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717B1 - 환편기에 있어서 적극형 실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환편기에 있어서 적극형 실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717B1
KR950001717B1 KR1019880010397A KR880010397A KR950001717B1 KR 950001717 B1 KR950001717 B1 KR 950001717B1 KR 1019880010397 A KR1019880010397 A KR 1019880010397A KR 880010397 A KR880010397 A KR 880010397A KR 950001717 B1 KR950001717 B1 KR 950001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guide surface
thread
knitting machine
circular kn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0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4809A (ko
Inventor
고오지 쓰찌야
요시아끼 이가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후꾸하라 세이기 세이사꾸쇼
가와세 신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후꾸하라 세이기 세이사꾸쇼, 가와세 신지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후꾸하라 세이기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90014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4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8Thread-fee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환편기에 있어서 적극형 실 이송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환편기에 장치되어 있는 적극형의 실이송장치의 정면도.
제2도는 구동휘일 및 클러치의 일부 노치 단면도.
제3도는 하우징 및 실이송수단의 일부 노치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하면도.
제5도 및 제6도는 2종류의 클러치 제어수단의 정면도.
제7도는 하우징 및 실이송수단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일부 노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7 : 구동휘일 171, 172, 173, 174: 구동휘일
20 : 순환테이프 21 : 실이송장치
24 : 클러치 27 : 제1실안내면
28 : 제2실안내면 29 : 제1가이드수단
32 : 제2가이드수단 39 : 클러치 제어수단
40 : 회동레버 40b :상부아암
40c : 하부아암 40d, 40e : 돌출부
40f : 수평아암 41 : 영구자석
42 : 근접스위치
본 발명은 편물기, 특히 자카아드(jacquard)편물기에 있어서, 적극적으로 실을 공급하는 실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편물기에 사용되고 있는 테이프식 적극형 실이송장치에는, 편물기의 동작에 동기(同期)하여 여러개의 피이드휘일에 걸쳐서 주행하는 순환테이프가 설치되어 있다.
실은, 테이프와 휘일 사이에 끼이도록 적당한 가이드수단에 의하여 공급되어, 테이프의 구동에 따라서 적극적으로 송출하게 된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는 드럼에 실을 적당수 감어둠에 따라 항상 일정량의 실을 저축하여 두어, 편물기의 요구에 따라서 항상 일정의 약한 장력으로 공급하는 스트레치(stretch)식 실이송장치가 실용되고 있다.
본 장치에 의하면 편물기의 고속화에 대응시킴과 동시에 실이 어떤 이유로 절단되어, 그 실단부가 짜여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근래에 와서 자카아드 편물기로 생산되는 직물중 3개 또는 4개의 급사구(給絲口)의 1순환조직(repeat)으로 편물된 평직물은 급사량(給絲量)이 변동되지 않는 직물, 예컨데 밀라노(milano), 리브(rib), 폰티·로마(ponte de roma)등과 같은 직물이 태반이었다. 이러한 편직물은 상기한 테이프식 적극형 실이송장치 또는 스트레치 실이송장치의 사용에 따라서 달성되어 왔다. 그러나, 변화하는 실의 양이 요구되는 자카아드 무늬의 경우에는 그 변화하는 요구에 추종할 수 없으므로, 테이프식 적극형 실이송장치, 그렇지 않으면 저장식 실이송장치는 사용이 불가능하였다.
또, 무늬(pattern)를 바꿈에 있어, 그때마다 실이송장치를 교환 배치하지 않으면 아니된다는 사실과, 그에 따라서 실이송장치를 설치하기 위하여 스페이스를 미리 확보하지 않으면, 아니되게 되어 있어 작업자에게 있어 매우 번거러운 일이었다.
