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9053B1 - 전자식 록크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식 록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9053B1
KR940009053B1 KR1019920016076A KR920016076A KR940009053B1 KR 940009053 B1 KR940009053 B1 KR 940009053B1 KR 1019920016076 A KR1019920016076 A KR 1019920016076A KR 920016076 A KR920016076 A KR 920016076A KR 940009053 B1 KR940009053 B1 KR 940009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encoder
lock
circuit
deco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6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7328A (ko
Inventor
서경석
Original Assignee
서경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경석 filed Critical 서경석
Priority to KR1019920016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9053B1/ko
Publication of KR940007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9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0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식 록크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록크시스템을 자동차에 적용한 경우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제2a도와 제2b도는 각각 인코더용 IC와 이 인코더용 IC가 내장된 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3a도 및 제3b도는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전자식 록크시스템에 사용되는 액츄에이터의 기구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구성도 및 평면도.
제4도는 제1도 및 제3도에 도시된 액츄에이터내의 리미트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5도는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전자식 록크시스템에 부가되는 자동차유리문 자동잠금회로를 도시한 회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록크시스템을 일반 도어에 적용한 경우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IC1 : 인코더 IC2 : 디코더
IC3,IC4,IC5 : 타이머 1 : 부하구동회로
2 : 과부하보호회로 3 : 경고음발생회로
AT1,AT2 : 액츄에이터 RSW : 운전석측 로터리스위치
LSW1,LSW2 : 리미트스위치 KH1∼KH4 : 키홀더
IGSW : 이그니션스위치 SO1∼SO4 : 솔레노이드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키에 내장된 인코더에 설정되어 있는 특정 데이터와 자물쇠측 회로의 디코더에 설정되어 있는 특정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양쪽의 데이타가 일치할 경우에만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된 전자식 록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및 그 문제점]
종래, 복제가 용이한 기계식 키의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전자식 키가 개발되어 있는 바, 즉 본 발명자가 1985년 3월 25일 출원하여 특허받은 특허 제24216호에 개시된 주파수비교방식이나 저항에 의한 전압비교방식 등이 고안되어 있다.
상기 주파수비교방식은 키에서 발생되는 특정 주파수와 자물쇠측 제어회로에 미리 설정해 놓은 특정 주파수가 일치할 때에만 자물쇠가 열려지도록 되어 있는데, 이러한 주파수비교방식은 예컨대 자동차내에 설치된 라디오 등에서 발생되는 전파잡음이나 점화플러그로부터의 스파크잡음 또는 그 밖의 여러 전파잡음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키와 자물쇠측의 주파수를 비교할 때 오동작을 일으킬 우려가 있었다.
