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0853B1 - 자동전화 응답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전화 응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0853B1
KR940010853B1 KR1019860007246A KR860007246A KR940010853B1 KR 940010853 B1 KR940010853 B1 KR 940010853B1 KR 1019860007246 A KR1019860007246 A KR 1019860007246A KR 860007246 A KR860007246 A KR 860007246A KR 940010853 B1 KR940010853 B1 KR 940010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m
recording
tape
ogm
record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7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2710A (ko
Inventor
다다시 야마모또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2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0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0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04M1/651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using magnetic t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전화 응답장치
제 1a 및 1b 도는 OGM 테이프 및 ICM 테이프의 테이프 포멧을 도시.
제 2 도는 OGM 재생 및 ICG 기록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선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기록/재생 회로의 블럭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OGM 테이프 2 : ICM 테이프
5, 6 : OGM 81내지 8n-1, 10 내지 10n-1: 묵음부
91내지 9n-l, 11 : 큐신호
본 발명은 자기테이프상에 사전에 기록되어 있는 OGM(출력 메세지)를 호출통화자에게 전달하고, 호출통화자로부터의 ICM(입력 메세지)을 자기테이프상에 기록하고, 나중에 기록된 메세지를 재생할 수 있는 자동전화 응답장치에 관한 것이다.
입력 호출의 수신에 의하여, 종래 자동전화 응답장치는 제 1자기테이프상에 기록되고 자동기록의 개시를 표시하는 OGM을 전화선을 통하여 호출 통화자에게 전달하고, 이후에 호출 통화자 부터의 ICM을 제 2자기테이프상에 기록한다. 이러한 형의 장치에 있어서, 자기테이프상에서 OGM 또는 ICM의 개시 또는 종료를 발견하기 위해서, 자기테이프의 위치 검출이 수행되어져야 한다. 종래의 위치 검출시스템에 있어서, 자기테이프의 희망위치에 대응하는 릴 테이블의 회전수가 기억되어져 주어진 테이프 운동동안 릴 테이프의 회전수는 계수기에 의해 검출된다. 검출된 값은 기억된 값과 비교되어 자기테이프의 희망위치를 검출하게 된다. 다른 종래의 시스템에 있어서, 큐(cue) 신호는 테이프 상에 기록되어지며, 자기테이프의 희망위치를 검출하도록 재생된다.
그러나, 전자의 방법에 있어서, 릴 테이블의 회전수에 의하여, 테이프 구동기구, 회전 검출기구 및 릴 테이블의 제동 특성 등과 같은 고정밀도가 요구된다. 또한, 제어회로에서 사용된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프로그램은 복잡하다. 그러므로, 이러한 검출방법은 필연적으로 장치의 코스트를 증가시킨다.
큐 신호를 사용하는 후자의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ICM에 대한 분할신호와 모든 ICM에 대한 종료신호는 서로 구별됨이 없이 정상적으로 기록된다. 그러므로, ICM 사이에서의 분할은 검출동안 모든 ICM의 종료와 구별될 수가 없게 된다.
다른 시스템에 있어서, 서로 다른 주파수의 큐 신호가 각각의 ICM 사이의 분할 및 모든 ICM의 종료에서 기록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서로 다른 주파수 신호를 형성하는 회로와 이들 신호를 검출하는 회로를 필요로 한다.
