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065B1 - 보일러용 케이싱의 후면판겸 양측판 및 그의 플랜지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보일러용 케이싱의 후면판겸 양측판 및 그의 플랜지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065B1
KR950000065B1 KR1019920018873A KR920018873A KR950000065B1 KR 950000065 B1 KR950000065 B1 KR 950000065B1 KR 1019920018873 A KR1019920018873 A KR 1019920018873A KR 920018873 A KR920018873 A KR 920018873A KR 950000065 B1 KR950000065 B1 KR 950000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vertical
flange
sides
side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8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민
Original Assignee
최진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민 filed Critical 최진민
Priority to KR1019920018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00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065B1/ko

Links

Landscapes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보일러용 케이싱의 후면판겸 양측판 및 그의 플랜지 성형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플랜지 성형장치의 정면도.
제 2 도는 동실시예의 플랜지 성형장치의 요부 종단면도.
제 3 도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동성형장치의 요부 종단면도로써,
(a)는 상부금형이 하강하기 전의 상태,
(b)는 상부금형이 하강하기 후의 상태,
(c)는 수평실린더가 전진한 상태,
(d)는 수평실린더가 후진하고 보조실린더가 일부 상승한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제 4 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후면판겸 양측판이 채용된 보일러용 케이싱의 요부 분해사시도.
제 5 도는 동실시예의 후면판겸 양측판의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랜지 성형장치 10 : 프레임
20 : 하부금형 21 : 하부금형 본체
22 : 받침판 23 : 압축스프링
30 : 상부금형 31a : 출입공
31b : 관통장공 35 : 플랜지성형구
35a : 제 1 수직성형부 35b : 수평성형부
35c : 제 2 수직성형부 35d : 경사면
36 : 고정뭉치 37 : 이동뭉치
38 : 체결나사 39 : 압축스프링
40 : 수직실린더 50 : 보조실린더
51 : 보조실린더 헤드 51d : 경사면
60 : 수평실린더 61 : 헤드
61a : 압착부 70 : 후면판겸 양측판
70a : 후면부 70b : 양측면부
70c : 굴곡부 71 : 상단플랜지
72 : 하단플랜지 73 : 선단플랜지
73a : 제 1 수직부 73b : 수평부
73c : 제 2 수직부
본 발명은 버너, 열교환기, 팽창탱크등을 포함한 보일러의 내장부품을 수용하는 보일러의 케이싱에 있어서 바닥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후면판겸 양측판 및 그의 각 플랜지를 효과적으로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랜지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관계하는 보일러용 케이싱은 전면판과 후면판, 그리고 양측판과 상부판, 바닥판을 구비하는 장방형의 형태를 갖는 것으로, 이러한 형태의 케이싱을 사용하여 보일러를 제작할때는 대개 케이싱의 바닥판에 버너, 열교환기등을 포함한 보일러의 각종 내장부품을 설치한 후 양측판과 후면판을 설치하고 개구된 케이싱의 상단부와 전방부에 상부판과 전면판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의 보일러용 케이싱에 있어서 상부판과 바닥판이 조립되는 후면판 및 양측판의 상하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되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전면판이 조립되는 양측판의 선단부에도 내측으로 절곡되는 플랜지가 형성되는데, 이들 각 플랜지는 판상부재를 소정의 프레스 장치를 통해 가압하는 방법으로 성형된다. 