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8793B1 - 정착장치 및 이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정착장치 및 이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8793B1
KR940008793B1 KR1019910013184A KR910013184A KR940008793B1 KR 940008793 B1 KR940008793 B1 KR 940008793B1 KR 1019910013184 A KR1019910013184 A KR 1019910013184A KR 910013184 A KR910013184 A KR 910013184A KR 940008793 B1 KR940008793 B1 KR 940008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agent
roll
fixing
roll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3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3123A (ko
Inventor
야스히로 우에하라
가즈히꼬 미야자또
류우지 가쓰노
히데오 사이또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록스 가부시끼가이샤
고바야시 요오다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록스 가부시끼가이샤, 고바야시 요오다로 filed Critical 후지제록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3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8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7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6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combined with pres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03G15/2025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with special means for lubricating and/or cleaning the fixing unit, e.g. applying offset preventing flui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82Special processing for irreversibly adding or changing the sheet copy material characteristics or its appearance, e.g. stamping, annotation printing, punc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18/00Coating apparatus
    • Y10S118/01Anti-offse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정착장치 및 이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정착장치를 사용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칼러 전자사진 복사기에 적용시킨 예를 나타낸 구성도.
제2도는 정착롤의 후방에 설비된 오일제거장치의 기본형의 단면도.
제3도는 오일제거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제4도는 오일제거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제5도는 오일제거장치를 2개로 구성한 경우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정착장치의 일실시예의 단면도.
본 발명은 전자복사기등의 전사토너상을 정착시키기 위한 정착장치 및 이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정착롤 또는 가압롤에 토너가 오프세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형제를 도포하는 타입의 가열롤형 정착장치 및 이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와 같은 가열롤형 정착장치에 의해서 정착된 복사용지에는 정착롤 또는 가압롤에 공급된 이형제(오일)의 일부가 옮겨감 즉 전이됨이 알려져 있다.
복사용지에 전이된 오일은 비교적 단시간에 토너입자간 또는 핀홀을 통하여 용지섬유중에 확산된다. 또 토너상이 존재하지 않는 용지표면에 전이된 오일 즉 직접 용지표면에 전이된 오일도 마찬가지로 용지섬유중으로 확산되어 그 화상등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었다.
그런데 칼러 복사기 특히 3색 또는 4색의 토너가 겹쳐져서 다수의 색이 재현되는 칼러 복사기의 정착장치에 있어서는 종래의 단색의 복사기에 비해서 이하의 점이 크게 다르다.
(1) 토너의 겹쳐짐에 의해서 다수의 색을 재현시키기 때문에 막두께가 두꺼운 토너를 정착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2) 정착에 의해서 색이 다른 토너를 혼색하여 발색시키기 위하여 토너를 충분히 가열유동화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이들 상이점은 정착장치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오프세트현상이 생기기 쉬운 조건으로 된다.
이와 같은 오프세트를 방지하기 위하여 칼러 복사기에는 높은 이형성능을 갖는 정착장치가 요구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실리콘 고무등의 고무상 탄성체를 피복한 정착롤에 다량의 이형제 즉 실리콘 오일을 이형층으로서 도포하는 정착장치가 칼러 복사기용 정착장치로서 사용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다량의 실리콘 오일을 공급한 경우에 토너막 두께가 두꺼운 용지표면에는 다량의 실리콘 오일이 존재하게 된다. 이 실리콘 오일은 토너입자끼리 충분히 용융시켜 일체로 하기 때문에 토너입자간을 통하여 용지섬유중으로 확산되지 않고 비교적 오래동안 토너표면에 잔존되게 된다.