또, 저항에 의한 전압비교방식은 소정 저항이 내장된 키에서 발생되는 특정 전압레벨과 자물쇠측 제어회로내에서 발생되는 전압레벨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만 자물쇠의 잠금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주파수비교방식에서 야기되었던 결점에 대처할 수 있었으나, 주위온도의 변화에 따라 저항값이 달라지게 되어 회로의 오동작이 발생할 수도 있고, 또 타인이 가변저항을 사용하여 저항값을 변화시킴으로써 미리 설정된 특정 전압레벨과 일치하는 전압레벨을 발생시켜 자물쇠를 쉽게 열 수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가 출원하여 특허받은 특허 제48720호에서는 인코더가 내장된 키를 키홀더에 삽입하면 상기 인코더에 미리 설정된 특정 데이터와 자물쇠측 회로의 디코더에 미리 설정된 특정 데이터를 비교한 후 그 결과가 일치하면 자물쇠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오동작의 염려가 없이 안전한 잠금기능을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자물쇠장치도 잠금장치의 기계적 구성에 있어서는 종래의 자물쇠장치와 유사하므로, 인위적으로 물리적인 힘을 가함으로써 잠금장치를 해제하고자 할 경우에 대해서는 취액한 면이 있어 안전성과 신뢰성이 높은 잠금기능을 갖게 하는 데에는 불충분한 점이 있었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자물쇠의 잠금장치를 구동하는 모터 및 키홀더의 회전축을 고정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를 설치함으로써 기계적인 잠금장치가 이중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보다 더 안전한 잠금기능을 갖는 전자식 록크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자식 록크시스템은, 소정 키에 내장되어 있으면서 복수의 프로그램스위치에 의해 특정 데이터값이 설정되어 있는 인코더(IC1)와, 자동차의 자물쇠측 회로에 설치되어 인코더(IC1)가 내장된 키가 키홀더(KH1∼KH4)에 삽입되면 상기 인코더(IC1)의 특정 데이터값을 미리 설정된 자체내의 특정 데이터값과 비교한 후 일치할 경우에는 “H”레벨신호를 출력하고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L”레벨신호를 출력하는 디코더(IC2), 이 디코더(IC2)의 출력이 “H”레벨일 경우 솔레노이드해제용 릴레이(RY1)를 구동시켜 솔레노이드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한편 그 출력이 “L”레벨일 경우에는 혼릴레이(HRY)를 구동시켜 경보음을 울리게 하는 부하구동회로(1), 회로에 과부하가 인가될 경우 릴레이(RY5)를 구동시켜 전체회로를 보호하는 과부하보호회로(2), 점화스위치(SW2)의 키홀더(KH4)에 키를 꽂아둔 채 운전석측의 문을 열게 되면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발생회로(3) 및, 동작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되어 록크시스템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거나 또는 록크시스템을 잠금상태로 만드는 액츄에이터(AT1, AT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상기 인코더(IC1) 및 디코더(IC2)의 데이터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자동차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거나 시동을 걸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는, 키에 내장된 인코더에서 출력되는 특정 데이터값과 자물쇠측 회로의 디코더에 설정된 데이터값을 비교한 후 일치하는 경우에는 잠금장치를 해제시키는 한편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경보를 울리도록 되어 있다. 또, 잠금장치내의 모터 및 키홀더의 회전축을 고정시키고 있는 솔레노이드는 상기 인코더와 디코더의 데이터가 일치할 때에만 그 잠금상태가 해제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적정 키를 사용하지 않고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기계적 잠금상태를 해제시키기가 어렵게 된다.
[실시예]
이하,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a도는 키에 내장되는 인코더(IC1)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 인코더(IC1)에는 복수개(본 실시예에서는 9개)의 데이터설정용 트라이너리스위치(PS1∼PS9 ; trinary switch)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개개의 스위치를 각각 “H”레벨, “O”레벨, “L”레벨중 어느 한 위치에 고정시킴으로써 시스템고유의 인코드데이타를 설정할 수가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상기 데이터설정용 스위치의 수를 얼마든지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실제로 조합할 수 있는 설정데이터의 수는 거의 무한하게 된다.