본 발명은 이것들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 놓은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무늬 없는 편물 또는 자카아드 편물에 대응하는 양자의 급사기능을 겸비한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평직물조직, 또는 자카아드무늬 조직을 변경하였을 경우 그때마다 실을 절단하지 않아도 좋고 또 실이송장치의 교환배치도 할 필요가 없는 실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이송장치는, 순환테이프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휘일과, 이 구동휘일과 같은 속도로 회전할수 있는 제1실안내면과 제2실안내면을 지닌 실이송수단과, 이 실이송수단에 근접하여 제1실안내면상에 실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수단과 제1실안내면상의 실을 제2실안내면상으로 안내하는 제2가이드수단을 구비한 적극형의 실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수단과 제2가이드수단은 실이송수단의 주위를 이동 가능하고, 제1실안내면은 비교적 마찰력이 크고, 제2실안내면은 비교적 마찰력이 작으며, 그러므로서 급사량이 변동하는 무늬 편물에 대하여는 제1실안내면에서 실의 이송을 실시하고, 또 급사량이 변동하지 않는 평직물에 대하여는 실이 복수감기로 된 제2실안내면에서 실이송을 실시하고, 양자의 상이한 실의 이송을 겸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교적, 마찰력이 큰 제1실안내면은 예컨데 고무밴드로 표면을 피복한 부재로 형성하였다.
도전성을 지닌 부재임이 더욱 바람직하다. 비교적 마찰력이 작은 제2실안내면은, 예컨데 여러개의 금속제의 둥근 막대를 새장형상으로 세워 설치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밖에 비교적 마찰력이 작은 제2실안내면은 내마모성 코우팅을 실시한 두부가 잘린 역원추상의 금속 드럼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기는 상기 실이송수단의 둘레를 제1가이드수단 및 제2가이드수단이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실이송수단의 회전은 여러단의 구동후일에 의하여 하게 되었다. 구동휘일은 통상 2단-4단이 바람직하다. 여러단의 구동휘일이 하우징의 일부로 되어 있는 적어도 2개소의 지지부에 따라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있음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여러단의 구동휘일 사이에 클러치가 개재하고 있음이 바람직하다.
나아가서, 구동휘일에 대하여 클러치를 잘못 조작하지 않아도 클러치 제어 수단이 설치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러치 제어수단은 기계적 제어라도 좋고, 또 전기적 제어라도 좋다.
기계적 제어로서는, 예컨대 어느 한쪽 클러치의 외주면을 지나서 클러치를 제어하기 위한 2개의 돌출부를 지닌 회동이 자유로운 상부아암 및 하부아암으로써, 또한 수평아암의 노치에 의하여 걸어 고정하는 회동레버에 따라 할 수 있다.
전기적 제어로서는, 예컨대 클러치의 외주면에 부착된 영구자석과 이 영구자석에 대향하는 근접스위치로된 장치로 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실감기코운에 의하여 이송되어온 실은 제1가이드수단을 통하여 비교적 큰 마찰면의 내면으로 안내되고, 제2가이드수단을 개재하여, 제2실안내면으로 인도되어서 편물기에 공급된다.
또, 다른 급사방법에 의하면 실은 제1가이드수단과 제2가이드수단으로 통하게 되고, 비교적 작은 마찰면의 제2실안내면에 다수 감아서 편물기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무늬없는 편물 또는 자카아드 편물에 대응하는 양자의 급사기능를 겸비하고 있다.
다음에, 첨부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제4도에 나타낸 환편기에 실을 이송하는 장치는 하우징(1)을 지니고 있는데, 이 하우징(1)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2)로 원형 지지링(3)에 부착되어 있다.
하우징(1)은 하부 커버(4)를 지녔으며, 나사(5)로 하우징(1)에 부착되어 있다.
