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1716B1 - 마그네트 펌프 - Google Patents

마그네트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1716B1
KR940011716B1 KR1019900015494A KR900015494A KR940011716B1 KR 940011716 B1 KR940011716 B1 KR 940011716B1 KR 1019900015494 A KR1019900015494 A KR 1019900015494A KR 900015494 A KR900015494 A KR 900015494A KR 940011716 B1 KR940011716 B1 KR 940011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impeller
casing
shaft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5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5793A (ko
Inventor
요오지 모리
노리시게 히리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워얼드케미칼
요오지 모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워얼드케미칼, 요오지 모리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워얼드케미칼
Publication of KR910015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5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1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17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58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4Shafts or bearings, or assemblies thereof
    • F04D29/046Bearings
    • F04D29/049Roller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21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containing a coupling
    • F04D13/024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containing a coupling a magnetic coupling
    • F04D13/025Details of the can separating the pump and drive are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21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containing a coupling
    • F04D13/024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containing a coupling a magnetic coupling
    • F04D13/026Details of the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4Shafts or bearings, or assemblies thereof
    • F04D29/041Axial thrust balancing
    • F04D29/0413Axial thrust balancing hydrostatic; hydrodynamic thrust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58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 F04D29/586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04D29/5893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heat insulation or con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마그네트 펌프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도는 본 발명의 마그네트펌프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요부확대 단면도.
제3도, 제4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종단면도.
제6도, 제7도는 종래예의 마그네트펌프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a,1b,1c,1d,1e : 마그네트펌프 3 : 케이싱
4 : 리어고정베어링(고정베어링) 5 : 프론트고정베어링(고정베어링)
4a,5a,25,40a,42a,43a,50a,51a,52a,53a,54a,55a,56a,57a,58a : 열전도차단홈
5b : 도액통로 5c : 방열구멍
6 : 축 7 : 회전베어링
8 : 임펠러 10 : 마그네트캔
22,41 : 드러스트받침 30,60 : 안전록부
40,57,58 : 열차단부재 42,43 : 완충부재
50 : 드러스트받침링 51 : 마우스링
53 : 고정베어링 54 : 리어회전베어링(회전베어링)
56 : 프론트회전베어링(회전베어링) α1,α2 : 회전편차
β : 갭량 γ,δ : 소정량
본 발명은 마그네트펌프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공운전시등에 발생하는 열의 전도를 차단해서 열에 의해 폐해를 방지하는 기구를 구비한 마그네트펌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화학약품등의 액체(이하 간단히 약액이라고 함)를 송액하는 펌프는,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고 또한 내약품성이 강한 합성수지등이 사용되는 일이 많다. 그러나, 약액을 취급하므로 축과 케이싱과의 시일은 완전한 것이 요구된다. 즉 약액 자체가 고가인 것이 많고, 혹은 인체에 대해서 위험성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 요구를 만족하는 펌프로서, 약액이 누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축과 케이싱과의 사이를 시일하는 축시일부가 전혀 없는 마그네트펌프가 알려져 있다.
이 마그네트펌프(1a)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케이싱(3)내에 수납 또는 고정된 축(6)이 있으며, 이 축(6)에는 회전가능하게 임펠러(8)가 장착되어 있다. 이 임펠러(8)에는 마그네트캔(10)이 장착되고, 이 마그네트캔(10)에는 모우터의 회전을 전달해서 임펠러(8)를 회전시키는 종동마그네트(9a)를 수용하고 있다. 또, 이 마그네트캔(10)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케이싱(3)에 근접해서 설치된 구동마그네트(9b)는, 모우터의 회전축(29)에 장착된 회전체(11)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마그네트 펌프(1a)에서는 통상 운전시 축시일부가 없으므로, 흡입구(20)로부터 들어온 약액은 토출구(21)에 배출되어, 다른 부위로부터 약액이 누출될 염려는 전혀 없는 것이다. 그러나, 임펠러(8)의 회전을 유지하기 위한 회전중심으로서의 축(6)이 있으므로, 통상 운전시는 약액에 의해 축(6)과 임펠러(8)와의 슬라이드에 의한 마찰열이 냉각되어 문제가 없으나, 흡입구(20)로부터 약액이 들어오지 않고, 임펠러(8)만 회전할 경우, 즉 공운전의 경우에는 마찰열은 냉각되지 않아 문제가 된다. 종래에는 부하전류를 검지하고, 전기식이나 압력식으로 대응해서 마그네트펌프(1a)의 공운전을 방지하고 있었다.
그런데, 종래의 마그네트펌프(1a)는 임펠러(8) 혹은 마그네트캔(10)이 합성수지를 열에 약한 소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변형되기 쉽다. 또, 마그네트캔(10)의 회전력을 크게 하기 위하여, 케이싱(3)의 두께가 얇고, 케이싱(3)과 마그네트캔(10)과의 사이도 조금밖에 벌어져 있지 않다. 그 결과, 마그네트캔(10) 혹은 임펠러(8)와 케이싱(3)이 열변형에 의해 서로 맞닿고, 케이싱(3)에 균열이 발생하여 임펠러(8)가 회전하지 않게 되고, 펌프로서의 기능이 없어지게 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본원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불편한 점을 해소한 마그네트펌프(일본국 특개소 63-264812호 공보 참조)를 제공하고 있다. 이 마그네트펌프(1b)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펠러(8)가 회전하면, A, B의 부분이 발열한다. 따라서 이들 A, B에 있어서 발생하는 열을 차단하기 위해서 이 마그네트펌프(1b)에는 열전도차단홈(25)(27) 등을 형성한 회전베어링(7), 열전도차단홈(4a)을 형성한 리어고정베어링(4) 및 열전도차단홈(5a)(5b)을 형성한 프론트고정베어링(5)에 있으며, 또 열전도차단홈(23)(24)을 형성한 축(6)이 있다. 그리고, A, B에 있어서 발생한 열은 이들 각 부품의 열전도차단홈에 의해 발산되어 차단되고, 케이싱(3), 임펠러(8), 마그네트캔(10) 등이 변경하거나 서로 맞닿거나 균열이 발생하는 일이 없다.