다음, 제2b도는 상기 인코더(IC1)가 내장된 전자식 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 키를 키홀더(KH1∼KH4 ; 제1도 참조)에 삽입하면 키의 접점(A)에는 배터리(BAT)로부터-전원이 인가됨과 더불어 접점(C)에는 상기 배터리(BAT)의 +전원이 인가된다. 상기 접점(A, C)에 전원이 인가되면, 그에 따라 특정 데이터 값이 설정되어 있는 상기 인코더(IC1)가 동작되어 접점(B)을 통해 상기 미리 설정된 특정 데이타신호가 후술할 디코더(IC2)로 출력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자식 키의 몸체는 합성수지 등의 비도전성 재료로 되어 있고, 각 접점(A, B, C)은 금속의 도전성 재료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1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록크시스템을 자동차에 적용한 경우의 제1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1도의 디코더(IC2)에서는 상기 키에 내장된 인코더(IC1)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신호와 디코더(IC2) 자체에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인코더(IC1)의 데이터와 디코더(IC2)의 데이터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H”레벨의 신호를 데이터출력단자(DO)를 통해 출력하는 한편,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L”레벨의 신호를 데이터출력단자(DO)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인코더(IC1)의 데이타와 디코더(IC2)의 데이터가 일치되어 디코더(IC2)의 데이터출력단자(DO)로부터 “H”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면,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어 타이머(IC3)에 동작전원이 공급되고, 따라서 타이머(IC3)는 소정 시간동안 솔레노이드해제용 릴레이(RY1)를 구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인코더(IC1)의 데이터와 디코더(IC2)의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을 때에는 디코더(IC2)의 데이터출력단자(DO)로부터 “L”레벨의 신호가 출력되고, 따라서 이번에는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되어 타이머(IC4)에 동작전원이 공급되므로 타이머(IC4)에 의해 소정 시간동안 트랜지스터(Q3)가 턴온됨에 따라 혼릴레이(HRY)가 구동되어 경보음이 울리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라 전자식 록크시스템을 자동차에 적용한 경우에 제1실시예에서, 상기 인코더(IC1)와 디코더(IC2)의 데이터가 일치하고 데이터가 일치하고 있을 때, 즉 올바른 키가 삽입된 경우의 각 도어와 트렁크의 개폐 및 이그니션스위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운전석측의 도어를 열고자 하는 경우, 키홀더(KH1)에 키를 삽입하면 키의 접점(A, C)과 키홀더(KH1)의 접점(a1, c1)이 접속되어 전원이 공급되고, 키의 접점(B)으로부터 출력되는 인코더(IC1)의 데이타 신호가 키홀더(KH1)의 접점(b1)을 통해 디코더(IC2)에 입력된다. 이때, 인코더(IC1)의 데이터와 디코더(IC2)의 데이터가 일치하고 있다고 가정하였으므로, 디코더(IC2)로부터 “H”레벨의 신호가 출력되어 상기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해제용 릴레이(RY1)가 구동되고, 이에 따라 운전석측 키홀더(KH1)의 로터리스위치(RSW)의 회전축 및 액츄에이터(AT1)에 장착된 모터(M1)의 회전축을 고정시키고 있는 솔레노이드(SO1)의 회전축 고정상태가 해제됨과 더불어 조수석측 도어의 액츄에이터(AT2)의 장착된 모터(M2)의 회전축을 고정시키고 있는 솔레노이드(SO2)의 회전축 고정상태가 해제되며, 따라서 상기 로터리스위치(RSW)와 모터(M1, M2)가 회전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때, 다이오드(D1)가 설치되어 있어 드렁크 솔레노이드(SO3)에는 전류가 공급되지 않으므로, 트렁크 솔레노이드(SO3)는 동작하지 않는다. 또,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좌우측 뒷문에 장착되는 액츄에이터는 도시하지 않았는 바, 필요에 따라 접속점(EX1, EX2)에 접속하면 되고 그 동작은 조수석측 도어의 액츄에이터(AT2)와 마찬가지이다.
그 다음, 키홀더(KH1)에 삽입된 예컨대 키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키가 회전함에 따라 그와 기계적으로 연동하는 로터리스위치(RSW)의 중심접점(T0, t1)이 회전함으로써 키홀더(KH1)의 접점(C1)과 연결된 중심접점(t0)이 접점(r0)과 접속되어 모터(M1, M2)의 +단자에 +전압을 공급함과 더불어 중심접점(t1)은 접점(r1)과 접속되어 모터(M1, M2)의 -단자에 -전압을 공급하므로, 상기 모터(M1, M2)가 정회전하여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게 되고, 그후 도어손잡이를 당기면 문이 열리게 된다.
한편,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있을 때 상기 키를 예컨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각 접점의 접속이 반대로 되어 모터(M1, M2)가 역회전하므로 잠금상태로 된다.
