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701600A - 입력 전류 왜곡을 감소시키는 스위치 방식의 전원 - Google Patents

입력 전류 왜곡을 감소시키는 스위치 방식의 전원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701600A
KR940701600A KR1019930703816A KR930703816A KR940701600A KR 940701600 A KR940701600 A KR 940701600A KR 1019930703816 A KR1019930703816 A KR 1019930703816A KR 930703816 A KR930703816 A KR 930703816A KR 940701600 A KR940701600 A KR 940701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voltage
current pulses
current
main
gene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3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6724B1 (ko
Inventor
매쥐 머제이드
Original Assignee
죠셉 제이. 락스
알씨에이 톰슨 라이센싱 코오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919112727A external-priority patent/GB9112727D0/en
Priority claimed from GB929201701A external-priority patent/GB9201701D0/en
Application filed by 죠셉 제이. 락스, 알씨에이 톰슨 라이센싱 코오포레이숀 filed Critical 죠셉 제이. 락스
Publication of KR940701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701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6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67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H02M1/425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using a single converter stage both for correction of AC input power factor and generation of a regulated and galvanically isolated DC output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2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from ac input or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전파 정류된 AC 주 공급 전압(V1)은 저역 통과 필터링되지 않으면서 AC 주 공급 전압(VM)으로부터 생성된다. 정류된 전압은 플라이백 변압기(T)의 권선(W1)에 발생된다. 플라이백 변압기의 권선은 주 공급 전압의 주파수(50Hz) 보다 높은 주파수(20KHz-50KHz)에서 다수의 제1전류 펄스(ip)를 권선에 발생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Q1)에 또한 결합된다. 전류 펄스는 부하 회로를 구동한다. 커패시터 전압(V4)은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Q2)를 경유하여 권선에 결합되어 다수의 제2전원 펄스(ip2)를 권선에 생성하는데, 이 전류 펄스는 주 공급 전압의 피크 부근에서 발생하지 않는 주 공급 전압의 주기의 한 부분 동안에 부하 회로를 구동한다. 다수의 제2전류 펄스가 발생하면 주 공급 전압은 일차 권선으로부터 결합헤체된다.

Description

입력 전류 왜곡을 감소시키는 스위치 방식의 전원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특징에 따라 전류 인터리빙 기법을 이용한 SMPS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특징에 따라 전류 중첩 기법을 이용한 SMPS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22)

  1. AC주 공급 전압(VM)의 전압원(107)과; 인덕턴스(W1)와; 상기 주 전압원에 결합되고 스위칭 신호(V16)에 응답하여 상기 주 공급 전압의 피크로 부터 떨어진 소정 주기의 제1부분(T2, 제2도)의 기간 동안에 상기 주 공급 전압이 감소하면 그에 따라 다수의 제1전류 펄스의 진폭과 상기 주 전압원에서 공급되는 주 공급 전류(iM)의 레벨이 동시에 감소하게 되도록 상기 주 공급 전압의 주파수(50Hz)보다 실질적으로 높은 주파수(20-50KHz)에서 상기 인덕턴스에 상기 다수의 제1전류 펄스(ip1, is1)를 발생하는 제1스위칭 수단(Q1)과; 상기 제1스위칭 수단과 동기화 되고 상기 인덕턴스에 결합되어, 상기 주 공급 전압의 주파수보다 실질적으로 높은 주파수에서 적어도 상기 주 공급 전압의 상기 소정 주기의 상기 제1부분의 가간 동안 다수의 제2전류 펄스(ip2, is2)를 상기 인덕턴스에 발생하는 제2스위칭 수단(Q2)과; 부하 회로와; 상기 다수의 제1 및 제2전류에 응답하여 상기 부하 회로에 출력 공급 전압(V2)과 출력 공급 전류(iL)를 발생하는 수단(W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방식의 전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전류 펄스(iL1)와 제2전류 펄스(iL2)를 정류하여 상기 출력 공급 전압(V2)과 상기 출력 공급 전류(iL)를 발생함으로써 상기 다수의 제2전류 펄스가 상기 주 공급 전압의 주파수(50Hz)에 관계되는 주파수(100Hz)에서 리플 성분을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다수의 제1전류 펄스의 상기 진폭의 감소를 보상하도록 하는 정류기(D2)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방식의 전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2전류 펄스(ip2)는 상기 인덕턴스(W1)에 발생되고, 상기 출력 공급 