그러나, 본원 출원인에 의한 마그네트펌프(1b)에 있어서도, 공운전, 캐비레이션운전, 차단운전, 반공운전(마중물 불충분시), 에어록운전, 오우버피이딩, 프리로우테이션 효과에 의한 불안정송액시등과 같은 불안정한 상태(이하 간단히 공운전등이라고 칭함)가 오래 계속되어 발견이 늦어지면, A, B의 부분에서 발생한 열은 서서히 축적되어, 마그네트캔(10), 임펠러(8), 케이싱(3)의 온도가 상승하고, 열변형할 우려가 생기고, 케이싱(3)과 축(6)과의 사이, 회전베어링(7)과 임펠러(8) 및 마그네트캔(10)과의 사이가 단시간에 느슨해지고, 임펠러(8) 및 마그네트캔(10)이 회전편차를 일으켜 케이싱(3)에 접촉하여 접촉흔적을 내거나 변형한다. 최악시에는 임펠러가 회전하지 않게 되거나, 케이싱(3)에 균열이 발생하여 액이 누출하여 펌프로서의 기능이 없어지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내산성, 내알칼리성등의 내약품성이 높은 것이면서, 공운전등을 하여도 케이싱, 임펠러등이 변형하거나 균열이 발생해서 운전불가하게 되는 일이 없는 마그네트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마그네트펌프는 케이싱내에 수납 또한 고정한 축에 회전가능하게 임펠러를 장착하고, 상기 축과 상기 임펠러와의 사이에 열전도차단홈을 형성한 회전베어링과 열차단부재를 각각 설치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5도에 의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마그네트펌프의 종단면도이다. 동도면에 있어서, (1)은 마그네트펌프를 표시하고, 이 마그네트펌프(1)는 하우징(2)과, 이 하우징(2)내에 수납되어 있는 케이싱(3)과, 이 케이싱(3)내에 수납 또한 리어 및 프론트고정베어링(고정베어링)(4) 및 (5)을 개재해서 고정된 축(6)과, 이 축(6)에 회전베어링(7) 및 이 회전베어링(7)의 바깥둘레에 끼워진 열차단부재(40)를 개재해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임펠러(8)와, 이 임펠러(8)와 케이싱(3)과의 사이에 형성된 안전록부(30)와, 종동마그네트(9a)를 수용해서 이 임펠러(8)에 고정되어 있는 마그네트캔(10) 및 상기 케이싱(3)의 바깥에 있어서 이 마그네트캔(10)이 종동마그네트(9a)와 더불어 임펠러(8)를 회전시키는 구동마그네트(9b)를 수용하고 있는 회전체(11)로 이루어진 구동부(12)를 주요구성요소로 해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2)은 케이싱(3)을 수납 또한 유지할 수 있도록 모우터브래킷(13), 흡인플랜지(14) 및 토출플랜지(15)로 분할되고, 각각 볼트등에 의해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재질은 직접 약액에 접하지 않으므로, 내약품성보다도 강도면이 중요시되어 통상 주물이 채용된다.
상기 케이싱(3)은 내약품성을 충분히 고려한 재질이 선정되고, 통상 합성수지, 예를들면 폴리프로필렌, 불소수지등이 채용되고, 리어케이싱(16) 및 프론트케이싱(17)으로 2분할되고, 시일재(19)를 개재해서 견고하게 밀착되어 완전히 액누출이 없는 상태가 되어 있다. 그리고, 프론트케이싱(17)에는 흡입구(20) 및 토출구(2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리어 및 프론트케이싱(16) 및 (17)에는 고정홈(16a) 및 (17a)이 각각 형성되고, 이들에 리어 및 프론트고정베어링(4) 및 (5)이 각각 고정되어 있다.
이들 리어 및 프론트고정베어링(4) 및 (5)에는 열전도차단홈(4a)(5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열전도차단홈(4a)(5a)은 뒤에 자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마찰열의 전도를 차단해서 리어케이싱(16) 및 프론트케이싱(17)에 마찰열이 전도하지 않도록 형성한 것이다. 또한, 프론트고정베어링(5)에는, 또 도액통로(5b), 및 방열구멍(5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도액통로(5b)는, 방열구멍(5c)가 형성된 단면형상이 깔대기형상을 이룬 부재와 프론트케이싱(17)의 고정홈(17a)에 끼워진 링부재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축(6)으로부터 링부재까지의 거리가 길며, 따라서, 표면적이 커지므로 마찰열이 발산하기 쉬워진다.
또, 이 리어 및 프론트고정베어링(4) 및 (5)은 세라믹등으로 만들어진 다공질체이어도 된다. 이 다공질체내에는 공기가 다량으로 포함되므로, 열전도를 차단하는 작용이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고정베어링(4) 및 프론트고정베어링(5)은 리어 및 프론트케이싱(16) 및 (17)보다 내열성을 가진 수지, 열변형온도가 180℃ 이상의 수지로 이루어지고, 축(6)에 수축 끼워 맞추어 설치되므로서 풀림방지기능을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리어 및 프론트고정베어링(4) 및 (5)은 마찰열에 의해서 고온이 되어도 내열성의 재질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변형하기 어렵고, 또한 열팽창하여도 수축 끼워 맞추어져 있으므로, 축(6)에 대해서 느슨해지지 않아 덜거덩거리지 않는다.