여기서, 상기 모터(M1, M2)에 접속된 리미트스위치(LSW1, LSW2)는 액츄에이터(AT1, AT2)가 완전히 잠금상태로 되거나 또는 잠금상태가 완전히 해제되었을 때 모터(M1, M2)에 더 이상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 차내에서 운전석측 도어의 내부손잡이를 당겨 문을 여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는데, 이때 운전석과 조수석측 도어는 동시에 잠금상태가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먼저, 운전석측 도어의 내부손잡이를 당기면 일차로 상기 내부손잡이에 연결되어 있는 손잡이스위치(HSW1)의 스위치접점(S5, S6)이 접속된다. 이때, 상기 접점(S5)이 접속되면 로터리스위치(RSW)와 모터(M1)의 회전축을 고정시키고 있는 솔레노이드(SO1)가 먼저 해제되고, 저항(R1, R2)과 콘덴서(C1) 및 트랜지스터(Q4)로 구성된 지연회로에 의해 소정 시간 지연된 후 릴레이(RY3)가 구동됨으로써 스위치접점(S7, S8)이 접속되며, 따라서 모터(M1)가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문의 잠금상태가 해제된다. 그후, 상기 내부손잡이를 더 당기게 되면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문이 열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접점(S6)은 경고음발생회로(3)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이그니션스위치(IGSW)의 키홀더(KH4)에 키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문을 열게 되면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외부에서 조수석측의 문을 여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조수석측 도어의 키홀더(KH2)에 키를 삽입하면, 상기 인코더(IC1)와 디코더(IC2)의 데이타가 일치하고 있으므로 배터리(BAT)의 전원전압이 모터(M2)의 회전축을 고정시키고 있는 솔레노이드(SO2)에 인가되어 상기 모터(M2)의 회전축 고정상태가 먼저 해제된다. 그후, 키홀더(KH2)에 삽입된 키를 예컨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키홀더(KH2)와 기계적으로 연동하게 되어 있는 모터(M2)가 회전됨으로써 잠금상태가 해제되는데, 이때 다이오드(D2, D1)가 설치되어 있어 운전석측 도어와 트렁크의 잠금 상태는 해제되지 않고 조수석측 도어만 잠금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한편, 차내에서 조수석측 도어의 내부손잡이를 당겨 문을 여는 경우에는 먼저 스위치(HSW2)가 점속됨으로써 상기 운전석측 도어의 내부손잡이를 당겨 문을 여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작되어 운전석측 도어와 조수석측 도어의 잠금상태가 동시에 해제되며, 그후 내부손잡이를 더 당기게 되면 문이 열리게 되는데, 다만 조수석측 도어의 내부손잡이를 당겨 문을 여는 경우에는 이그니션스위치(IGSW)의 키홀더(KH4)에 키가 삽입되어 있더라도 경고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다음, 드렁크를 열고자 하는 경우에는 차내부에서 스위치(HSW3)를 온시키면 릴레이(RY4)가 구동되어 솔레노이드(SO3)를 해제시키게 됨으로써 트렁크가 열리게 되는 한편, 외부에서는 키를 키홀더(KH3)에 삽입하면 배터리(BAT)의 전원전압이 릴레이(RY4)에 인가됨으로써 이 릴레이(RY4)가 구동되어 솔레노이드(SO3)가 해제되므로 트렁크가 열리게 된다.
다음으로, 이그니션스위치(IGSW)의 키홀더(KH4)에 키를 삽입하여 자동차의 시동을 거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이그니션스위치(IGSW)의 키홀더(KH4)에 키를 삽입하면 이그니션스위치(IGSW)의 회전축을 고정시키고 있는 솔레노이드(SO4)에 전원전압이 인가됨으로써 핸들록크(도시되지 않음)가 해제됨과 더불어 이그니션스위치(IGSW)의 회전축 고정상태가 해제된다. 그후, 키홀더(KH4)에 삽입된 키를 더 회전시켜 엔진시동위치[즉, 접전(ST)위치]로 하면 릴레이(RY2)가 구동되어 스위치접점(S9)이 접속됨으로써 기동자종차회로(4)의 엔진시동릴레이(STRY)가 온상태로 되고 따라서 시동모터(SM)가 동작됨으로써 시동이 걸리게 된다.
