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240B1 -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에서 프로그램 모드시 패스트 백워드 서치 기능 개선방법 - Google Patents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에서 프로그램 모드시 패스트 백워드 서치 기능 개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240B1
KR950001240B1 KR1019880013230A KR880013230A KR950001240B1 KR 950001240 B1 KR950001240 B1 KR 950001240B1 KR 1019880013230 A KR1019880013230 A KR 1019880013230A KR 880013230 A KR880013230 A KR 880013230A KR 950001240 B1 KR950001240 B1 KR 950001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jump
song
program
retu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3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6966A (ko
Inventor
조희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80013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1240B1/ko
Publication of KR900006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Landscapes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에서 프로그램 모드시 패스트 백워드 서치 기능 개선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시스템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흐름도.
제3도는 제2도의 서치 방법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키 입력부 20 : 마이컴
30 : 데이타 처리부 40 : 서보 제어부
50 : 픽업 구동부 60 : 표시부
본 발명은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로그램 모드에서 패스트 백워드 서치(fast backward search)기능을 개선하여 원하는 곳을 용이하게 선곡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Compact Disc Player : 이하 CDP라 칭함)에서 프로그램 플레이(Program Play)란 디스크에 녹음한 곡중 원하는 곡들만 선곡하여 들을 수 있도록 프로그램한후, 디스크에 기록된 곡들중 프로그램한 곡들만 선택하여 들을 수 있는 모드를 말한다.
그러나 종래의 CDP에서는 사용자가 선곡하여 들을 수 있는 프로그램 플레이 모드에서, n번째로 프로그램한 곡을 듣다가 전회(n-1)에 프로그램한 곡의 위치(xx분 xx초)까지 찾아간후, 해당 곡의 시작 위치에서 재생하거나 녹음시키고자 할 경우 FB서치기능을 수행할 수 없었다.
즉 n번째 프로그램한 곡을 재생하다가, n-1번째 프로그램한 곡의 위치를 찾기 위해 FB키를 이용하여 FB기능을 수행시키면, n번째 곡의 시작 위치까지 FB기능을 수행하지만 n-1번째 곡의 마지막 위치를 찾을 방법이 없기 때문에 FB기능을 정지하고 n번째곡을 다시 재생하게 되었으며, 변칙으로 n-1번째 곡의 마지막 위치 대신 시작 위치를 찾는 정도의 기능 밖에 수행할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CDP의 프로그램 플레이 모드에서 FB기능을 곡과 곡사이에서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재의 곡전에 프로그램한 곡의 마지막 위치를 트랙점프를 이용하여 서치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종 명령어 및 모드 신호를 발생하는 키입력부(10)와, 상기 키입력부(10)의 출력에 따라 CDP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20)과, 상기 마이컴(20)의 제어하에 픽업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서보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서보제어부(40)와, 상기 서보제어부(40)의 출력에 의해 픽업을 구동하는 픽업구동부(50)와, 상기 마이컴(20)의 제어하에 픽업구동부(50)에 의해 읽혀지는 디스크상의 데이타를 처리하는 데이타 처리부(30)와, 상기 마이컴(20)의 제어하에 시스템의 각종 모드 및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60)로 구성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흐름도로서, 패스트 백워드 모드일시 프로그램 플레이 모드에서 현재 곡의 시작 위치인가 검사하며, 아닐시 4트랙을 백방향으로 점프한후 리턴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프로그램 플레이 모드에서 현재곡이 시작 위치일시 전회의 프로그램 곡번호를 인식했는가 검사하며, 아닐시 m트랙 점프한후 리턴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전회의 프로그램 곡을 번호를 인식했을시 해당곡의 마지막 통과 위치여부를 확인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 수행후 전회의 프로그램 곡의 마지막 위치를 통과했는가 검사하며 아닐시 현상태의 트랙점프를 실시한후 리턴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에서 전회 프로그램 곡의 마지막 위치 통과시 1회 통과인가 검사하며, 1회 통과일시 방향을 전환하여 제1트랙수로 감소 점프구동한후 리턴하는 제5과정과, 상기 제5과정에서 아닐시 2회 통과인가 검사하며, 2회 통과일시 방향을 전환하여 제2트랙수로 감소 점프 구동하는 제6과정과, 상기 제6과정에서 아닐시 3회 통과인가 검사하며, 3회 통과일시 제3트랙수로 감소 점프 구동한후 리턴하는 제7과정과, 상기 제7과정에서 아닐시 4회 통과인가 검사하며, 4회 통과일시 방향을 전환하여 제4트랙수로 감소 점프 구동한후 리턴하는 제8과정과, 상기 제8과정에서 아닐시 전회의 프로그램곡의 마지막 위치를 서치완료 했음을 기록하고 리턴하는 제9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제3도는 상기 제2도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는 포워드 점프(forward jump)를 표시하며, ←는 백워드 점프(backward jump)를 표시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을 제1, 2, 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마이컴(20)은 키입력부(10)를 스캔하여 FB키가 프로그램 플레이중에 눌려졌을시, 마이컴(20)은 프로그램 플레이중에 FB기능을 수행한다는 것을 인지시킨 다음 서보제어부(40)를 제어하여 FB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서보제어부(40)는 1회 구동시 점프할 수 있는 트랙 점프수가 있는데, 각사 마다 최대 점프 트랙수가 상이하며, 일반적으로 100, 200, 256회등의 최대 점프 트랙수를 갖는다.
