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215Y1 - 차량의 플로어사이드판넬 - Google Patents

차량의 플로어사이드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215Y1
KR970002215Y1 KR2019940015841U KR19940015841U KR970002215Y1 KR 970002215 Y1 KR970002215 Y1 KR 970002215Y1 KR 2019940015841 U KR2019940015841 U KR 2019940015841U KR 19940015841 U KR19940015841 U KR 19940015841U KR 970002215 Y1 KR970002215 Y1 KR 9700022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loorside
welded
side pane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58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1522U (ko
Inventor
이의준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158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215Y1/ko
Publication of KR9600015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5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2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2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36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side panels, sill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4Wel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차량의 플로어사이드판넬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차체의 부분 개략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플로어사이드판넬의 조립상태도.
제3도는 종래의 일예에 따른 차량의 플로어사이드판넬의 조립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로어판넬 1a : 접합부
2 : 플로어사이드판넬 3 : 씰링재
4 : 내측사이드판넬 5 : 외측사이드판넬
7 : 홈 8 : 플랜지
본 고안은 차체측면을 구성하는 플로어사이드판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로어사이드판넬에 길이방향으로 절곡된 홈을 형성시켜 플로어판넬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접작업성과 씰링효과를 동시에 향상시키도록 한 차량의 플로어사이드판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체를 지지하는 플러어판넬의 양쪽 모서리에는, 플로어사이드판넬과 내·외측사이드판넬이 순차적으로 용접결합되어 하나의 어셈블리를 이룸으로써 차체의 측면구조를 형성하면서 측면강성을 향상시키도록 되어 있는 바, 즉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어판넬(1)의 길이방향을 따라 플로어사이드판넬(2)이 용접으로 결합되고 이들의 결합부위에 씰링재(3)를 도포한 다음, 내측사이드판넬(4)과 외측사이드판넬(5)을 가용접으로 결합시킨 조립체가 다시 용접으로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플로어판넬(1)에 용접되는 플로어사이드판넬(2)의 접합면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플로어판넬(1)과 지정된 위치에 맞대어 고정시킨 상태에서 용접작업을 하는데에 큰 어려움이 따르게 되고, 지지면이 없기 때문에 씰링재(3)의 도포시 미도포부위가 발생될 염려가 있어 숙련자가 아니면 작업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접촉면적이 작아 씰링효과가 저하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플로어사이드판넬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형상으로 절곡된 홈을 형성시키고 이 홈을 매개로 플로어판넬의 측부에 접축시켜 용접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기준면을 설정하기가 용이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홈이 가이드역할을 하게 되므로 씰링재 도포작업이 용이해질 뿐 아니라, 접촉면적이 상대적으로 증가되어 씰링효과를 향상시키도록 된 차량의 플로어사이드판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플로어판넬의 접합부에 플로어사이드판넬이 길이방향으로 용접접합되고, 상기 플로어사이드판넬에 내측사이드판넬과 외측사이드판넬을 가용접시킨 조립체가 용접된 차체측면 구조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판넬에 용착되는 상기 플로어사이드판넬의 용착면에 상기 접합부가 삽입 접촉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형상으로 절곡된 홈이 형성되어, 이 홈을 매개로 용접기준면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차체의 부분 개략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플로어사이드판넬의 조립상태도로서 제3도와 동일부위에는 동일 참조부호로 도시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플로어판넬(1)에 절곡 형성된 접합부(1a)에 한 쌍의 플랜지(8)를 갖춘 플로어사이드판넬(2)이 길이방향으로 용접접합되는 차체 측면 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로어판넬(1)에 용착되는 상기 플로어사이드판넬(2)의 용착면에 상기 접합부(1a)가 삽입 접촉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형상으로 절곡된 홈(7)이 형성되어, 상기 홈(7)을 매개로 플로어판넬(1)의 모서리에 형성된 접합부(1a)가 맞대어져 용접 결합됨과 동시에 이 접합부(1a)에 소정 두께로 씰링재(3)가 도포되는 한편, 상기 플로어판넬(1)에 결합된 플로어사이드판넬(2)에 내측사이드판넬(4)과 외측사이드판넬(5)을 가용접으로 결합시킨 조립체가 다시 용접 체결되어, 전체적으로 보아 3매 접합구조를 이루면서 상호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홈(7)은 상기 접합부(1a)가 용착되는 일정 폭의 접촉면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면의 양 모서리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역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것이다.
따라서, 플로어판넬(1)의 접합부(1a)를 플로어사이드판넬(2)의 홈(7)에 걸어 지지시킨 상태에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지정된 위치에 용이하고 간단하게 위치시킨 다음 용접시킬 수 있게 되고, 상기 홈(7)의 경사부를 기준으로하여 씰링재(3)를 도포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미숙련자가 작업하더라도 균일하게 씰링재(3)를 도포할 수 있고, 또 접촉면적의 증가로 씰링효과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플로어사이드판넬에 의하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형상으로 절곡된 홈을 매개로 용접시 접합기준면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용접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씰링재 도포시 상기 홈이 가이드역할을 하게 되므로 숙련자가 아니어도 쉽게 작업할 수 있으며,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씰링효과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