또한, 전화 장치가 자동응답 모드로 셋트될때 가장 최근에 기록된 ICM의 종료를 표시하는 큐 신호를 기록할 수 있는 다른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에 있어서는, 만일 테이프 카셋트가 자동응답모드 동안 장치에서 제거되면, 종료 신호를 테이프상에 기록될 수가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ICM 사이의 분할을 명확히 하고, 최종 상기 분할을 ICM의 종료와 구별하고, 복잡한 회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고징밀도를 갖는 기록매체의 위치 검출을 수행할 수 있는 자동전화 응답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ICM을 기록하는 기록매체의 기록포맷을 가져 다수의 기록된 ICM간의 분할과 모든 ICM의 종료를 명확히 식별 및 검출하는 자동전화 응답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새로운 ICM이 기록될때마다, 모든 ICM의 종료를 표시하는 검출 신호를 기록할 수 있는 자동전화 응답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ICM간의 분할 신호와 모든 ICM의 종료신호를 동일주파수의 발신음 신호를 사용하여 형성하고, 신호의 길이에 관하여 이들 신호는 식별할 수 있는 자동전화 응답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 묵음부 간의 각각의 ICM에 대한 분할신호를 기록하고, 묵음부를 형성함으로써 구 종료신호를 신 분할신호로 쉽사리 변형시킬 수 있는 자동전화 응답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상에 따라, 상술 및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것을 구비한 자동전화 응답장치의 설비에 의해 달성되는데 즉, 호출 통화자로부터의 호출에 응답하여 호출 통화자에게 전달되어지는 출력메세지를 기록하는데 제 1기록매체, 출력 메세지가 호출통화자에게 전달되어진 후에 제 2 기록매체의 주어진 방향을 따라 호출 통화자로부터의 입력 메세지를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제 2기록매체, 호출 통화자로부터의 제 1입력 메세지가 제 2기록 매체상에 기록되어진 후에 소정의 지속기간을 갖는 제 1묵음부 동작을 제 2기록 매체상에 기록하고 제 1뮤팅 동작후에 소정의 지속기간을 갖는 제 1제어신호를 제 2기록매체상에 기록하는 기록수단, 제 1제어신호의 중간부가 기록 수단에 대향되는 정도의 영역에 제 1제어신호가 기록되어진 후에 제 2기록매체를 이동하는 수단, 제 2기록매체가 적소에 고정되는 동안 새로운 호출 통화자로부터의 입력 호출에 응답하여 출력 메세지의 재생 및 전송을 인에이블시키는 입력 호출 대기 모드를 설정하는 수단, 입력 호출 대기모드로 새로운 호출 통화자로부터의 입력 호출에 응답하여 출력 메세지를 재생 및 전송하고 제 2기록 매체를 전진 이동시키는 수단이며, 상기 기록 수단은 상기 제 2기록매체상에 소정의 지속기간을 갖는 제 2묵음를 기록하여, 제 1제어신호는 제 1제어신호의 것보다 짧은 지속기간을 갖으며 제 1뮤팅부와 제 2묵음부 사이에 위치되는 제 2제어신호를 형성하도록 변형되며, 상기 기록 수단은 제 2묵음부 후에 상기 제 2기록 매체상에 새로운 호출 통화자로부터의 제 2입력 메세지를 기록하도록 위치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주어진 참조문자는 항상 동일 소자나 부분을 표시하는 첨부된 도면에 관하여 적합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기술하고자 한다.
이하의 기술에 있어서, 응답 메세지는 OGM(출력 메세지)로서 참조되며, 호출 통화자로부터의 메세지는 ICM(입력 메세지)로서 참조된다. 적합한 실시예에 있어서, 자동전화 응답장치는 OGM을 기록하는 OGM테이프(1) 및 이의 세로방향을 따라 다수의 ICM을 기록하는 ICM 테이프(2)와, 테이프(1 및 2)를 각각 구동시키는 제 1및 제 2테이프 구동 기구를 포함한다.
제 1a 및 1b 도는 OGM 테이프(1) 및 ICM 테이프(2) 각각의 테이프 기록 포멧을 도시한다.
서로 다른 내용을 갖는 제 1OGM(5) 및 제 OGM(6)은 테이프의 세로 방향을 따라 OGM 테이프(1)상에 기록되며, 선택적으로 재생된다. ICM 테이프(2)는 이 테이프의 세로방향을 따라 이 테이프상에 각각 ICM1내지 ICMn으로서 식별된nICM을 기록한다. 마이크로 카셋트 테이프가 테이프(1 및 2)로서 사용된다.
OGM 테이프(1)는 테이프 상단으로부터 다음의 기록내용을 갖는다. 즉 3초 묵음부(31), 2초 큐신호(41), 2초 묵음부(32), 소정의 시간 주기를 갖는 제 1OGM(5), 2초 큐신호(42), 2초 묵음부(33), 소장의 시간 주기를 갖는 제 2OGM(6), 2초 묵음부(34)이다. 제 1 및 제 2OGM(5 및 6)은 최대 60초 동안 기록될 수 있다.
