

Family

ID=19298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5828A KR950002250B1 (ko) 1990-04-25 1990-04-25 건재의 운반 및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225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654A (ko) 199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117600A (ja) 壁材運搬取付装置
KR102138739B1 (ko) 자동 용접 로봇 이동 장치
JPH084272A (ja) 天井及び壁内装施工装置及びその付属装置
KR200482680Y1 (ko) 배관용 리프터
KR950002250B1 (ko) 건재의 운반 및 부착장치
KR20130000755U (ko) 유니버셜조인트를 이용한 중량물 곡면 취부용 핸들장치
JPH0764272B2 (ja) 自走式作業台車
KR20190114376A (ko) 원통형 탱크의 용접장치
KR102097162B1 (ko) 조향 가능한 대형 구조물 부착형 리프터
JPH04343975A (ja) 建築現場作業機械の台車
JPS6123117Y2 (ko)
CN114182964B (zh) 一种管桁架吊装调位施工方法
KR100467660B1 (ko) 부품 장착용 승강장치
JPH0393963A (ja) 作業車両
JPH04133695U (ja) ワークハンドリング機械の操作装置
JPH06129087A (ja) 内装材運搬取付装置
JPH077886U (ja) ハンドリングロボット
JP2884179B2 (ja) ワーク搬送機のワーク支持装置
JP2002120992A (ja) 油圧ジャッキ
JPH05113027A (ja) 作業用移動扛上台車
JPH10139387A (ja) ワーク組付用台車
JPH07310436A (ja) 鉄骨材ポジショナー
JPH06115436A (ja) 作業車の操舵方法
KR20220074443A (ko) 경량레일형 이송호이스트장치
JPS63230496A (ja) 建設工事用運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