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165B1 - 화합물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화합물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165B1
KR950001165B1 KR1019910019692A KR910019692A KR950001165B1 KR 950001165 B1 KR950001165 B1 KR 950001165B1 KR 1019910019692 A KR1019910019692 A KR 1019910019692A KR 910019692 A KR910019692 A KR 910019692A KR 950001165 B1 KR950001165 B1 KR 950001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onor
type
compound semiconductor
ion impla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9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1304A (ko
Inventor
김종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19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1165B1/ko
Publication of KR930011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1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80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 PN or other rectifying junction gate, i.e. potential-jump b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Junction Field-Effect Transisto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화합물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제1도는 종래의 HEMT의 수직단면도.
제2도는 이 발명에 따른 HEMT의 수직단면도.
제3a도∼제3c도는 제2도의 제조공정도이다.
이 발명은 이종접합계면에 2차원 전자개스층을 형성하여 고속동작하는 화합물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사회로 급속히 발전해감에 따라 초고속 컴퓨터, 초고주파 및 광통신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Si를 이용한 소자로는 이러한 필요성을 만족시키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물질특성이 우수한 화합물 반도체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상기 화합물 반도체 중 GaAs는 고전자이동도, 고전자속도 및 반절연성등의 우수한 전자물성을 갖고 있으므로 기존의 Si에 비해 고속동작, 고주파, 저잡음 및 저소비전력등의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GaAs의 우수한 물질특성을 이용하여 여러종류의 광소자 및 개별 소자들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 개별소자는 금속-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Metal Semicondutor Feild Effect Transistor), 이종접합 바이폴라트랜지스터(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 고전자이동도 트랜지스터(High Electron Mobibity Transistor ; 이하, HEMT라 칭함) 및 델타도프드 전계효과 트랜지스터(Delta Doped Field Effect Transistor)등이 있다. 상기에서 HEMT는 이종접합면에서 물질들의 전자친화력차에 의해 계면에 형성되는 양자우물(quantum well)에 2차원 전자개스(Two-Dimensional Electron Gas ; 이하, 2DEG라 칭함)가 축적되어 전계를 인가할 때 불순물산란의 영향을 받지않고 고속으로 동작을 한다.
제1도는 종래의 일반적인 HEMT를 나타낸 수직단면도이다.
상기 HEMT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반절연성 GaAs의 반도체기판(11)의 표면에 불순물이 도우프되지 않은 I형 AlGaAs나 I형 GaAs/I형 AlGaAs의 초격자(Superlattice) 구조를 가지는 버퍼층(buffer layer ; 13), GaAs의 활성층(15), I형 AlGaAs의 스페이서층(spacer layer ; 17) 및 N형 AlGaAs의 도우너층(donor layer ; 19)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상기 도우너층(19) 표면의 소정부분에 N+형 GaAs의 캡층(Cap layer ; 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캡층(21)의 표면에 소오스 및 드레인전극(25), (26)이 오믹접촉(ohmic contact)을 이루고, 상기 도오너층(19)의 표면에 게이트전극(27)이 쇼트키접촉(Schottky contact)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전극(25), (26)의 하부에 상기 활성층(15)의 소정부분과 겹치는 N+형의 이온주입영역(23)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구조의 HEMT의 제조방법을 간단히 설명한다.
상기 반도체기판(11)상에 버퍼층(13), 활성층(15), 스페이서층(17), 도우너층(19) 및 캡층(21)을 MBE(Molecular Beam Epitaxy) 또는 MOCVD(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oin) 방법에 의해 한번의 스텝(Step)으로 적층한다. 그다음, 상기 캡층(21) 표면의 소정부분에 통상의 이온주입(Ion implantation) 방법에 의해 Si등의 N형 불순물을 주입한 후, 이 불순물이 활성화되도록 열처리하여 N+형의 이온주입영역(23)을 형성한다. 계속해서, 상기 이온주입영역(23)의 상부에 통상의 리프트오프(lifat-off)방법에 의해 소오스 및 드레인전극(25), (26)을 형성한다. 그다음,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전극(25), (26)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캡층(21)을 상기 도우너층(19)의 소정두께 제거될 때까지 통상의 포토리소그래퍼(Photolithography) 방법에 의해 리세트 에칭(Recess etching)한 후 게이트전극(27)을 형성한다.