ICM 테이프(2)는 테이프 상단으로부터 2초 묵음부(7)를 기록하고 다음에는 순차적으로 ICM1내지 ICMn으로서 식별된nICM을 기록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1초 뮤팅부(81내지 8n-1), 0.5초 큐신호(91내지 9n-1) 및 2초 묵음부(101내지 10n-1)로 구성되어 있는 식별부는 ICM1에서 ICMn까지 각각 두개의 인접한 ICM 사이에 각각 기록된다. 최종 ICM 즉, ICMn후에, 1초 묵음부(8n) 및 2초 큐신호(11)가 기록된다. 2초 큐신호(11)는 모든 ICM1내지 ICMn의 모든 ICM에 대해 종료신호로서 작용한다. 큐신호는 오디오 주파수대내의 발신음 신호이다.
지금부터 OGM 테이프(1)상에 제 1및 제 2OGM(5 및 6)을 기록하는 동작에 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장치에 제공되어 있는 OGM 키 및 키가 동시에 눌러졌을때, REC 램프는 발광되며, OGM 테이프(1)는 이 테이프 상단으로 되감긴다. 그 다음에, 3초 동안 삭제 동작이 수행되며, 2초 동안 큐신호가 기록되며, 또 다시 2초 동안 삭제 동작이 수행되어짐으로써, 자동적으로 묵음부(31), 큐신호(41) 및 묵음부(32)를 기록한다. 이 부는 제 1OGM(5)의 상단 표시로서의 역할을 한다. 테이프(1)는 다음에 정지되며, REC 램프는 섬광되어, OGM-REC 사전 동작이 완료된 것을 알려준다. REC 키가 다시 눌려지면, REC 램프는 성광상태로 발광되어 장치는 OGM-REC 모드로 설정된다. 사용자는 장치내에 내장된 마이크로폰을 통해 OGM(5)을 기록한다. OGM(5)는 최대 60초 동안 기록될 수 있다. 그러나, 기록이 60초로 완료되면, 제 1OGM(5)의 기록은 정지키를 누름으로써 종료될 수 있다. 제 1OGM(5)의 기록후에, 큐신호는 2초 동안 기록되며 삭제 동작이 2초 동안 수행되어, 자동적으로 큐신호(42) 및 묵음부(33)를 기록한다. 테이프(1)이 다음에 정지된다. 이때, REC 램프는 섬광되어 제 2OGM(6)에 대한 OGM-REC 사전 동작이 완료되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이후에, 제 2OGM(6), 큐신호(43) 및 묵음부(34)가 제 1OGM(5)의 기록에서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기록된다.
지금부터 ICM을 기록하는 동작에 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OGM 테이프(1) 및 ICM 테이프(2)가 장치내에 장전되며, 자동응답 모드가 설정되며, 제 1 또는 제 2OGM(5 또는 6)이 선택된다. 자동응답 모드가 설정되며, 자동응답 램프가 발광된다. 동시에 ICM 테이프(2)는 이 테이프 상단으로 되감긴다.
OGM 테이프(1)가 테이프 상단으로 되감긴 후에, 선택된 제 1 또는 제 2OGM(5 또는 6)의 개시가 탐색된다.
제 1OGM(5)이 선택되면, 큐신호(41)는 테이프 상단으로부터 7초 내에서 1.2초 또는 보다 긴 동안 검출될 수 있으며, 묵음부(32)는 이후에 3초 내에서 1.2 동안 검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 1OGM(5)이 적절한 포맷으로 기록되며, 테이프(1)가 정지되는 것이 판단된다. 그러므로, 만일 제 1OGM(5)이 제 1a 도에서 도시된 적절한 포맷으로 기록되면, OGM 기록/재생 헤드는 제 1a 도에서 도시된 점 a에서 정지된다.
제 1OGM(5)의 개시가 탐색되어진 후에, 제 2OGM(6)이 선택되면, 큐신호(42)는 70초 내에서 검출될 수 있으며, 묵음부(33)는 이후에 3초 내에 검출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 2OGM(6)은 적절한 포맷으로 기록되며, 테이프(1)가 정지되는 것을 판단한다. 적절한 테이프 포맷이 만족되지 않으면, 자동응답 램프가 섬광되어 자동응답 모드가 취소된다.
