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803B1 - 반죽 스트레칭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반죽 스트레칭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803B1
KR950001803B1 KR1019910016532A KR910016532A KR950001803B1 KR 950001803 B1 KR950001803 B1 KR 950001803B1 KR 1019910016532 A KR1019910016532 A KR 1019910016532A KR 910016532 A KR910016532 A KR 910016532A KR 950001803 B1 KR950001803 B1 KR 950001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roller
conveyor
moving direction
reciproc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6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5852A (ko
Inventor
미찌오 모리까와
도라히꼬 하야시
Original Assignee
레온 지도끼 가부시끼가이샤
도라히꼬 하야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온 지도끼 가부시끼가이샤, 도라히꼬 하야시 filed Critical 레온 지도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5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8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3/00Machines or apparatus for shaping batches of dough before subdivision
    • A21C3/02Dough-sheeters; Rolling-machines; Rolling-pi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3/00Machines or apparatus for shaping batches of dough before subdivision
    • A21C3/02Dough-sheeters; Rolling-machines; Rolling-pins
    • A21C3/024Dough-sheeters; Rolling-machines; Rolling-pins using one or more rollers with an axis of rotation substantially parallel or oblique to the direction of dough transpor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Noodle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반죽 스트레칭 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롤러 조립체의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롤러 조립체의 상면도.
제3 도는 본 실시예의 장치의 부분 사시도.
제4도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롤러의 부분 상면도.
제5도, 제6도 및 제7도는 종래 스트레칭에 사용된 롤러 조립체의 측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사용된 롤러의 궤적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반죽 2: 상류 콘베이어
3 : 하류 콘베이어 4, 5 : 롤러
6 : 프레임
본 발명은 빵 혹은 케이크 반죽의 스트레칭에 관한 것이며, 특히 내부 조직이 파괴되지 않고, 균일한 품질의 상태로 항상 반죽을 스트레칭하여 형성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장치는 본 출원인에 의해 유지되는 미합중국 특허 제 4,692,110호 이다. 속도가 다르게 구동되는 다수의 콘베이어를 직렬로 배치하고, 롤러를 콘베이어위에 자유롭게 회전하고 콘베이어의 이동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배치시키므로써, 여기에 놓인 반죽을 스트레칭해서 균일한 두께의 반죽 시이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선행 기술은 콘베이어와 롤러 사이에 진입하는 반죽을 롤러의 의해 가압하여 반죽을 스트레칭해서 얇게 하는데 효과적이다. 그러나, 무른 반죽을 스트레칭할 때 제한된 효과만을 가지며; 즉, 스트레칭 효과는 콘베이어의 이동방향에 제한된 직선상 신장효과만 가진다.
이것은 스트레칭된 반죽의 단백질이 스트레칭될 때 스트레칭방향으로 경화되므로써 다른 방향으로의 스트레칭을 거의 방지시키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콘베이어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반죽을 동시에 스트레칭하므로써 스트레칭 효과를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죽을 균일한 두께의 얇은 시이트로 스트레칭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죽을 길이방향 및 측 방향으로 동시에 스트레칭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반죽이 한 방향 이상으로 스트레칭할 수 있도록 횡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롤러를 가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있어서, 반죽을 스트레칭하는 방법은 개선된 스트레칭 효과를 얻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콘 베이어에 운반된 반죽을 스트레칭하도록 횡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롤러를 왕복운동하는 단계를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있어서, 제1롤러와 제2롤러를 가진 반죽을 스트레칭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는데, 콘 베이어의 이동방향과 평행하게 배열된 축선을 가지는 제2롤러는 콘베이어의 이동방향의 측변 방향으로 주어진 거리로 왕복운동하며 동시에 이동방향으로 주어진 거리로 왕복운동하고, 이동방향과 직각으로 위치된 축선을 가지는, 제2롤러의 하류에 배치된 제1롤러는 제2롤러와 동시에 주어진 거리로 왕복 운동하도록 배열된다. 상기 롤러들은 이동 방향으로 주어진 거리 및 횡방향으로 주어진 거리로 반죽을 스트레칭시키기 위해 동시에 왕복 운동된다. 각 방향으로의 이들 롤러의 각각의 이동 속도는 조정될 수 있으므로서, 롤러의 롤링 궤적을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다.
롤링 이동의 궤적의 선택으로 장치는 다양한 방향으로 반죽을 스트레칭시킬 수 있으므로 균일한 두께 및 균일한 질의 반죽 시이트를 매우 효과적인 방법으로 만들 수 있다.
