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495B1 - Node memory system for parallel processing system - Google Patents

Node memory system for parallel process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495B1
KR950000495B1 KR1019910024777A KR910024777A KR950000495B1 KR 950000495 B1 KR950000495 B1 KR 950000495B1 KR 1019910024777 A KR1019910024777 A KR 1019910024777A KR 910024777 A KR910024777 A KR 910024777A KR 950000495 B1 KR950000495 B1 KR 950000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data
node memory
output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47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30014573A (en
Inventor
최장식
김기현
이훈복
박치항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Priority to KR1019910024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0495B1/en
Publication of KR930014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45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495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16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memory bus
    • G06F13/1668Details of memory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8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in hierarchically structured memory systems, e.g. virtual memory systems
    • G06F12/0802Addressing of a memory level in which the access to the desired data or data block requires associative addressing means, e.g. caches
    • G06F12/0806Multiuser, multiprocessor or multiprocessing cache systems
    • G06F12/0815Cache consistency protoco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20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 G06F13/28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using burst mode transfer, e.g. direct memory access DMA, cycle ste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e.g. by using checking codes
    • G06F11/10Adding special bi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e.g. parity check, casting out 9's or 11's
    • G06F11/1008Adding special bi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e.g. parity check, casting out 9's or 11's in individual solid stat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 Processors (AREA)
  • Memory System Of A Hierarchy Structure (AREA)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 Dram (AREA)

Abstract

The interface of node memory and MBUS consists of a special controller chip and a multiple control module for data read/write operation in parallel processing system. The multiple control module comprises a type/size module for deciding the type/size of transaction, a 64 bit latch module for controlling the difference of data width at data input/output, a transmission module for controlling latch, a parity generation/check module for checking the effectiveness of input/output data a burst module for having 32 bit counter for burst transmission from 1byte to 128 byte, a module for generating self-address continuously without designating new address.

Description

병렬처리시스템을 위한 노드 메모리 시스템Node Memory System for Parallel Processing System

제 1 도는 노드 메모리로 인터페이스를 위한 본 발명의 도면.1 is a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interfacing to node memory.

제 2 도는 제어모듈을 위한 본 발명의 도면.2 is a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 control module.

제 3 도는 데이타의 입출력과 관련한 데이타 및 제어신호의 흐름도.3 is a flowchart of data and control signals related to input and output of data.

제 4 도는 노드 메모리 구조도.4 is a diagram of a node memory structure.

본 발명은 병렬처리시스템을 위한 노드 메모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병렬처리시스템은 프로세서, 메모리, 컨트롤러 등을 포함하는 노드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나의 프로세스를 여러개의 프로세서로 분할하여 실행하므로 전체적인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킨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de memory system for a parallel processing system. The parallel processing system is composed of a set of nodes including a processor, a memory, and a controller. The parallel processing system improves the performance of the overall system by dividing one process into several processors.

종래의 병렬처리시스템을 구성하는 하나의 노드구조를 대략 살펴보면, 일반 산술계산과 제어를 위한 범용 프로세서와, 특정 응용처리를 위한 예를 들면, 이미지 처리(image processing), 그래픽스(graphics), 신호처리(signal processing)을 위한 전용 프로세서들로 구분되는 노드프로세서, 그리고 프로세서가 처리하는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노드 메모리와, 이웃 노드들과의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을 담당하는 컨트롤러로 이루어져 있다.Looking at a node structure constituting a conventional parallel processing system, a general-purpose processor for general arithmetic calculation and control, and image processing, graphics, signal processing for specific application processing, for example It consists of a node processor divided into dedicated processors for signal processing, a node memory for storing data processed by the processor, and a controller for communicating with neighboring nodes.

병렬처리시스템에서의 노드 메모리는 버스를 통해 노드내의 프로세서들과 인접한 이웃 노드들에 의해 액세스된다.Node memory in a parallel processing system is accessed by neighboring nodes and processors in the node via a bus.

본 발명은 병렬처리시스템을 구성하는 노드의 내부 구조에서 노드프로세서에 작업영역을 제공하는 노드 메모리와 특정 버스(MBUS)와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 버스의 클럭에 등기화되면서 64비트 데이타폭을 최대한 이용하여 버스트 전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face between a node memory providing a work area for a node processor and a specific bus (MBUS) in an internal structure of a node constituting a parallel processing system. In this way, burst transmission can be performed efficiently.