한편, 키홀더(KH1∼KH4)에 금속종류의 이물질 등이 삽입되어 저항(Rx)에 과전류가 흐르게 되는 경우에는 저항(Rx)의 양단에 전압차가 발생되므로 다이오드(D10)를 매개하여 애스씨알(SCR2)의 게이트에 트리거신호가 인가되고, 이에 따라 에스씨알(SCR2)의 애노드와 캐소드가 도통되어 릴레이(RY5)가 구동됨으로써 스위치(S10)의 접점(x1, x2)이 떨어져 회로가 차단되게 된다. 또한, 이때 상기의 스위치(S10)의 접점(x2, x3)이 접속되어 타이머(IC4)에 “L”레벨의 신호가 인가되어 소정 시간동안 전원이 공급되므로 혼릴레이(HRY)가 구동되어 경보음이 발생되게 된다. 여기서, 저항(R3)과 콘덴서(C2)는 노이즈방지용이고, 다이오드(D3)는 역전류보호용이다.
또, 키홀더(KH1∼KH4)내의 각 스위치(S1∼S4)는 부도체의 이물질 등이 키홀더(KH1∼KH4)에 삽입될 경우에도 회로가 연결되어 경보음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다음, 제3a도 및 제3b도는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전자식 록크시스템에 사용되는 액츄에이터의 기구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구성도 및 평면도로서, 이 제3a도와 제3b도를 참조하여 자동차용 전자식 록크시스템에 사용되는 액츄에이터(AT1, AT2)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액츄에이터(AT1, AT2)는 제3a도 및 제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내에 자동차 도어의 노브(knob ; 도시되지 않음)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노브조작부가 설치되고, 이 노브조작부에는 회전구동력을 공급해 주는 구동장치부가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노브조작부는 회전축 고정용 솔레노이드핀(13)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홈(14)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링크(11)를 매개하여 상기 노브와 연결된 회전축(12)에 부착설치되어 제1종동기어(15)와, 리미트스위치(LSW)의 슬라이드부(23)로부터 돌출된 돌기(23a)가 삽입되도록 수납홈(19a)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상기 회전축(12)에 끼워지는 회전브라켓트(19)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장치부는 상기 제1종동기어(15)와 상시 맞물리도록 고정축(16)에 설치되는 제2 및 제3종동기어(17, 18)와, 상기 제3종동기어(18)와 상기 맞물리는 구동기어(20a)를 갖춘 구동모터(20) 및, 고정브라켓트(21)를 매개하여 장착되어 있으면서 상기 구동모터(20)에 인가되는 동작전원을 제어하도록 된 리미트스위치(LSW)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리미트스위치(LSW)의 슬라이드부(23)로 부터 돌출된 돌기(23a)는 상기 회전브라켓트(19)의 수납홈(19a)에 끼워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액츄에이터(AT1, AT2)에서는 올바른 키가 삽입되면 먼저 상기 제1종동기어(15)의 홈(14)에 끼워져 회전축을 고정시키고 있는 솔레노이드핀(13)이 상기 홈(14)으로부터 빠짐으로써 모터(20)가 회전가능한 상태로 되고, 그후 구동모터(20)에 전원이 공급되면 모터(20)의 회전동력이 상기 제2 및 제3종동기어(17, 18)를 통해 제1종동기어(15)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회전축(12)이 회전됨으로써 이 회전축(12)에 연결된 링크(11)가 상하로 이동되어 자동차의 도어를 록크시키거나 해제시켜 주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브라켓트(19)의 수납홈(19a)에 끼워진 슬라이드부(23)의 돌기(23a)가 회전브라켓트(19)에 의해 리미트스위치(LSW)의 좌측 또는 우측 선단부로 이동하게 되면, 리미트스위치(LSW)내에서 구동모터(20)에 공급되는 전류통로가 차단됨으로써 자동차의 도어가 완전히 록크되거나 또는 완전히 해제된 후에는 상기 모터(20)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다음, 제4a도 및 제4b도를 참조하여 상기 리미트스위치(LSW)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중, 참조부호 S는 리미트스위치의 슬라이드부이고, S1, S2, S3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 접속부로서 그 위에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이오드(Da, Db)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ℓa 및 ℓb도 도전성 재료로 된 접속부이다.