여기서 서보제어부(40)의 최대 점프 트랙수를 m회라고 가정한다.
따라서 마이컴(20)은 최초 프로그램 플레이 모드에서 FB기능을 수행할시 서보제어부(40)를 구동하고, 서보제어부(40)는 서보제어신호를 발생하여 픽업구동부(50)를 구동하며 이로 인하여 픽업이 동작되어 디스크상에서 트랙을 점프한다.
이후 픽업구동부(50)에서 출력하는 디스크상의 데이타 즉 데이타 처리부(30)를 통해 수신하는 마이컴(20)은 해당 곡이 n-1번째에 프로그램한 곡의 번호인가를 확인한다. 일단 현재의 트랙 위치가 n-1번째의 곡으로 인식되면 마이컴(20)은 서보제어부(40)를 통해 점프방향을 전환하여 m/4트랙 점프를 실행시키고, 다시 데이타 처리부(30)를 통해 현재의 트랙위치가 n-1번째의 곡인가 검사하게 된다.
여기서 제1트랙수를 m/4, 제2트랙수를 m/8, 제3트랙수를 m/16, 제4트랙수를 1트랙이라고 가정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n-1번째 곡의 마지막 위치 통과 확인시마다 점프방향을 전환하며 트랙 점프수를 감소하여 n-1번째 곡의 마지막 위치에 접근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트랙 점프수 제어 및 방향을 전환하며, 현재곡의 전회에 프로그램한 곡의 마지막 위치를 찾아가는 본 발명의 흐름은 하기와 같이 진행된다.
먼저 (A1)단계에서 현재의 모드가 FB모드인가 검사한다.
상기 (A1)단계에서 FB모드가 아니면 (A2)단계에서 마이컴(20)은 키입력부(10)를 스캔하여 FB키가 입력했는가 검사하는데, 아닐시는 리턴하고, FB키 입력시에는 (A3)단계에서 내부 메모리를 이용하여 FB모드로 세팅시킨후 (A4)단계에서 FB모드를 수행하기 위해 데이타 처리부(30)에서 인가되는 데이타를 뮤팅시키며 리턴한다.
상기 (A1)단계에서 FB모드일시는 (A5)단계에서 마이컴(20)은 프로그램 플레이 상태인가 검사하며 아닐시 정상적인 FB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4트랙을 백(back)방향으로 점프한후 리턴한다. 상기에서 프로그램 플레이 모드일시 (A7)단계에서 마이컴(20)은 디스크의 데이타를 읽어 데이타 처리부(30)를 통해 처리되는 데이타가 n번째 프로그램한 곡의 위치까지 왔는가 검사하며 현재곡의 시작 위치가 아닐시에는 상기 (A6)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A7)단계에서 마이컴(20)이 데이타 처리부(30)에서 처리한 데이타를 분석하여 현재곡인 n번째 곡의 시작 위치임을 확인하면, 마이컴(20)은 (A8)단계에서 현재곡 이전에 프로그램한 n-1번째의 곡번호를 인식했는가 검사하며, n-1번째의 곡번호를 인식하지 못했을 경우에는 서보제어부(40)를 통해 1회 구동시 디스크의 트랙을 최대로 점프할 수 있는 m트랙 점프를 FB기능을 수행한후 리턴한다.
상기 (A8)단계에서 n-1번째 프로그램된 곡의 번호를 인식하면 (A10)단계에서는 n-1번째 프로그램된 곡의 마지막 위치 통과여부를 확인하는 연산을 수행한다.
상기 통과 여부를 연산하는 이유는 n-1번째 곡의 마지막 위치를 통과한 횟수에 따라서 방향을 전환하며 트랙 점프수를 감소하여 n-1번째 곡의 마지막 위치에 접근하기 위함이다.