전압(V2)는 상기 다수의 제1전류 펄스(ip1)와 제2전류 펄스(ip2)로 부터 플라이백 방식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방식의 전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전류 펄스(ip1)와 제2전류 펄스(ip2)는 상기 스위칭 신호(V16)의 소정 주기내의 상호 배타적인 구간에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방식의 전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2전류 펄스(ip2)는 상기 인덕턴스(W1)에 발생되고, 상기 다수의 제1전류 펄스(ip1)중 주어진 한 전류 펄스는 상기 다수의 제2전류 펄스중 소정 전류 펄스에 인접하게 발생하여 두 인접한 펄스간에 시간간격이 없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방식의 전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공급 전압의 상기 피크 전압 부근에서 상기 주 공급 전압(VM)의 상기 주기의 제2부분의 기간(T1, 제1 2g도)을 통해 상기 다수의 제2전류 펄스(ip2)가 발생할 수 없게 하는 수단(COMP1, COPMP2)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방식의 전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공급 전압(V2)과 전류(iL)중 하나에 따라 조정하는 방식으로 상기 다수의 제1전류(ip1)와 다수의 제2전류(ip2)중 적어도 한 전류 펄스를 펄스폭 변조하는 펄스폭 변조기(101)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방식의 전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폭 변조기(101)는 상기 조정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상기 다수의 제1전류 펄스(ip1)와 제2전류 펄스(ip2)를 각각 변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방식의 전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2전류 펄스(ip2)는 상기 인덕턴스에 발생되고, 상기 다수의 제2전류 펄스는 상기 인덕턴스(W1)에 대해 재순환하는 전류 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방식의 전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2전류 펄스(ip2)는 상기 인덕턴스(W1)에 발생되고, 상기 인덕턴스는 변압기(T)의 일차 권선(W1)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방식의 전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전류 펄스(ip1)로 부터 생성되는 상기 변압기(T)의 이차 권선(W4)의 전류 펄스를 정류하여 상기 커패시터에 이차 공급 전압(V4)을 발생하는 제2정류기(D4)와 커패시터(C4)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이차 공급 전압은 상기 이차 공급 전압으로부터 상기 다수의 제2전류 펄스(ip2)를 발생하기 위한 상기 제2스위칭 수단(Q2)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방식의 전원.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칭 수단(Q2)은 상기 변압기(T)의 상기 일차 권선(W1)에 이차 공급 전압(V4)을 결합하여 상기 다수의 제2전류 펄스(ip2)의 소정 펄스를 발생하고, 상기 주공급 전압(VM)의 전압원(107)은 상기 스위칭 신호의 소정 주기의 일부분의 기간동안 상기 일차 권선으로부터 동시에 결합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방식의 전원.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2전류 펄스(ip2)는 상기 다수의 제1전류 펄스(ip1)에 대해 전류 인터리빙 방식(제1도)으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방식의 전원.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2전류 펄스(ip2)는 상기 다수의 제1전류 펄스(ip1)에 대해 전류 중첩 방식(제4도)으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방식의 전원.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 (W1″, W2″)를 제외한 전류 경로(D4″)를 경유하여 상기 주공급 전압(VM″)으로부터 이차 공급 전압을(C4″)에 발생하는 수단(D4″, 제7도)을 추가로 구비하는데, 상기 이차 공급 전압은 상기 다수의 이차 전류 펄스(ip2″)를 발생하기 위하여 상기 이차 스위칭 수단(Q2″)을 경유하여 상기 변압기 (W1″, W2″)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방식의 전원.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전압원(107)에 결합되어 상기 주 공급 전압(VM)을 정류하여 상기 변압기(T)에 결합되는 정류된 공급 전압(V1)을 발생하는 정류기(102)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정류된 공급 전압은 상기 주공급 전압의 주파수(50Hz)에 대해 크게 저역 통과 필터링 되지 않으면서 상기 주 공급 전압으로부터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방식의 전원.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 공급 전압(VM)의 상기 소정 주기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전류 펄스의 상기 소정 전류 펄스 구간동안 일반적인 상기 주 공급 전압(VM)의 레벨과 상기 다수의 제1전류 펄스(ip1)의 소정 전류 펄스의 진폭간의 비는 각 전류 펄스에 대해 실질적으로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방식의 전원.