제1도에 있어서, 상류 콘베이어(2)와 하류 콘베이어(3)가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상류 콘베이어(2)는 상류 소오스로부터 연속 반죽(1)의 중간 형태를 수용한다. 상류 및 하류 콘베이어는 이들의 각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독립적으로 구동되므로, 하류 콘베이어(3)는 상류 콘베이어(2)보다 높은 속도로 구동된다.
3개의 롤러(4,4',5)는 롤러 플레임(6)에 의해 지지되고, 이것은 장치(도시하지 않음)용 프레임에 의해 미끄럼 가능하게 차례로 지지되므로, 프레임(6)은 콘베이어의 이동 방향으로 주어진 거리 l1를 왕복운동할 수 있다.
롤러 (4,4')는 콘베이어상에 배치되고 주어진 거리 D만큼 하류 콘베이어(3)에서 이격되므로써, 이들은 콘베이어들을 브릿지하고, 이들 축은 콘베이어상의 반죽의 이동방향과 수직이다. 프레임(6)의 왕복운동은 롤러(4,4')가 롤링동안 이동방향으로 주어진 l1(제 2도)를 왕복운동하도록 한다.
롤러(5)는 롤러(4,4')의 상류에 배치된다. 콘베이어와 롤러(5)사이의 갭은 콘베이어(3)과 롤러(4)사이의 갭 D와 같거나 보다 조금 크다.
롤러(5)는 롤러(4,4')와 직각으로 방위되고, 그것의 축은 콘베이어상의 반죽의 이동 방향과 일렬로 되고 제 2도 및 제 4도에 도시한 바와 같다. 이것은 주어진 거리 l2를 왕복운동하고, 또한 롤러프레임(6)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프레임(6)왕복 운동에 의해 주어진 거리 l1으로 왕복운동한다.
롤러(4)는 샤프트(41)에 장착되고, 샤프트(41)에는 스프로켓(42)이 장착되어 고정된다.
스프로켓(42)은 가변속도 모터(7)에 의해 구동되는 체인(71)과 맞물려 있으므로, 체인은 예정거리만큼 서로 이격 위치된 두 스프로켓을 감고 있다. 이 체인은 콘베이어와 평행하게 이동된다.
샤프트(41)는 크랭크 로드(81)의 한 단부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된다. 크랭크로드(81)는, 샤프트(41)가 체인(71)상의 스프로켓(42)의 회전을 통해 롤링되는 동시에 왕복 운동되고, 크랭크 로드(81)의 크랭크 이동에 인하여 왕복 운동하도록, 다른 가변 속도 모터(8)에 의해 구동된다.
크랭크 로드(81)가 작동이 될 때, 롤러(4)는 스프로켓(42)의 작동에 의해서 롤링 및 왕복 운동될 수 있으며, 롤러(4)는 체인(71)상의 크랭크 로드(81)를 통해 모터(8)까지 왕복운동된다.
롤러(4,4')는 롤러(4)의 이동이 다른 롤러(4')에 전달되고, 롤러(4')가 롤러(4)와 같은 방법으로 롤링 및 전후방 진행될 수 있도록 벨트(43)를 경유해서 연결된다. 벨트(43)의 전송비에 의해서, 롤러에 부착된 풀리의 직경은 상류 롤러(4')의 회전속도가 하류 롤러(4)의 것보다 느리게 유지되도록 조정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가변 속도 모터(7)는 체인(71)의 이동속도가 하류 콘베이어(3)의 속도와 동일하도록 조정된다. 롤러(4)는 상류 및 하류 콘베이어(2,3)사이를 이동하도록 왕복이동된다. 가변 모터(7)와 전송 벨트(43)를 조정함으로써, 롤러(4')의 회전속도는 반죽이 거의 어느 마찰을 일으키지 않게 상류 콘베이어(2)의 속도보다 더 빠르게 유지되고 하류 콘베이어(3)의 진행속도보다 늦게 유지된다.
롤러(5)가 장착되어 있는 샤프트(51)는 U자형 슬라이더(52)의 아암에 의해 양단부가 지지되어 있다. 피니온(53)은 샤프트(51)의 한 단부에 장착된다. 작은 직경의 피니온(54)는 피니온(54)과 맞물리기 위한 슬라이더(52)의 한 벽에 장착된다.
피니온(54)은 래크(55)와 결합하며, 래크는 콘베이어의 횡방향으로 프레임(6)에 고정된다.
슬라이더(52)는 샤프트(51)의 축선의 횡방향으로 프레임(6)을 연결하는 두 로드 (56)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롤러(5)는 회전 작동기 혹은 역회전 가능한 모터(도시하지 않음)와 같은 독립 동력 장치에 의해 구동되며, 이들은 롤러(5)를 롤링하기 위해 샤프트(51)에 장착된다.
