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607Y1 - 합성수지로 일체 성형된 표면 파스너 - Google Patents

합성수지로 일체 성형된 표면 파스너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607Y1
KR950001607Y1 KR2019930010556U KR930010556U KR950001607Y1 KR 950001607 Y1 KR950001607 Y1 KR 950001607Y1 KR 2019930010556 U KR2019930010556 U KR 2019930010556U KR 930010556 U KR930010556 U KR 930010556U KR 950001607 Y1 KR950001607 Y1 KR 9500016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hook elements
elements
rows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05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6949U (ko
Inventor
류우이치 무라사키
Original Assignee
와이 케이 케이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 케이 케이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히로 filed Critical 와이 케이 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400069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9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6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6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46Fasteners made integrally of plastics
    • A44B18/0053Fasteners made integrally of plastics in which each part has similar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10T24/2792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having mounting surface and filaments constructed from common piece of material

Landscapes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합성수지로 일체 성형된 표면 파스너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일체 성형된 표면 파스너의 결합 원리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일체 성형된 표면 파스너의 배열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3도는 표면 파스너의 결합 엘레멘트들의 모든 열을 나타낸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일체 성형된 표면 파스너의 다른 배열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5도는 제2실시예의 표면 파스너의 결합 엘레멘트들의 모든 열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표면 파스너 2, 3 : 결합 부재
4 ; 후크 요소 5 : 공간
21, 31 : 기부판 ba : 배면
fr : 전방면 FP : 후크형 결합 부분
SP : 붕긋한 부분 A, B, C, D, a, b, c : 열
본 고안은 한쌍의 상하부 결합 부재들을 포함하는 합성 수지로 일체 성형된 표면 파스너에 관한 것으로 그 결합 부재들에는 다수 열의 후크 용소들이 각각의 결합 기부판들의 표면들 상에 합성수지로 일체 성형되어 있으며 제품의 생산 및 제어를 용이하게 하고 균일하게 분포된 결합 강도 및 내구성을 제공하도록 같은 구조들로 형성된다.
통상의 표면 파스너는 한쌍의 웅형 및 자형 테이프들을 포함하는 소위 벨벳 타입 파스너로 알려져 있는데, 웅형 테이프의 결합 엘레멘트는 편직물로 만들어진 파스너의 루프 부분을 절단함으로써 후크형 돌출부로 형성되거나, 또는 합성 수지로 일체 성형된 파스너에 후크형, 버섯형, 앵커형 앵커형 돌출부로 형성되며, 자형 테이프의 결합 엘레멘트는 주로 루프 편직물의 루프형태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른 결합 엘레멘트는 또는 자형 엘레멘트가 루프 편직물의 루프형태로 형성되어 강한 결합 능력을 제공하지만, 그 자형 엘레멘트는 강도가 약하고 너무 유연하다. 그러므로, 그 자형 엘레멘트는 위치 고정 기능 및 내구성의 요구 사항에 부합할 수 없으므로 산업 재료로서 이용될 수 없다.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 종래의 표면 파스너들이 예컨대 미국특허 제2699898호, 일본 실용신안 공개공보 77-71808호 및 90-127205호에 개시된다. 이 표면 파스너들은 각각 합성수지로 일체 성형된 한쌍의 상하부(또는 웅형 및 자형) 결합 부재들을 포함하여, 루크 편직물들의 자형 부재들을 이용함에 비해 더 우수한 위치고정 기능 및 더 강한 결합 엘레멘트들의 강도를 제공한다.
그러나, 전술한 표면 파스너들은 주로 버섯형의 웅형 및 자형 결합 엘레멘트들을 포함한다. 결합 엘레멘트가 버섯형일 때, 그 결합 엘레멘트의 구조로는 후크형 결합 엘레멘트 보다 약한 결합 강도를 제공하게 된다. 웅형 및 자형 엘레멘트들의 결합 및 분리작용이 반복될 때, 결합 강도가 단시간내에 떨어짐으로써, 파스너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같은 후크 형태를 가진 한쌍의 웅형 및 자형 결합 엘레멘트들을 포함하는 표면 파스너가 종래의 표면 파스너의 전술한 문제들을 해결하도록 본 고안자에 의해 제안되었다.(일본 실용신안 출원 92-27364호). 이 표면 파스너는 각각 다수열들의 후크 요소들이 제공된 제1 및 제2결합 부재들로 구성된다. 제1 및 제2결합 부재들의 후크 요소들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향하며 제1결합 부재상의 후크 요소들의 피치가 제2결합 부재의 후크요소들의 피치의 두배가 되도록 정해진다.
