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624Y1 - 도어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도어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624Y1
KR950001624Y1 KR92008024U KR920008024U KR950001624Y1 KR 950001624 Y1 KR950001624 Y1 KR 950001624Y1 KR 92008024 U KR92008024 U KR 92008024U KR 920008024 U KR920008024 U KR 920008024U KR 950001624 Y1 KR950001624 Y1 KR 9500016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frames
door fram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80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5881U (ko
Inventor
김용신
Original Assignee
김용신
주식회사 신산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신, 주식회사 신산공업 filed Critical 김용신
Priority to KR920080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1624Y1/ko
Publication of KR9300258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58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6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6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15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47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the connecting piece being part of or otherwise linked to the window or door fittings
    • E06B3/9648Mitre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2Resilient strips of hard material, e.g.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도어어셈블리
제1도는 도어부재를 제작하는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와 같이 제작된 도어부재에 커버를 씌워 도어를 완성하는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제3A도는 도어프레임에 앵글을 사용하여 프레임모서리를 제작하여 완성하는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제3B도는 제3A도의 일점쇄선의 원으로 지적한 B부분의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도어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 및 도어프레임의 제작시 외관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우수한 접합강도를 갖는 도어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도어 및 도어가 결합되어 도어프레임의 제작시에는 티그 또는 스폿용접이나 시임(seam) 체결방식으로 도어 및 도어프레임을 완성하였다. 이에 따라 용접부위에서 부식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특히 칼라 철판이나 칼라스테인레스판을 사용하여 제작하는 경우에 칼라도장이 벗겨지거나 검게 타버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도어나 도어프레임의 구성 부품의 조립시 프레임 모서리 부분을 체결하는 경우에 용접이나 피스에 의하여 조립하게 되므로 제작비용이 과다하게 되고 공정이 복잡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나 도어프레임의 구성부품의 조립시 요철접합(fastening) 결합방식으로 도어와 도어프레임을 제작하여 결합시키는 도어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는, 서로 직각으로 접촉하도록 양단에 경사부를 갖는 양 프레임의 상·하면에는 서로 접촉하는 프레임과 직각을 이루도록 수용홈을 형성하고, 상기 서로 접촉하는 프레임의 수용홈에 ㄱ자 앵글을 삽입하여 양 프레임을 결합하며, 상기 프레임의 상·하 수용홈에 삽입된 ㄱ자 앵글과 프레임이 요청결합 고정된 도어프레임과; 적절한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양측의 벽판재로 형성되는 네모서리의 각 공간부에 ㄷ자 형상의 연결용 판재가 끼워져 상기 벽판재와 요철결합되고, 상기 결합된 벽판재와 연결용 판재를 수용하도록 모서리에 커버가 설치되며, 상기 네모서리중 적어도 하나의 커버의 일변에는 닫힌상태에서 상기 도어프레임과의 접촉시 방풍 및 방음을 위한 날개형상부가 마련되어 상기 도어프레임의 일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부재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도어부재를 제작하는 과정중 두장의 벽판재(11), (11)의 모서리의 공간에 연결용판재가 삽입설치되는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어부재(l0)는 적절한 간격을 두고 위치된 두장의 벽판재(11), (11)(특히 철재로 구성됨)의 사이에는 이 판재의 면적보다 약간 작은 면적을 갖는 스치로폴이나 하니콤형상의 재질로 구성되는 충전재(12)가 위치된다.
상기의 충천재(12)가 차지한 공간 이외의 공간 즉 두장의 벽판재(11), (11)와 충전재(12)가 접합되어 형성되는 네 모서리의 외측에 있는 긴 공간에 ㄷ자 형상의 연결용 판재(21)(특히 알루미늄재로 구성됨)가 삽입된다. 상기 연결용 판재(21)의 대향면 사이의 간격은 두장의 벽판재(11), (11)의 간격과 동일하며 충전재(12)의 두께와 같다.
이와 같이 ㄷ자 형상의 연결용 판재(21)가 오목부를 외부로 하여 삽입된 다음에 상기 벽판재(11), (11)와 연결용 판재(21)의 두 접촉면에 프레스가공등의 수단에 의하여 서로를 향하여 돌출되는 다수의 사각형상의 요철접합부(22)가 형성된다.
따라서 두장의 벽판재(11), (11)와 연결용 판재(21)가 서로 견고하게 연결된 다음에, 요철연결부(22)들을 덮는 형상의 커버(25)(특히 알루미늄재로 구성됨)가 적절한 갯수의 나사(26)로 연결용판재(21)에 연결된다. 이때 도어부재(10)의 네 모서리중 한 모서리에 장착되는 상기 커버(25)의 한쪽 변에는 도어부재(I0)가 도어프레임(40)과의 접촉시 방풍 및 방음을 위한 날개형상부(28)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25)의 한 측면 즉 우측면에 형성된 두개의 요부(27), (27)에는 벽판재(11), (11)와 연결용판재(21)의 요철접합부(22)를 포함한 접촉면이 수용되고, 다른 한 측면 즉 좌측면에 형성된 하나의 요부(29)에는 도어부재(l0)와 도어프레임(40)의 접촉시 즉 도어의 폐쇄시에 소음 및 충돌음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특히 고무패킹등)이 수용될 수 있다.