롤러(5)는 피니온(53,54)과 래크(55)에 의해 왕복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롤러(5)의 이동 속도는 조절기(57)(제 3도)에 의해 변경가능하다.
제1실시예에서,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5)의 롤링 궤적은 롤러가 거리 l1를 콘베이어의 이동 방향으로 한 왕복 행정을 할 때, 거리 l2를 횡방향으로 0.5 왕복 행정을 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콘베이어에 운송된 반죽(1)은 롤러의 길이방향 및 측방향의 조합된 이동에 의해 형성된 궤적(B)을 따라 롤러가 이동함으로써 스트레칭된다.
제8도는 롤러(5)에 의해서만 양호하게 합성된 궤적을 도시한다. 롤러(5)가 거리 l1로 길이방향으로 행정을 하지 않거나. 하나 혹은 2회 왕복운동 행정을 할 때, 거리 l2로의 횡 방향 왕복운동은 0.5, 1.5 혹은 2.5 왕복 행정을 한다. 그러므로 얻어진 궤적은 제8도처럼 도시되어 있다. 롤러가 길이방향으로 행정을 하지 않는다면, 횡방향으로 0.5 행정을 하며, 제8도의 상부 왼쪽 궤적이 생성된다. 횡방향으로의 행정이 1.5로 증가된다면, 상부 중간 궤적이 주어질 것이며, 횡방향 행정이 2.5로 증가된다면, 상부 오른쪽 궤적이 생성될 것이다. 롤러가 거리 l1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1행정하고, 횡방향 행정이 0.5로 되면 이 궤적은 왼편 컬럼상의 제 2블럭으로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롤러는 다양한 방향으로 반죽의 표면에 작용하므로, 어느 방향으로도 균일한 품질의 내부조직을 가지는 반죽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롤러(4,4')가 반죽의 두께를 조정할 수 있는 방식으로 하류 및 상류 방향으로 반죽을 스트레칭하고, 롤러(5)가 거의 모든 방향으로 반죽을 스트레칭한다.
빵 반죽에 대한 본 발명의 효과를 증명하기 위한 실험은 반죽 시이트 20㎜ 두께를 동일한 조건하에서 제5도, 제6도 제7도에 도시된 종래 롤러에 의해 스트레칭함으로써 이루어졌으며, 이때, 반죽 시이트는 제각기 10, 5 및 5㎜ 두께로 되었다.
이와 반대로, 상기와 같은 동일한 조건하에서,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2㎜ 두께의 반죽 시이트를 얻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에의 감소 비율은 1 : 10이며, 반면 제5도의 것이 1 : 4이며 제6도와 제7도의 것이 1 : 2이다. 이것은 본 발명의 현저한 우수성을 증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반죽의 이동방향과 횡방향 즉, 양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롤러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는 다양한 방향으로 반죽을 스트레칭시킬 수 있으므로 균일한 조직과 두께를 가진 고품질의 반죽 시이트를 중간 형태로 운반된 연속 반죽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반죽을 이동 방향으로 운반하는 단계와. 반죽(1)의 표면상에 압력 롤러(5)를 반죽의 이동방향의 측면방향으로 롤링시키면서 반죽의 이동방향으로 롤링시키면서 반죽의 이동방향으로 롤러(5)를 왕복 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 스트레칭 방법.
  2. 반죽(1)의 표면상에 적어도 하나의 제1롤러(4,4')를 반죽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롤링시키면서, 상기 제1롤러를 이동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베이어상에 운반되는 연속 반죽 스트레칭 방법에 있어서, 반죽의 표면상의 제2압력 롤러(5)를 반죽(11)의 이동방향의 측면 방향으로 회전 왕복운동시키면서, 동시에 제2롤러(5)를 반죽의 이동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베이어상의 운반되는 연속 반죽 스트레칭 방법.
  3. 하류 콘베이어의 속도가 상류 콘베이어 속도보다 더 빠르도록 직렬로 배치된 다수의 콘베이어(2,3)와, 콘베이어(2,3)의 이동방향에 직각으로 정렬된 축선을 가지며, 콘베이어(2,3)를 브릿지하도록 콘베이어(2,3)위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롤러(4,4')를 포함하는 반죽 스트레칭 장치에 있어서, 반죽의 이동방향의 측면 방향으로 주어진 거리 l2를 왕복운동하면서, 제1롤러(4,4')와 동시에 이동방향으로 주어진 거리 l1를 왕복운동하도록, 제1롤러(4.4')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이동방향과 평행하게 정렬된 축선을 가지는 제2롤러(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 스트레칭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4,4',5)는 콘베이어(2,3)에 위치된 프레임(6)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 스트레칭 장치.