제1결합 부재의 후크 요소들을 제2결합 부재의 후크 요소들과 확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제1결합 부재의 후크요소들 사이로 횡방향으로 안내하여 결합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안내과정중에, 제1결합 부재의 후크 요소들은 서로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분리되어야 한다.
분리 방향으로 서로 탄성적으로 변형시키기 위해서는, 제1 및 제2결합 부재상의 후크들 사이의 피치를 증가시켜야 하지만, 후크 요소들의 밀집상태가 조악하게 되어 불가피하게 결합 강도가 약해지다.
전술한 표면 파스너는 전술한 문제점들을 연구하여 개발되었다. 후크 요소들이 서로 결합되어 강한 결합 강도 및 안정적인 형태를 제공하며 반복되는 결합으로 인해 후크 요소의 강도가 떨어짐을 방지하므로, 이 표면 파스너는 적절한 산업 재료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된 전술한 일체 성형된 표면 파스너는 전술한 우수한 특헝을 가진다. 그러나 그 구조를 더욱 연구해 보면, 불만족스러운 점이 발견된다.
즉, 그 표면 파스너는 다른 구조들로 된 제1 및 제2결합부재들로 구성됨으로써, 각 결합 부재들을 표면 파스너의 제조와 별도로 만들어야 한다. 게다가, 제품들 보관시의 제어를 위해 제1 및 제2결합 부재들을 완전하게 분리시켜야 하고 제품들의 주문을 받았을 때 결합된 제1 및 제2결합 부재들의 갯수 및 조합 상태를 확인 해야 한다.
또한, 제1결합 부재 및 제2결합 부재를 부착시키도록 그 결합 부재들을 구별해야 하므로, 부착 작업이 훨씬 복잡해진다.
본 고안의 목적은 결합 강도를 높이고 반복하여 사용가능 하도록 충분한 내구성을 제공하고, 제조 효율을 향상시키며, 보관 및 선적시에 제어 및 부착 작업들을 용이하게 하도록 같은 구조들을 갖는 후크 요소들과 함께 각각 일체 성형된 한쌍의 결합 부재들을 포함하는 새로운 표면 파스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성취하도록, 본 고안의 표면 파스너는 다수열들의 후크 요소들이 결합 기부 판들과 일체 성형된 한쌍의 상부(웅형)및 하부(자형)결합 부재들을 포함한다. 후크 요소는 결합 기부판의 표면에서 완만한 경사로 연장하는 배면(ba)과 결합기부판에서 수직하게 연장하는 전방면(fr)을 가진 붕긋한 부분(SP), 및 붕긋한 부분(SP)의 단부에서 전방에서 연장하는 후크형 결합 부분(FP)으로 구성되며 후크 요소의 단면적은 후크형 결합부분(FP)의 단부에서 붕긋한 부분(SP)의 바닥(d)으로 점차 증가된다. 각 결합 부재의 후크 요소들의 모든 열에는 두개의 후크 요소들 및 후크 요소가 없는 공간을 포함하는 다수의 유닛이 필요한 만큼 순서대로 배열되어 있다. 그 유닛은 모들 열에서 반복되어 각 결합 부재상에 소망하는 후크 요소 배열 상태를 제공한다. 또한, 인접한 후크 요소들은 소정 피치만큼 서로 이동되며, 바람직하게도, 각 결합 부재의 후크 요소들의 인접한 열들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향한다.