먼저, 록크시스템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경우에는 제4a도의 상태에서 모터(M)의 +단자에는 배터리(BAT)의 +전원이 인가되고, 전원단자(Vcc)에는 배터리(BAT)의 -전원이 인가되어 점선으로 나타낸 화살표의 방향으로 전류가 흘러 모터(M)가 구동된다. 이때에는 접속부(ℓb)가 슬라이드부(S)와 떨어져 있는 상태이지만, 접속부(S2, S3)에 걸처져 접속된 다이오드(Da)가 인가전원에 대해 정방향이므로 이 다이오드(Da)를 통해 전류가 흐른다. 또한, 이때 접속부(ℓa)는 슬라이드부(S)와 접속된 상태이므로 다이오드(Db)가 인가전원에 대해 역방향인 것에 관계없이 접속부(ℓa)를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모터(M)가 구동되면 록크시스템의 잠금상태가 해제되게 되고, 액츄에이터내에 설치된 리미트스위치(LSW)의 슬라이드부(S)도 화살표(I)방향으로 움직여 제4b도와 같은 상태로 된다. 이 제4b도의 상태에서는 접속부(ℓa)가 슬라이드부(S)와 떨어진 상태이므로 전류통로가 형성되지 않아, 상기 모터(M)는 더 이상 구동되지 않는다.
또한, 록크시스템이 해제되어 있는 상태에서 잠금상태로 할 때에는 잠금상태를 해제할 때의 상기 동작과는반대로 동작하게 된다.
즉, 제4b도의 상태에서 모터(M)의 +단자에는 배터리(BAT)의 -전원이 인가되고, 전원단자(Vcc)에는 배터리(BAT)의 +전원이 인가되어 점선으로 나타낸 화살표의 방향으로 전류가 흘러 상기 모터(M)가 잠금상태를 해제할 때와는 반대방향으로 구동된다. 상기 모터(M)가 잠금상태를 해제할 때의 역방향으로 구동되면 록크시스템이 잠금상태로 되고, 액츄에이터내에 설치된 리미트스위치(LSW)의 슬라이드부(S)는 화살표(Ⅱ)방향으로 움직여 제4a도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 제4a도의 상태에서는 접속부(ℓb)가 슬라이드부(S)와 떨어진 상태이므로 전류통로가 형성되지 않아, 마찬가지로 상기 모터(M)는 더 이상 구동되지 않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전자식 록크시스템을 자동차에 적용한 경우의 제1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는 바, 필요에 따라서는 외부에서 운전석측 도어를 잠글 때 열려 있는 유리문도 함께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회로를 부할 수도 있다.
제5도는 상기 제1실시예의 자동차용 전자식 록크시스템에 부가되는 자동차 유리문 자동잠금회로를 도시한 것으로, 이 제5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유리문 자동잠금회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외부에서 차문을 잠그기 위해 운전석측 도어의 키홀더(KH1)에 키를 삽입한 후 그 삽입된 키를 예컨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리스위치(RSW)의 접점(t1)이 접점(r7)6접속되어 제4도의 타이머(IC5)에 전원전압이 인가되게 된다. 따라서, 타이머(IC5)가 소정 시간동안 모터구동릴레이(RYa, RYb, RYc, RYd)를 작동시키게 됨으로써 릴레이의 각 접점이 접속되어 유리문구동모터(Ma, Mb, Mc, Md)에 구동전원이 공급되므로, 열려 있던 유리문은 모두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다음,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록크시스템을 일반 도어에 적용한 경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로서, 제6도에서 상기 제1도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첨조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제2실시예에서도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키홀더(KHD)에 키를 삽입하면 접점(A, C)과 키홀더(KHD)의 접점(a´, c´)이 접속되어 전원이 공급되고, 키의 접점(B)으로부터 출력되는 인코더(IC1)의 데이터신호가 키홀더(KHD)의 접점(b´)을 통해 디코더(IC2)에 입력되게 된다.