상기 준비로 인하여, 장치는 입력호출대기 모드로 설정된다. 이 모드에서, 제 1OGM(5)이 선택되면, OGM 기록/재생 헤드는 제 1a 도의 점 a에서 재생을 하기 위해 대기하며, ICM 기록/재생 헤드는 ICM 테이프(2)의 테이프 상단 위치에서 기록하기 위해 대기한다.
대기 모드시에, 제 1입력 호출의 수신에 의해, 전화선이 연결되어, OGM 재생 및 ICM 기록은 제 2 도에서 도시된 단계를 통하여 수행된다.
(1) 먼저, OGM 테이프(1)는 점
Figure kpo00002
로부터 재생되며, 제 1OGM(5)은 전화선을 통해 호출 통화자로 전달된다.
(2) 제 1OGM이 재생된 후에, 큐신호(42)는 1.2초 동안 재생되며, OGM 테이프(1)는 정지되며, 동시에, ICM 테이프(2)가 삭제 동작으로 되도록 개시된다. 이때, 발신음, 즉, 큐신호(42)의 재생음이 호출 통화자에게 전달된다.
(3) 1.2초 발신음(큐신호(42)의 재생음, 바로 후에, 다른 발진기로부터 나온 동일한 발신음 신호는 전화선을 통해 연속적으로 호출 통화자에게 전달된다. 그러므로, 호출 통화자는 적어도 1.2초 동안은 발신음을 듣게 된다. 동시에, ICM 테이프(2)는 묵음부(7)를 기록하도록 2초 동안 삭제되며, ICM 기록/재생 헤드는점 b에 도달한다.
(4) 발진기로부터의 발신음의 전송과 묵음부(7)의 기록후에, 장치는 ICM-REC 모드로 설정되고, 호출통화자로부터의 ICM1이 테이프(2)의 점 b에서 부터 기록된다.
(5) 전화선이 단절되거나, 호출 통화자의 메세지나 음성의 음이 중단되거나, 소정의 시간주기(예를들어, 60초)가 통과되는 것이 검출될때, ICM1의 완료가 검출되며, 발진기로부터의 발신음을 호출 통화자로 전달하는 동안, ICM1바로 후에 1초 삭제 동작이 수행되어, 묵음부(81)를 기록한다. 차후에, 2초 큐 또는 제어신호(12)가 기록되며, ICM 테이프(2)가 정지된다. 2초 큐 또는 제어신호(12)의 기록동안, ICM 테이프(2)의 주행량은 릴 장착의 회전수에 따로 계수기에 의해 계수된다.
(6) 다음에, 테이프(2)는 계수기가 "0"로 하향계수될때까지 되감긴다. 이로써, ICM 테이프(2)는 묵음부(81)와 2초 큐신호(12) 사이의 경계 부근에서 정지된다.
(7) ICM 테이프(2)는 다음에 0.2초 동안 전진 주행한다. 이러한 테이프 주행으로, ICM 기록/재생 헤드(13) 및 ICM 삭제 헤드(14)는 제 2 도의
Figure kpo00003
로 표시된 큐신호(12)의 중간부에 도달한다. 이러한 장치에서, ICM 삭제 헤드(l4)는 0.3초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ICM 기록/재생 헤드(13)보다 앞서 배열된다. 즉, ICM 삭제 헤드(14)는 0.5초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묵음부(81)와 큐신호(12)간의 경계보다 앞서는 위치에서위치된다. ICM 기록/재생헤드(13) 및 ICM 삭제 헤드(14)는 이들 위치에서 제 2입력 호출을 대기한다. 2초 동안 기록된 큐신호(12)는 아직도 ICM 테이프(2)상에 남아 있다. 반면에, OGM 테이프(1)는 되감기며, 제 1OGM(5)의 개시가 위치설정된다.
(8) 이러한 상태의 제 2입력 호출의 수신기에 의하여, 전화선이 연결되며, OGM 테이프(1)의 제 1OGM(5)이 상기와 같이 동일한 방법으로 재생된 후에, 발진기로부터 나온 2초 발신음 및 OGM 테이프(1)의 큐신호(42)의 1.2초 재생음이 전달되며, OGM 테이프(1)는 2초 동안 삭제된다. ICM 삭제 헤드(14)의 2초 삭제 동작이 제 2 도의 위치 d에서 부터 개시되기 때문에, 제 1큐 또는 제어신호(12)는 약 0.5초에 상당하는 부를 제외하고는 삭제된다. 나머지 부(변형된 큐 또는 제어신호)는 제 2큐 또는 제어신호(91)로서의 역할을 한다.