상술한 MENT에서 이온주입영역은 소오스 및 드레인전극들이 양호한 오믹접촉을 이루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활성층과 겹치도록 형성하기 위해 높은 이온주입에너지와 높은 온도의 열처리공정 필요하다.
그러나, 이온주입시 높은 에너지는 주입되는 층들의 결정과 충돌에너지가 크므로 결정결합이 발생되어 소자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높은 온도에서의 열처리를 하면 이종접합의 계면에서 상호확산되어 급준성(abruptness)이 나빠지므로 2DEG의 밀도가 낮아지게되어 소자의 동작속도 및 출력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 발명의 목적은 결정결합의 발생을 억제하여 신뢰성이 향상된 화합물 반도체소자를 제공함에 있다.
이 발명의 다른 목적은 DEG의 밀도를 크게하여 동작속도 및 츨력특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화합물 반도체소자를 제공함에 있다.
이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화합물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발명은 반절연성 화합물 반도체기판상에 적층되어 결정결함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도선형의 버퍼층과, 상기 버퍼층상에 적층되며 계면에 2차원 전자개스가 제한되어 주행되는 제1도전형의 활성층과, 상기 활성층상에 형성되어 전자친화력의 차이에 의해 전자의 이동도를 증가시키는 제1도전형의 스페이서층과, 상기 스페이서층상에 형성되어 전자를 발생하는 제2도전형의 도우너층과, 상기 도우너층의 상부에 형성된 게이트전극과, 상기 게이트전극의 양측의 도우너층이 제거되어 노출된 스페이스층상에 형성된 소오스 및 드레인전극과,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전극 하부에 상기 활성층과 겹치도록 형성된 제2도전형의 이온주입영역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달성하기 위하여 이 발명은 반절연성 화합물 반도체기판상에 제1도전형의 버퍼층, 제1도전형의 활성층, 제1도전형의 스페이서층 및 제2도전형의 도우너층을 한번의 스텝으로 적층하는 제1공정과, 상기 도우너층상에 보호막을 형성하는 제2공정과, 상기 소정부분의 보호막 및 도우너층을 제거하고 제2도전형의 이온주입영역을 형성하는 제3공정과, 소오스 및 드레인전극과 게이트전극을 형성하는 제1공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이 발명에 따른 HEMT의 수직단면도이다.
상기 HEMT의 구조를 설명한다.
반절연성 GaAs의 반도체기판(31)의 표면에 I형 AlGaAs나 I형 GaAs/I형 AlGaAs의 초격자구조를 가지는 버퍼층(33), I형 GaAs의 활성층(35), I형 AlGaAs의 스페이서층(37) 및 N형 AlGaAs의 도우너층(39)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우너층(39)의 표면에 게이트전극(4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게이트전극(47) 양측의 도우너층(39)이 리세스 에칭되어 상기 스페이서층(37)이 노출되어 있다. 상기 스페이서층(37)의 노출된 부분의 상부에 소오스 및 드레인전극(45),(46)이 오믹접촉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고, 이 소오스 및 드레인전극(45), (46)의 하부에 상기 활성층(35)의 소정부분과 겹치는 N+형의 이온주입영역(4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우너층(39)의 나머지 부분상에 Si3N4등으로 이루어진 보호막(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버퍼층(33)은 반도체기판(31)의 격자결함등이 상기 활성층(35)등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I형 AlGaAs으로 형성할 때에는 약 5000Å 정도이며, I형 GaAs/I형 AlGaAs의 초격자 구조를 형성할 때에는 각각의 두께가 30∼50Å 정도를 가지고 20∼30번 정도 반복 적층된다. 또한, 상기 활성층(35)은 약 5000Å 정도로, 스페이스층(37)은 50∼100Å 정도로, 상기 도우너층(39)은 Si등의 N형 불순물이 2E18이온/㎤ 정도가 도핑되어 500∼1000Å 정도로 각각 형성된다. 상기에서 게이트전극(47)에 전압을 인가할 때 상기 도우너층(39)에서 생성된 전자가 상기 스페이서층(37)과 활성층(35) 사이의 전자친화력의 차이에 의해 상기 스페이서층(37)을 통하면서 전자의 이동도가 증가되어 2DEG가 스페이서층(37)과 활성층(39)의 계면에 제한되어 주행된다., 또한, 상기 이혼주입영역(43)은 Si등의 N형 불순물이 5E18온/㎤ 정도 도핑된 것으로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전극(45), (46)이 양호한 오믹특성을 갖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스펭이서층(37) 및 활성층(35)에 얕게 형성되어 있다.