하부 커버(4)에는 검지봉(6),(7)이 회동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으며, 각각의 검지봉(6),(7)과 접촉하고 있는 실이 어떠한 사고로 절단하였을 때,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하여 실사고 검출장치(8)의 램프를 점등시켜 편물기를 정지시킨다. 검지봉(6)은 스토퍼(9)에 의하여 상방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있다. 급사(給絲)를 하고 있을 때는 검지봉(7)의 선단부가 실사고 검출장치(8)의 저부에 설치되어 있는 채널형상으로 절곡된 2개의 와이어 가이드(10),(11)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하우징(1)의 상부(12)와 앞부분(13)은 보올베어링(14),(15)에 의하여 지지된 축(16)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축(16)의 상부에는 구동수단(17)이 설치되어 있으며, 구동수단(17)은 4개의 구동휘일 (171),(172),(173),(174)이 와서(18)를 개재하여 나사(19)로 하우징(1)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한 하우징의 상부(12) 및 앞부분(13)의 2개소의 지지부에 따라 4개의 구동휘일은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하우징(1) 및 구동수단(17)은 원형지지링(3) 위에 다수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다수의 구동휘일(171),(172),(173),(174)의 외부에서 접하여 순환테이프(20),(20),(20),(20)가 연장하고 있다. 이러한 순환테이프는 공지된 장치의 그것과 같고, 환편기의 동작에 동기하여 구동된다. 상기 축(16)의 하부에는 구동휘일(17)과 같은 속도로 회전하는 실이송수단(2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실이송수단(21)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서(22)를 개재하여 나사(23)로 하우징(1)에 고정되어 있다. 구동휘일(171),(172),(173),(174)의 각각의 사이에는 제1,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수 있고, 3단계의 위치가 설정되는 상하클러치(24),(24)가 설치되어 있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러치(24),(24)은 스틸보올등에 의하여 상,중,하의 3단계 설정을 할 수 있도록 노치(25)를 지녔으며, 또 클러치(24),(24)에는 대향하는 구동휘일면의 구멍에 끼워 넣는 적어도 2개의 돌기부(26),(26)가 형성되어 있다.
실이송수단(21)을 회전시키지 않을 때는 클러치(24)를 중간위치(예컨대, 제1도의 상방 클러치의 위치)로 하여 구동휘일(171),(172)만을 회전시킨다.
또, 실이송수단(21)을 회전시키려면, 구동휘일의 어느 한쪽의 위치[예컨대, 제1회의(174)]에 하단의 클러치(24)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클러치(24),(24)를 설치함에 따라 4단의 구동휘일(171),(172),(173),(174)을 적당히 바꾸거나, 또한 선택할 수 있어, 편물조직을 변경하였을 경우, 실이송장치를 재배치할 필요는 전혀 없게 되었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이송수단(21)에는, 제1실안내면(27)과 제2실안내면(28)이 형성되어 있다. 제2실안내면(27)은, 비교적 마찰력이 큰 도전성재료, 예컨대 고무밴드로 피복한 카아본 함유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제2실안내면(28)은, 비교적 마찰력이 적은 재료, 예컨대 여러개 세워 설치한 철제의 둥근막대(28a)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부가 하부의 외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어서, 바깥 방향의 경사부(28b)로 되어 있다.
또, 제7도에 나타낸 변형예에 의하면, 제2실안내면(28)은 두부가 잘린 역원추 형상의 내마모성 코우팅을 실시한, 알루미늄제드럼(28c)으로 형성되어 있다. 드럼은 판판한 것이라도 좋고, 속이 빈 것이라도 좋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이송수단(21)에 인접하여 실을 제1실안내면(27)으로 안내하는 가동가이드(29)와, 제2실안내면(28)으로 안내하는 가동가이드(30)가 설치되어 있다.
가동가이드(29),(30)에는 실을 제1실안내면(27), 제2실안내면(28)으로 안내하기 위한 각각의 실안내수단, 예컨대 실안내구멍(29a),(30a)이 천설되어 있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가동가이드(29),(30) 사이에 탄성와셔(32)가 개재하고 있으며, 가동가이드(29),(30)는 하우징전부(13)의 저부에 압입된 베어링(31)을 중심으로 하여 360℃의 각도에서 이동이 자유롭다.