상하부 결합 기부판들상의 후크 요소들은 파도모양으로 형성되어 제1도 및 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대방향으로 배열된다. 파스너 결합시에는, 상부 결합 부재의 두개의 후크 요소들의 일 피치씩 이동됨에 따라 하부 결합 부재의 두개의 후크 요소들과 대향하게 된다. 일 후크 요소가 두개의 상대 후크요소들 상으로 압축되면 일 후크 요소의 후크형 결합 부분(FP)의 선단면이 두개의 상대 후크요소들 중 하나의 후크형 결합 부분(FP)의 선단면 및 횡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한 다른 상태 후크 요소의 배면(ba)과 접촉되어 그 상대 후크 요소들을 개방시키며, 두개의 후크 요소들로된 세크들 사이에 배열된 공간들로 인해 후크 요소들이 용이하게 탄성 변형될 수 있으므로 상기한 일 후크 요소가 상대 후크 요소가 상대 후크 요소들 사이로 매끄럽게 안내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한 상대 후크 요소들로 같은 방법으로 변형됨으로써, 양쪽 결합 부재들의 대향하는 후크 오소들이 더욱 확고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하부 결합 부재들의 모든 후크 요소들이 서로 매끄럽고 균일하게 결합되어 결합될 때 울퉁불퉁하거나 또는 우툴두툴하지 않고 소망하는 결합 강도를 제공한다.
결합된 표면 파스너를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상대 결합 부재들의 고정력보다 강한 분리력을 결합된 표면 파스너에 가하여, 결합된 후크형 결합 부분(FP)의 선단부들을 약간 측방으로 비틀고 그와 동시에 더욱 용이하게 분리시키도록 서로 분리 방향으로 개방시킨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표면 파스너의 결합 원리를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제1특징은 표면 파스너(1)의 상하부 결합 부재(2,3)들이 구조를 가진다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2특징은 특수 형태의 후크요소가 결합 엘레멘트로서 적용된다는 것이다. 그러한 형태의 후크 요소는 앞서 제안된 후크 형태뿐만 아니라, 편평한 기부판(21,31)들에서 완만한 경사로 연장하는 배면(ba)과 직립 전방면(fr)을 가진 붕긋한 부분(SP)의 양쪽 측면들상에 형성된 립(C)들을 포함한다. 각 후크 요소(4)는 후크형 결합 부분(FR)의 상단부에서 붕긋한 부분(SP)의 바닥(d)으로 점차 증가하는 단면적을 가진다. 이 실시예에서, 후크 요소(4)는 그의 바닥(d)에서 최대 면적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한 단면적은 후크형 결합 부분(FP)의 선단부에서 붕긋한 부분(SP)의 바닥(d)까지 갈아지게 될 수도 있고, 또는 전방면(fr)이 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므로, 본 고안은 여러가지 형태로 개조될 수 있다. 또한, 립(C)은 본 고안의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니다.
본 고안의 제3특징은 소정 피치를 가진 두개의 후크 요소(4,4)들 및 두개의 피치 길이를 차질하며 후크요소(4)가 배치되어 잇지 않은 공간(5)이 기부 판상의 열에 연속으로 배열되며, 따라서 이러한 유닛 배열 상태가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되풀이된다는 것이다.
첫째 특징은 상부(웅형)및 하부(자형) 결합 부재들을 일체 성형 표면 파스너의 제조시에 같은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진행 및 보관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표면 파스너의 부착을 용이하게 한다는 것이다.
둘째 특징은 성형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결합 및 분리 작용을 안정적으로 하며, 반복적인 사용을 위해 충분한 내구성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셋째 특징은 일 결합 부재의 후크 요소(4)가 대향하는 결합부재의 두개의 후크 요소들 사이로 삽입될때 대향하는 후크 요소(4)들의 위치들이 제1(a)도 및(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 방향으로 서로 조화를 이루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두개의 후크 요소(4,4)들을 각각 분리방향으로 용이하게 탄성 변형시킬 수 있도록 공간(5)을 배치함으로써 대향하는 상하 후크 요소(4)들을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세가지 특징들로 구성되지만, 이제 본 고안의 다른 양태를 설명한다.
각각의 결합 기부판(21,31)의 표면들상에 배열된 인접한 열들의 후크 요소들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향함으로써, 회방향으로 결합 강도를 갖는 방위를 취하지 않게 된다.