상기 (A10)단계 수행후 (A11)단계에서 n-1번째 프로그램한 곡의 끝부분을 통과했는가 검사하는데, 통과하지 않은 상태일시에는 현재 실시하고 있는 트랙점프를 실시하고 리턴한다.
즉 n-1번째 프로그램한 곡의 위치를 찾기 위하여 점프방향을 전환하며 트랙 점프수를 감소하므로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m트랙점프한후 m/4트랙점프하는 경우에 1회의 m/4점프로는 n-1번째 프로그램한 곡의 마지막 위치를 통과할 수 없으므로 m/4트랙점프를 다시 수행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m/4트랙점프를 하며 n-1번째 프로그램한 곡의 마지막 위치를 통과한후 방향을 전환하여 m/8트랙씩 점프할 경우에도 동일한 현상이 발생한다.
이때 상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가 (A11)(A12)단계이다.
이때 (A11)단계에서 n-1번째 프로그램한 곡의 마지막 통과했을시는 (A13)단계에서 1회째 n-1번째 프로그램 곡의 마지막 위치를 통과한 것인가 검사하며, 1회 통과일시는 (A14)단계로에서 서보제어부(40)를 제어하여 픽업구동부(50)을 통해 트랙점프의 구동방향을 FB에서 FF(Fast Forward)방향으로 전환하고, m/4트랙을 점프한후 리턴한다.
상기 (A13)단계에서 1회 통과가 아닐시 (A16)단계에서 2회 통과인가 검사하며, 2회 통과일시 (A17)단계에서 서보제어부(40)를 통해 FF에서 FB방향으로 점프방향을 전환하도록 하고 (A18)단계로 진행하여 점프수를 감소하여 m/8트랙을 점프할 수 있도록 하여 리턴한다.
상기 (A16)단계에서 2회 통과가 아닐시 (A19)단계에서 3회 통과인가 검사하며, 3회 통과일시에는 (A20)단계에서 서보제어부(40)를 통해 FB방향에서 FF방향으로 점프방향을 전환하도록 하고, (A21)단계로 진행하여 점프수를 감소하여 m/16트랙을 점프할 수 있도록 한후 리턴한다.
상기 (A19)단계에서 3회 통과가 아닐시 (A22)단계에서 4회 통과인가 검사하며, 4회 통과일시에는 (A23)단계로 진행하여 서보제어부(40)에 의해 FB방향에서 FF방향으로 점프방향을 전환하고 (A24)단계로 진행하여 1트랙씩 점프할 수 있도록 한후 리턴한다.
상기 (A24)단계에서 1트랙 점프를 수행하는 이유는 n-1번째 프로그램한 곡의 마지막 위치를 4회 통과하게 되면 마지막 위치에 거의 근접해 있는 위치가 되므로 트랙점프수를 1트랙씩 구동하여 5회 통과째에는 해당 n-1번째 프로그램한 곡의 마지막 위치를 서치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A22)단계에서 4회 통과가 아닐시에는 5회 통과로서 마지막 위치를 서치한 상태이므로 (A25)단계에서 n-1번째 프로그램한 곡의 마지막 위치를 서치완료 했음을 기록하고 리턴한다.
상기와 같은 흐름으로 FB기능을 수행하면 제3도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여 n-1곡의 끝부분을 서치할 수 있다.
n-1번째 프로그램 곡의 끝부분을 찾아가는 방법을 종합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n-1번째 곡의 끝부분을 인식하는 연산방법은 n-1번째 프로그램된 곡의 번호에서 현재 픽업이 위치하고 있는 곡번호를 감산한후 그 나머지의 값에 따라 알 수 있다.
즉 백(back)방향으로 트랙점프를 할때는 이 나머지가 0(ZERO) 또는 그 이상이면, n-1번째 프로그램된 곡의 끝부분을 통과한 것이 되며, 포워드(forward)방향의 트랙점프시에는 그 나머지가 0(ZERO)보다 작으면 끝부분을 통과한 것이 된다.
따라서 이 연산방법을 이용하여 최초의 트랙점프는 가장 멀리까지 점프할 수 있는 m트랙점프를 픽업이 실행하도록 한다.
만약 1회의 끝부분 통과가 인지되면 픽업의 트랙점프방향을 반대방향으로 하고 m/4트랙점프를 실시한다.
위의 과정을 2회째 통과할시는 m/4트랙점프보다 훨씬 적은 m/8트랙점프를 하며 점프방향은 m/4트랙점프와 반대로 실시하며, 3회째 통과시 m/16트랙점프를 m/8트랙점프의 반대방향으로 실시한다.