상기 축(6)은 임펠러(8) 및 종동마그네트(9a)를 수용하고 있는 마그네트캔(10)에 대해서 회전중심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경질이며 내약품성의 재질, 예를들면 알루미나 세라믹스에 의해서 만들어져 있다. 이 축(6)의 외주면에는 직경방향으로 링형상의 열전도차단홈이 여러개 순차 형성되고, 또 축(6)의 뒤쪽 외주면에는 축방향으로 스플라인형상의 열전도차단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열전도차단홈은 상기의 열전도차단홈(4a)(5a)과 대략 마찬가지로 마찰열이 전도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축(6)에는 임펠러(8) 및 마그네트캔(10)이 상기 회전베어링(7) 및 열차단부재(40)를 개재해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회전베어링(7)의 축방향 양쪽에는 이들 임펠러(8) 및 마그네트캔(10)의 드러스트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프론트드러스트받침(22) 및 리어드러스트받침(드러스크받침)(41)이 각각 고정되어 있다. 이 프론트 및 리어드러스트받침(22) 및 (41)은 세라믹스로 만들어져 있으며, 프론트 및 리어드러스트받침(22) 및 (41)의 드러스트방향의 하중은 완충부재(42)(43)를 개재해서 상기 프론트 및 리어고정베어링(4) 및 (5)에 의해서 받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완충부재(42)(43)는 고무등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소재가 사용되고, 이 완충부재(42)(43)에는 열전도차단홈(42a)(43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베어링(7)은 플랜지부착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축(6)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슬라이드하도록 장착되고, 임펠러(8) 및 마그네트캔(10)과 함께 회전한다. 이 회전베어링(7)의 원통부내에는 축방향으로 대략 동심형상의 열전도차단홈(25)이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베어링(7)의 바깥둘레에 끼워진 열차단부재(40)는 다공질체로 만들어지고, 또 회전베어링(7)과 마찬가지로 축방향으로 대략 동심형상의 열전도차단홈(40a)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회전베어링(7) 및 열차단부재(40)는 보온병의 원리, 즉 이들 열전도차단홈(25) 및 (40a)에 의해 보온병과 같은 이중구조로 되고, 이들 열전도차단홈(25) 및 (40a)내의 열전도율이 낮은 공기층에 의해, 또 열차단부재(40) 자체의 열차단성에 의해 마찰열의 전도를 차단하고, 케이싱(3), 임펠러(8) 및 마그네트캔(10)에 마찰열이 전도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 교반효과 즉 이들 열전도차단홈(25)(40a)이 회전하므로서, 공기가 휘저어지고, 이들 열전도차단홈(25)(40a)의 표면에 도달한 마찰열은 발산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열차단부재(40)는 회전베어링(7)과 별체이므로 베어링으로서 요구되는 재질에 제한되지 않고 열차단성능이 높은 소재를 자유롭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 열차단부재(40)는 마그네트캔(10) 보다는 내열성을 가진 재질, 열변형온도가 180℃ 이상의 수지로 이루어지고 축(6)에 수축 끼워 맞추어서 설치되어 있으므로서, 풀림방지기능을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열차단부재(40)는 마찰열에 의해서 고온이 되어도 내열성의 재료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변형하기 어렵고, 또한 열팽창하여도 수축 끼워 맞추어져 있으므로, 회전베어링(7)에 대해서 느슨해지지 않아 덜거덩거리지 않는다.
상기 임펠러(8)는 논클로그타입이며, 그 재질은 내약품성 및 강도면을 충분히 배려한 것이 사용되고, 통상 합성수지, 예를들면 폴리프로필렌, 불소수지등이 채용된다.
상기 안정록부(30)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록부(31)와 보조록부(32)로 이루어진다. 이 주록부(31)는 프론트케이싱(17)에 형성된 링형상의 오목홈(17b)에 주부시(33)가 해체가능하게 끼워지고 임펠러(8)에 돌기(34)를 주부시(33)의 링홈(35)내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주부시(33)의 링홈(35)과 돌기(34)가 주로 접촉해서 펌프록하는 것이다. 한편, 보조록부(32)는 프론트케이싱(17)에 형성된 L홈(17c)에 보조부시(36)가 해체가능하게 끼워지고, 이 보조부시(36)와 임펠러(8)의 선단돌출부(8a)가 보조적으로 접촉해서 펌프록하는 것이다.
이들 주록부(31) 및 보조록부(32)는 축(6)과 회전베어링(7)과의 슬라이드에 의한 이상 마모, 공운전등에 의한 축(6)을 유지하는 리어 및 프론트고정베어링(4) 및 (5)의 열변형 및 회전베어링(7)을 유지하는 열차단부재(10)의 열변형에 의해서, 마그네트캔(10) 및 임펠러(8)의 회전편차(α)가 발생하고, 이 회전편차(α)가 소정량(후술의 γ,δ)에 달하였을때, 케이싱(3)에 마그네트캔(10) 및 임펠러(8)가 접촉하기 전에 펌프록하는 것이다. 즉 주록부(31)는 마그네트캔(10) 및 임펠러(8)의 회전편차(α1)가 상기 케이싱(3)의 내벽면과 마그네트캔(10) 및 임펠러(8)와의 최소갭량(β) 보다도 작은 소정량 γ에 달하였을 때에, 펌프록하도록 되어 있다(α1=T<β).
보조록부(32)는 마그네트캔(10) 및 임펠러(8)의 회전편차(α2)가, 상기 케이싱(3)의 내벽면과 마그네트캔(10) 및 임펠러(8)와의 최소갭량(β) 보다도 작은 소정량(γ)에 달하였으나, 주록부(31)가 작용하지 않아 소정량(δ)에 달하였을 때에 보조적으로 펌프록하도록 되어 있다(α1=γ<α2=δ<β).
또한, 주록부(31)의 주부시(33) 및 보조록부(32)의 보조부시(36)는 내마모성의 재질이 사용되고, 일정이상 마모하면 교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안전록부(30)는 본 실시예의 설치장소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위치이어도 된다.