이와 같은 화상을 손가락으로 접촉한 경우에 지문등의 흔적이 남기쉽다. 또 오일의 잔존량은 시간과 더불어 완만하게 변화되어 가고 이것은 화상의 농도나 광택이 경시적으로 저하되어 불안정한 화상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 토너층이 외력 즉 종이의 흡습에 의한 신축이나 종이의 변형에 의해서 갈라진 경우 그 부근의 오일은 갈라진 토너부분을 통하여 용지섬유중으로 비교적 빨리 확산되기 때문에 토너표면에는 오일이 잔존되는 부분과 잔존되지 않는 부분이 공존하게 된다. 오일이 잔존되는 부분은 화상농도가 높고 잔존되지 않는 부분은 농도가 낮아 원래 균일한 화상농도인 것이라도 불균일한 오일 분포에 의해서 화상농도의 불균일이 생겨 보기 흉한 화상이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에 비추어 행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이상과 같이 용지위의 토너표면에 잔존하는 이형제의 불균일한 분포에 의해서 생기는 화상농도의 불균일을 해결하는 동시에 경시적으로 변화되지 않는 안정된 화상농도를 얻기 위한 정착장치 및 이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등은 정착후에 토너표면에 잔존하는 이형제를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비교적 유연한 고무상의 탄성체를 화상표면에 접촉시키는 방법을 발명했다. 이 방법에 의하면 토너표면에 잔존하는 이형제는 탄성체로 그 대부분이 전이되고 토너표면에는 극히 적은 이형제밖에 잔존되지 않고 화상농도의 불균일이나 농도나 광택의 경시변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고무상 탄성체를 정착후의 화상에 접촉시키는 장치는 적어도 정착화상면측의 롤 표면에 용지의 폭 전역이상에 걸쳐서 고무상 탄성체가 피복된 한쌍 이상의 가압 접촉 회전되는 롤간을 정착후의 용지가 통과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고무상 탄성체로서는 실리콘 고무, 불소고무, EPDM, 우레탄고무, NBR, ABS 고무등의 일반적인 고무가 사용가능하지만 그중에서도 실리콘 고무가 최적이다.
이형제로서 사용되는 것은 통상 실리콘 오일이고 실리콘 고무는 실리콘 오일과의 상용성이 좋고 토너표면위의 실리콘 오일을 효과적으로 그 표면에 전이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정착장치는 토너가 부착된 쉬트를 통과시켜서 토너를 정착하는 정착롤 및 가압롤과 이 가압롤 및 가압롤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이형제 도포수단과, 상기 정착롤 및 가압롤간을 통과한 쉬트로부터 상기 정착롤 경유시에 부착된 이형제를 제거하는 이형제 제거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 이형제 제거수단은 서로 회전되는 한쌍의 이형제 제거롤로 구성하는 경우, 서로 회전되는 한쌍의 이형제 제거벨트로 구성하는 경우, 서로 회전되는 이형제 제거롤과 이형제 제거벨트로 구성하는 경우가 있다. 또 이형제 제거수단을 서로 회전하는 이형제 제거롤의 쌍의 쉬트의 반송방향으로 복수 배치하여 구성해도 좋다.
이형제 제거수단을 서로 회전하는 한쌍의 이형제 제거롤로 구성하는 경우에 한쌍의 이형제 제거롤은 각각 코어와 이 코어에 피복된 탄성체를 갖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경우에는 한쌍의 이형제 제거롤은 각각 최대 쉬트폭 이상의 길이를 갖도록 구성한다.
이형제 제거수단을 서로 회전하는 이형제 제거롤의 쌍을 쉬트의 반송방향에 복수배치하여 구성하는 경우에 각쌍의 이형제 제거롤을 쉬트 반송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에서 서로 엇갈리게 배치한다. 그리고 복수쌍중의 한쌍의 이형제 제거롤은 최대 쉬트폭보다도 짧은 길이이고 다른 짧은 쉬트폭보다도 약간 긴 길이를 갖게 한다.