  18. AC 주 공급 전압(VM)의 전압원(107)과; 플라이백 변압기(T)와; 상기 주 전압원에 결합되어 상기 변압기의 일차 권선(W1)에 정류된 일차공급 전압(V1)이 발생하도록 주 공급 전압을 정류하여 상기 정류된 공급 전압이 상기 주 공급 전압의 저 차수 조파와 주파수(50Hz)에 대해 저역통과 필터링 하지 않으면서 발생되도록 하는 정류기(102)와; 상기 주 공급 전압의 주파수(50Hz)보다 실질적으로 높은 주파수(20-50KHz)에서 스위칭 신호(V16)에 응답하여 상기 일차 권선에 다수의 제1전류 펄스(ip1)를 발생하는 제1스위칭 수단(Q1)과; 이차 공급 전압(V4)을 발생하는 수단(W4, D4)과; 상기 변압기에 결합되고 상기 제1스위칭 수단에 동기되어 상기 정류된 이차 공급 전압을 상기 변압기에 결합하고 상기 정류된 이차 공급 전압을 상기 변압기에서 결합 해제하여 상기 변압기에 상기 정류된 이차 공급 전압으로부터 다수의 제2전류 펄스(ip2)를 발생하여, 상기 스위칭 신호의 소정 주기 동안에 상기 다수의 제1전류 펄스의 소정 전류 펄스와 상기 다수의 제2전류 펄스의 소정 전류 펄스가 발생하도록 하는 제2스위칭 수단(Q2)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제1전류 펄스 및 제2전류 펄스는 상기 변압기를 경유하여 부하 회로에 결합되어 상기 부하 회로에 출력 공급전압(V2)과 출력 공급 전류(iL)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방식의 전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전압의 피크 전압 부근에 있어서 상기 공급 전압(VM)의 주기의 일부분의 구간(T1)동안 상기 다수의 제2전류 펄스(ip2)가 발생할 수 없게 하는 수단(COMP1, COMP2)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방식의 전원.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2전류 펄스(ip2)는 상기 다수의 제1전류 펄스의 진폭이 감소하는 경우 상기 주 공급 전압(VM)의 주기의 일 부분의 기간(T2) 동안에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방식의 전원.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2전류 펄스(IP2)는 상기 다수의 제1전류 펄스(ip1)에 대해 전류 인터리빙 방식(제1도)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방식의 전원.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2전류 펄스(ip2)는 상기 다수의 제1전류 펄스(ip1)에 대해 전류 중첩 방식(제4도)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방식의 전원.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30703816A 1991-06-13 1992-04-30 입력 전류 왜곡을 감소시키는 스위치 방식의 전원 KR1002667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112727.4 1991-06-13
GB919112727A GB9112727D0 (en) 1991-06-13 1991-06-13 Single conversion high power factor switchmode power supply
GB9201701.1 1992-01-27
GB929201701A GB9201701D0 (en) 1992-01-27 1992-01-27 Single converter high power factor switched mode power supply
PCT/US1992/003439 WO1992022954A1 (en) 1991-06-13 1992-04-30 Switch mode power supply with reduced input current distor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701600A true KR940701600A (ko) 1994-05-28
KR100266724B1 KR100266724B1 (ko) 2000-09-15

Family

ID=26299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3816A KR100266724B1 (ko) 1991-06-13 1992-04-30 입력 전류 왜곡을 감소시키는 스위치 방식의 전원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402330A (ko)
EP (1) EP0588843B1 (ko)
JP (1) JP3305317B2 (ko)
KR (1) KR100266724B1 (ko)
DE (1) DE69206801T2 (ko)
ES (1) ES2083745T3 (ko)
MY (1) MY111399A (ko)
TR (1) TR27547A (ko)
WO (1) WO19920229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219663D0 (en) * 1992-09-17 1992-10-28 Rca Thomson Licensing Corp Switch mode power supply with low input current distortion
JPH0680385U (ja) * 1993-04-27 1994-11-08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750072B2 (ja) * 1993-07-27 1998-05-13 松下電工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US5761057A (en) * 1995-03-09 1998-06-02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Switched mode power supply with synchronous preconverter
US5940147A (en) * 1995-06-01 1999-08-17 U.S. Philips Corporation Power supply synchronization
US5804926A (en) * 1996-04-08 1998-09-08 Raytheon Company Lighting circuit that includes a comparison of a "flattened" sinewave to a full wave rectified sinewave for control
DE19747801A1 (de) * 1997-10-30 1999-05-06 Thomson Brandt Gmbh Schaltnetzteil
US6069800A (en) * 1998-07-31 2000-05-30 Astec International Limited Line harmonic correcting flyback power converter
CA2259702A1 (en) * 1999-01-19 2000-07-19 Geoff Chen Switching type ac adapter
CN101156305B (zh) * 2005-04-08 2010-05-26 奥地利西门子公司 用于运行具有初级端泄漏能量反馈的开关电源部件的方法
US8390297B2 (en) * 2009-10-02 2013-03-05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and method
US8598737B2 (en) 2010-12-13 2013-12-03 Light-Based Technologies Incorporated Synchronous switching power supply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9307A (en) * 1977-05-04 1978-08-22 Gte Sylvania Incorporated High power factor conversion circuitry
US4315305A (en) * 1979-09-12 1982-02-09 Borg-Warner Corporation Controlled D-C power supply
US4302717A (en) * 1980-02-04 1981-11-24 Fairchild Camera And Instrument Corp. Power supply with increased dynamic range
NL8105159A (nl) * 1981-11-16 1983-06-16 Philips Nv Schakeling voor het omzetten van een ingangsgelijkspanning in een uitgangsgelijkspanning.