이때, 상기 인코더(IC1)의 데이터와 디코더(IC2)의 데이타가 일치되어 디코더(IC2)의 데이터출력단자(DO)로부터 “H”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면,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어 타이머(IC3)에 동작전원이 공급되므로 타이머(IC3)는 소정 시간동안 솔레노이드해제용 릴레이(RY1)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자물쇠장치(도시되지 않음)내의 걸림쇠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시키고 있던 솔레노이드(SO)의 고정상태가 해제되고, 그후 키홀더(KHD)에 삽입된 키를 예컨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걸림쇠가 도어의 홈으로부터 빠져나와 도어의 잠금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한편, 상기 인코더(IC1)의 데이터와 디코더(IC2)의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을 때에는 디코더(IC2)의 데이터출력단자(DO)로부터 “L”레벨의 신호가 출력되고, 따라서 이번에는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되어 타이머(IC4)에 동작전원이 공급되므로 타이머(IC4)에 의해 소정 시간동안 트랜지스터(Q3) 턴온됨으로써 부저(BUZ)가 동작되어 경보음이 울리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는 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록크시스템은 자동차나 일반도어에만 한정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잠금장치가 필요한 그 밖의 어떤 시설물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키에 내장된 인코더에서 출력되는 특정 데이터값과 자물쇠측 회로의 디코더에 설정된 데이터값을 비교한 후 일치하는 경우에는 잠금장치를 해제시키는 한편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경보를 울리도록 되어 있고, 또 잠금장치내의 모터 및 키홀더의 회전축을 고정시키고 있는 솔레노이드는 상기 인코더와 디코더의 데이터가 일치할 때에만 그 잠금상태가 해제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적정 키를 사용하지 않고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기계적 잠금상태를 해제시키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기계적인 잠금상태가 이중으로 유지되어 보다 더 안전한 잠금기능을 갖는 전자식 록크시스템을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4)

  1. 소정 키에 내장되어 있으면서 복수의 프로그램스위치에 의해 특정 데이터값이 설정되어 있는 인코더(IC1)와, 자동차의 자물쇠측 회로에 설치되어 인코더(IC1)가 내장된 키가 키홀더(KH1∼KH4)에 삽입되면 상기 인코더(IC1)의 특정 데이터값을 미리 설정된 자체내의 특정 데이터값과 비교한 후 일치할 경우에는 “H”레벨신호를 출력하고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L”레벨신호를 출력하는 디코더(IC2), 이 디코더(IC2)의 출력이 “H”레벨일 경우 솔레노이드해제용 릴레이(RY1)를 구동시켜 솔레노이드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한편 그 출력이 “L”레벨일 경우에는 혼릴레이(HRY)를 구동시켜 경보음을 울리게 하는 부하구동회로(1), 회로에 과부하가 인가될 경우 릴레이(RY5)를 구동시켜 전체회로를 보호하는 과부하보호회로(2), 점화스위치(SW2)의 키홀더(KH4)에 키를 꽂아둔 채 운전석측의 문을 열게 되면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발생회로(3) 및, 동작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되어 록크시스템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거나 또는 록크시스템을 잠금상태로 만드는 액츄에이터(AT1, AT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상기 인코더(IC1) 및 디코더(IC2)의 데이터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자동차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거나 시동을 걸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록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AT1, AT2)는 회전축을 고정시키기 위한 회전축고정용 솔레노이드핀(13)과, 이 회전축 고정용 솔레노이드핀(13)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홈(14)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회전축(12)에 부착설치되는 제1종동기어(15), 수납홈(19a)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상기 회전축(12)에 끼워지는 회전브라켓트(19), 상기 제1종동기어(15)와 상시 맞물리도록 고정축(16)에 설치되는 제2 및 제3종동기어(17, 18), 상기 제3종동기어(18)와 상시 맞물리는 구동기어(20a)를 갖춘 구동모터(20) 및, 고정브라켓트(21)를 매개하여 장착되어 있으면서 상기 모터(20)에 인가되는 동작전원을 제어하도록 된 리미트스위치(LSW)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록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전원전압이 인가되면 소정 시간동안 릴레이동작전원을 공급하는 타이머(IC5)와, 이 타이머(IC5)로부터 동작전원이 공급되면 온상태로 되어 유리문구동모터(Ma, Mb, Mc, Md)를 작동시키는 모터구동릴레이(RYa, RYb, RYc, RYd) 및, 키홀더(KH1)에 삽입된 키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모터(M1, M2)가 역회전하여 록크시스템을 잠금상태로 만드는 액츄에이터(AT1, AT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운전석측 도어의 키홀더(KH1)에 키를 삽입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액츄에이터(AT1, AT2)가 작동하여 문이 잠겨짐과 더불어 열려 있는 자동차유리문을 자동으로닫히게 하는 자동차유리문 자동잠금회로를 더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록크시스템.
