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9453B1 - 프린터의 눌데이타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프린터의 눌데이타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9453B1
KR940009453B1 KR1019910002725A KR910002725A KR940009453B1 KR 940009453 B1 KR940009453 B1 KR 940009453B1 KR 1019910002725 A KR1019910002725 A KR 1019910002725A KR 910002725 A KR910002725 A KR 910002725A KR 940009453 B1 KR940009453 B1 KR 940009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haracter
pattern
buffer
pr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2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6263A (ko
Inventor
정성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02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9453B1/ko
Publication of KR920016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6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9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 Character Spaces And Line Spaces In Prin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프린터의 눌데이타 처리방법
제 1 도는 프린터 시스템의 하드웨어 블럭도.
제 2 도는 종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기 제 1 도중 RAM(14)의 메모리 맵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흐름도.
제 4 도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의 데이타 구성도.
본 발명은 프린터의 프린팅 속도를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눌(Null)데이타를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프린팅 속도를 높일 수 있는 프린터의 눌데이타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리얼 도트 매트릭스(serial Dot Matrix) 프린터등에서의 프린팅 속도는 시스템의 성능과 직결 되므로, 프린터의 인쇄 속도를 개선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프린팅 방법을 제 1 도 및 제 2 도를 참조하여 간략히 기술하면, 우선 제 1 도의 호스트(Host)에서 SIO(Sirial Input Output)(5)를 통해 입력되는 코드(Code)는 제어코드 및 인자코드로 나누어 진다.
상기 인자코드 중에는 실제의 이미지(Image)를 가진 코드와, 이미지를 갖지않는 스페이스 코드(예를들어 "20H")가 있다.
마이컴(10)은 상기 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ROM(12)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순차적으로 프로세싱하여 상기 코드를 RAM(14)에 저장한후 이에 해당되는 이미지를 폰트 ROM(16)에서 리드하여 출력할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후 상기 마이컴(10)은 모터 구동부(20)로 인자를 프린팅 하기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모터 구동부(20)는 모터를 구동하여 프린트헤드(30)가 실제의 인자를 원고상에 인쇄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 1 도의 RAM(14) 영역내에는 상기 코드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입력버퍼(2a)와, 상기 코드를 해석하여 인자코드일 경우 이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상기 폰트 ROM(16)에서 리드하여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패턴버퍼(2b)와, 상기 패턴버퍼(2b)의 처리된 이미지를 출력 직전에 저장하기 위한 출력 버퍼(2c)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제 2 도에 나타나 있다. 상기 제 2 도에서 예를들어 상기 입력버퍼(2a)의 해당 영역(20-26)에 16진수의 각 아스키코드(ASCII Code)들이 들어 있다면, 상기 마이컴(10)은 상기 패턴 버퍼(2b)에서 상기 각 코드들에 해당되는 이미지를 리드하여 처리한후 상기 출력버퍼(2c)에 저장한다. 이 경우에 상기 출력버퍼(2c)의 각 해당 영역(27-32)에는 각각 A, B, C, ( ), ( )가 들어 있다.
따라서 상기 마이컴(10)은 상기 출력버퍼(2c)의 지시점(35)까지를 인쇄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 구동부(20)로 구동신호를 인가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입력버퍼내에 스페이스 코드를 체크하여 커트(Cut) 시키는 방법 이었으므로, 상기 SIO(5)에서 비트 이미지(Bit Image)가 입력될 경우 상기 입력버퍼(2a)상에 눌데이타(예를들어 "OOH")가 상기 출력 버퍼(2c)상에 그대로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프린트헤드(30)는 실제로 프린팅을 하지 않는 눌데이타 까지도 프린트 구동신호로써 인식하여 프린팅 속도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을 유발한다. 즉 상기 프린트헤드(30)는 헤드 이동축 상에 눌데이타가 있는 위치에도 진행을 하였으므로 프린팅 속도가 저하 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프린터의 속도를 높일 수 있는 프린터의 눌데이타 처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눌데이타를 구분 처리하여 실제적인 이미지 데이타만을 프린팅 하도록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프린터 시스템의 하드웨어 블럭도이다.