본 고안의 표면 파스너(1)는 합성수지 재료들로 일체 성형된다. 제1(a)도 및 1(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하부 결합 부재(2,3)들은 각각 같은 구조를 가진다. 다수 열들의 후크 요소(4)들은 결합 기부판(21,31)들의 표면들 상에 전술한 규칙적인 배열 상태로 선형적으로 배열되어 돌출된다.
제2도 및 3도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르면, 후크 요소(4)들은 모두 6개열의(A,a,B,b,C,c)들에 같은 패턴으로 반복적으로 배열된다. 후크 요소(4)들의 세개의 열(A,B,C)들은 같은 방향으로 배향하며, 후크 요소(4)들의 다른 세개의 열(a,b,c)들은 후크 요소(4)들의 열(A,B,C)들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배향된다.
물론, 모든 열의 후크 요소(4)들은 소정 후크 피치를 갖는 두개의 후크 요소(4)들 및 두개의 후크 피치들의 길이를 차지하는 공간(5)을 포함하는 전술한 유닛 배열 순서대로 반복적을 배열된다. 후크 요소(4)들의 인접한 열들의 모든 쌍(A,a), (B,b),(C,c)들은 각각 일 후크 피치의 1/2만큼 이동되며, 후크 요소(4)들의 열들의 인접한 쌍(c,A),(a,B),(bC)들은 같은 방향으로 일 후크 피치의 3/2만큼 이동된 위치들에 배열된다.
같은 구조를 가진 두 개의 결합 부재들중 하나가 같은 평면에서 180°로 회전되어 돌출된 후크 요소(4)들을 가진 표면들이 서로를 향해 압축될때, 두개의 결합 부재들의 후크 요소(4)들은 다음과 같이 서로 결합된다.
파도형 수직 횡단면들을 가진 후크 요소(4)들이 전술한 바와같이 상하부 결합 기부판(21,31)들상에 배열될때, 상하부 결합 부재(2,3)들의 후크 요소(4)들은 제1도 및 2도에도시된 바와같이 마주보는(face-to-face)관계로 결합된다. 결합중에, 상부 결합부재(2)의 한 세트로된 두개의 후크 요소(4)들이 하부 결합 부재(3)의 한세트로된 두개의 후크 요소(4,4)들에 대해 일 피치만큼 이동된다. 일 후크 요소(4)의 후크형 결합 부분(FP)의 선단면이 상대 후크 요소(4,4)들 중 하나의 후크형 결합 부분(FP)의 선단면 및 같은 열내에 인접하게 위치한 다른 상대 후크 요소(4)의 배면과 접촉되어, 그 일후크 요소가 상하부 결합 부재들 사이에 안정적인 결합을 제공한는 공간(5)으로 인해 인접한 상태 후크 요소(4,4)들 사이로 압축되어 매끄럽게 안내된다.
따라서, 상하부 결합 부재(2,3)들의 후크 요소들의 전체 후크 표면들이 균일하고 매끄럽게 결합되어 울퉁불퉁하지 않고 소망하는 결합 강도를 얻을 수 있다.
결합된 표면 파스너(1)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양쪽 결합 부재(2,30들 사이의 결합력보다 강한 힘이 그 양쪽결합 부재(2,3)들에 분리 방향으로 가해질 때, 결합된 후크형 결합 부분(FP)들의 선단부들이 약간 측방으로 비틀어지며 그와 동시에 분리 방향으로 개방되어 용이하게 분리된다.
제4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후크 요소들의 배열 패턴을 나타낸다. 제5도는 제2실시예의 후크 요소들의 모든 열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제2실시예에 따르면, 후크 요소(4)들의 배열상태는 모두 6개의 열(A,D,B,D,C,D,)들에서 같은 패턴들로 반복되며 D열들의후크 요소(4)들은 항상 같은 패턴으로 배치되어 후크가 같은 방향으로 배향된다. 다른 A,B,C 열들의 후크(4)들은 D열들 사이에 배열되어 D열들 사이에 배열되어 D열들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배향한다.