이와 같이 가동가이드(30)는, 편물조직 또는 사용하는 실에 따라서 실이송 수단(21)의 제1실안내면(27)에 대하여 접촉각도를 증대한다거나, 감소한다거나 할 필요가 있는 자카아드 편물의 경우에 인위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 급사량의 변화하지 않는 무늬없는 편물의 경우는 실을 제2실안내면(28)에 다수 감기에 따라 실의 이송을 할 수 있다.
하우징 전부(13)의 선단부에는 실감기코운(도면에 없음)으로부터 이송되어온 실을 안내하는 직립 가이드(33)가 부착되어 있으며, 그 바로 밑에는 일단이 개방된 와이어 가이드(34)가 설치되어 있다.
나아가서, 와이어 가이드(34)의 아래쪽에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36)에 의하여 조정할 수 있는 텐션와셔(tension washer)(37)가 배설되었고, 또 같은 축에는 슬럽잡이(slub catcher)(38)가 부착되어 있다.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러치(24),(24)에 대향하여 클러치 제어수단(39)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클러치 제어수단(39)에는 하우징 상부(12)에 지지되어, 거기에 설치된 받침점(40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할 수 있는 회동레버(40)가 구비되어 있다.
이 회동레버(40)의 상하아암(40b),(40c)에는 클러치(24),(24)의 두께보다도 크게 된 2개의 돌출부(40d),(40e),(40d),(40e)가 형성되어 있으며, 나아가서 회동레버(40)의 중앙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는 아암(40f)을 지니고 있다.
회동레버(40)가 회동하였을 때에는, 클럴치(24),(24)의 외주를 지나서 어느 한쪽의 돌출부(40d),(40e)가 클러치(24)를 움직이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수평아암(40f)의 노치(40g)가 하우징상부(12)에 삽입 설치된 강구(steel ball)등에 의하여 위치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클러치(24)의 상하이동은, 공지의 레버장치에 따라 인위적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클러치 제어수단(39)을 설치함에 따라, 클러치(24),(24)의 어느 한쪽이 회동레버(40)에 의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되므로, 클러치(24),(24)를 잘못 조작할 염려가 없게 된다.
제6도에 다른 클러치 제어수단(39)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클러치(24),(24)의 외주면에 영구자석(41)설치 되어 있으며, 이 영구자석(41)에 대향하여, 하우징상부(12)의 수직부와, 나아가서 그로부터 연장한 지지부(12a)에 근접스위치(42),(42)가 장치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상하의 클러치(24),(24)의 양자가 중립 위치에 없을 때, 근접 스위치(42),(42)는 작동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서 편물기가 동작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술한 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감기코운으로부터 이송되어온 실(Y)은, 적립가이드(33)에 안내되어 와이어가이드(34)를 통하여 텐션와셔(37)를 개재하고, 검지봉(6)의 하면에 접촉하여 가동가이드(29)의 실안내구멍(29a)으로 도입된다. 실안내구멍(29a)으로 도입된 실(Y)은, 비교적 마찰력이 큰 제1실안내면(27)으로 안내된 다음, 가동가이드(30)의 실안내구멍(30a)을 거쳐 비교적 마찰력이 작은 제2실안내면(28)으로 안내되어, 실사고 검출장치(8)의 와이어가이드(10),(11) 사이의 검지봉(7)의 하면에 접촉하여 환편기에 공급된다.
제1실안내면(27)은 비교적 마찰력이 크므로, 급사량의 변화하는 자카아드의 편물등의 경우에 사용된다.
다른 급사방법에 의하면, 가동가이드(29)에 대하여 제1도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가이드(30)를 접근시켜, 이에 따라서 실(Y)은 제1실안내면(27)에 안내되지 않고, 가동가이드(29)와 가동가이드(30)에 통하여 제2실안내면(28)으로 안내되어 많이 감기게 된다.