(9) ICM2는 단계(4) 및 (5)에서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ICM 테이프(2)상에 기록되며, 묵음부(82) 및 2초 큐신호(16)는 이후에 기록된다. ICM 테이프(2)는 단계(6) 및 (7)에서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되감기 묵음부(82)와 큐신호(16)간의 경계부근에서 정지된다. 이후에 ICM 테이프(2)는 ICM 삭제 헤드(14)가 약0.5초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묵음부(82)와 큐신호(16)간의 경계보다 앞서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전진 주행한다. 그 다음에, 장치는 제 3입력 호출을 대기한다. 2초 큐신호(16)는 제 1b 도의 최종 ICM 후에 기록된 2초 큐신호(11)와 동일하다. 즉, ICM3가 기록되지 않으면, 큐신호(16)는 모든 기록된 ICM의 종료 신호로서의 역할을 한다.
(10) 만일 ICM3가 기록되면, 큐신호(16)는 단계(8)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제 1b 도의 0.5초 큐신호(92)가 되도록 변형된다.
(11) 상기와 같은 동일한 동작은 ICM3내지 ICMn의 ICM을 순차적으로 기록하도록 반복되어, 제 1b 도에서 도시된 ICM 테이프(2)의 기록 포맷을 완료한다.
다음에, ICM 재생에 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ICM 테이프(2)가 재생될때, 장치는 자동응답 모드에서 수동모드로 전환된다. ICM 테이프(2)가 테이프 상단으로 되감긴후에, ICM 내지 ICMn의 ICM은 순차적으로 재생되어, 사용자는 확성기를 통해 이들을 들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0.5초 큐신호(91내지9n-1)도 또한 재생된다. 그러므로, 각각의 ICM의 분할은 0.5초 동안 재생된 발신음으로 식별될 수 있다. 최종 ICM, 즉 ICMn후에, 모든 ICM의 종료신호로서의 역할을 하는 큐신호(11)의 재생은(즉, 발신음)은 2초 동안 재생되어, ICM의 종료는 쉽사리 발견될 수 있다. 다음에 사용자는 이들 발신음을 검출함으로써 희망의 위치에서 ICM 테이프(2)를 정지시킬 수 있다. 교체로, ICM 테이프(2)는 2초 큐신호(11) 및 상당하는 2초 발신음의 검출에 의해 자동적으로 정지될 수 있다.
상기 동작중 단계(6)에서, ICM 테이프(2)가 하향계수 동안 되감기 정지되면, ICM 테이프(2)는 큐신호(12)의 개시를 넘어서며 릴 테이블의 관성에 의해 묵음부(81)로 약간 진입하는 위치에서 정지된다. 만일 묵음부(81)가 기록되지 않으면, ICM 테이프(2)는 ICM1에 진입하여 정지되어, 오기능을 유발시킨다. 그러므로, 제 1b 도의 묵음부(81내지 87)는 ICM과 큐신호(91내지 9n-1),(11)등과 같은 사이에서 버퍼 영역으로서 제공된다.
본 발명은 단계(6) 및 (7)에서 기술된 특성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들어, 큐신호(12)가 기록된 후에, ICM 테이프(2)는 대기 모드로 설정되도록 되감길 수 있으므로 기록/재생헤드(13)는 0.2초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큐신호(12)의 개시보다 앞서는 위치에 직접 위치되며, 삭제헤드(14)는 약 0.5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큐신호(12)의 개시보다 앞서는 위치에 위치된다. 이것은 또한 상술된 결과를 제공한다.
제 1b 도에서 도시된 묵음부(101내지 10n-1)가 기록되지 않을때, 만일 호출 통화자가 OGM이 완료된 후에 바로 수화기를 놓는다면, 큐신호(92)가 큐신호(91)후에 거의 바로 기록된다. 재생동안, 큐신호가 0.5초 이상 재생되므로, 모든 ICM의 종료신호와 혼동될 수 있으며 테이프(2)는 정지될 수 있다. 묵음부(101내지10n-1)는 이러한 것을 방지하도록 제공된다. ICM1전에 묵음부(7)는 2초의 지속 기간을 갖는다. 그러나, 삭제 지속기간이 불충분하고 ICM1의 개시가 기록되지 않을때는, ICM 테이프(2)는 자동응답 모드가 설정될때 처음으로 테이프상단 에러부터 3초 동안 삭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묵음부(7)는 5초의 지속 기간을 갖는다.
