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528B1 - 정현파 링발생회로 - Google Patents

정현파 링발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528B1
KR950000528B1 KR1019920012208A KR920012208A KR950000528B1 KR 950000528 B1 KR950000528 B1 KR 950000528B1 KR 1019920012208 A KR1019920012208 A KR 1019920012208A KR 920012208 A KR920012208 A KR 920012208A KR 950000528 B1 KR950000528 B1 KR 950000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ush
output
phase
p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2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3253A (ko
Inventor
윤장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12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0528B1/ko
Publication of KR940003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5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Supply Of Signal Current (AREA)
  • Manipulation Of Pul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정현파 링발생회로
제 1 도는 종래의 링발생회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각부 동작파형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정현파 링발생회로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각부 동작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R1-R10 : 저항 OP1-OP3 : 연산증폭기
C1-C4 : 캐패시터 Q1-Q2 : 트랜지스터
T1 : 트랜스포머
본 발명은 전화기의 링신호를 발생하는 링발생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링발생회로에 관한 것이다.
제 1 도는 종래의 정현파 링발생회로도이고, 제 2 도는 제 1 도의 각부 동작파형도로서, 상기 제 1,2 도를 참조하여 종래의 링발생회로의 동작을 살펴보면, CPU(도시하지 않음)부터 제 2 도(2A)와 같은 구형펄스가 입력단자(A)를 통해 입력되어 저항(R1)을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로 인가되고, 제 2 도(2B)와 같은 구형펄스가 입력단자(B)를 통해 입력되어 저항(R2)을 통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로 인가된다.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Q1-Q2)는 푸쉬풀 증폭기로 교대로 턴온되어 상기 입력구형펄스를 증폭하여 라인(L1, L2)을 통해 출력하게 된다. 상기 라인(L1, L2)으로 출력된 신호는 배전압 트랜스포머(T1)에서 승압되어 캐패시터(C1)에 의해 파형정형되어 제 2 도(2C)와 같이 구형파에 가까운 링신호를 출력단자(OUT1, OUT2)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출력단자(OUT1, OUT2)로 출력된 링발생신호는 DC전압에 중첩되어 전화기로 공급되어 상기 전화기에 링을 울리게 된다.
상기 제 1 도에서 발생된 링신호는 폴링에지(Falling edge)나 라이징에지(Rising edge)에서 높은 EMI노이즈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화기로 링신호를 공급시 EMI노이즈가 감소된 정현파 링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정현파 링발생신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화기에서 구형파 링신호보다 EMI노이즈가 상대적으로 적은 정현파 링신호를 발생하는 정현파 링발생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링발생제어신호인 구형파신호를 적분하고, 상기 적분된 신호를 위상반전시켜 상기 적분신호와 위상반전된 적분신호를 푸쉬풀 증폭한후 상기 증폭된 적분신호를 정현파 링신호로 변환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정현파 링발생회로도서, 저항(R1-R4), 캐패시터(C1-C2), 연산증폭기(OP1)으로 구성되어 링발생제어신호인 구형파신호를 적분 출력하는 적분수단과, 저항(R5-R8), 연산증폭기(OP2-OP3)로 구성되어 상기 적분수단에서 적분된 신호를 파형보장하여 위상반전신호와 위상비반전신호를 출력하는 파형보정수단과, 저항(R9-R10), 트랜지스터(Q1-Q2)로 구성되어 상기 파형보정수단에서 출력된 위상반전신호와 위상비반전신호를 입력하여 푸쉬풀 증폭출력하는 푸쉬풀 증폭수단과, 배전압 트랜스포머(T1), 캐패시터(C4)로 구성되어 상기 푸쉬풀 증폭수단에서 출력된 푸쉬풀 증폭신호를 정현파 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정현파 변환수단으로 구성된다.
제 4 도는 제 3 도의 각부 동작파형도로서,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동작을 첨부한 제 3 도 및 제 4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CPU(도시되지 않음)로부터 링발생제어신호인 제 4 도(4A)와 같은 구형펄스가 입력단자(P1)을 통해 입력되면 저항(R1-R3)에 의해 분압되어 라인(a)으로 출력된다. 상기 라인(a)으로 출력된 신호는 캐패시터(C1-C2), 저항(R4), 연산증폭기(OP1)로 이루어진 적분수단에서 라인(b)를 통해 제 4 도(4B)와 같이 정현파 형태로 만들기 위해 적분출력하게 된다. 상기 라인(b)로 출력된 적분신호는 저항(R5)을 통해 연산증폭기(OP2)의 반전단자(-)로 인가된다. 이로인해 상기 연산증폭기(OP2)에서는 상기 적분신호를 위상반전시켜 제 4 도(4C)와 같이 파형정형된 위상반전 적분신호를 라인(C)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상기 라인(c)으로 출력된 적분신호는 저항(R7)을 통해 연산증폭기(OP3)의 반전단자(-)로 인가된다. 이로인해 상기 연상증폭기(OP3)에서는 상기적분신호를 다시 위상반전시켜 제 4 도(4D)와 같이 파형정형된 신호를 라인(d)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상기 연산증폭기(OP2)에서 출력된 위상반전 적분신호는 저항(R9)를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고, 상기 연산증폭기(OP3)에서 출력된 위상비반전 적분신호는 저항(R10)을 통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Q1-Q2)는 푸쉬풀 증폭기로 교대로 턴온되어 상기 입력적분신호를 증폭하여 라인(e, f)을 통해 출력하게 된다. 상기 라인(e, f)으로 출력된 적분신호는 배전압 트랜스포머(T1)에서 승압된후 캐패시터(C4)에 의해 정현파로 변환되어 제 4 도(4E)와 같이 정현파의 링신호를 출력단자(OUT1, OUT2)로 출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화기에서 링발생시 정현파 링신호를 공급하여 링을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EMI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전화기의 링발생회로에 있어서, 링발생제어신호를 적분 출력하는 적분수단과, 상기 적분수단에서 적분된 신호를 위상반전시켜 위상반전신호를 출력하는 위상반전수단과, 상기 위상반전수단에서 출력된 위상반전적분신호와 상기 적분수단에서 출력된 적분신호를 입력하여 푸쉬풀 증폭출력하는 푸쉬풀 증폭수단과, 상기 푸쉬풀 증폭수단에서 출력된 푸쉬풀 증폭신호를 정현파 신호로 변환출력하는 전현파 변화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분수단에서 링발생제어신호는 구형파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3. 전화기의 링발생회로에 있어서, 링발생제어신호인 구형파신호를 적분출력하는 적분수단과, 상기 적분수단에서 적분된 신호를 파형보정하여 위상반전신호와 위상비반전신호를 출력하는 파형보정수단과, 상기 파형보정수단에서 출력된 위상반전신호와 위상비반전신호를 입력하여 푸쉬풀 증폭출력하는 푸쉬풀 증폭수단과, 상기 푸쉬풀 증폭수단에서 출력된 푸쉬풀 증폭신호를 정현파 신호로 변환출력하는 정현파 변환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KR1019920012208A 1992-07-09 1992-07-09 정현파 링발생회로 KR950000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2208A KR950000528B1 (ko) 1992-07-09 1992-07-09 정현파 링발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2208A KR950000528B1 (ko) 1992-07-09 1992-07-09 정현파 링발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253A KR940003253A (ko) 1994-02-21
KR950000528B1 true KR950000528B1 (ko) 1995-01-24