제 3 도는 본 발명에 다른 제어 흐름도로서, 패턴버퍼의 데이타를 소정 바이트 단위로 출력버퍼에 이동시키고 눌칼럼 데이타 인가를 체크하기 위한 제 1 과정과, 상기 제 1 과정에서 눌칼럼 데이타이면 노캐릭터 플래그가 0인가를 분석하여 0이면 엔드캐릭터 플래그가 0인가를 체크하기 위한 제 2 과정과, 상기 제 2 과정에서 0이면 상기 엔드캐릭터 플래그에 1을 넣고 엔드캐릭터 0포지션에 패턴 엔드포인터의 값을 넣고 엔드캐릭터 1포지션에 상기 출력 버퍼의 값을 넣기 위한 제 3 과정과, 상기 제 1 과정에서 눌칼럼 데이타가 아니면 상기 엔드캐릭터 플래그 및 노캐릭터 플래그를 0으로 세트하기 위한 제 4 과정과, 상기 제 3 또는 제 4 과정 수행후 상기 출력버퍼의 현재값을 소정 바이트단위 증가 시키고 상기 패턴 엔드포인터를 하나 증가 시키며 상기 패턴 버퍼내의 모든 데이타가 이동 되었나를 판단하기 위한 제 5 과정과, 상기 제 5 과정에서 모든 데이타가 이동되지 않았으면 상기 제 1 과정으로 리턴하며 모든 데이타가 이동 되었으면 인자 명령코드가 존재 하는가를 판단하기 위한 제 6 과정과, 상기 제 6 과정에서 인자명령 코드가 존재하면 상기 노캐릭터 플래그가 1인가를 판단하기 위한 제 7 과정과, 상기 제 7 과정에서 1이면 라인피드를 수행하며 1이 아니면 엔드캐릭터 플래그가 1인가를 판단하기 위한 제 8 과정과, 상기 제 8 과정에서 1이면 상기 엔드캐릭터 0포지션의 값을 상기 패턴 엔드포인터에 넣고 상기 엔드캐릭터 1포지션의 값을 출력 버퍼에 넣기 위한 제 9 과정과, 상기 제 9 과정 수행후 프린팅에 필요한 변수값을 설정하고 프린트헤드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제 10 과정으로 이루어 진다.
제 4 도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타 구성도로서, T는 전체 프린트 데이타이고, T1은 유효 데이타이고, T2는 눌데이타이고, (4a)는 엔드포지션(end position)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상술한 구성에 의거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동작 관계를 상세히 기술하면, 우선 상기 제 1 도의 프린터 시스템은 퍼스널 컴퓨터등과 같은 호스트에서 제공되는 데이타 소스를 SIO(5)를 통해 수신한다. 마이컴(10)은 상기 데이타를 실제로 인자할 수 있는 이미지 데이타로 변환 처리하여 상기 프린터헤드(30)를 구동할 수 있는 구동신호를 상기 모터 구동부(20)로 출력한다.
상기 마이컴(10)이 상기 수신된 데이타를 상기 이미지 데이타로 변환처리 하기 위한 과정 중에는 프린팅시 시작되는 위치와 프린팅이 끝나는 위치를 연산하는 순서가 포함된다.
제 3 도에서 노캐릭터 플래그(No Character Flag)가 1일 경우 패턴버퍼의 데이타를 소정 바이트단위로 출력버퍼에 이동시키는 (301)단계와 눌칼럼(Null Column) 인가를 체크하기 위한 (302)단계는 본 발명의 제 1 과정에 대응된다. 여기서 상기 노캐릭터 플래그는 눌데이타가 입력되면 세트되고 실제의 이미지 데이타가 입력되면 리세트되는 플래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1"은 세트를 나타내고 "0"은 리세트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눌데이타는 상기 출력버퍼내에 "OOH"로 나타내어지는 데이타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눌데이타가 출력될 경우 프린터헤드(30)는 구동되어 지지 않는다. 상기 (301)단계에서 소정 바이트 단위는 24핀(pin)의 경우 3바이트로 적용함이 바람직 하다. 이는 제 4 도에 나타낸 빗금친 부분의 열(columna)로써 도시된다.