상기에서 상부판과 하부판이 결합되는 후면판 및 양측판의 상하단에 형성되는 플랜지는 판상부재의 전후단의 일부를 일측으로 한번만 수직으로 절곡하는 것으로 쉽게 성형할 수 있게 되지만 보일러의 조립이 완료된 후에도 내장부품에 대한 수리등을 이유로 수시로 착탈하게 되는 전면판을 지지하는 양측판의 선단부의 플랜지는 판상부재의 일단부를 수직으로 절곡한 후 다시 수평으로 절곡하고 또 다시 수직으로 절곡하는 복잡한 과정을 통해서 성형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보일러용 케이싱을 성형함에 있어서 상부판, 바닥판, 전면판, 후면판, 양측판의 각 부품을 독립적으로 제작한 후 그들 각 부품을 상호 조립하였기 때문에 부품의 제작과 조립에 대한 비용이 많이 들게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양측판의 선단에 두개의 수직부를 갖는 플랜지를 형성함에 있어서 우선 한 프레스기를 통하여 판상부재의 사방 일부를 수직으로 절곡하여 상부판과 바닥판에 조립되는 상, 하단플랜지와 전면판이 조립되는 선단플랜지의 제 1 수직부를 형성한 다음, 다른 프레스기를 통하여 선단플랜지의 제 1 수직부의 선단부에 수평부를 형성하고, 또 다른 프레스기를 통하여 수평부의 선단부에 제 2 수직부를 형성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다수의 프레스기가 사용되고 그들을 취급하는 다수의 인원이 필요로 하게 되는 관계로 양측판의 제작이 상당히 번거롭게 됨은 물론 제작경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처럼 케이싱의 각 부품에 대한 제작비용 및 조립비용이 많이 들게 되어 보일러의 제작원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은 보일러의 케이싱의 후면판과 양측판을 더욱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일러의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하는 보일러용 케이싱의 후면판겸 양측판 및 그의 플랜지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후면부의 양측 전방에 양측면부를 절곡하여 케이싱의 후면판과 양측판을 일체로 형성하는 한편 후면판겸 양측판의 플랜지 성형장치는 상부금형에 보조실린더를 통해 좌우로 왕복이송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랜지성형구를 마련하는 것등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그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 도면에 도시한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의 후면판겸 양측판(70)은 제 4 도 및 제 5 도와 같이 판상부재의 중앙에 마련되는 후면부(70a)로부터 그 양측에 마련되는 양측면부(70b)를 각각 전방으로 절곡하여서 되는 것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후면부(70a)및 양측면부(70b)의 상하단에는 각각 내측으로 절곡되는 상, 하단플랜지(71)(72)를 형성하고, 양측면부(70b)의 선단에는 제 1 수직부(73a)와 수평부(73b), 그리고 제 2 수직부(73c)로 이루어지는 선단플랜지(73)를 형성한 형태를 갖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후면판겸 양측판(70)은 그의 사방모서리, 즉 후면부(70a)로부터 양측면부(70b)가 절곡되는 부위와 양측면부(70b)의 선단으로부터 선단플랜지(73)의 제 1 수직부(73a)가 절곡되는 부위에 사분원형의 굴곡부(70c)를 형성하여서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후면판겸 양측판(70)의 각 플랜지를 성형하는 플랜지 성형장치(1)는 제 1 도와 같이 프레임(10)의 중앙에 하부금형(20)이 설치되고, 그 상부에 상부금형(30)이 수직실린더(40)를 통해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상기에서 상부금형(30)은 제 2 도및 제 3 도와 같이 상판(31)과 하판(32), 그리고 그들 사이를 일정간격으로 이격시키는 막대상의 삽입체(33), 후면판겸 양측면(70)의 선단플랜지(73)을 형성하는 한 쌍의 플랜지성형구(35)및 그들이 하단을 받치는 판상의 받침체(34)로 이루어진다. 상부금형(30)의 상판(31)은 그의 중앙 양측에 후술할 보조실린더(50)의 헤드(51)가 출입될 수 있도록 하는 출입공(31a)이 각각 형성되고, 각 출입공(31a)의 외측에 플랜지성형구(35)를 탄성지지하는 이동뭉치(37)와 플랜지형성구(35)를 결속하는 체결나사(38)가 상판(31)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관통장공(31b)이 형성되는 형태를 갖는다. 상부금형(30)의 삽입체(33)는 상판(31)의 하단 중앙 양측에 부착되며, 받침체(34)는 하판(32)의 상단 양측에 각각 부착된다. 상부금형(30)의 각 플랜지성형구(35)는 그의 외측단부에 제 2 수직부성형부(35c)가 형성되고 제 2 수직성형부(35c)의 하단에 수평성형부(35b)와 제 1 수직성형부(35a)가 마련되며, 그의 내측상단 모서리부에 경사면(35d)이 형성된 형태를 갖는 것으로, 아울러 제 1 수직성형부(35a)의 외측 하단 모서리부는 둥글게 형성된 형태를 갖는 것이다. 이 플랜지성형구(35)는 상판(31)의 하단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바, 그의 하단 일측으로부터 결합되어 상판(31)의 관통장공(31b)을 통과한 후 상판(31)에 재치되는 이동뭉치(37)의 하단에 결합되는 체결나사(38)을 통해 상판(31)에 지지된다. 그리고 각 이동뭉치(37)와 상판(31)의 상단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이동뭉치(37)와 대향하게 되는 고정뭉치(36)의 사이에는 압축스프링(39)가 설치되어 각 이동뭉치(37) 및 그에 결합된 각 플랜지성형구(35)는 상판(31)의 중앙으로 당겨지는 탄성력을 받게 된다. 받침제(34)가 부착된 상부금형(30)의 하판(32)는 각 삽입체(33)의 하단에 부착되며, 하판(32)이 조립된 상태에서 각 받침체(34)는 상판(31)에 설치된 각 플랜지성형구(35)의 하단을 받치게 된다. 