상기 마그네트캔(10) 및 상기 회전체(11)로 이루어진 구동부(12)는, 임펠러(8)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며, 구동부(12)의 회전체(11)는, 모우터브래킷(13)에 의해서 지지되고 있는 모우터(28)의 축(29)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모우터(28)의 회전축(29)이 회전하면, 구동부(12)의 회전체(11)에 수용되어 있는 구동마그네트(9b)가 회전한다. 이 구동마그네트(9b)에 따라서 종동마그네트(9a)가 회전하므로, 마그네트캔(10)이 회전하고 임펠러(8)도 회전하도록 된다. 이 때문에 마그네트캔(10)의 회전력을 강하게 하려면 이들 구동마그네트(9b) 및 종동마그네트(9a)의 사이의 자력을 높일 필요가 있으므로, 이들의 사이는 가능한한 좁게 형성되어 있다. 즉, 리어케이싱(16)의 내벽면과 마그네트캔(10)의 외주면의 갭량(β)은 수 m/m 정도가 되고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마그네트펌프(1)의 사용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마그네트펌프(1)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베어링(7)과 프론트 및 리어드러스트받침(22) 및 (41)과의 사이에 갭에 있으며, 정지중에는 이 갭이 있는 상태에서 종동마그네트(9a)가 구동마그네트(9b)에 흡인되어 고정되어 있다. 마그네트펌프(1)는 케이싱(3)내에 항상 약액등으로 채워져 있다. 따라서 약액등은 흡입구(20)로부터 케이싱(3)내에 들어오고, 임펠러(8)에 의해서 소정의 압력을 받아서 토출구(21)로부터 토출된다. 이때 임펠러(8) 및 마그네트캔(10)은, 열차단부재(40) 및 회전베어링(7)을 개재해서 축(6) 및 프론트드러스트받침(22)상을 슬라이드 상태로 회전하고, 이들의 사이에 마찰열이 발생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통상 운전에서는 케이싱(3)내에 약액등이 채워져 있으므로, 약액등에 의해 이 마찰열이 냉각되어 이 마찰열에 의한 폐해는 특별히 없다.
그러나 사고나 정전등에 의해서 케이싱(3) 내에 약액등이 채워져 있지 않은 경우, 즉 공운전등의 경우는 냉각수로서의 약액등이 없고, 상기의 앞쪽으로의 추력도 없으므로 회전베어링(7)과 프론트 및 리어드러스트받침(22) 및 (41)과 접촉하지 않고 축(6)과 회전베어링(7)과의 슬라이드부 A에 마찰열이 발생하여 고온이 된다. 이 슬라이드부 A에 발생한 고온의 마찰열의 전도경로는, ① 회전베어링(7) 및 열차단부재(40)를 개재해서 임펠러(8) 및 마그네트캔(10)에 전도하는 경로, ② 축(6), 프론트고정베어링(5)을 개재해서, 프론트케이싱(17)에 전도하는 경로, ③ 축(6), 리어고정베어링(4)을 개재해서 리어케이싱(16)에 전도하는 경로가 있다. ①의 전도경로는 회전베어링(7)의 열전도차단홈(25), 열차단부재(40)의 열전도차단홈(40a)에 의한 상기의 보온병의 원리 및 교반효과에 의해 마찰열의 전도가 거의 차단된다. 또한, 열차단부재(40)는 별체로 되어 있으며 자유롭게 열차단효과가 높은 소재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마찰열은 효율좋게 차단된다.
②의 전도경로는 축(6)의 열전도차단홈, 프론트고정베어링(5)의 열전도차단홈(5a), 도액통로(5b), 방열구멍(5c) 및 완충부재(42)의 열전도차단홈(42a)에 의해 그 표면적이 매우 커지고, 마찰열이 전도로부터 대류로 변환되게 된다. 또한 임펠러(8)의 회전에 의한 교반효과로부터 상기의 표면의 마찰열은 공냉되게 된다.
또, 슬라이드부 A에 발생한 고온의 마찰열은 축(6)으로부터 고정베어링(4)을 개재해서 케이싱(3)의 리어케이싱16)에 전도하려고 하나, ③의 전도경로는 축(6)의 열전도차단홈 및 리어고정베어링(4)의 열전도차단홈(4a)에 의해 보온병의 원리 및 교반효과에 의해, 마찰열의 전도가 거의 차단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부 A에 발생한 고온의 마찰열은 임펠러(8), 마그네트캔(10), 프론트케이싱(17) 및 리어케이싱(16)에 거의 열전도되지 않고, 이들이 고온의 마찰열에 의해 변형등을 하는 일이 없다.
그러나 상기의 공운전등이 매우 오래 계속되면 상기 풀림방지기능을 부여한 리어 및 프론트고정베어링(4) 및 (5) 열차단부재(40)도 고온이 되어 열팽창한다. 열팽창등이 작은 축(6) 및 회전베어링(7)에 대해서, 이들 리어 및 프론트고정베어링(4) 및 (5), 열차단부재(40)는 수축 끼워 맞추어져 있으므로 느슨해지지 않아 덜거덩거리지 않는다. 따라서 임펠러(8), 마그네트캔(10)은 케이싱(3)에 접촉하거나 하는 일이 거의 없고, 파손되거나 균열이 생기는 일이 없다. 또 이들 리어 및 프론트고정베어링(4) 및 (5) 열차단부에 자체가 내열성의 재질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거의 변형하지 않는다.