NL8105160A (nl) * 1981-11-16 1983-06-16 Philips Nv Schakeling voor het omzetten van een ingangsgelijkspanning in een uitgangsgelijkspanning.
JPS58141680A (ja) * 1982-02-17 1983-08-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イツチング式直流安定化電源装置
US4459651A (en) * 1982-07-01 1984-07-10 Honeywell Information Systems Inc. Regulated flyback power supply using a combination of frequency and pulse width modulation
JPS59128128A (ja) * 1983-01-13 1984-07-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積載方法
KR900004956B1 (ko) * 1985-04-05 1990-07-12 니뽕 빅터 가부시끼 가이샤 텔레비젼 수상기 및 그 전원회로
NL8502338A (nl) * 1985-08-26 1987-03-16 Philips Nv Geschakelde voedingsspanningsschakeling met twee toestanden.
US4680511A (en) * 1986-03-28 1987-07-14 Rca Corporation Video apparatus for generating a conductively isolated control signal
US4761723A (en) * 1987-02-27 1988-08-02 Rca Licensing Corporation Power supply regulator for television
DE3733474A1 (de) * 1987-09-30 1989-04-20 Thomson Brandt Gmbh Schaltnetzteil
GB8805759D0 (en) * 1988-03-10 1988-04-07 Rca Licensing Corp Switched-mode power supply with secondary to primary control
DE3808863A1 (de) * 1988-03-17 1989-09-28 Philips Patentverwaltung Stromversorgungsanordnung
CA2019525C (en) * 1989-06-23 1995-07-11 Takuya Ishii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US5161241A (en) * 1989-09-13 1992-11-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RT power supply apparatus having synchronized high and low voltage power supply switching circuits
KR920000347Y1 (ko) * 1989-12-29 1992-01-15 삼성전자 주식회사 두 출력의 smps 콘트롤 회로
US5010281A (en) * 1990-04-30 1991-04-23 Rca Licensing Corporation High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for video display apparatus
DE4025322A1 (de) * 1990-08-10 1992-02-13 Thomson Brandt Gmbh Netzbetriebene phasenanschnitt-steuerschaltung
US5189600A (en) * 1991-12-19 1993-02-23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Combined power supply for main and stand-by power
US5349516A (en) * 1992-09-17 1994-09-20 Rca Thomson Licensing Corporation Switch mode power supply with reduced input current distor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305317B2 (ja) 2002-07-22
ES2083745T3 (es) 1996-04-16
DE69206801T2 (de) 1996-08-22
EP0588843A1 (en) 1994-03-30
WO1992022954A1 (en) 1992-12-23
EP0588843B1 (en) 1995-12-13
US5402330A (en) 1995-03-28
JPH06508257A (ja) 1994-09-14
KR100266724B1 (ko) 2000-09-15
DE69206801D1 (de) 1996-01-25
MY111399A (en) 2000-04-29
TR27547A (tr) 1995-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1449A (en) Efficient, high power density, high power factor converter for very low dc voltage applications
KR950015942A (ko) 교류·직류 변환용 전원 회로
EP0567257A2 (en) Drive circuit for power switches of a zero-voltage switching power converter
KR920017333A (ko) 고역률 전원장치
KR890702327A (ko) 제로 전압 스위칭 dc-ac 인버터 또는 콘버터
EP0503862A2 (en) Class E fixed frequency converter
KR940701600A (ko) 입력 전류 왜곡을 감소시키는 스위치 방식의 전원
JP2002064980A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EP0010900A1 (en) A static inverter with a relatively low-frequency output voltage, and a method for generating this voltage
KR940008197A (ko) 감소된 입력 전류 디스토션을 갖는 스위치 모드 전원
US5712780A (en) Unity power factor converter for high quality power supply with magnetically coupled compensation
MY105258A (en) A switch-mode power supply with burst mode stanby operation
JPH06327246A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JP3079564B2 (ja) インバータ電源回路
US6977823B2 (en) Switch power supply apparatus
KR900019361A (ko) 스위칭 전원 공급기
JP3266389B2 (ja) 直列共振コンバータ
GB2093643A (en) DC-to-DC converter
JPH10323034A (ja) 同期倍電流電源
JP2988252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0125388Y1 (ko) 전원공급장치
JP3456788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
SE8704605D0 (sv) Hogfrekvent likriktaranordning
KR100255768B1 (ko) 스너버전력을 이용한 역률개선회로
JP2723263B2 (ja) 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