제 3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OGM 및 ICM을 기록/재생하는 회로를 도시한다.
제 3 도에서, 참조번호(21)는 수화기 단자를, (22)는 라인 단자를, (23)은 입력 호출의 수신에 의해 전화선을 단락하거나 원시 호출의 다이얼링을 허용하는 종단회로를 표시한다. 자동전화 응답장치는 절연 변압기(24), 스위치(25 내지 31), 제 2 도에서 도시된 ICM 기록/재생 헤드(13), ICM 삭제헤드(14), OGM 기록/재생 헤드(32), OGM 삭제 헤드(33), 바이어스 발진기(3, 1), OGM을 기록하는 마이크로폰(37), 기록 증폭기(38), 재생 증폭기(39), 증폭기(40), 모니터 스피커(41), 묵음 트랜지스터(42), 큐신호 및 발신음 발진기(43), 큐신호 검출회로(41),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사용한 제어기(45), 제어기를 외부적으로 동작하는 키보드(46), OGM 테이프(1) 및 ICM 테이프(2)를 구동시키는 제 1및 제 2테이프 구동기구(47)를 구비한다.
상기 장치에서, 제어기(45)는 상술된 기록/재생 동작 단계에 따라, 스위치(25 내지 31), 발진기(43), 테이프 구동기구(43), 묵음 트랜지스터(42)등과 같은 것을 소정의 타이밍 동안 동작시킨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ICM1내지 ICMn과 같은 다수의 ICM 사이에서의 분할은 0.5초 큐신호(발신음)로 명백히 검출될 수 있다. 묵음부가 분할신호 된후에 기록되어지므로, 검출에 대한 오기능은 신뢰성있게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재생동안, 분할신호는 큐신호(발신음)의 지속기간에 따라 모든 ICM의 종료신호와 명백하게 구별될 수 있다. 테이프가 되감길때 릴 테이블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계수기는 16-계수(4-비트) 계수일 수 있다. 그러므로,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프로그램은 간단하다. 모든 ICM의 분할신호 및 종료신호는 각각의 ICM이 기록될때 기록되어지며, 만일 카셋트가 자동응답 모드 상태인 동안 장치에서 제거되면, 모든 ICM의 종료 신호는 아직도 기록될 수가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따라 상술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새롭고 고효율성의 자동전화 응답장치가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형은 본 기재를 고려하여 본 기술에 능숙한 사람에게는 쉽사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만 국한된다.

Claims (1)

  1. 자동전화 응답장치로서, 호출 통화자로부터의 호출에 응답하여 호출 통화자에게 전달하는 출력 메세지를 기록하는 제 1기록매체, 출력 메세지가 각각의 호출 통화자에게 전달된 후 제 2기록매체의 주어진 방향을 따라 호출 통화자로부터의 입력 메세지를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제 2 기록매체, 호출 통화자로부터의 제 1입력 메세지가 상기 제 2기록매체상에 기록된 후에 소정의 지속 기간을 갖는 제 1묵음부를 상기 제 2기록매체상에 기록하고, 상기 제 1묵음부 후에 소장의 지속 기간을 갖는 제 1제어신호를 상기 제 2기록매체상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 상기 제 1제어 신호의 중간부가 상기 기록 수단에 대향하는 정도의 위치에서 제 1제어신호를 기록한 후에, 상기 제 2기록매체를 이동하는 수단, 제 2기록매체가 적소에 위치되는 동안 새로운 호출 통화자로부터의 입력 호출에 응답하여 출력 메세지의 재생 및 전송을 인에이블정하는 입력 호출 대기 모드를 설정하는 수단, 입력 호출 대기 모드로 상기 새로운 호출 통화자로부터의 상기 입력 호출에 응답하여 출력 메세지를 재생 및 전송하고 상기 제 2기록매체를 전향으로 이동하는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기록 수단은 소정의 지속 기간을 갖는 제 2묵음부를 상기 제 2기록매체상에 기록하여, 상기 제 1제어신호가 상기 제 1제어 신호의 것보다 짧은 지속기간을 갖으며 상기 제 1묵음부와 상기 제 2묵음부 사이에 위치되는 제 2제어 신호를 형성하도록 변형되며, 상기 기록 수단은 상기 제 2묵음부 후에 상기 새로운 호출 통화자로부터의상기 입력 메세지를 상기 제 2기록매체상에 기록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화 응답장치.