또 각쌍의 이형제 제거롤은 다른쌍의 이형제 제거롤과 쉬트 반송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에서 서로 에지가 일치되든지 약간 오버랩되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쌍의 이형제 제거롤을 각각 코어와 이 코어에 피복된 탄성체를 갖게 구성하는 경우에 이형제는 실리콘 오일로 되고 또 탄성체는 실리콘 고무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이상의 정착장치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이고 이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색의 토너가 겹쳐지게 쉬트에 부착시키는 현상기를 구비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토너가 부착된 쉬트를 통과시켜서 토너를 정착시키는 정착롤 및 가압롤과 이 정착롤 및 가압롤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이형제 도포수단과, 정착롤 및 가압롤간을 통과한 쉬트로부터 정착롤 경유시에 부착된 이형제를 제거하는 이형제 제거수단을 설비하여 토너화상위에 잔존하는 이형제를 이형제 제거수단에 의해서 제거하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종래 발생되었던 이형제의 불균일한 분포로 인해서 생기는 화상농도 불균일의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경시적으로 변화되지 않는 안정된 화상온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 쉬트의 반송방향에 이형제 제거수단을 복수 배치함으로써 이형제 제거수단의 경시변화에 의한 이형제 제거부의 얼룩의 발생을 없앨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과 이점은 본 명세서에서 명백해질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성 태양, 요소조합 및 후술하는 구성에 예시된 부품배치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범위에 나타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정착장치 및 이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정착장치를 사용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칼러 전자사진 복사기에 적용시킨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또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칼러 전자사진 복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1매의 용지위에 차례로 화상을 겹쳐서 잔사하는 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 적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칼러 전자사진 복사기는 자동원고 공급장치(1), 화상입력부(2), 화상출력부(3) 및 용지공급부(4)로 된다. 칼러원고는 자동원고 공급장치(1)에 의해서 플래튼 유리(5)위에 올려 놓는다. 화상입력부(2)는 이미징 유니트(6), 이 유니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와이어(7), 구동폴리(9)등으로 되고 이미징 유니트(6)내의 CCD 라인센서, 칼러필터를 사용하여 4색플칼러의 경우에는 칼러원고를 광의 원색인 B(청), G(녹), R(적)마다 독취하여 디지탈 화상신호로 변환시킨 후에 이 신호를 토너의 원색인 Y(옐로), C(시안) M(마젠다), K(블랙)으로 변환하고 또 색, 계조, 정세도 등의 재현성을 높이기 위하여 여러가지 데이타처리를 행하여 칼러의 제조 토너신호를 ON/OFF의 2치화 신호로 변환하여 화상출력부(3)로 출력한다.
화상출력부(3)는 스캔너(10), 감광체 드럼(11)을 갖고 감광체 드럼(11)의 주위에는 감광체 드럼(11)에 균등하게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기(12), 정전잠상을 토너상으로 현상시키기 위한 현상기 유니트(13), 토너상을 용지에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드럼(15), 전사되지 않았던 부분의 잔류토너를 회수하기 위한 클리너(16)가 배치되고 감광체 드럼(11)은 전동기에 의해서 도시한 화살표시와 같이 회전구동된다.
스캔너(10)의 레이저 출력부(10a)에서 상기 화상입력부(2)로부터의 예를 들면 옐로의 화상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폴리곤미러(10b), f/θ렌즈(10c) 및 반사렌즈(10d)를 거쳐서 감광체 드럼(11)위에 원고화상에 대응한 잠상을 형성시킨다. 이 옐로의 잠상이 현상을 거쳐서 용지에 전사되면 감광체 드럼(11)은 클리너(16)에 의해서 잔류토너가 제거된 후에 대전기(12)에 의해서 대전되어 레이저 출력부(10a)는 시안의 화상 신호를 출력한다. 이하 마젠다, 블랙의 각 화상신호의 잠상을 차례로 형성시킨다.
또 상기 레이저 스캔너에 의해서 감광체 드럼에 잠상을 형성하는 방식이외에 원고를 주사광학계 및 색분해 광학계에 의해서 직접 감광체 드럼으로 노광하는 방식을 채용해도 좋다.
현상기 유니트(13)는 옐로용 현상기(13Y), 시안용 현상기(13C), 마젠다용 현상기 (13M), 블랙용 현상기(13K)를 갖고 각 현상기는 회전축의 주위에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옐로의 토너상을 형성할때에는 도면의 위치에서 옐로용 현상기(13Y)에 의해서 현상을 행하고, 시안의 토너상을 형성할때에는 현상기 유니트(13)를 회전시켜서 감광체 드럼(11)에 접하는 위치에 시안용 현상기(13C)를 배치한다. 마젠다, 블랙의 현상도 마찬가지로 동작시킨다.
전사드럼(15)의 외주에는 유전체의 필름 또는 메슈스크린이 쳐있고 전사드럼(15)은 전용전동기 또는 감광체 드럼(11)과 치차에 의해서 연결되고 도시한 화살표시와 같이 회전구동된다. 전사드럼(15)의 주위에는 전사용 대전기(17), 분리용 대전기(19), 박리조 (20), 제전기(21), 클리너(22), 가압롤(23), 흡착용 대전기(25)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용지공급부(4)로부터 급지롤러(4a), 급지가이드(4b)를 경유 반송되는 용지는 전사드럼(15)에 고정된 그립퍼(26)에 의해서 보지되고 흡착용 대전기(25)의 코로나에 의해서 유전체의 필름 또는 메슈스크린에 보지된다. 전사드럼(15)은 감광체 드럼(11)과 동기되어 회전되고 예를 들면 옐로로 현상된 토너상은 전사용 대전기(17)에 의해서 용지에 전사되고 또 전사드럼(15)의 회전에 의해서 차례로 다른색이 전사된다.