상기 제 1 과정에서 눌칼럼 데이타이면 상기 노캐릭터 플래그가 0인가를 분석하여 0이면 엔드캐릭터 플래그가 0인가를 체크하기 위한 제 2 과정을 수행하는데 이는 (303)→(304)단계에 대응된다.
상기 엔드캐릭터 플래그(End of character Flag)는 캐릭터 이미지 즉 난 눌 이미지(NON-Null Image)데이타 입력후에 상기 눌데이타가 입력될 경우 세트("0")된다.
상기 제 2 과정에서 0즉 리세트이면 상기 엔드캐릭터 플래그에 1을 넣고, 엔드캐릭터 0포지션에 패턴 엔드포인터의 값을 넣고, 엔드캐릭터 1포지션에 상기 출력버퍼의 값을 넣기 위한 제 3 과정을 수행 하는데 이는(305)단계에서 대응된다.
여기서 상기 패턴 엔드포인터(patten end pointer)는 프린팅이 끝나는 지점을 가르키는 포인터로서, 상기 프린터헤드(30)의 이동거리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제 1 과정에서 상기 눌칼럼 데이타가 아니면 상기 엔드캐릭터 플래그 및 노캐릭터 플래그를 0으로 세트하기 위한 제 4 과정을 수행 하는데 이는 (306)단계에 대응된다.
상기 (306)단계는 현재의 칼럼이 상기 늘 패턴이 아니라는 뜻이다.
상기 제 3 과정 또는 제 4 과정 수행후 상기 출력 버퍼의 현재 값을 소정 바이트 단위로 증가 시키고 상기 패턴 엔드포인터를 하나 증가시키며 상기 패턴 버퍼내의 모든 데이타가 이동 되었나를 판단하기 위한 제 5 과정을 수행하는데 이는 (307)→(308)단계에 대응된다.
여기서 상기 소정 바이트 단위는 24핀의 경우 3바이트를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5 과정에서 모든 데이타가 이동되지 않았으면 상기 제 1 과정으로 리턴하며, 이동 되었으면 인자명령 코드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하기 위한 제 6 과정을 수행하는데 이는 (309)단계에 대응된다.
상기 제 7 과정 및 제 8 과정은 (310)→(312)단계에 대응된다.
상기 제 8 과정에서 1이면 제 9 과정을 수행 하는데 이는 (313)단계에 대응된다.
상기 제 9 과정 수행후 제 10 과정을 수행하는데 이는 (314)→(315)단계에 대응된다.
따라서 제 1 과정에서 부터 제 10 과정까지 수행하게 되면, 제 4 도의 (4a)포인트가 설정 되므로 구간 T2는 인자하지 않고, 구간 T1만 인자를 행하게 되어 프린팅 속도는 향상 되어 진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눌데이타를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프린터의 프린팅 속도를 개선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프린터의 프린팅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눌데이타 처리방법에 있어서, 패턴버펀의 데이타를 소정 바이트 단위로 출력버퍼에 이동시키고 눌칼럼 데이타 인가를 체크하기 위한 제 1 과정과, 상기 제 1 과정에서 눌칼럼 데이타이면 노캐릭터 플래그가 0인가를 분석하여 0이면 엔드캐릭터 플래그가 0인가를 체크하기 위한 제 2 과정과, 상기 제 2 과정에서 0이면 상기 엔드캐릭터 플래그에 1을 넣고 엔드캐릭터 0포지션에 패턴 엔드포인터의 값을 넣고 엔드캐릭터 1포지션에 상기 출력 버퍼의 값을 넣기 위한 제 3 과정과, 상기 제 1 과정에서 눌칼럼 데이타가 아니면 상기 엔드캐릭터 플래그 및 노캐릭터 플래그를 0으로 세트하기 위한 제 4 과정과, 상기 제 3 또는 제 4 과정 수행후 상기 출력버퍼의 현재값을 소정 바이트단위 증가 시키고 상기 패턴 엔드포인터를 하나 증가 시키며 상기 패턴 버퍼내의 모든 데이타가 이동 되었나를 판단하기 위한 제 5 과정과, 상기 제 5 과정에서 모든 데이타가 이동되지 않았으면 상기 제 1 과정으로 리턴하며 모든 데이타가 이동 되었으면 인자 명령코드가 존재 하는가를 판단하기 위한 제 6 과정과, 상기 제 6 과정에서 인자명령 코드가 존재하면 상기 노캐릭터 플래그가 1인가를 판단하기 위한 제 7 과정과, 상기 제 7 과정에서 1이면 라인피드를 수행하며 1이 아니면 엔드캐릭터 플래그가 1인가를 판단하기 위한 제 8 과정과, 상기 제 8 과정에서 1이면 상기 엔드캐릭터 0포지션의 값을 상기 패턴 엔드포인터에 넣고 상기 엔드캐릭터 1포지션의 값을 출력 버퍼에 넣기 위한 제 9 과정과, 상기 제 9 과정 수행후 프린팅에 필요한 변수값을 설정하고 프린트헤드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제 10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눌데이타 처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과정의 소정 바이트 단위가 3바이트 단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눌데이타 처리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과정의 소정 바이트 단위가 3바이트 단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눌데이타 처리방법.