노드 메모리 인터페이스는 제 1 도와 같이 크게 특정버스인 MBUS(가), 노드 메모리를 구성하는 DRAM을 제어하는 상용 콘트롤러칩, 예를 들어 DP8422A(나), 16MB크기의 노드 메모리(다) 및 제어모듈(라)로 구성된다.The node memory interface is, as shown in FIG. 1, a large bus MBUS, a commercially available controller chip that controls DRAM constituting the node memory, for example, DP8422A (b), a node memory (16 MB), and a control module ( D).

노드 메모리를 사용하려고 하는 마스터(master)에 의해 특정버스(MBUS)에 전송된 정보 중 제어신호는 일단 제어모듈(라)에서 디코딩되어 인터페이스의 각 부문에 공급된다.Of th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specific bus (MBUS) by the master (master) who wants to use the node memory, the control signal is first decoded by the control module (d) and supplied to each section of the interface.

제어모듈은 제 2 도와 같이, Ecas모듈(가), 버스트(Burst)모듈(다), 래치(Latch)모듈(라), 전송(Transfer)모듈(마), 유형(Type)모듈(나), 크기(Size)모듈(바), 패러티(Parity) 생성/체크모듈(사), 데이타래치(Datalatch)모듈(마)로 구성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제어모듈을 구성하는 상기 각 모듈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 2, the control module includes the Ecas module (A), the burst module (C), the latch module (D), the transfer module (E), the type module (B), It consists of a size module (bar), a parity generation / checking module, and a datalatch module (e). Then, each of the modules constituting the control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Ecas모듈(제 2 도의 (a))은 4개의 뱅크(bank)로 구성된 노드 메모리에서 사용할 뱅크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모듈로써, 버스의 64비트 중에 2비트만을 가지고 디코딩(decoding)하여 뱅크선택 신호를 만들어 낸다.The Ecas module ((a) of FIG. 2) is a module for generating a signal for selecting a bank to be used in a node memory composed of four banks. Generates the bank select signal.

그리고 여기서 생성된 신호들은 상기 버스트모듈(다)에서 32비트 이상의 버스트(burst)동작(operation)을 지원하고, 데이타 입출력을 위한 어드레스 지정을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In addition, the generated signals support burst operations of 32 bits or more in the burst module (C), and may be used for addressing for data input and output.

이 모듈은 상태머신으로 구현되어 입력조건의 변화에 따라 동작한다. 상기 유형모듈(나)은 트랜잭션의 유형을 결정하는 부분이다. 트랜잭션의 크기에 의해 세팅된 카운터의 값이 "0"이 될때까지 계속적으로 버스트동작을 수행하며, 값이 "0"이 되면 새로운 트랜잭션을 시작한다.This module is implemented as a state machine and operates according to the change of input condition. The type module (b) is a part for determining the type of transaction. The burst operation continues until the value of the counter set by the transaction size becomes "0". When the value reaches "0", a new transaction is started.

이 모듈은 쓰기, 읽기의 트랜잭션만을 구별하기 위해 2비트만을 사용한다. 그러나 버스트모듈(다)은 1바이트에서 최대 128바이트까지의 데이타 전송을 새로운 어드레스 지정없이 연속적으로 데이타를 입, 출력하게 한다.This module uses only two bits to distinguish between write and read transactions. However, the burst module (C) allows data transfer from 1 byte up to 128 bytes to be continuously input and output without new addressing.

32비트 카운터(counter)를 가지고 있으며 새로운 열(column)어드레스를 부여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32비트 카운터는 상기 크기(Size) 모듈(바)에서 디코딩된 결과에 의해 세팅된다.It has a 32-bit counter and generates a signal to give it a new column address. The 32-bit counter is then set by the result decoded by the size module (bar).

동작은 최대 32비트를 기준으로 데이타 송수신시 노드 메모리 컨트롤러에서 오는 응답신호를 버스가 한번 전송할 수 있는 64비트 폭에 맞추어 두 클럭에 한번씩 최종 응답신호를 보낸다.The operation sends the final response signal once every two clocks according to the 64-bit width that the bus can transmit once the response signal from the node memory controller wh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ased on the maximum 32 bits.

래치모듈(라)은 노드 메모리와 특정버스(MBUS)사이에서 입출력시 64비트의 데이타의 흐름을 제어한다.The latch module D controls the flow of 64-bit data during input / output between the node memory and the specific bus (MBUS).

래치모듈(라)은 64비트 데이타 입출력을 위해 8개의 8비트 래치를 사용하고 있다.The latch module D uses eight 8-bit latches for 64-bit data input and output.