  1. 플로어판넬(1)의 접합부(1a)에 플로어사이드판넬(2)이 길이방향으로 용접접합되고, 상기 플로어사이드판넬(2)에 내측사이드판넬(4)과 외측사이드판넬(5)을 가용접시킨 조립체가 용접된 차체 측면 구조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판넬(1)에 용착되는 상기 플로어사이드판넬(2)의 용착면에 상기 접합부(1a)가 삽입 접촉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형상으로 절곡된 홈(7)이 형성되어, 이 홈(7)을 매개로 용접기준면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플로어사이드판넬.
KR2019940015841U 1994-06-30 1994-06-30 차량의 플로어사이드판넬 KR9700022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5841U KR970002215Y1 (ko) 1994-06-30 1994-06-30 차량의 플로어사이드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5841U KR970002215Y1 (ko) 1994-06-30 1994-06-30 차량의 플로어사이드판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522U KR960001522U (ko) 1996-01-19
KR970002215Y1 true KR970002215Y1 (ko) 1997-03-20

Family

ID=19387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5841U KR970002215Y1 (ko) 1994-06-30 1994-06-30 차량의 플로어사이드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21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522U (ko) 199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2263Y1 (ko) 자동차의 루우프
US5322208A (en) Method for welding vehicle frame
KR970002215Y1 (ko) 차량의 플로어사이드판넬
JP2509349Y2 (ja) 車体パネルの接合部構造
JPS5849666B2 (ja) 角型鋼管の接続構造
JPH038543Y2 (ko)
JP2503634Y2 (ja) レインホ―スとフロアパネルの接合構造
JPS6019018Y2 (ja) センタピラ−の上部結合構造
JPH0351274Y2 (ko)
JPH0415573Y2 (ko)
JPS6340373Y2 (ko)
JPH05256001A (ja) 溝形折板屋根材の継手構造
JPS6017410Y2 (ja) 自動車車体の補剛構造
US4651483A (en) Construction of door in motor vehicle
JPH033102Y2 (ko)
JP2522674Y2 (ja) ダッシュパネルとフェンダシールドパネルとの結合構造
JPH06239267A (ja) ピラー上部接合構造
JPH0323905Y2 (ko)
JPH0352442Y2 (ko)
JPS5854343Y2 (ja) スチ−ルボツクス
KR0136352Y1 (ko) 자동차의 사이드 루프 프레임 구조
JPH0350340Y2 (ko)
JPS6185283A (ja) 自動車のボデイ構造
JPH03262843A (ja) 柱と梁との接合構造
KR200168615Y1 (ko) 차량의 프론트 필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