제3a도 및 제3b도에 도시한 도어프레임은 프레임(31)과 ㄱ자 앵글(35)로 구성된다.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31)의 서로 대향하는 상·하면에 각각 ㄱ자 앵글(35)을 수용하는 수용홈(32), (32)이 형성되어 있고, 인접하는 양 프레임(31) 이 서로 직각으로 접촉하도록 양단에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프레임(31)을 결합하여 구성할 때 서로 직각으로 접촉하게 되며, 이에 따라 직각으로 형성된 수용홈(32), (32)에 ㄱ자앵글(35)이 삽입되어 두개의 프레임(31)이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ㄱ자 앵글(35)과 이 앵글에 대향하여 접하는 프레임(31)이 프레스가공등으로 외측면을 향하여 요철접합하여 원형의 요철접합부(37)를 형성하여 도어프레임(40)을 완성한다.
제4도는 상기와 같은 완성조립된 도어프레임에 도어의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개폐가능한 구조로 된 도어어셈블리를 도시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요철접합의 결합방식으로 도어와 도어프레임을 제작하면 철판재나 스테인레스판의 절곡이 없으며 종래의 티그 또는 스폿용접이나 시임 체결방식에 의한 용접부위의 부식현상이 없어지고 특히 칼라철판, 칼라 스테인레스판의 사용에 의해 칼라도장이 벗겨지거나 검게 타는 현상이 없어진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사용재질에 대한 제한이 없으며 스폿용접보다 우수한 접합강도로 조립할 수 있다.
더욱이 도어프레임의 모서리부분의 체결시 용접이나 피스조립을 하지 않고 소재 자체의 요철접합에 의하여 용접봉이나 피스사용등에 따른 원가절감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서로 직각으로 접촉하도록 양단에 경사부를 갖는 양 프레임의 상·하면에는 서로 접촉하는 프레임과 직각을 이루도록 수용홈을 형성하고, 상기 서로 접촉하는 프레임의 수용홈에 ㄱ자 앵글을 삽입하여 양 프레임을 결합하며, 상기 프레임의 상·하 수용홈에 삽입된 ㄱ자 앵글과 프레임이 요청결합 고정된 도어프레임과 ; 적절한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양측의 벽판재로 형성되는 네모서리의 각 공간부에 ㄷ자 형상의 연결용 판재가 끼워져 상기 벽판재와 요철결합되고, 상기 결합된 벽판재와 연결용 판재를 수용하도록 모서리에 커버가 설치되며, 상기 네모서리중 적어도 하나의 커버의 일변에는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프레임과의 접촉시 방풍 및 방음을 위한 날개형상부가 마련되어 상기 도어프레임의 일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어셈블리.
KR92008024U 1992-05-12 1992-05-12 도어어셈블리 KR9500016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8024U KR950001624Y1 (ko) 1992-05-12 1992-05-12 도어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8024U KR950001624Y1 (ko) 1992-05-12 1992-05-12 도어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5881U KR930025881U (ko) 1993-12-24
KR950001624Y1 true KR950001624Y1 (ko) 1995-03-10

Family

ID=19333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8024U KR950001624Y1 (ko) 1992-05-12 1992-05-12 도어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162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5881U (ko) 1993-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5935A (en) Panel joining system
CA1075533A (en) Corner key reinforcement brace
KR950001624Y1 (ko) 도어어셈블리
JPH0249353Y2 (ko)
KR100209170B1 (ko) 방화도어의 구조
JPS6041424Y2 (ja) 扉の骨格構造体
JPH06336775A (ja) 壁体の取付構造
JPS6222563Y2 (ko)
JPS5850072Y2 (ja) サツシ障子
JPH0235990Y2 (ko)
JPH0315704Y2 (ko)
JPS6322300Y2 (ko)
JPS6332876Y2 (ko)
KR200215513Y1 (ko) 상·하부에 이음매가 없는 구조의 문
JPS6313353Y2 (ko)
JPS6227908U (ko)
JPH07246672A (ja) ハニカムパネル
JPS586964Y2 (ja) サンドイツチパネルの継手部材
JPH07260003A (ja) 接合面間の封止装置
JPH0634969Y2 (ja) 木造建築物における梁接合構造
JPH0183809U (ko)
KR910006406Y1 (ko) 조립식 철문
JP2552819Y2 (ja) 金属板屋根の継手構造
JPH0268950U (ko)
KR970002215Y1 (ko) 차량의 플로어사이드판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