한편, 상부금형(30)의 상단 중앙과 프레임(10)의 사이에는 상부금형(30)을 승강시키는 수직실린더(40)가 설치되며, 상부금형 상판(31)의 각 출입공(31a) 상부에는 상부금형(30)의 상판(31)과 하판(32)의 사이에 설치된 각 플랜지성형구(35)를 출몰시키는 보조실린더(50)가 설치된다. 보조실린더(50)는 플랜지성형구(35)의 경사면(35d)과 대응되는 경사면(51d)이 하단에 형성된 헤드(51)가 피스톤로드(52)의 선단에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제 2 도 및 제 3 도와 같이 하부금형(20)은 하강한 상부금형(30)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요입부(21a)가 본체(21)에 마련된 형태를 갖는 것으로, 아울러 본체(21)의 요입부(21a) 상단에 압축스프링(23)으로 탄성지지되는 수개의 받침판(22)가 설치되는 형태를 갖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플랜지 성형장치(1)에 있어서는 제 5 도와 같은 후면판겸 양측판(70)의 선단플랜지(73)를 구성하는 제 2 수직부(73c)와 수평부(73b)를 성형할 수 있게 하는 수평실린더(60)가 제 1 도 및 제 3 도와 같이 하부금형(20)의 상단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이 수평실린더(60)는 선단에 사각막대상의 압축부(61a)가 마련된 헤드(61)가 피스톤로드(62)의 선단에 부착된 형태를 갖는다. 도면부호중 미설명부호 42는 수직실린더(40)의 피스톤로드, 80은 전면판, 81은 전면판 고정대, 90은 상부판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있어서 우선 후면판겸 양측판(70)은 제 4 도와 같이 그의 선단플랜지(73)에 부착되는 고정대(81)를 통해 전면판(80)이 수시로 착탈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단플랜지(71)를 통해 상부판(90)이 견고하게 고정 설치됨은 물론 하단플랜지(72)를 통해 바닥판(미도시)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인 바,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후면판겸 양측판(70)에 의하면 종래의 세개의 부품을 하나로 구성함으로써 케이싱의 제작에 따른 재료 및 작업공정수를 크게 줄일 수 있게 됨은 물론 제작비용을 크게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후면판겸 양측판(70)에 있어서는 각 모서리부에 사분원형의 굴곡부(70c)가 형성되어 있음으로 해서 케이싱의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보일러를 포장하거나 운반할때에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 케이싱의 취급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후면판겸 양측판(70)의 각 플랜지를 효과적으로 성형하기 위한 본명의 플랜지 성형장치(1)는 수직실린더(40)를 통해 상부금형(30)을 하강시켜 후면판겸 양측판(70)의 상, 하단 플랜지(71)(72) 및 선단플랜지(73)의 제 1 수직부(73a)를 형성한 후 수평실린더(60)를 통해 선단플랜지(73)의 수평부(73b)와 제 2 수직부(73c)를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하 그 구체적인 동작을 특히 제 3 도를 참조하면서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 3 도 (a)와 같이 평평한 판상으로 된 성형되기전의 후면판겸 양측판(70)은 상부금형(30)이 상승된 상태에서 하부금형(20)의 받침판(22)에 올려진다. 이와 같이 상부금형(30)이 상승된 상태에서는 수직실린더(40), 보조실린더(50)및 수평실린더(60)의 피스톤로드(42)(52)(62)가 모두 압축된 상태에 있게 되며, 상부금형(30)의 각 플랜지성형구(35)는 그에 결합된 각 이동뭉치(37)에 작용하는 압축스프링(39)의 탄성력을 통해 상부금형(30)의 내측으로 최대한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평평한 판상의 후면판겸 양측판(70)이 하부금형(20)에 설치되는 등 성형준비가 완료된 상태에서 작동스위치(미도시)를 넣게 되면 우선 수직실린더(40)와 보조실린더(50)가 작동하게 되면서 상부금형(30)이 하강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부금형(30)이 하강할때에 각 보조실린더(50)의 피스톤로드(52)가 어느 정도 인장하게 되면 각 보조실린더(50)의 헤드(51)에 마련된 경사면(51d)를 통해 각 플랜지성형구(35)가 외측으로 돌출되며, 이렇듯 각 플랜지성형구(35)가 돌출된 상태로 상부금형(30)은 하부금형(20)에 재치된 후면판겸 양측판(70)을 압압하게 된다. 제 3 도 (b)의 상태와 같이 상부금형(30)이 완전히 하강한 상태에서는 후면판겸 양측판(70)의 전, 후단부에 상부금형(30)의 하판(32)을 통해 판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는 상, 하단플랜지(71)(72)가 형성되고, 후면판겸 양측판(70)의 양측단부에 플랜지성형구(35)의 제 1 수직성형부(35a)를 통해 역시 판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는 선단플랜지(73)의 제 1 수직부(73a)와 굴곡부(70c)가 형성된다.
