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2077A - 전자사진 기록장치의 현상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사진 기록장치의 현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2077A
KR940012077A KR1019920022658A KR920022658A KR940012077A KR 940012077 A KR940012077 A KR 940012077A KR 1019920022658 A KR1019920022658 A KR 1019920022658A KR 920022658 A KR920022658 A KR 920022658A KR 940012077 A KR940012077 A KR 940012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ing
developing sleeve
spacer
photosensitive drum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2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택
박형구
Original Assignee
정용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용문
Priority to KR1019920022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12077A/ko
Publication of KR940012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2077A/ko

Links

Landscapes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사진 기록장치의 현상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기존에는 캡유지 스페이서와 씰부재가 각각 독립되어 있으며 씰부재는 현상슬리브 표면의 일부만 감싸여 있어 부착되어 있는 현상제가 양단부로 유입되는 것을 회전하고 있는 스페이서부에 부하를 유발하여 화상 형성에 악영향을 주게되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현상슬리브 양단부에 홀이 형성된 캡부와 스페이서를 끼워 조립하고 캡부에 씰부재를 설치하여 현상슬리브와 감광드럽 사이의 현상캡을 유지하며 비화상 부위로 현상제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축에 부하가 걸리지 않게 하여 선명한 화상을 얻을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사진 기록장치의 현상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현상장치의 개략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현상슬리브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현상슬리브 구성도.

Claims (3)

  1. 토너공급부(12)의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 공급롤러(13)에 의해 토너가 교반 롤러(14)로 공급되어 교반된 현상제를 현상슬리브(2)에 의해 감광드럽(1)으로 이송되도록 현상슬리브(2)와 감광드럽(1) 사이의 갭을 유지하기 위한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슬리브(2)의 양단부와 축(3)에 내부에 홀(4)을 이론 캡부(5)와 일체화된 스페이서(6)를 설치하고 상기 캡부(5)에 씰부재(7)를 고정되도록 조립하여 감광드럽(1) 양단에 스페이서(6)가 접촉되어 현상갭을 유지할수 있도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기록장치의 현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슬리브(2)의 양단부와 캡부(5)의 홀(4)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현상슬리브(2)의 양단부에 캐부(5)가 RL워져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기록장치의 현상장치.
  3. 토너공급부(12)의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 공급롤러(13)에 의해 토너가 교반 롤러(14)로 공급되어 교반된 형상제를 현상슬리브(2)에 의해 감광드럽(1)으로 이송되도록 현상슬리브(2)와 감광드럽(1) 사이의 갭을 유지하기 위한 현상장치에 있어서 현상슬리브(2) 양단부와 축(23)에 끼워져 조립하게 홀(24)이 형성된 캡부(25)와 스페이서(26)를 각각 분리되게 형성하여 캡부(25) 표면에 씰부재(27)를 고정시키고 상기 현상슬리브(2)의 양단부와 축(23)에 캡부(25)와 스페이서(26)를 조립하여 감광드럼(1)의 양단에 현상슬리브(2)의 스페이서(26)가 접촉되어 현상갭을 유지하고 현상슬리브(2)의 비화상부인 스페이서(26) 축으로 현상제 유입을 방지할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기록장치의 현상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20022658A 1992-11-27 1992-11-27 전자사진 기록장치의 현상장치 KR9400120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2658A KR940012077A (ko) 1992-11-27 1992-11-27 전자사진 기록장치의 현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2658A KR940012077A (ko) 1992-11-27 1992-11-27 전자사진 기록장치의 현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2077A true KR940012077A (ko) 1994-06-22

Family

ID=67211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2658A KR940012077A (ko) 1992-11-27 1992-11-27 전자사진 기록장치의 현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120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4255A (ja) 現像装置
JPS62192770A (ja) 一成分現像装置
US20030180067A1 (en) System for and method of reducing toner seal leakage by the introduction of a step groove in the developer roller
KR940012077A (ko) 전자사진 기록장치의 현상장치
JP3001760B2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S61230176A (ja) 静電潜像現像装置
KR930005744Y1 (ko) 전자사진기록장치의 현상갭 유지장치
JPH0720686Y2 (ja) 現像装置
JP2006106306A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S62143073A (ja) 一成分現像装置
JPS6247074A (ja) 現像装置
JPH0714993Y2 (ja) 画像形成装置
JPH046037Y2 (ko)
JP2000267500A (ja) 感光体ドラムのための駆動装置
KR960001930A (ko) 화상현상장치
JPH02101486A (ja) 画像形成装置の現像器
JPH10198162A (ja) 現像装置
JPS61114458U (ko)
KR970028904A (ko) 현상장치 및 그 현상장치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JPS62170956U (ko)
JPS6015659A (ja) 現像装置
JPS59193475A (ja) 現像装置
KR920008558A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JPS58178379A (ja) 多色記録装置
JPH0323475A (ja) 現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