그런다음, 실은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실사고 검출장치(8)와 접촉하여 한편기에 공급된다.
제2실안내면(28)은 비교적 마찰력이 작으므로, 급사량의 변화가 없는 평직물의 경우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이송장치는,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교적 마찰력이 큰 제1실안내면과 비교적 마찰력이 작은 제2실안내면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우선 무늬없는 편물, 그렇지 않으면 자카이드 편물에 대하여 상이한 실이송을 선택할 수 있다.
또, 구동휘일을 여러단 설치하고 그 사이에 클러치를 개재 시킨 실시예에 의하면, 편물조직을 변경함에 있어, 여러단의 구동휘일을 클러치에 따라 적당히 교환할 수 있게 되어 종전과 같이 그때마다 실을 고쳐 통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 또, 실이송장치의 재배치 및 실이송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설치스페이스를 확보하는 번거로운 작업의 필요가 없게 되었다. 나아가서, 낱낱의 실이송장치의 설치 레벨이 고저차가 없는 일정한 높이 레벨에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실이송장치의 조작성이 용이하게 되었다.

Claims (9)

  1. 순환테이프(20)에 따라 구동한 구동휘일(17)과, 이 구동휘일과 같은 속도로 회전할 수 있는 제1실안내면(27)과 제2실안내면(28)을 지닌 실이송수단(21)과, 이 실이송수단에 근접하여 제1실안내면상에 실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수단(29)과, 제1실안내면상의 실을 제2실안내면상으로 안내하는 제2가이드수단(30)을 구비한 적극형이 실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수단(29)과 제2가이드수단(30)은 상기 실이송수단(21)의 주위를 이동할 수가 있고, 제1실안내면(27)은 비교적 마찰력이 크고, 제2실안내면(28)은 비교적 마찰력이 작으며, 따라서, 급사량이 변동하는 무늬편물에 대해서는, 제1실안내면(27)에서 실의 이송을 실시하고, 또 급사량이 변동하지 않는 무늬 없는 편물에 대해서는 실이 복수감기로 된 제2실안내면에서 실의 이송을 실시하며, 양자의 상이한 실의 이송을 겸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기에 있어서의 적극형의 실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비교적 마찰력이 큰 제1실안내면(27)을 고무밴드로 표면을 피복한 부재로 형성하고, 비교적 마찰력이 작은 제2실안내면(28)을 새장형상으로 여러개 세워 설치한 금속제의 둥근막대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기에 있어서의 적극형의 실이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비교적 마찰력이 큰 제1실안내면(27)을 고무밴드로 표면을 피복한 부재로 형성하고, 비교적 마찰력이 작은 제2실안내면(28)을 내마모성 피복을 실시한 두부가 잘린 역원추상의 금속드럼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기에 있어서의 적극형의 실이송장치.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실이송수단(21)의 회전이 여러단의 구동휘일(171),(172),(173),(174)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기에 있어서의 적극형의 실이송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여러단의 구동휘일(171),(172),(173),(174)이 하우징의 일부로 되어 있는 2개소 이상의 지지부(12),(13)에 따라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기에 있어서의 적극형의 실이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여러단의 구동휘일(171),(172),(173),(174)사이에 클러치(24),(24)가 재지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기에 있어서의 적극형의 실이송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구동휘일(171),(172),(173),(174)에 대하여 클러치(24),(24)를 잘못 조작하지 않도록 클러치 제어수단(39)이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기에 있어서의 적극형의 실이송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클러치 제어수단(39)이, 어느 한쪽의 클러치(24),(24)의 외주면을 통하여 클러치를 제어하기 위한 2개의 돌출부(40d), (40e)를 지니고, 회전운동이 자유로운 상부아암(40b) 및 하부하암(40c)으로서, 또한 수평아암(40f)의 노치(40g)에 의하여 걸리는 회동레버(40)임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기에 있어서의 적극형의 실이송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클러치 제어수단(39)이, 클러치(24),(24)의 외주면에 부탁된 영구자석(41)과, 이 영구자석에 대향하는 근접스위치(42)를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기에 있어서의 적극형의 실이송장치.