한편 상부금형(30)이 완전히 하강한 다음에는 하부금형(20)의 상단 양측에 위치한 각 수평실린더(60)의 피스톤로드(62)가 상부금형(30)쪽으로 인장되며, 각 수평실린더(60)의 헤드(61)의 선단에 마련된 압착부(61a)가 후면판겸 양측판(70)의 양측에 형성된 제 1 수직부(73a)의 상부를 밀어 제 3 도 (c)와 같이 수평부(73b)와 제 2 수직부(73c)를 형성하게 된다. 제 3 도 (c)와 같이 후면판겸 양측판(70)의 각 플랜지(71)(72)(73)의 성형이 완료된 후에는 우선 각 수평실린더(60)의 피스톤로드(62)및 헤드(61)가 압축되어 제자리로 복귀하게되고, 수직실린더(40) 및 각 보조실린더(50)의 피스톤로드(42)(52)가 압축되어 상부금형(30)이 다시 원위치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부금형(30)이 상승할 때는 각 보조실린더(50)가 수직실린더(40)보다 다소 일찍 작동됨으로써 상부금형(30)이 들어올려지기전에 상판(31)의 출입공(31a)에 투입되어 있는 각 보조실린더(60)의 헤드(51)가 출입공(31a)의 상부로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즉, 상판(31)의 출입공(31a)에 투입되어 각 플랜지성형구(35)를 외측으로 밀고 있던 각 보조실린더(60)의 헤드(61)가 상승하게 되면 압축스프링(39)의 탄력성을 통해 각 이동뭉치(37) 및 그에 결합된 각 플랜지성형구(35)는 제 3 도 (d)와 같이 각각 상부금형(30)의 내측으로 잡아당겨지게 되며, 그에 따라 수직실린더(40)을 통해 상부금형(30)이 들어올려질때에 각 플랜지성형구(35)의 최외측단에 위치하는 제 1 수직성형부(35a)가 선단플랜지(73)의 제 2 수직부(73c)의 내측으로 빠져 나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부금형(30)이 상승될 때에는 후면판겸 양측판(70)을 받치고 있던 하부금형(20)의 받침판(22)이 그의 하단에 설치된 압축스프링(23)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므로 상부금형(30)이 완전히 상승된 후에는 하부금형(20)의 상단에 놓여지게 되는 후면판겸 양측판(70)을 간편하게 꺼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후면판겸 양측판(70)의 상, 하단플랜지(71)(72)와 선단플랜지(73)를 성형함에 있어서 평평한 상태의 후면판겸 양측판(70)을 하부금형(20)의 상단에 재치하고 작동스위치를 넣는 작업 및 가공된 후면판겸 양측판(70)을 하부금형(20)으로부터 꺼내는 작업을 제외한 각 실린더(40)(50)(60)의 동작등은 실린더위치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별도의 전기회로부(미도시)에서 제어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플랜지 성형장치(1)를 통해 각 플랜지(71)(72)(73)의 성형이 완료된 후면판겸 양측판(70)은 다른 프레스기를 통해 제 5 도와 같이 그의 후면부(70a)의 양측이 수직으로 절곡되어 양측면부(70b)를 형성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후면판겸 양측판의 플랜지 성형장치(1)는 후면판겸 양측판(70)의 상, 하단플랜지(71)(72)는 물론 종래에 다수대의 프레스기계 및 많은 작업인원을 통해서 성형했던 선단플랜지(73)를 간편하게 성형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플랜지 성형장치에 의하면 후면판겸 양측판(70)의 성형에 따른 기계와 작업인원을 대폭적으로 감축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보다 신속하고 정밀하게 후면판겸 양측판(70)을 가공할 수 있게 되므로 후면판겸 양측판(70)에 대한 생산효율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후면판겸 양측판(70)의 제작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게 되고 보일러의 원가절감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상부금형(30)과 하부금형(20)을 구비하며 수직실린더(40)를 통해 상부금형(30)이 승강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부금형(30)의 상단 양측에 보조실린더(50)를 각각 설치하고, 하부금형(20)의 상단 양측에 수평실린더(60)를 각각 설치하는 한편, 상부금형(30)의 내부 양측에 각 보조실린더(50)의 동작에 의해 출몰하는 플랜지성형구(35)를 각각 설치하여 후면판겸 양측판(70)의 양측에 제 1 수직부(73a)를 형성할 수 있게 하고, 각 수평실린더(60)의 