3개의 열(A,B,C)들의 두개의 후크 요소(4,4)들은 전체적으로 비스듬한 직물 형태로 배열된다. 물론, 이 실시예에서도, 각각 소정 피치들을 갖는 두개의 후크 요소(4,4)들 및 두개의 피치 길이를 차지하는 공간(5)이 전술한 바와 같이 순서대로 반복적으로 배치된다.
전술한 구조를 가니 두 결합 부재들이 상하부 표면 파스너(1)로서 이용될 때,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안정적인 결합 강도를 얻을 수 있고 또한 표면 파스너를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유익한 결과들이 얻어진다.
표면 파스너의 한쌍의 결합 부재들이 일체 성형된 같은 구조들을 가지므로, 강한 결합 강도 및 반복적인 사용을 위한 충분한 내구성을 얻을 수 있고, 높은 제조 효율을 제공하며, 보관 및 선적 작업시에 용이하게 제어 및 부착시킬 수 있다. 후크 요소들이 결합 부재들 상에 합리적으로 배열되므로, 표면 파스너가 서로 균일하게 결합되어 표면들에 걸쳐 균일한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후크 요소가 일반적으로 파도형 횡단면인 특수 형태를 가지며 제1 및 제2결합 부재들의 후크 요소들이 서로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배향하므로, 표면 파스너의 결합 및 분리 작동이 후크 요소들을 손상시키지 않고 매끄럽게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표면 파스너가 여러 분야들, 특히 강하고 균일한 결합을 필요로하는 산업 재료 분야에 폭넓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3)

  1. 각각 일체 성형되어 결합 기부 판(21,31)들 상에 상기 결합 기부판에서 완만한 경사로 연장하는 배면(ba)과 전방면(fr)을 가진 봉긋한 부분(SP), 및 상기 붕긋한 부분(SP)의 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하는 후크형 결합부분(FP)을 가진 다수의 열들의 후크 요소(4)들이 제공된 한쌍의 상부 및 하부 결합 부재(2,3)들을 포함하며, 두개의 후크 요소(4,4)들 및 상기 후크 요소 피치의 두배 만큼의 길이를 차지하며 후크 요소가 없는 공간(5)이 각 결합 부재(2,3)상의 모든 열에 순서대로 연속적으로 배열되며 인접한 열들의 후크 요소(4)들이 소정 피치들만큼 서로 이동됨을 특징으로하는 합성 수지로 일체 성형된 표면 파스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결합 부재(2,3)의 인접한 열들의 후크 요소(4)들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향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로 일체 성형된 표면 파스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요소(4)의 단면적이 상기 후크형 걸합 부분(FP)의 선단부에서 상기 붕긋한 부분(SP)의 바닥(d)으로 점차 증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로 일체 성형된 표면 파스너.
KR2019930010556U 1992-06-17 1993-06-16 합성수지로 일체 성형된 표면 파스너 KR95000160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U41556 1992-06-17
JP1992041556U JP2559017Y2 (ja) 1992-06-17 1992-06-17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949U KR940006949U (ko) 1994-04-12
KR950001607Y1 true KR950001607Y1 (ko) 1995-03-10

Family

ID=12611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0556U KR950001607Y1 (ko) 1992-06-17 1993-06-16 합성수지로 일체 성형된 표면 파스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457856A (ko)
EP (1) EP0574863B1 (ko)
JP (1) JP2559017Y2 (ko)
KR (1) KR950001607Y1 (ko)
CN (1) CN1054501C (ko)
CA (1) CA2097406C (ko)
DE (1) DE69313523T2 (ko)
ES (1) ES2106921T3 (ko)
HK (1) HK1001486A1 (ko)
SG (1) SG649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4644B2 (ja) * 1994-08-26 2003-12-08 Ykk株式会社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
JP2886458B2 (ja) * 1994-08-26 1999-04-26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
JP2886459B2 (ja) * 1994-09-20 1999-04-26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のフック片構造
JP3093938B2 (ja) * 1994-11-01 2000-10-03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のフック片構造
JP3308417B2 (ja) * 1995-02-28 2002-07-29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成形面ファスナーのフック片構造
JPH0994108A (ja) * 1995-10-02 1997-04-08 Ykk Corp 装飾面を有する成形面ファスナー、並びにそ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US6076238A (en) * 1999-04-13 2000-06-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chanical fastener
FR2857236B1 (fr) * 2003-07-11 2006-11-24 Oreal Dispositif pour isoler une meche de cheveux