제3a도∼제3c도는 제2도의 제조공정도이다.
제3a도를 참조하면, 반절연성 반도체기판(31)상에 버퍼층(23), I형 GaAs이 약 5000Å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활성층(35), I형 AlGaAs가 50∼100Å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스페이서층(37), Si등의 N형 불순물이 2E18 이온/㎤ 정도 도핑된 AlGaAs의 도우너층(33)은 MBE 또는 MOCVD 방법에 의해 한번의 스탭으로 적층한다. 상기 버퍼층(33)은 I형 AlGaAs나, 또는 각각이 30∼50Å 정도 두께인 I형 GaAs와 I형 AlGaAs이 20∼30번 정도 반복적층된 조격사 구조로 형성된다. 그다음, 상기 도우너층(39)의 표면에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또는 스퍼터링(sputtering) 방법에 의해 SiO 또는 Si3N4등으로 이루어진 보호막(42)을 형성한다.
제3b도를 참조하면, 상기 보호막(42)의 상부에 포토레지스트층을 형성한 후, 노광 및 현상공정에 의해 상기 보호막(42)의 소정부분을 노출시킨다. 그다음, 상기 노출된 보호막(42)을 제거하고, 계속해서 상기 노출된 도우너층(39)을 리세스 에칭한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층(37)은 상기 도우너층(39)과의 에칭속도차에 의해 에칭종료점 즉, 식각 저지층으로 이용되고 스페이서층의 Al몰농도는 0.7∼0.8정도로 Al의 몰농도가 0.3임을 감안할 때 선택적 식각이 가능하다.
그 다음 상기 SiO2또는 Si3N4등의 식각용 보호막을 이온주입용 마스크로 그대로 사용하여 얕은 이온주입을 행한다. 이때의 공정은 자기 정렬 공정에 의해 진행되기 때문에 공정이 간단하고 작업이 용이하다.
여기서 얕은 이온 주입시에는 0.1∼0.2㎛ 정도의 얕은 깊이로 이온을 주입하여도 충분하므로 주입하는 이온의 에너지를 종래보다 훨씬 작게 할 수 있으며 열처리 시간 및 온도도 종래보다 낮게 할 수 있어서 소자의 계면 특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구조로 된다, 따라서 이온 주입시 사용된 포토레지스트 층을 제거한 후, RTA(Rapid Thermal Annealing)에 의해 주입된 이온을 활성화하면 이온주입영역(43)이 형성된다.