  4. 소정 키에 내장되어 있으면서 복수의 프로그램스위치에 의해 특정 데이터값이 설정되어 있는 인코더(IC1)와, 도어의 자물쇠측 회로에 설치되어 인코더(IC1)가 내장된 키가 키홀더(KHD)에 삽입되면 상기 인코더(IC1)의 특정 데이터값을 미리 설정된 자체내의 특정 데이터값과 비교한 후 일치할 경우에는 “H”레벨신호를 출력하고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L”레벨신호를 출력하는 디코더(IC2), 이 디코더(IC2)의 출력이 “H”레벨일 경우 솔레노이드해제용 릴레이(RY1)를 구동시켜 잠금장치내의 걸림쇠를 고정시키고 있는 솔레노이드(SO)를 해제하는 한편 그 출력이 “L”레벨일 경우에는 부저(BUZ)를 구동시켜 경보음을 울리게 하는 부하구동회로(1) 및, 회로에 과부하가 인가될 경우 릴레이(RY5)를 구동시켜 전체회로를 보호하는 과부하보호회로(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상기 인코더(IC1) 및 디코더(IC2)의 데이터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록크시스템.
KR1019920016076A 1992-09-04 1992-09-04 전자식 록크시스템 KR940009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6076A KR940009053B1 (ko) 1992-09-04 1992-09-04 전자식 록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6076A KR940009053B1 (ko) 1992-09-04 1992-09-04 전자식 록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328A KR940007328A (ko) 1994-04-27
KR940009053B1 true KR940009053B1 (ko) 1994-09-29

Family

ID=19339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6076A KR940009053B1 (ko) 1992-09-04 1992-09-04 전자식 록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90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031B1 (ko) * 2001-06-22 2003-10-10 이화산업 주식회사 황색모노아조 염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328A (ko) 1994-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44804A (en) Sequence initiated electrical activator
CA1106024A (en) Vehicle security system
US4805427A (en) Centralized door locking system
JPS61221480A (ja) 電子式錠とキ−
US4223296A (en) Engine key reminder system for automobile
US3723677A (en) Ignition key alarm
EP0350325A2 (en) Motor vehicle anti-theft device
US5410898A (en) Lock device capable of activating an electrical anti-theft system
US7023318B1 (en) Locking system, especially for motor vehicles
US4635035A (en) Vehicle automatic switching burglar alarm
US5005664A (en) Vehicle locking system
US5477090A (en) Auto anti-theft device
KR940009053B1 (ko) 전자식 록크시스템
JPS5810550B2 (ja) 自動車開閉部材のロック及び/又は閉止の中央制御装置
US6065315A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US3818436A (en) Electrical anti-theft system
GB2301617A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1408996A (en) Automobile lock and switch
JPH02128083A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EP0139723B1 (en) Vehicle automatic switching burglar alarm
KR910002298B1 (ko) 차량용 전자식 도어키 제어회로
JP2556008B2 (ja) 自動車用盗難防止装置
JPH0247717Y2 (ko)
RU2084361C1 (ru) Способ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угон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противоугонная систем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0233878B1 (ko) 도어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9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