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687Y1 - 울타리용 지주의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울타리용 지주의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687Y1
KR950001687Y1 KR2019910017117U KR910017117U KR950001687Y1 KR 950001687 Y1 KR950001687 Y1 KR 950001687Y1 KR 2019910017117 U KR2019910017117 U KR 2019910017117U KR 910017117 U KR910017117 U KR 910017117U KR 950001687 Y1 KR950001687 Y1 KR 9500016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vided
fence
concrete floor
post
str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71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8984U (ko
Inventor
김정환
Original Assignee
김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환 filed Critical 김정환
Priority to KR20199100171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1687Y1/ko
Publication of KR9300089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9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6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6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울타리용 지주의 고정구조
제1도는 본 고안 지주고정용 고정구본체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한 실시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구 본체 2 : 결합공
3 : 삽입돌 부 4 : 삽입공
5 : 조임봉 6 : 너트
7 : 못 8 : 연결구
9 : 분할된 지주 10 : 횡파이프
본 고안은 울타리용 지주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울타리 또는 난간등은 다수의 상, 하 횡파이프를 지지하는 등간격의 지주가 입설되고 상기 횡파이프사이에는 다수의 보조격주가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지주의 경우에는 단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횡파이프가 용착되기도 하나 근자에는 신속한 설치작업을위하여 지주를 다수로 분할하여 횡파이프를 연결한 다음 별도의 연결구등으로 결합하는 조립식 울타리가 제공되고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조립식 울타리의 지주 및 횡파이프의 연결상태를 더욱 견고히함과 동시에 지주를 간단히 고정할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일체로된 지주 및 분할된 지주는 일반적으로 공히 그 지주의 저부일단이 콘크리트바닥에 매설되어 고정되는바, 이와 같은 고정수단은 그 매설작업으로 인한 작업의 번거로움은 물론 각자가 갖는 재질상의 특징으로 매실후 긴밀한 결합이 이루어지지 못하며, 특히 이미 완성된 콘크리트바닥상면에 울타리를 설치할 경우 지주가 매실될 콘크리트 부의를 파훼한다음 매설후 다시 미장하여야하는 문제점도 지적된다.
또한 분할된 저주 및 이와 연결되는 횡파이프등은 조립구조로써 조힙후 그 견고성이 결여되는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는바, 본 고안은 상기한 지주의 간편한 고정수단과 함께 지주 및 횡파이프의 결합상태도 더욱 견고히 할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콘크리트바닥(11) 상면에 분할된 지주(9) 및 횡파이프(10)를 연결구(8)로 조립한 통상의 것에 있어서, 결합공(2)이 천공된 고정구 본체(1)의 삽입돌부(3)를 분활된 지주(9) 저부내측으로 삽입하고 분활된 지주(9) 및 횡파이프(8) 내측으로는 조임봉(5)을 관설하여 그 상단은 절곡하고 하단은 삽입돌부(3) 중앙의 삽입공(4)으로끼워 너트(6)로 체결하는 한편, 고정구 본체(1)는 결합공(2)을 통하여 못(7)으로 콘크리트바닥(11)에 고정하여된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고정구 본체(1)의 삽입돌부(3)가 분할된 지주(9)의 가장저부쪽 내측으로 삽입되고 이어 조임봉(5)을 횡파이프(10) 및 각 분할된 지주(9)의 상부로부터 관설하고 그 하단이 삽입돌부(3) 중앙의 삽입공(4)으로 끼움과 동시에 그 상단은 가장 상부쪽 횡파이프(10)의 상면에서 절곡시킨다.
이어 삽입공(4)으로 끼워진 조임봉(5)의 하부를 너트(6)로 조여주면 조임봉(5)이 당겨지면서 분할된 지주(9) 및 횡파이프(10)등은 더욱 견고히 결합되게 된다.
이는 간편한 설치작업을 위하여 제공되는 조립식 울타리가 갖는 결합상태를 더욱 양호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분할된 지주(9)의 저부에 삽입돌부(3)가 끼워지면서 상기 조임봉(5) 및 너트(6)등으로 결합된 고정구본체(1)를 그 양단에 천공된 결합공(2)을 통하여 콘크리트바닥(11)에 못(7)으로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지주는 기존에 그 저부일단을 매설하던 작업수단을 탈피함으로써 설치작업이 간편하고 신속하며 동시에 지주 및 횡파이프의 결합상태도 더욱 견고히 유지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콘크리트바닥(11) 상면에 분할된 지주(9) 및 횡파이프(10)를 연결구(8)로 조립한 통상의 것에 있어서, 결합공(2)이 천공된 고정부 본체(1)의 삽입돌부(3)를 분할된 지주(9) 저부내측으로 삽입하고, 분할된 지주(9)및 횡파이프(8) 내측으로는 조임봉(5)을 관설하여 그 상단은 절곡하고 하단은 삽입돌부(3) 중앙의 삽입공(4)으로 끼워 너트(6)로 체결하는 한편. 고정구 본체(1)는 결합공(2)을 통하여 못(7)으로 콘크리트바닥(11)에 고정하여된 울타리용 지주의 고정구조.
KR2019910017117U 1991-10-15 1991-10-15 울타리용 지주의 고정구조 KR9500016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7117U KR950001687Y1 (ko) 1991-10-15 1991-10-15 울타리용 지주의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7117U KR950001687Y1 (ko) 1991-10-15 1991-10-15 울타리용 지주의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8984U KR930008984U (ko) 1993-05-25
KR950001687Y1 true KR950001687Y1 (ko) 1995-03-11

Family

ID=19320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7117U KR950001687Y1 (ko) 1991-10-15 1991-10-15 울타리용 지주의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168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8984U (ko) 1993-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6489A (en) Plastic fence post bottom repair device
KR840007929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고정방법 및 이를 위한 지지체와 연결 슬리이브
KR950001687Y1 (ko) 울타리용 지주의 고정구조
KR101875476B1 (ko) 생물권 보전을 위한 목재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219349B1 (ko) 메쉬망 체결구
KR100397768B1 (ko) 온실의 기초시공 구조
KR102603933B1 (ko) 방수 구조를 가지는 막구조용 시스템 패스너
JP3032191U (ja) 住宅用接合金物
KR100966540B1 (ko) 경량형강을 사용한 벽체 패널의 시공방법
JPH076302B2 (ja) 自立電柱及びその建柱工法
JP3028997U (ja) 住宅用接合金物並びにその固定具及びカバー
KR940003697Y1 (ko) 조립식 울타리의 연결구
KR100359627B1 (ko) 교량용 조형 구축물
JPS6329797Y2 (ko)
KR840001401Y1 (ko) 비닐하우스의 골격구조
JP3516768B2 (ja) 建物ユニ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135898Y2 (ko)
JP4116471B2 (ja) 建物付設物
JPS6312195Y2 (ko)
JPH0712505Y2 (ja) 玄関ポ−チの柱
JP2725174B2 (ja) 木造建築物の横架材・柱接合構造とその用具
KR200142803Y1 (ko) 조립식 천정재의 설치구조
KR950009891Y1 (ko) 베란다용 난간의 지주고정구
KR0125099Y1 (ko) 천막용 조립식 파이프 골조
KR920005326Y1 (ko) 조립식 휀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