또, 통상 운전시에 있어서도 회전베어링(7), 축(6) 및 프론트드러스트받침(22)은 약액등의 유무에 관계없이 마모하므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임펠러(8) 및 마그네트캔(10)은 회전편차를 일으킨다. 또, 상기의 공운전등이 오래 계속되면, 상기의 풀림방지기능이 부여되고 있지 않으면, 리어 및 프론토고정베어링(4) 및 (5), 열차단부재(40)도 고온이 되어 열팽창하고, 이들 보다도 열팽창이 작은 축(6) 및 회전베어링(7)에 대해서, 리어 및 프론트고정베어링(4) 및 (5) 열차단부재(40)는 느슨해지고, 임펠러(8) 및 마그네트캔(10)은 회전편차를 일으킨다. 상기의 마모 및 마찰열에 의한 임펠러(8), 마그네트캔(10)의 회전편차(α)가 (α1)이 되면 소정량(γ)에 달하므로, 안전록부(30)의 록부(31)가 작용한다. 즉, 프론트케이싱(17)에 형성된 주부시(33)의 링홈(35)과, 임펠러(8)의 돌기(34)가 접촉해서 펌프록한다. 또, 어떠한 원인에 의해 주록부(31)가 작용하지 않고, 임펠러(8), 마그네트캔(10)의 회전편차(α)가 (α2)까지 진행하면 소정량(δ)에 달하므로, 보조록(32)이 작동한다. 즉, 프론트케이싱(17)에 설치된 보조부시(36)와 임펠러(8)의 선단돌기(8a)가 접촉해서 펌프록한다. 따라서, 케이싱(3)에 임펠러(8), 마그네트캔(10)이 접촉해서 케이싱(3)에 균열이 발생하고, 약액이 유출하기 전에 마그네트펌프(1)의 고장을 발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마그네트펌프(1c)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도의 실시예와의 상이점은 프론트고정베어링(5)이 없어, 축(6)이 리어고정베어링(4)에 한쪽 지지상태로 되어 있으며, 그 때문에 프론트케이싱(17)에 열전도차단홈(50a)을 형성한 드러스트받침링(50)을 장착하고, 이 드러스트받침링(50)에 미끄럼접촉하는 동시에 열전도차단홈(51a)을 형성한 마우스링(51)을 임펠러(8)에 장착한 점에 있다. 따라서, 이 마그네트펌프(1c)는 드러스트받침링(50)과 마우스링(51)과의 사이에 마찰열이 발생하고, 축(6)과 회전베어링(7)과의 사이에 마찰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들 마찰열은 모두 열전도차단홈(50a)(51a)에 의한 보온병의 원리 및 임펠러(8)의 회전에 의한 교반효과에 의해 전도하기 어렵게 되어, 케이싱(3), 임펠러(8)을 열변형시키지 않는다. 기타의 구성, 작용에 대해서는 제1도의 실시예와 대략 마찬가지이므로 도면에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3도중 (52)는 열전도차단홈(52a)을 형성한 링으로서, 축(6)과 회전베어링(7)과의 사이의 마찰열을 발산시키는 것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마그네트펌프(1d)을 도시한 것으로서, 제1도의 실시예와의 상이점은 축(6)이 케이싱(3)에 리어회전베어링(54) 및 스플릿판(55)에 장착된 프론트회전베어링(56)을 개재해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임펠러(8) 및 고정베어링(53)을 개재해서 마그네트캔(10)을 각각 고정하고 있으며, 또 프론트케이싱(17)에 드러스트받침링(50)을 장착하고, 이 드러스트받침링(50)에 미끄럼접촉하는 동시에 마우스링(51)을 임펠러(8)에 장착하고 있으며, 그리고 이들 고정베어링(53), 리어회전베어링(54), 스플릿판(55), 프론트 회전베어링(56), 드러스트받침링(50), 마우스링(51)에는 열전도차단홈(53a)(54a)(55a)(56a)(50a)(51a)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따라서 이 마그네트펌프(1d)는 마찰열이 드러스트받침링(50)과 마우스링(51)과의 사이, 축(6)과 프론트회전베어링(54)과의 사이 및 축(6)과 리어회전베어링(54)과의 사이에 각각 발생한다. 이들 마찰열은 모두 열전도차단홈(53a)(54a)(55a)(56a)(50a)(51a)에 의한 보온병의 원리 및 임펠러(8)의 회전에 의한 교반효과에 의해 전도하기 어렵게 되어 리어 및 프론트케이싱(16) 및 (17), 스플릿판(55), 마그네트캔(10), 임펠러(8)를 열변형시키지 않는다. 기타의 구성, 작용에 대해서는 제1도의 실시예와 대략 마찬가지이므로 도면에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마그네트펌프(1e)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4도의 실시예와의 상이점은 상기 마그네트펌프(1d)에 풀림방지기능과 안전록기능을 부여한 점에 있다. 즉, 이 풀림방지기능은 리어케이싱(16)과 리어회전베어링(54)과의 사이 및 스플릿판(55)과 프론트회전베어링(56)과의 사이에 열차단부재(57) 및 (58)을 각각 설치해서, 이들 열차단부재(57) 및 (58) 및 상기 고정베어링(53)은 리어케이싱(16) 및 스플릿판(55) 및 마그네트캔(10) 보다도 내열성이 있는 재질, 열변형온도가 180℃ 이상인 수지로 이루어지고, 축(6)에 수축끼워맞추어 설치된다.