Family

ID=19336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2208A KR950000528B1 (ko) 1992-07-09 1992-07-09 정현파 링발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05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4022B1 (ko) * 2000-12-01 2006-11-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서비스 브레이크기능이 추가된 건설중장비용 주차브레이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253A (ko) 199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5184B1 (ko) D-급 증폭기
US7068095B2 (en) Amplifier circuit
JP2005167512A (ja) D級増幅器
JP3820947B2 (ja) D級増幅器
KR950029835A (ko) 초 전기 및 유사한 검출기의 출력에서 dc 바이어스를 제거하기 위한 디지탈 신호 처리 시스템
KR950000528B1 (ko) 정현파 링발생회로
US6583658B1 (en) Balanced circuit arrangement
KR0179854B1 (ko) 랜덤펄스 발생회로
JPH0336099Y2 (ko)
GB2105542A (en) An amplfier circuit
KR920005007B1 (ko) 두배의 출력을 가지는 링어선형 집적회로도
JPH0132687B2 (ko)
JP3291741B2 (ja) ゲインコントロール装置
ES431344A1 (es) Un sistema para generar un tren de impulsos periodicos con cualquier ciclo de trabajo deseado a partir de una senal de entrada periodica.
KR100246341B1 (ko) 전압 제어 발진기
SU1469544A1 (ru) Усилитель мощности
JPS62130016A (ja) パルス幅変調制御回路
KR970004287A (ko) 능동 필터
KR0135461B1 (ko) 높은 입력 임피던스를 갖는 증폭회로
KR900005139Y1 (ko) 의사동기 발생회로
SU866666A1 (ru)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напр жени
JPH0545177A (ja) 正弦・余弦関数波形発生回路
JPH0239624A (ja) 雑音抑圧回路
KR200141226Y1 (ko) 포커스회로의 수평/수직포물선파 발생회로
JPS63296523A (ja) D/a変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2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