  4. 인자코드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입력 버퍼와 상기 인자코드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저장하는 패턴버퍼와 상기 패턴버퍼에서 상기 인자코드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읽어 저장하는 출력버퍼를 가지는 프린터의 프린터 헤드 제어시 눌데이타 처리방법에 있어서, 한 라인분의 데이타에 눌데이타가 아닌 데이타가 있는지 검사하는 제 1 검사과정과, 한 라인분의 데이타에서 마지막 눌데이타가 아닌 데이타 이후에 눌데이타가 있는지 검사하는 제 2 검사과정과, 상기 제 2 검사과정에서 마지막 눌데이타가 아닌 데이타 이후에 상기 눌데이타가 있을 경우 상기 마지막 눌데이타가 아닌 데이타의 위치값을 저장시키는 과정과, 프린트시 상기 프린 헤드를 상기 위치값까지만 이동시키는 과정과, 상기 제 1 검사과정에서 눌데이타가 아닌 데이타가 없을 경우 라인피드를 수행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10002725A 1991-02-20 1991-02-20 프린터의 눌데이타 처리방법 KR940009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2725A KR940009453B1 (ko) 1991-02-20 1991-02-20 프린터의 눌데이타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2725A KR940009453B1 (ko) 1991-02-20 1991-02-20 프린터의 눌데이타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6263A KR920016263A (ko) 1992-09-24
KR940009453B1 true KR940009453B1 (ko) 1994-10-13

Family

ID=19311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2725A KR940009453B1 (ko) 1991-02-20 1991-02-20 프린터의 눌데이타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945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6263A (ko) 1992-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29817B1 (en) Download of an interpreter to a printer
GB206377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rranging segmented character groups in a digital typesetter
JPH07125374A (ja) レイアウト表示装置
US6226099B1 (en) Printing apparatus
US4607138A (en) Method of controlling a printing apparatus
KR940009453B1 (ko) 프린터의 눌데이타 처리방법
EP0424885A2 (en) Control apparatus of high speed/high quality printer
US5982391A (en) Drawing time estimation in image processing including data compression/decompression
JP2845380B2 (ja) 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EP0675428B1 (en) Printing system and method of printing graphic data
JP2584973B2 (ja) 文字認識装置における認識結果出力方法
JPS63145048A (ja) 印字装置
KR960005014B1 (ko) 도트매트릭스 이미지 데이타를 페이지 프린터에서 처리하는 방법 및 회로
JP2887928B2 (ja) イメージデータ出力装置
JP2839247B2 (ja) 出力制御装置
KR100366657B1 (ko) 프린트 출력 이미지의 텍스트 파일 역변환 방법 및 그 장치
JP3160446B2 (ja) 記録装置
JPS60264163A (ja) プリンタ制御方式
KR890002304Y1 (ko) 라이프린터용 한글 조합장치
JPH0683916A (ja) 画像処理装置における処理状況表示方法
JPS63272145A (ja) ダンプ出力装置
JP2910690B2 (ja) プリンタ印字制御装置、プリンタ印字制御方法、およびプリンタ印字制御プログラムを記憶する記憶媒体
KR100420807B1 (ko) 압축 알고리즘을 이용한 프린팅 방법
JPH06135069A (ja) 印字装置
JPS63299946A (ja) エラ−チェ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9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