KR1019880010397A 1988-03-18 1988-08-16 환편기에 있어서 적극형 실 이송장치 KR9500017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8-67013 1988-03-18
JP63067013A JPH0733621B2 (ja) 1988-03-18 1988-03-18 丸編機における積極型の糸送り装置
JP63-67013 1988-03-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809A KR890014809A (ko) 1989-10-25
KR950001717B1 true KR950001717B1 (ko) 1995-02-28

Family

ID=13332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0397A KR950001717B1 (ko) 1988-03-18 1988-08-16 환편기에 있어서 적극형 실 이송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890464A (ko)
EP (1) EP0333482B1 (ko)
JP (1) JPH0733621B2 (ko)
KR (1) KR950001717B1 (ko)
DE (1) DE68919423T2 (ko)
ES (1) ES2063813T3 (ko)
HK (1) HK10061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9685A (en) * 1995-07-25 1998-11-24 Chen; Jen Hui Anti-static thread feeding wheel for knitting machinery
DE19538135A1 (de) * 1995-10-13 1997-04-17 Terrot Strickmaschinen Gmbh Fadenvorrichtung für Textilmaschinen
DE19712739A1 (de) * 1997-03-26 1998-10-01 Sipra Patent Beteiligung Fadenliefereinrichtung für intermittierenden Fadenverbrauch
DE19733264A1 (de) * 1997-08-01 1999-02-04 Sipra Patent Beteiligung Fadenliefervorrichtung und dafür geeignetes Antriebsrad
TW423535U (en) * 1998-09-23 2001-02-21 Chen Ren Huei Self-cleaning weft storing and feeding apparatus
TW498903U (en) 1999-01-22 2002-08-11 Ren-Huei Chen Constant-quantity and adjustable-quantity yarn-feeding device
US6270032B1 (en) 1999-04-03 2001-08-07 Jen Hui Chen Variable or steady yarn feeding apparatus
US6079234A (en) * 1999-04-15 2000-06-27 Hsiung; Ching-Lung Yarn feeder for a jacquard knitting machine
DE102004043024A1 (de) * 2004-09-06 2006-03-09 Iro Ab Liefergerät
WO2008043372A1 (de) * 2006-10-06 2008-04-17 Memminger-Iro Gmbh Fadenliefergerät
CN101240482B (zh) * 2007-07-26 2011-07-27 陈仁惠 双臂同步运作的导纱装置
CN102454033A (zh) * 2010-10-29 2012-05-16 吴江市时代针织有限公司 圆机环绕引线装置
CN106012270B (zh) * 2016-07-29 2017-08-29 泉州市永祺塑胶电子有限公司 一种具有报警装置的天线台
TWI635551B (zh) * 2017-08-14 2018-09-11 鴻勁精密股份有限公司 Electronic component crimping unit and test equipment for its application
TWI618667B (zh) * 2017-08-31 2018-03-21 Electronic component crimping unit and its application test classification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54557C (de) * 1951-08-28 1952-11-06 Hagenuk Hanseatische Appbau Ge Fadenzubringer fuer Strick- und Wirkmaschinen
US3083924A (en) * 1959-09-11 1963-04-02 Textile Devices Corp Yarn furnishing device
GB1262179A (en) * 1968-10-14 1972-02-02 Rosen Karl I J Thread storage and delivery device for textile machines
FR2141482A1 (en) * 1971-06-03 1973-01-26 Inst Textile De France Knitting machine yarn feed device - using high friction drive roller around which yarn passes
FR2278817A1 (fr) * 1974-07-17 1976-02-13 Inst Textile De France Dispositif d'alimentation en fil pour metier de bonneterie
DE2544495A1 (de) * 1975-10-04 1977-04-14 Gustav Memminger Fadenliefervorrichtung fuer positive fadenzulieferung bei textilmaschinen