그리고, 트랜잭션의 크기에 따라 래치가 각각 동작하기도 한다. 그러나 노드 메모리는 한번에 32비트씩 밖에 입출력할 수 없으므로 이를 위해 첫번 상위 4개의 래치가 동작한 후, 응답신호를 수신한 후 다음 하위 4개의 래치를 동작시켜 데이타를 전송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출력되는 경우는 두번에 걸쳐 래치되고 한번에 출력된다. 이와 같이 트랜잭션의 유형에 따라 래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들을 생성하여 전송모듈(마)에 입력한다.An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transaction, the latch may operate. However, since the node memory can input and output only 32 bits at a time, the first four latches are operated first, and after receiving the response signal, the next four latches are operated to transmit data. In contrast, the output is latched twice and output at one time. As such, signal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atch are generated and input to the transmission module (e) according to the type of transaction.

전송모듈(마)은 상기 래치모듈(라)의 출력제어신호의 크기모듈(바)에서 트랜잭션의 크기를 나타내는 출력신호를 가지고 직접 래치를 제어한다.The transmission module (e) directly controls the latch with an output signal representing the size of a transaction in the magnitude module (bar) of the output control signal of the latch module (d).

크기모듈(바)은 트랜잭션의 크기를 결정하는 모듈로서, 실제 트랜잭션의 크기를 디코딩하여 버스트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크기모듈 1과, 트랜잭션의 크기에 따라 데이타의 입출력시 래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크기모듈 2로 구성된다. 이 모듈에 의해 디코딩된 트랜잭션의 크기는 1바이트에서 최대 128바이트까지이다.The size module (bar) is a module that determines the size of a transaction. The size module 1 generates an input signal for controlling the burst transmission by decoding the size of the actual transaction. The size module (bar) controls latches when data is input and outpu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ransaction. It consists of a size module 2 for generating a signal for. The size of a transaction decoded by this module is from 1 byte up to 128 bytes.

이때, 32비트 이상의 트랜잭션 크기는 버스트(burst)모드전송으로 간주되며 버스트모듈(다)을 동작시킨다.At this time, a transaction size of 32 bits or more is regarded as burst mode transmission and operates the burst module (C).

이 모듈의 출력신호는 상기 전송모듈(마)에 래치를 제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입력되며, 32비트 이상일 경우 버스트모듈(다)에 버스트전송의 시작을 알리기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한다.The output signal of this module is input to the transmission module (e)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the latch, and when it is 32 bits or more, it generates an input signal for notifying the start of burst transmission to the burst module (C).

패러티생성/체크모듈(사)은 데이타의 입출력시 데이타의 유효여부를 체크한다.The parity generation / check module checks whether the data is valid at the time of input / output of the data.

체크한 결과, 데이타가 틀릴 경우 데이타의 입출력은 취소되며, 마스터에 에러발생신호가 전달된다.If the data is wrong, the I / O of the data is canceled and an error occurrence signal is sent to the master.

또한, 버스의 기능제어블럭에서 처리되어 새로운 트랜잭션을 시작하게 한다. 그리고 노드 메모리에 있어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인 리프레쉬(refresh)는 이미 언급된 DRAM을 제어하는 특정 상용 컨트롤러 칩(아)인 DP8422A칩을 이용하여 처리한다.It is also processed in the function control block of the bus to start a new transaction. Refresh, one of the important elements of node memory, is handled using the DP8422A chip, a specific commercial controller chip that controls the DRAM already mentioned.

이때의 리프레쉬 형태는 DP8422A가 지원하는 것으로, 자동 내부 리프레쉬(automatic internal refresh), 외부제어버스트(externally controlled/burst)리프레쉬 및 리프레쉬 요청/인식(refresh request/acknowledge)들이 있다.The refresh type supported by the DP8422A includes automatic internal refresh, externally controlled / burst refresh, and refresh request / acknowledge.

이 부분은 DP8422A DRAM 컨트롤러 칩의 고유영역이므로 본 내용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노드 메모리의 구성은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6M바이트의 크기로 4M바이트 크기의 4개의 메모리칩(제 4 도의 (a))과 데이타의 패러티를 위한 4개의 DRAM으로 구성된다. 한번의 주소지정으로 최대 32비트가 한클럭에 입출력될 수 있다. 지금까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각 요소들에 대해 살펴보았다.This part is an inherent area of the DP8422A DRAM controller chip and will be omitted here. As shown in Fig. 4, the node memory is composed of four memory chips (Fig. 4 (a)) of 4M bytes and four DRAMs for parity of data. Up to 32 bits can be input / output in one clock with one addressing. So far we have looked at the elements that make up an interface.