이렇게 해서 m/16트랙점프로 4회째 통과를 하면, 최종적으로 가장 미세한 트랙점프인 1트랙점프로 5회째 n-1번째 곡 끝부분을 통과하도록 하며, 통과가 확인되면 n-1번째 프로그램된 곡의 끝부분을 찾았으므로 여기서 다시 FB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러므로서 프로그램 플레이에서 곡과 곡사이에 FB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원하는 곡의 원하는 위치까지 FB서치가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프로그램 플레이 모드에서 프로그램된 곡과 곡사이를 정상적으로 패스트 백워드 서치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용이하게 원하는 프로그램 곡 위치까지 찾아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회에 최대 m트랙점프를 구동할 수 있는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에서 프로그램 모드시 패스트 백워드 서치 방법에 있어서, 현재 곡의 시작 위치인가 검사하며, 아닐시 4트랙을 백방향으로 점프한후 리턴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프로그램 플레이 모드에서 현재곡이 시작 위치일시 전회의 프로그램 곡번호를 인식했는가 검사하며, 아닐시 m트랙점프한후 리턴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전회의 프로그램 곡을 번호를 인식했을시 해당 곡의 마지막 통과 위치여부를 확인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 수행후 전회의 프로그램 곡의 마지막 위치를 통과했는가 검사하며 아닐시 현상태의 트랙점프를 실시한후 리턴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에서 전회 프로그램 곡의 마지막 위치 통과시 1회 통과인가 검사하며, 1회 통과일시 방향을 전환하여 제1트랙수로 감소 점프구동한후 리턴하는 제5과정과, 상기 제5과정에서 아닐시 2회 통과인가 검사하며, 2회 통과일시 방향을 전환하여 제2트랙수로 감소점프 구동하는 제6과정과, 상기 제6과정에서 아닐시 3회 통과인가 검사하며, 3회 통과일시 제3트랙수로 감소 점프 구동한후 리턴하는 제7과정과, 상기 제7과정에서 아닐시 4회 통과인가 검사하며, 4회 통과일시 방향을 전환하여 제4트랙수로 감소 점프구동한후 리턴하는 제8과정과, 상기 제8과정에서 아닐시 전회의 프로그램 곡의 마지막 위치를 서치완료 했음을 기록하고 리턴하는 제9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모드시 패스트 백워드 서치 기능 개선방법.
KR1019880013230A 1988-10-11 1988-10-11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에서 프로그램 모드시 패스트 백워드 서치 기능 개선방법 KR950001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3230A KR950001240B1 (ko) 1988-10-11 1988-10-11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에서 프로그램 모드시 패스트 백워드 서치 기능 개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3230A KR950001240B1 (ko) 1988-10-11 1988-10-11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에서 프로그램 모드시 패스트 백워드 서치 기능 개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966A KR900006966A (ko) 1990-05-09
KR950001240B1 true KR950001240B1 (ko) 1995-02-15

Family

ID=19278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3230A KR950001240B1 (ko) 1988-10-11 1988-10-11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에서 프로그램 모드시 패스트 백워드 서치 기능 개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124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966A (ko) 1990-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1240B1 (ko)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에서 프로그램 모드시 패스트 백워드 서치 기능 개선방법
US5233588A (en) Disk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thereof
JP3071025B2 (ja) 高速再生回路
KR920002476B1 (ko) 데크의 인트로 스캔 및 자동 선곡 방식
KR960001490B1 (ko) 테이프의 초기 귀환 재생방법
KR910003462B1 (ko)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전원공급 제어방법
KR100217369B1 (ko) 컴펙트 디스크 플레이어 시스템의 알람 제어 방법
JP3104146U (ja) 記録再生装置
JPH0437512B2 (ko)
JP2620242B2 (ja) ランダムプレイ方式
JP2641435B2 (ja) テープ頭出し選択装置
JP2632080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KR960004662B1 (ko) 기록초기위치에서의 오토플레이 방법
KR19980051862A (ko) Vcr에서 viss 카운팅 방법
JP2682732B2 (ja) ディジタル磁気記録再生装置
KR950013939B1 (ko) 손상된 광디스크의 자동 프로그램 플레이 방법
JPH0335486A (ja) コンパクトデイスクプレーヤーのプログラムメモリー方法
KR920008232B1 (ko) Vtr의 화면 반복 재생 방법
KR940004222B1 (ko) 기록매체의 잔량시간을 이용한 초고속탐색방법
JP2519339Y2 (ja) カセットデッキ
JPS5948876A (ja) テ−プレコ−ダ
KR19990069623A (ko)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랜덤 및 반복 플레이 제어방법
JPH09190674A (ja) 光ディスクプレーヤ
JPH0676413A (ja) ビデオテープの曲間検出方法及び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KR19980068964A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검색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1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