상기 안전록기능은 케이싱(3)과 마그네트캔(10) 및/또는 임펠러(8)와의 사이에, 안전록부(60)를 형성하므로서 달성된다. 이 안전록부(60)는 주록부(61)와 보조록부(62)로 이루어진다. 이 주록부(61)는 프론트케이싱(17)에 형성된 링형상의 오목홈(17b)에 주부시(63)가 해체가능하게 끼워지고, 임펠러(8)에 돌기(64)를 주부시(63)의 링홈(65) 내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해서 이루어지고, 주부시(63)의 링홈(65)과 돌기(64)가 주로 접촉해서 펌프록하는 것이다. 한편, 보조록부(62)는 스플릿판(55)에 형성된 L자홈(55a)에 보조부시(66)가 해체가능하게 끼워지고, 이 보조부시(66)와 임펠러(8)의 기단돌출부(8b)가 보조적으로 접촉해서 펌프록하는 것이다. 기타의 기구, 작용에 대해서는 제1도, 제2도, 제4도에 각각 도시한 실시예와 대략 마찬가지이므로 도면에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그네트펌프에 의하면, 임펠러가 공운전상태가 되어도, 임펠러와 함께 회전하고 있는 회전베어링과 축과의 사이의 마찰에 의해서 발생하는 일은 회전베어링에 형성된 열전도차단 홈의 보온병이 원리에 의해서 그 열전도가 거의 저지되고, 또 회전베어링의 회전에 의해서 공기의 교반작용이 일어나서, 상기의 열이 발산하므로서, 임펠러등에 열전도하기 어렵게 된다. 또 열파단부재에 열전도차단홈이 있다면, 상기의 보온병의 원리 및 공기의 교반작용에 의해 마찰열이 발산하고, 부가해서 열차단부재 자체의 열차단성에 의해서 열전도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임펠러등이 변형해서, 임펠러등과 케이싱이 맞닿아서 회전하지 않게 되거나, 케이싱에 구멍이 나거나 해서 펌프로서의 기능을 다할 수 없게 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케이싱과 축과의 사이에 앞쪽 고정베어링을 별체로 설치하고 있다면, 회전베어링과 축과의 사이의 마찰열은 앞쪽 고정베어링의 방열구멍, 도액통로에 의해 발산하고, 또 케이싱까지의 거리가 길기 때문에 앞쪽 고정베어링의 다른 표면으로부터도 발산하고, 케이싱 등에 열전도하기 어렵게 되어 케이싱등이 변형하지 않는다. 또한, 앞쪽 고정베어링에 열전도차단홈이 있다면 보다 한층 마찰열이 발산하여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회전베어링의 축방향 양쪽에 위치하고 또한 소정간격을 가지고 드러스트받침을 축에 각각 설치하고, 이들 드러스트받침과 축의 양단부를 지지하고 있는 고정베어링과의 사이에 완충부재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면, 공운전하였을 경우, 임펠러에 추력에 발생하지 않으므로 회전베어링과 드러스트받침과는 슬라이드하지 않고, 마찰열은 회전베어링과 축과의 사이에만 발생하게 된다. 통상 운전시 통상 운전으로부터 공운전으로의 이행시, 공운전으로부터 통상 운전으로의 이행시, 드러스트받침에 회전베어링이 맞닿도록 되나, 그때의 충격은 완충부재에 의해 완화된다. 따라서, 마찰열의 발생개소가 감소하므로 그만큼 상기의 효과를 얻기 쉬워진다.
또, 케이싱에 열전도차단홈을 형성한 드러스트받침링을 설치하고 또한 이 드러스트받침링에 미끄럼접촉하는 동시에 열전도차단홈을 형성한 마우스링을 상기 임펠러에 설치하고 있다면, 마찰열을 드러스트받침링 및 마우스링의 각각의 열전도차단홈에 의해서 발산한다. 따라서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있다.
또 공운전등이 되면, 회전베어링과 축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열에 의해 고정베어링 및 열차단부재는 열팽창하나, 축 및 회전베어링에 수축 끼워 맞추어져 있으므로, 고정베어링 및 열차단부재는 축 및 회전베어링에 대해서 느슨해지지 않아 덜거덩거리지 않는다. 따라서 임펠러 및 마그네트캔이 케이싱에 접촉하지 않아 파손되거나 균열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약액이 밖으로 유출해서 손해를 주거나 사용불가능이 되거나 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 케이싱내에 수납 또한 고정한 축에 마그네트캔을 회전가능하게 장착하고 임팰러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해서 이루어진 마그네트펌프에 있어서, 마찰열에 의한 열변형, 마모등의 원인에 의해 마그네트캔 및 임펠러의 회전편차가 발생하고, 이 회전편차가 케이싱의 내벽면과 마그네트캔 및 임펠러와의 갭량 이하의 소정량에 달하였을 때, 안전록부가 록해서 마그네트캔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케이싱에 마그네트캔 및 임펠러를 접촉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피할 수 없는 회전편차가 발생하여도, 임펠러 및 마그네트캔 및 임펠러를 접촉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피할 수 없는 회전편차가 발생하여도, 임펠러 및 마그네트캔이 케이싱에 접촉해서 파손되거나 균열이 발생하거나 하지 않으므로 약액이 밖으로 유출해서 손해를 주거나 사용불가능이 되거나 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임펠러와 동시에 축이 회전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케이싱(3)내에 수납 또한 고정한 축(6)에 회전가능하게 임펠러(8)를 장착하고, 상기 축(6)과 상기 임펠러(8)와의 사이에 열전도차단홈(25)을 형성한 회전베어링(7)과 열차단부재(40)를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열차단부재(40)에 열전도차당홈(40a)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펌프.
  3. 케이싱(3)내에 수납 또한 고정한 축(6)에 회전가능하게 임펠러(8)를 장착하고, 상기 케이싱(3)과 상기 축(6)과의 사이에 도액통로(5b)를 가지는 동시에 방열구멍(5c)을 형성한 앞쪽 고정베어링(5)을 별체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펌프.
  4. 제3항에 있어서, 앞쪽 고정베어링(5)에 열전도차단홈(5a)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펌프.
  5. 케이싱(3)내에 수납 또한 고정한 축(6)에 회전가능하게 임펠러(8)를 장착하고, 상기 축(6)과 상기 임펠러(8)와의 사이에 회전베어링(7)을 설치하고, 이 회전베어링(7)의 축방향 양쪽에 위치하고 또한 소정간격을 가지고 드러스트받침(22),(41)을 상기 축(6)에 각각 설치하고, 이들 드러스트받침(22),(41)과 상기 축(6)의 양단부를 지지하고 있는 고정베어링(5),(4)과의 사이에 완충부재(42),(43)를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펌프.
  6. 제5항에 있어서, 완충부재(42),(43)에 열전도차단홈(42a),(43a)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펌프.
  7. 케이싱(3)내에 수납 또한 고정한 축(6)에 회전가능하게 임펠러(8)를 장착하고, 상기 케이싱(3)에 열전도차단홈(50a)을 형성한 드러스트받침링(50)을 설치하고, 이 드러스트받침링(50)에 미끄럼접촉하는 동시에 열전도차단홈(51a)을 형성한 마우스링(51)을 상기 임펠러(8)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펌프.