선단에 압착부(61a)를 갖는 헤드(61)를 마련하여 상기 제 1 수직부(73a)의 일부를 절곡하여 수평부(73b)와 제 2 수직부(73c)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케이싱의 후면판겸 양측판의 플랜지 성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각 플랜지성형구(35)는 그의 외측단부에 제 2 수직성형부(35c)가 형성되고, 제 2 수직성형부(35c)의 하단에 수평성형부(35b)가 형성되며, 수평성형부(35b)의 외측단 하부에 제 1 수직성형부(35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케이싱의 후면판겸 양측판의 플랜지 성형장치.
  3. 상, 하단플랜지(71)(72)를 갖는 후면부(70a)의 양측 전방에 상,하단플랜지(71)(72) 및 선단플랜지(73)를 갖는 양측면부(70b)를 일체로 형성하되, 양측면부(70b)의 선단플랜지(73)는 제 1 수직부(73a)와 수평부(73b), 제 2 수직부(73c)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케이싱의 후면판겸 양측판.
KR1019920018873A 1992-07-16 1992-10-14 보일러용 케이싱의 후면판겸 양측판 및 그의 플랜지 성형장치 KR950000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8873A KR950000065B1 (ko) 1992-07-16 1992-10-14 보일러용 케이싱의 후면판겸 양측판 및 그의 플랜지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20013175 1992-07-16
KR1019920018873A KR950000065B1 (ko) 1992-07-16 1992-10-14 보일러용 케이싱의 후면판겸 양측판 및 그의 플랜지 성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20013175 Division 1992-07-16 1992-07-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065B1 true KR950000065B1 (ko) 1995-01-09

Family

ID=26629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8873A KR950000065B1 (ko) 1992-07-16 1992-10-14 보일러용 케이싱의 후면판겸 양측판 및 그의 플랜지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00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70544A (zh) * 2017-10-20 2018-01-12 李震东 煤柴多用炉的专用挤压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70544A (zh) * 2017-10-20 2018-01-12 李震东 煤柴多用炉的专用挤压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1191667U (zh) 一种用于支架裁切和折弯的装置
CN208321861U (zh) 一种五金端子冲压模具
KR950000065B1 (ko) 보일러용 케이싱의 후면판겸 양측판 및 그의 플랜지 성형장치
JP2861768B2 (ja) プレスの型交換装置
CN211191665U (zh) 一种用于支架翻边和折弯的装置
CN214447730U (zh) 一种汽车面板按键成型模具
CN109013830A (zh) 密集架工件高效加工模具
CN211247976U (zh) 一种板材折弯成型模具
CN211437936U (zh) 一种模具钢锻造成型装置
CN209937822U (zh) 一种便于更换模具的液压成型机
CN209502726U (zh) 一种方便落料的折弯模具
JPH0985346A (ja) プレス成形用金型装置
JP4528079B2 (ja) プレス金型装置
CN206912061U (zh) 一种用于连杆毛坯精压整形的通用模具
CN112829357A (zh) 一种液压成型机
JPH10166058A (ja) ガードレール修正装置
CN217862496U (zh) 一种用于快速配模模架结构
CN211804911U (zh) Cnc机台量产互换治具
CN210586734U (zh) 一种金属板件压弯模具
CN219520097U (zh) 一种一次成型无压痕折弯机模具
CN213559500U (zh) 一种钣金冲压模具
JPH0415375Y2 (ko)
CN220161077U (zh) 一种折弯机多模具快速切换系统
CN109351862A (zh) 一种可成形多弯曲圆角半径的u/l型弯曲模及弯曲方法
CN214768925U (zh) 一种mim注射成形工艺用磁芯整形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9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