KR1019860007246A 1985-08-31 1986-08-30 자동전화 응답장치 KR9400108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192454A JPH077982B2 (ja) 1985-08-31 1985-08-31 留守番電話装置
JP192454 1985-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710A KR870002710A (ko) 1987-04-06
KR940010853B1 true KR940010853B1 (ko) 1994-11-17

Family

ID=16291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7246A KR940010853B1 (ko) 1985-08-31 1986-08-30 자동전화 응답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710950A (ko)
EP (1) EP0216528B1 (ko)
JP (1) JPH077982B2 (ko)
KR (1) KR940010853B1 (ko)
CA (1) CA1256617A (ko)
DE (1) DE3672546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7803A (en) * 1987-06-02 1989-06-06 Hashimoto Corporation Telephone answering device having function of playback without rewinding tape
GB2208260B (en) * 1987-07-14 1991-03-27 Hashimoto Corp Telephone answering device having immediate playback function
US4881260A (en) * 1987-12-16 1989-11-14 Inventa Electronics Co., Ltd. Automatic telephone answering device with multiple outgoing messages and selecting mean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23606A (en) * 1976-04-09 1977-10-18 Sony Corp Recorder/reproducer
US4192971A (en) * 1977-03-25 1980-03-11 Iwasaki Tsushinki Kabushiki Kaisha Remote-controllable automatic telephone answering device
JPS5921110B2 (ja) * 1978-05-22 1984-05-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磁気テ−プの自動検索再生装置
JPS5545258A (en) * 1978-09-25 1980-03-29 Sanyo Electric Co Ltd Time display unit of automatic answering telephone set
US4230909A (en) * 1978-11-03 1980-10-28 Quasar Microsystems, Inc. Telephone answering machine
JPS56158561A (en) * 1980-05-12 1981-12-07 Sony Corp Automatic answering telephone set
JPS573461A (en) * 1980-06-09 1982-01-08 Sony Corp Automatic answering telephone device
JPS59198551A (ja) * 1983-04-27 1984-11-10 Pioneer Electronic Corp テ−プレコ−ダ
JPS60112349A (ja) * 1983-11-22 1985-06-18 Tamura Electric Works Ltd 留守番電話装置
JPS59207040A (ja) * 1984-01-18 1984-11-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録音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16528A3 (en) 1989-01-25
JPH077982B2 (ja) 1995-01-30
EP0216528A2 (en) 1987-04-01
KR870002710A (ko) 1987-04-06
CA1256617A (en) 1989-06-27
US4710950A (en) 1987-12-01
DE3672546D1 (de) 1990-08-16
JPS6251860A (ja) 1987-03-06
EP0216528B1 (en) 1990-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34667B2 (ko)
US4654485A (en) Single frequency remote control of telephone answering device accomplishes several functions dependent on the present state of the device
KR940010853B1 (ko) 자동전화 응답장치
US4230909A (en) Telephone answering machine
JPS5919461A (ja) 留守番電話装置
JPS6337991B2 (ko)
KR930001828B1 (ko) 부재중 녹음 전화장치
JPH0129884Y2 (ko)
JPS6124855B2 (ko)
KR930005080B1 (ko) 더블데크 카세트 레코더에서의 원격 자동녹음 및 재생방법
JPS61147659A (ja) 通話録音方式
JPH027215B2 (ko)
JP2502538B2 (ja) 留守番電話装置
JPH0422386B2 (ko)
JP2543042B2 (ja) 留守番電話装置
JPH0132441Y2 (ko)
JPS6173462A (ja) 早送り頭出し機能を有する留守番電話装置
JPS6358419B2 (ko)
JPS6259946B2 (ko)
JPH027216B2 (ko)
JPH027214B2 (ko)
JPS6231241A (ja) 留守番電話装置
JPS5951647A (ja) 留守番電話装置
JPH0669191B2 (ja) 留守番電話装置
JPH036021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