제3c도를 참조하면, 상기 이온주입영역(43)의 상부에 AuGe/Ni/Au등의 오믹금속으로 소오스 및 드레인전극(45), (46)을 형성한다. 계속해서, 상기 보호막(42)상에 게이트영역을 한정하는 포토레지스트층을 형성하여 보호막(42)을 노출시킨다. 그다음, 상기 노출된 보호막(42)을 제거하여 노출된 도우너층(39)의 상부에 통상의 리프트오프(lift-off) 방법에 의해 게이트전극(47)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전극(47)은 Pt/Pd/Au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우너층(39)과 쇼트키접촉을 이룬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오스 및 드레인전극을 오막접촉시키기 위한 캡층을 형성하지 않고 도우너층을 리세스 에칭하여 스페이스층을 노출시키므로 낮은 이온주입에너지 및 열처리에 의해 낮은 이온주입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은 낮은 이온주입에너지에 의해 결정결함을 최소화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잇점이 있다. 또한, 낮은 열처리온도에 의해 이종접합 계면에 2DEG의 밀도를 크게하여 동작속도를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반절연성 화합물 반도체기판상에 적층되어 결정결함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도전형의 버퍼층과, 상기 버퍼층상에 적층되며 계면에 2차원 전자개스가 제한되어 주행되는 제1도전형의 활성층과, 상기 활성층상에 형성되어 전자친화력의 차이에 의해 전자의 이동도를 증가시키는 제1도 전형의 스페이서층과, 상기 스페이서층상에 형성되어 전자를 발생하는 제2도전형의 도우너층과, 상기 도우너층의 상부에 형성된 게이트전극과, 상기 게이트전극의 양측의 도우너층이 제거되어 노출된 스페이서층상에 형성된 소오스 및 드레인전극과,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전극 하부에 상기 활성층과 겹치도록 형성된 제2도전형의 이온주입영역을 구비한 화합물 반도체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형은 I형이고, 제2도전형은 N형인 화합물 반도체소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전극이 스페이서층과 오믹접촉되어 있는 화합물 반도체소자.
  4. 반절연성 화합물 반도체기판상에 제1도전형의 버퍼층과, 제1도전형의 활성층, 제1도전형의 스페이서층 및 제2도전형의 도우너층을 한번의 스탭으로 적층하는 제1공정과 ; 상기 도우너층상에 보호막을 형성하는 제2공정과 ; 상기 보호막 및 도우너층의 소정부분을 제거하고, 상기 스페이서층을 식각 저지층으로 사용하여 선택적 식각후, 얕은 이온주입 공정에 의해 제2도전형의 이온주입영역을 형성하는 제3공정과 ; 상기 이온주입영역상에 소오스 및 드레인전극과 게이트전극을 형성하는 제4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화합물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우너층 제거시 스페이서층이 에칭종료점으로 이용되는 화합물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19910019692A 1991-11-06 1991-11-06 화합물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950001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9692A KR950001165B1 (ko) 1991-11-06 1991-11-06 화합물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9692A KR950001165B1 (ko) 1991-11-06 1991-11-06 화합물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1304A KR930011304A (ko) 1993-06-24
KR950001165B1 true KR950001165B1 (ko) 1995-02-11

Family

ID=19322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9692A KR950001165B1 (ko) 1991-11-06 1991-11-06 화합물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116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1304A (ko) 1993-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25432B1 (en) Refractory gate heterostructure field effect transistor and method
JP2006513572A (ja) エンハンスメントモード金属酸化膜半導体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形成方法
JP3294411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GB2285175A (en)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
JP4182376B2 (ja) 半導体装置
JP3377022B2 (ja) ヘテロ接合型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JP2689057B2 (ja) 静電誘導型半導体装置
US4764796A (en) Heterojunction field effect transistor with two-dimensional electron layer
US4771324A (en) Heterojunction field effect device having an implanted region within a device channel
JP3119248B2 (ja)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028968A (en) Radiation hard GaAs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
KR950001165B1 (ko) 화합물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5219772A (en) Method for making field effect devices with ultra-short gates
CN116487425A (zh) 高电子迁移率晶体管及其制作方法
US20010019123A1 (en) Compound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with improved ohmic contact layer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KR100261461B1 (ko) 비대칭 리쎄스 구조를 갖는 화합물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940010916B1 (ko) 화합물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910006698B1 (ko) 반도체 장치
KR950001167B1 (ko) 화합물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H0797638B2 (ja)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
JP3438124B2 (ja) 半導体装置
JP3653652B2 (ja) 半導体装置
GB2239557A (en)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s
JPH0523497B2 (ko)
KR960001185B1 (ko) 고전자이동도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25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