FR2889037B1 (fr) * 2005-07-29 2007-09-14 Aplix Sa Auto-agrippant crochet-crochet issus de moulage
GB2447083B (en) * 2007-03-02 2011-11-16 Nigel Coole A fastener
ES2411062T3 (es) 2007-07-03 2013-07-04 Velcro Industries B.V. Matrices de elementos de sujeción
JP3135909U (ja) * 2007-07-20 2007-10-04 クラレファスニング株式会社 座席表皮材の固定用テープ状係止部材
US8375529B1 (en) 2008-07-29 2013-02-19 Leonard Arnold Duffy Touch engageable fastener
US8920902B2 (en) 2011-06-14 2014-12-30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Hook to hook releasable fastener
US9636601B2 (en) 2014-08-29 2017-05-02 Spin Master Ltd. Construction toy element and set
USD738964S1 (en) 2014-08-29 2015-09-15 Spin Master Ltd. Toy construction element
USD833542S1 (en) 2017-08-21 2018-11-13 Spin Master Ltd. Construction toy element
USD828457S1 (en) 2017-08-21 2018-09-11 Spin Master Ltd. Construction toy elemen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66113A (en) * 1963-10-07 1966-08-16 Minnesota Mining & Mfg Interreacting articles
FR2641584B1 (fr) * 1988-01-18 1991-05-10 Caoutchouc Manuf Plastique Perfectionnement a un dispositif de jonctionnement de panneaux ou de realisation de conduits
US4984339A (en) * 1988-10-20 1991-01-15 Velcro Industries B.V. Hook for hook and loop fasteners
JPH0355716U (ko) * 1989-10-03 1991-05-29
US5040275A (en) * 1990-06-01 1991-08-2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trip material used for forming fasteners
JP2545058Y2 (ja) * 1990-07-03 1997-08-25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フック片を一体成形した合成樹脂製面ファスナー用係着部材
JPH0431512U (ko) * 1990-07-03 1992-03-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949U (ko) 1994-04-12
DE69313523D1 (de) 1997-10-09
DE69313523T2 (de) 1998-04-02
CA2097406A1 (en) 1993-12-18
EP0574863B1 (en) 1997-09-03
HK1001486A1 (en) 1998-06-19
EP0574863A1 (en) 1993-12-22
CN1080145A (zh) 1994-01-05
CN1054501C (zh) 2000-07-19
JPH06121U (ja) 1994-01-11
ES2106921T3 (es) 1997-11-16
US5457856A (en) 1995-10-17
JP2559017Y2 (ja) 1998-01-14
SG64921A1 (en) 1999-05-25
CA2097406C (en) 1996-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1607Y1 (ko) 합성수지로 일체 성형된 표면 파스너
US4169303A (en) Fastening materials
KR920007048Y1 (ko) 표면형 파스너
EP0464753B1 (en) Hook structure for integrally molded surface fastener
US5361462A (en) Molded surface fastener
EP0164610B1 (en) Fluid-tight slide fastener
EP0709038B1 (en) Hook structure for molded surface fastener
US7340806B2 (en) Opener for slide fastener
DK423286A (da) Fastgoerelsesorgan af loekke- og krogluvtypen
JPH0819406A (ja)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の係着片構造
EP0121116B1 (en) Slide fastener stringer
US4541154A (en) Hooked fabric fastener tape
EP0688514B1 (en) Knit slide fastener
EP1048238A2 (en) Knitted-in slide fastener
US5555608A (en) Connector apparatus with nesting ridges
JPS6313691Y2 (ko)
EP0688513B1 (en) Knit slide fastener
US4429438A (en) Slide fastener stringer
EP3175734B1 (en) Injection molded mushroom type hook structure and hook strap including the same
EP0465960B1 (en) Structure of coupling head portion for coiled slide fastener element
CA1229028A (en) Woven slide fastener
EP0053348B1 (en) Hooked fabric fastener tape
JP5513607B2 (ja) ファスナー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