다음으로는 실제 데이타의 입출력에 따른 동작과정을 제 3 도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Next, an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input and output of actual data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3.

마스터는 버스상에 데이타의 입출력을 위해 먼저 노드 메모리내의 주소와 트랜잭션의 유형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한다.The master first sends information on the bus to indicate the type of transaction and the address in node memory.

이 전송된 어드레스와 기타 제어정보들은 제어모듈과 노드 메모리 컨트롤러를 동작시켜 노드 메모리를 입출력 가능한 상태로 만든다. 주소를 전송한 후 마스터는 연속적으로 보내고자 하는 만큼의 데이타를 전송한다. 먼저 데이타가 입력되는 과정은, 주소가 발생됨을 나타내는 신호와 함께 노드 메모리의 주소가 버스상에 실린다.The transmitted addresses and other control information operate the control module and the node memory controller to make the node memory input and output. After sending the address, the master sends as much data as it wants to send continuously. In the process of inputting data, the address of the node memory is loaded on the bus together with a signal indicating that an address is generated.

이 주소정보들은 디코딩되어 해당 노드 메모리내의 주소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RAS, CAS)(제 4 도 참조)와, 트랜잭션의 유형을 나타내는 신호(WE)를 생성한다.The address information is decoded to generate a signal (RAS, CAS) (see FIG. 4) for selecting an address in the corresponding node memory, and a signal WE indicating the type of transaction.

먼저, RAS신호가 액티브되면서 행어드레스가 출력되고 다음 CAS신호가 액티브되면서 열 어드레스가 출력되어 데이타가 입력될 노드 메모리내의 주소가 결정된다.First, as the RAS signal is activated, a row address is output, and as the next CAS signal is activated, a column address is output to determine an address in the node memory to which data is input.

그 이후 일정한 노드 메모리 데이타 세업(setup)타임 후 데이타가 래치를 통해 노드 메모리에 입력되고 패러티가 발생되어 패러티의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다.After a certain node memory data setup time, data is then latched into the node memory and parity is generated and stored in the parity's corresponding memory.

이때 32비트 이상의 버스트 입력일 경우, 이에 해당하는 RAS, CAS신호가 동시에 액티브되어 32비트씩 연속적으로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In this case, when the burst input is 32 bits or more, the corresponding RAS and CAS signals are simultaneously activated to continuously input by 32 bits.

그리고 노드 메모리에 한번의 32비트 입력이 이루어진 후 새로운 열어 드레스를 얻기 위해 노드 메모리 컨트롤러의 해당신호가 액티브되며, 이 생태가 지속되는 동안 계속적으로 새로운 열어 드레스를 만들어 내어 버스트 전송을 허락한다.After a single 32-bit input to the node memory, the corresponding signal from the node memory controller is activated to obtain a new open dress, allowing the burst transmission by continuously creating a new open dress for the duration of this ecology.

다음으로 데이타가 출력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Next, let's look at the process of outputting data.

노드 메모리내의 데이타를 64비트 출력할 경우 한 클럭에 노드 메모리가 내보낼 수 있는 데이타의 크기가 32비트이므로 두 클럭에 한번씩 버스상으로 데이타를 내보내게 된다.When 64-bit data is output in the node memory, the size of data that the node memory can export in one clock is 32 bits, so the data is exported on the bus once every two clocks.

입력의 과정에서 처럼 어드레스정보의 디코딩되는 과정은 같으며 단지 쓰기신호(WE)가 high상태가 되어 데이타의 출력됨을 나타낸다. 버스트 출력도 버스트의 입력과정과 같고 단지 래치를 제어하는 부분에서 약간의 차이를 나타낸다.As in the input process, the decoding process of the address information is the same and only indicates that the write signal WE goes high to output data. Burst outputs are the same as burst inputs, with slight differences in the latch control.