FR2408674A1 (fr) * 1977-08-26 1979-06-08 Asa Sa Dispositif perfectionne de commande de l'entrainement des fournisseurs de fil pour metiers a tricoter
GB2065723B (en) * 1979-12-11 1983-11-02 Stevcoknit Inc Self actuating yarn feed and drive belt arrangement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US4355747A (en) * 1980-05-12 1982-10-26 Textile Technology, Inc. Multi-purpose yarn feeding device
JPS57139542A (en) * 1981-02-17 1982-08-28 Fukuhara Seiki Seisakusho Yarn sending apparatus of positive type in circular knitting machine
JPS58135066A (ja) * 1982-02-05 1983-08-11 Fukuhara Seiki Seisakusho:Kk 編機における積極型の糸送り装置
JPS60188272A (ja) * 1984-03-06 1985-09-25 Fukuhara Seiki Seisakusho:Kk 編機における積極型の糸送り装置
JPS6215236A (ja) * 1985-07-12 1987-01-23 Matsui Shikiso Kagaku Kogyosho:Kk 熱可逆変色性ポリウレタンフオ−ム
DE3543183C1 (de) * 1985-12-06 1987-05-14 Sipra Patent Beteiligung Riemenantriebsvorrichtung,beispielsweise fuer Fadenliefervorrichtungen fuer Textilmaschinen
US4691873A (en) * 1986-06-06 1987-09-08 Alan Gutschmit Strand storing and delivering device
JPS6215363A (ja) * 1986-07-24 1987-01-23 株式会社福原精機製作所 メリヤス丸編機における積極型の糸送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809A (ko) 1989-10-25
JPH01239143A (ja) 1989-09-25
JPH0733621B2 (ja) 1995-04-12
DE68919423T2 (de) 1995-05-24
DE68919423D1 (de) 1995-01-05
ES2063813T3 (es) 1995-01-16
HK1006186A1 (en) 1999-02-12
EP0333482B1 (en) 1994-11-23
US4890464A (en) 1990-01-02
EP0333482A1 (en) 1989-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1717B1 (ko) 환편기에 있어서 적극형 실 이송장치
KR900004919B1 (ko) 섬유기계용 급사장치
US3796386A (en) Thread feeder for textile machines
US5974938A (en) Braiding machine
SU1074399A3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 торможени нити к нитеподающему устройству с неподвижным нитенакопительным барабаном дл ткацких станков
KR860000948B1 (ko) 편물기에 있어서의 적극형 실송급장치
CN110799686B (zh) 用于对用于袜类或类似物的针织机馈送一根或多根纱线的装置
EP0164033A2 (en) Weft feeder for weaving looms
US4090677A (en) Apparatus for storing and feeding yarn to yarn using machines
KR910006408B1 (ko) 직기, 특히 원형직기의 경사장력조절 및 관리장치
CS268524B2 (en) Supplying and feeding device for thread
US3871421A (en) Weaving machine having a variable weft yarn path
EP0584099B1 (en) Weft supplier for shuttleless looms
US3421344A (en) High-speed knitting machine
US5513503A (en) Strand guiding device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SE508146C2 (sv) Fournissör
KR20070018589A (ko) 줄무늬 편성용 사 공급장치
KR100803546B1 (ko) 저장 능동형 급사장치
KR930700711A (ko) 원형 직조기
JPH0224942B2 (ko)
US3747370A (en) Pattern jack actuator mean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CN1183816A (zh) 用于控制储纬器驱动装置转速的装置
CN214989332U (zh) 一种纺织用导纱装置
US3045459A (en) Fiber control for pile fabric knitting machines
CN213866649U (zh) 一种塑料圆织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0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