  8. 케이싱(3)내에 수납 또한 고정한 축(6)에 마그네트캔(10)을 회전베어링(7)을 개재해서 장착하고, 임펠러(8)를 회전시켜 이루어지는 마그네트펌프로서, 상기 축(6)에 상기 케이싱(3)보다 내열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진 고정베어링(5),(4)을 상기 케이싱(3)과 상기 축(6)과의 사이에 위치해서 수축 끼워 맞추고, 또한 상기 회전베어링(7)에 상기 마그네트캔(10)보다 내열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진 열차단부재(40)를 상기 회전베어링(7)과 상기 마그네트캔(10)과의 사이에 위치해서 수축 끼워 맞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펌프.
  9. 케이싱(3)내에 수납 또한 고정한 축(6)에 마그네트캔(10)을 회전가능하게 장착하고, 임펠러(8)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해서 이루어진 마그네트펌프로서, 상기 마그네트캔(10) 및/또는 상기 임펠러(8)와 상기 케이싱(3)에 상기 마그네트캔(1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안전록부(30)를 형성하고, 상기 마그네트캔(10) 및 상기 임펠러(8)의 회전편차가 상기 케이싱(3)의 내벽면과 상기 마그네트캔(10) 및 상기 임펠러(8)와의 캡량 이하의 소정량에 달하였을 때, 상기 마그네트캔(10)의 회전을 상기 안전록부(30)에 의해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펌프.
  10. 케이싱(3)내에 수납 또한 회전가능하게 장착한 축(6)에 임펠러(8)를 고정하고, 상기 케이싱(3)에 열전도차단홈(50a)을 형성한 드러스트받침링(50)을 설치하고,이 드러스트받침링(50)에 미끄럼접촉하는 동시에 열전도차단홈(51a)을 형성한 마우스링(51)을 상기 임펠러(8)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펌프.
  11. 케이싱(3)내에 수납 또한 회전가능하게 장착한 축(6)에 임펠러(8)를 고정하고, 상기 축(6)과 상기 임펠러(8)와이 사이에 열전도차단홈(53a)을 형성한 고정베어링(53)을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케이싱(3)과 상기 축(6)과의 사이에 열전도차단홈(54a),(56a)을 형성한 회전베어링(54),(56)을 설치하고, 또한 상기 축(6)에 열전도차단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펌프.
  12. 케이싱(3)내에 회전베어링(54),(56)을 개재해서 장착한 축(6)에 마그네트캔(10)을 고정하고, 임펠러(8)를 회전시켜 이루어지는 마그네트펌프로서, 상기 회전베어링(54),(56)에 상기 케이싱(3)보다 내열성을 가진 열차단부재(57),(58)를 상기 케이싱(3)과 상기 회전베어링(54),(56)과의 사이에 위치해서 수축 끼워 맞추고, 또한 상기 축(6)에 상기 마그네트캔(10)보다 내열성을 가진 고정베어링(53)을 상기 축(6)과 상기 마그네트캔(10)과의 사이에 위치해서 수축 끼워 맞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펌프에 있어서의 풀림장지구조.
  13. 케이싱(3)내에 수납 또한 회전가능하게 장착한 축(6)에 마그네트캔(10) 및 임펠러(8)를 고정하고, 이 임펠러(8)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해서 이루어지는 마그네트펌프로서, 상기 마그네트캔(10) 및/또는 상기 임펠러(8)와 상기 케이싱(3)에 상기 마그네트캔(1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안전록부(60)를 형성하고, 상기 마그네트캔(10) 및 상기 임펠러(8)의 회전편차가 상기 케이싱(3)의 내벽면과 상기 마그네트캔(10) 및 상기 임펠러(8)와의 갭량 이하의 소정량에 달하였을 때, 상기 마그네트캔(10)의 회전을 상기 안전록부(60)에 의해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펌프.
KR1019900015494A 1990-02-14 1990-09-28 마그네트 펌프 KR9400117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3514 1990-02-14
JP2033514A JPH03237291A (ja) 1990-02-14 1990-02-14 マグネットポン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5793A KR910015793A (ko) 1991-09-30
KR940011716B1 true KR940011716B1 (ko) 1994-12-23

Family

ID=12388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5494A KR940011716B1 (ko) 1990-02-14 1990-09-28 마그네트 펌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54587A (ko)
EP (1) EP0447709B1 (ko)
JP (1) JPH03237291A (ko)
KR (1) KR940011716B1 (ko)
DE (1) DE6902053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9419B2 (ja) * 1993-02-18 1997-01-08 工業技術院長 人工心臓用ポンプ
CA2132582C (en) * 1993-11-12 1999-01-05 Paul Gergets Magnetically driven positive displacement pump and thrust bearing assembly
JP2665140B2 (ja) * 1994-02-03 1997-10-22 株式会社ワールドケミカル 自吸式ケミカルポンプ
DE10003018B4 (de) * 2000-01-25 2009-09-24 Atlas Copco Energas Gmbh Turboverdichter
EP1152151B2 (en) * 2000-05-05 2010-12-15 Argal S.r.l. Self aligning magnet pump
US7183683B2 (en) * 2005-06-23 2007-02-27 Peopleflo Manufacturing Inc. Inner magnet of a magnetic coupling
US7549205B2 (en) * 2005-06-24 2009-06-23 Peopleflo Manufacturing Inc. Assembly and method for pre-stressing a magnetic coupling canister
JP5465098B2 (ja) * 2010-06-14 2014-04-09 三菱電機株式会社 ポンプ及びヒートポンプ装置
JP5631236B2 (ja) * 2011-02-21 2014-11-26 三菱電機株式会社 ポンプ及びヒートポンプ装置
JP4969695B1 (ja) * 2011-09-15 2012-07-0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磁気カップリングポンプの駆動装置及び磁気カップリングポンプユニット
TW201317459A (zh) * 2011-10-26 2013-05-01 Assoma Inc 永磁罐裝泵結構改良
TW201320547A (zh) * 2011-11-03 2013-05-16 Assoma Inc 磁驅動泵浦之結構改良
WO2014004238A1 (en) * 2012-06-25 2014-01-03 Borgwarner Inc. Exhaust-gas turbocharger
DE102013007849A1 (de) * 2013-05-08 2014-11-13 Ksb Aktiengesellschaft Pumpenanordnung