KR1019910016532A 1990-09-20 1991-09-20 반죽 스트레칭 방법 및 장치 KR9500018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250762 1990-09-20
JP2250762A JP2510890B2 (ja) 1990-09-20 1990-09-20 生地延展方法及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852A KR920005852A (ko) 1992-04-27
KR950001803B1 true KR950001803B1 (ko) 1995-03-03

Family

ID=17212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6532A KR950001803B1 (ko) 1990-09-20 1991-09-20 반죽 스트레칭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178891A (ko)
EP (1) EP0478242B1 (ko)
JP (1) JP2510890B2 (ko)
KR (1) KR950001803B1 (ko)
CN (1) CN1050972C (ko)
AT (1) ATE119742T1 (ko)
AU (1) AU644012B2 (ko)
CA (1) CA2051828C (ko)
DE (1) DE69108161T2 (ko)
ES (1) ES2069827T3 (ko)
RU (1) RU2037298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9202023A (nl) * 1992-11-20 1994-06-16 Kaak J H Holding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vormen van een deegstreng.
ES2069485B1 (es) * 1993-07-06 1998-07-01 Puig Martinez Eulalia Maquina formadora de barras de pan
JP4942521B2 (ja) * 2007-03-19 2012-05-30 株式会社鎌田機械製作所 シート状パン生地の圧延装置
DE102010022364B4 (de) * 2010-06-01 2019-08-29 Oswald Piller Zuführvorrichtung für Teigrohlinge, insbesondere für zur Brezelherstellung vorgeformte Teigstränge und Verfahren zur Zuführung von Teigrohlingen
MY174586A (en) 2012-06-01 2020-04-28 Rheon Automatic Machinery Co Food dough spreading device and food dough spreading method
CN111066835A (zh) * 2020-01-17 2020-04-28 宿州国恩食品机械有限公司 一种机加工中油条胚面面片的延展方法
CN111374156B (zh) * 2020-03-31 2021-07-20 北京义利面包食品有限公司 面带擀压展宽机
NL2031055B1 (en) * 2022-02-23 2023-09-06 Radie Bv Device, dough line and method for rolling dough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5379A (en) * 1956-02-21 Art of sheeting dough
US3894828A (en) * 1973-08-27 1975-07-15 Pillsbury Co Apparatus for rolling dough strips in the cross machine direction
JPS6163231A (ja) * 1984-08-31 1986-04-01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可塑性生地の延展装置
ATE80973T1 (de) * 1988-01-26 1992-10-15 Rijkaart Machinefab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eig- und fettblaettchen.
JPH0683627B2 (ja) * 1988-01-27 1994-10-26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パン又はペストリーの製造方法
JPH02231033A (ja) * 1989-03-06 1990-09-13 Rheon Autom Mach Co Ltd 生地延展方法及び装置
JPH0795910B2 (ja) * 1989-07-28 1995-10-18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生地延展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108161D1 (de) 1995-04-20
US5178891A (en) 1993-01-12
ES2069827T3 (es) 1995-05-16
CN1061510A (zh) 1992-06-03
JPH04131034A (ja) 1992-05-01
EP0478242B1 (en) 1995-03-15
CN1050972C (zh) 2000-04-05
ATE119742T1 (de) 1995-04-15
DE69108161T2 (de) 1995-07-06
AU8454291A (en) 1992-03-26
EP0478242A1 (en) 1992-04-01
KR920005852A (ko) 1992-04-27
JP2510890B2 (ja) 1996-06-26
AU644012B2 (en) 1993-12-02
CA2051828A1 (en) 1992-03-21
RU2037298C1 (ru) 1995-06-19
CA2051828C (en) 1995-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4201A (en) Apparatus for stretching dough
US4692110A (en) Apparatus for stretching plastic dough
US5044917A (en) Apparatus for stretching dough
KR950001803B1 (ko) 반죽 스트레칭 방법 및 장치
JPS6354335B2 (ko)
SU1630599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аст гивани пластического сырьевого материала
KR940008498B1 (ko) 반죽물 시트 적층 장치
US3804637A (en) Dough lapping apparatus
US5246363A (en) Apparatus for stretching dough
US5154941A (en) Method for stretching dough
JPH0710369A (ja) 集綿マット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KR930006487B1 (ko) 반죽 연신방법 및 장치
US4622890A (en) Dough lapper
US5151024A (en) Apparatus for stretching dough
US5284670A (en) Method for stretching dough
US4191519A (en) Dough-rounding machine
JPH0243005A (ja) 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の切断装置
JPS6292002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2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