데이타의 출력시 데이타의 패러티 체크가 수행되면서 에러가 발생할 경우 데이타의 출력은 중지되고 버스에 에러발생 신호를 내보낸다.If an error occurs while parity check is performed on data output, data output is stopped and an error signal is sent to the bus.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병렬처리시스템이 특정버스(MBUS)와 노드 메모리와의 인터페이스로서, 노드 메모리내의 DRAM을 제어하는 특정 상용 컨트롤러인 DP8422A칩을 사용하면서, 실제 데이타의 읽기 및 쓰기동작을 제어하는 다수의 제어모듈을 구비하여, 하나의 프로세스를 여러개의 프로세스로 분할하여 실행하므로 전체적인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버스클럭에 동기화되면서 64비트 데이타폭을 최대한 이용하여 데이타전송의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a parallel processing system uses a DP8422A chip, which is a specific commercial controller that controls DRAM in node memory, as an interface between a specific bus (MBUS) and node memory, and controls a read and write operation of actual data. With a control module of, one process can be divided into several processe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overall system. In addition, while synchronizing to the bus clock, the data transfer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by making the most of the 64-bit data width.

Claims (1)

다수의 전용 및 범용프로세서들과, 이 프로세서들이 처리하는 데이타를 저장하는 노드 메모리와 특정버스(MBUS)들로 구성된 병렬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노드 메모리와 특정버스간의 인터페이스(interface)가 상기 노드 메모리내의 다수의 DRAM을 제어하기 위한 특정 상용 컨트롤러 칩(상품명 ; DP8422A), 및 실제 데이타의 읽기 및 쓰기동작을 수행하는 다수의 제어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제어모듈은 트랜잭션의 유형과 크기를 결정하는 유형(type) 및 크기(size)모듈 ; 데이타의 입출력시 데이타폭의 차이를 제어하기 위한 64비트 래치모듈과 래치의 제어를 위한 전송모듈 ; 데이타 입출력시 데이타의 유효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패러티(parity)생성/체크모듈 ; 1바이트에서 128바이트까지 버스트전송을 위한 32비트 카운터를 포함한 버스트(burst)모듈 ; 및 새로운 주소 지정없이 자체 주소를 연속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한 모듈로 구성되어 특정버스(MBUS)클럭에 동기되면서 데이타의 입력 및 출력을 수행하는 노드 메모리 시스템.In a parallel processing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dedicated and general purpose processors, a node memory for storing data processed by the processors and a specific bus (MBUS), an interface between the node memory and the specific bus is the node memory. It consists of a specific commercial controller chip (trade name: DP8422A)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DRAMs in the memory, and a plurality of control modules for reading and writing actual data, and the plurality of control modules determine the type and size of a transaction. Type and size modules; A 64-bit latch module for controlling the difference in data width during data input and output and a transmission module for controlling the latch; A parity generation / checking module for checking whether data is valid when inputting / outputting data; Burst module with 32-bit counter for burst transfer from 1 byte to 128 bytes; And a module configured to continuously generate its own address without designating a new address and performing data input and output while synchronizing to a specific bus (MBUS) clock.
KR1019910024777A 1991-12-28 1991-12-28 Node memory system for parallel processing system KR9500004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4777A KR950000495B1 (en) 1991-12-28 1991-12-28 Node memory system for parallel process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4777A KR950000495B1 (en) 1991-12-28 1991-12-28 Node memory system for parallel process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4573A KR930014573A (en) 1993-07-23
KR950000495B1 true KR950000495B1 (en) 1995-01-24

Family

ID=19326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4777A KR950000495B1 (en) 1991-12-28 1991-12-28 Node memory system for parallel process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0495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4573A (en) 1993-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28135A (en) Multiport cache memory control unit including a tag memory having plural address ports and a snoop address part
KR100391730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 which use of cache can be selected, a method of acessing a semiconductor memory deivce, and a data processing system
EP0384620B1 (en) High performance memory system
JP3634393B2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configuration of a computer memory
US5611042A (en) Data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for a shared SRAM
JPS6242396A (en) Dynamic memory refresh and parity checking circuit
KR950000495B1 (en) Node memory system for parallel processing system
EP025168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information between a plurality of processing units
JPS6086642A (en) Setting system of memory control information
JP2510604B2 (en) Storage device
US5586129A (en) Parity bit memory simulator
JPH10133945A (en) Data processor
JP2929631B2 (en) Communication device between processors
JP2943926B2 (en) Error recovery control device
KR940002595Y1 (en) Dual port memory unit controller on cpu-board
JP3318125B2 (en) DRAM control circuit
JPH05101650A (en) Refreshing method for dynamic memory
JPS63205751A (en) Bus controller
JPH02188856A (en) Memory access circuit
JP2533923B2 (en) Storage controller
JPS6339191A (en)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JPH0323587A (en) Parity generating and checking system for dram
JPH02187989A (en) Dual port memory
JPH05120211A (en) Data bus width controller
JPH01165091A (en) Memor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