CN104214128B (zh) * 2013-05-30 2017-05-17 高涵文 一种结构改进的磁力泵
CN105545760A (zh) * 2015-12-21 2016-05-04 安徽南方化工泵业有限公司 保温式金属磁力泵传动组件
NO344365B1 (en) * 2017-12-21 2019-11-18 Fsubsea As Magnetic coupling assembly
DE102019002392A1 (de) * 2019-04-02 2020-10-08 KSB SE & Co. KGaA Wärmesperre
CN112412867A (zh) * 2020-11-13 2021-02-26 九江德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污液泵泵轴密封垫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32252A (en) * 1966-06-01 1967-07-25 Carrier Corp Magnetic pumps for use in refrigeration systems
US3411450A (en) * 1967-03-07 1968-11-19 Little Giant Corp Pump
US3513942A (en) * 1967-11-27 1970-05-26 Teikoku Denki Seisakusho Kk Device for lubricating a bearing for use in a canned motor pump and an agitator
US3520642A (en) * 1968-10-29 1970-07-14 Process Ind Inc Motor driven pump
JPS4938641B1 (ko) * 1970-08-06 1974-10-19
JPS4826961U (ko) * 1971-08-03 1973-03-31
US4115038A (en) * 1975-01-27 1978-09-19 Litzenberg David P Motor driven pump
JPS51111902A (en) * 1975-03-26 1976-10-02 Iwaki:Kk Magnet pump
DE2619062A1 (de) * 1976-05-03 1977-12-01 Bosch Gmbh Robert Kraftstoffoerderaggregat bestehend aus pumpe und elektromotor
FR2389784B1 (ko) * 1977-05-06 1984-02-24 Siebec Filtres
US4135863A (en) * 1977-09-30 1979-01-23 Little Giant Corporation Impeller for a magnetically coupled pump
JPS608494B2 (ja) * 1978-03-01 1985-03-04 富士通株式会社 ポジ型レジスト像の形成法
DE3016681C2 (de) * 1980-04-30 1986-01-02 Klein, Schanzlin & Becker Ag, 6710 Frankenthal Wärmesperre für stopfbuchslose Hochtemperaturumwälzpumpen
JPS5882779A (ja) * 1981-11-12 1983-05-18 Hitachi Koki Co Ltd ノンインパクトプリンタにおける用紙自動装填方法
JPS6179899A (ja) * 1984-09-26 1986-04-23 Aisin Seiki Co Ltd ウオ−タポンプのベアリング固定方法
DE3508483A1 (de) * 1985-03-09 1986-10-23 Leybold-Heraeus GmbH, 5000 Köln Gehaeuse fuer eine turbomolekularvakuumpumpe
US4661044A (en) * 1985-05-24 1987-04-28 Goulds Pumps, Incorporated Pump having a bushing removal mechanism
JPS6338732A (ja) * 1986-08-01 1988-02-19 Kinugawa Rubber Ind Co Ltd 弾性支持マウント
DE3712459A1 (de) * 1987-04-11 1988-10-27 Klaus Union Armaturen Magnetischer pumpenantrieb
DE8706954U1 (ko) * 1987-05-14 1987-07-02 Hermetic-Pumpen Gmbh, 7803 Gundelfingen, De
JPS6413328A (en) * 1987-07-03 1989-01-18 Nec Corp Plating jig stock device
DE3825326A1 (de) * 1988-07-26 1990-02-01 Kugelfischer G Schaefer & Co Waelzlager fuer abgasturbolader
US5046920A (en) * 1989-02-23 1991-09-10 Fuji Electric Co., Ltd. Bearing cooling system in horizontal shaft water turbine generator
DE3906785A1 (de) * 1989-03-03 1990-09-06 Kugelfischer G Schaefer & Co Waelzlagergehaeuse aus druckguss
JP3099893B2 (ja) * 1990-10-29 2000-10-16 株式会社東芝 ビデオ・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154587A (en) 1992-10-13
KR910015793A (ko) 1991-09-30
EP0447709A2 (en) 1991-09-25
DE69020536T2 (de) 1996-03-14
EP0447709A3 (en) 1991-12-04
DE69020536D1 (de) 1995-08-03
EP0447709B1 (en) 1995-06-28
JPH03237291A (ja) 1991-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11716B1 (ko) 마그네트 펌프
TW499551B (en) Magnet pump
EP1788290B1 (en) Mechanical seal device
CA2143664C (en) Enclosure for brittle mechanical seal face materials
EP1288542B1 (en) Mechanical sealing device
US3806135A (en) Cooling seal
BRPI0911274B1 (pt) conjunto de vedação pressurizado internamente
JPH0257240B2 (ko)
US9709172B2 (en) Rotor shaft seal assembly
US8186687B2 (en) Cartridge seal device
CN108692029B (zh) 机械密封件
US20230013815A1 (en) Mechanical sealing device for sealing liquid
US3485178A (en) Centrifugal pump with unitary inlet bushing and wear plate
JPH07103869B2 (ja) マグネットポンプのセイフティロック機構
KR20000052279A (ko) 로터리 조인트
GB2482157A (en) A seal assembly for sealing a rotating shaft
JP2550398B2 (ja) マグネットポンプ
JPH094721A (ja) メカニカルシール
EP3077709B1 (en) Rotor shaft seal assembly
JPH0730954Y2 (ja) マグネットポンプにおける緩み防止構造
JP2005201054A (ja) ポンプ
WO2023149004A1 (ja) モータポンプおよびモータポンプ組立体
US20110156360A1 (en) Seal device
ITTO960380A1 (it) Gruppo girevole di supporto per rotatore di pompa da vuoto.
JP2004169577A (ja) ポンプのライナリ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0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