전사드럼이 4회전하여 4색의 전사가 종료되면 전사드럼(15)의 내측 및 외측에 설비된 분리용 대전기(19)에 의해서 AC 제전되고 용지는 박리조(20)에 의해서 분리되고 반송벨트(27)에 의해서 후기하는 정착장치(29)로 보내져 토너상이 용융정착되어 카피사이클이 종료된다.
제2도에 정착장치(29)의 정착롤의 후방에 설비된 오일제거장치의 기본형의 단면도를 나타냈다.
이 오일제거장치는 한쌍의 접촉 회전하는 롤에 의해서 구성된다. 화상면쪽의 롤(31)은 실리콘 고무(33)가 비교적 두껍게 피복되고 용지(37)의 이면쪽의 롤(32)은 동일한 실리콘 고무(35)가 얇게 피복되고 양롤(31, 32)은 주로 롤 31의 롤 표면이 변형됨으로써 닢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치의 경우에 용지(37)는 하향으로 컬(curl)되는 경향이 있으나 원래 하향으로 컬되어 버리는 용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변형되는 롤 위치를 상기와 역으로 하여 상향으로 강제적으로 컬되게 하여 용지 컬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용지(37)위의 토너화(38)의 표면에는 정착장치에서 전이된 이형제(39)가 존재하고 있으나 닙을 통과시 함으로써 이 이형제(39)는 롤(31)의 표면으로 전이되고 롤(31, 32) 통과후의 토너 (38)표면에는 거의 이형제(39)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로 된다.
연속적으로 용지(37)가 통과될 경우에는 롤(31)위의 이형제(39)는 앞의 용지가 통과된 후에 다음 용지가 오기전에 대향하는 롤(32)의 표면으로 전이되고 또, 전이된 이형제(39)는 다음 용지가 통과될때에 그 용지의 뒷쪽으로 전이된다. 이와 같이 연속적으로 용지가 통과되는 경우에도 양롤(31, 32)의 표면에 이형제가 축적되는 일없이 안정적으로 토너화상(38)위의 이형제(39)를 제거할 수 있다.
롤(32)의 표면에 피복된 실리콘 고무의 박층(35)은 롤(31)로부터 롤(32)로 및 롤 32로부터 다음 용지의 뒷쪽으로의 이형제의 전이비율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설비된 것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금속롤 또는 플라스틱 롤만이라도 좋다.
또 이 이형제 제거장치는 정착후의 배지장치로서의 기능을 갖게 할 수도 있다. 또, 롤 (31, 32) 표면의 클리닝을 위하여 웨브나 롤러등의 클리닝 부재를 설비하여도 좋다.
또 이 이형제 제거장치에서의 종이의 주름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롤(31, 32)간의 하중은 되도록이면 작은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고무상 탄성체층(33, 35)의 구조를 스폰지의 표면에 고무층을 설비한 다층구조로 함으로써 경하중으로 넓은 닙폭을 얻을 수 있다.
또 탄성체고무(33, 35)와 종이의 마찰대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재에 대전방지제, 계면활성제, 도전성 충전제를 첨가하든지 롤의 표면에 제전장치를 설비하든지 하면 좋다.
또 이제까지 이형제 제거장치로서 한쌍의 롤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탄성체 벨트와 롤의 조합이나 벨트끼리의 조합이라도 좋다. 제3도는 용지(37)의 화상면쪽에 롤 대신에 구동롤(42, 43)간에 걸리는 실리콘 고무제의 벨트(41)을 사용한 것이고, 제4도는 화상면쪽 이면쪽 모두 구동롤(42, 43)간 및 구동롤(45, 46)간에 걸린 실리콘 고무제의 벨트(41, 44)를 사용한 것이며 어느 경우에서도 작용은 제2도의 경우와 같으나 이들 제3, 4도의 경우에는 용지(37)와의 접촉면적이 더 넓어지고 이형제가 용지(37)로부터 더 효율적으로 전이가능하다.
그런데 이상의 오일제거장치는 롤(31, 32)의 길이 및 벨트(41, 44)의 폭은 복사용지의 최대치수(예를 들면 A4용지의 세로치수) 보다도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그것보다도 짧은 용지폭(예를 들면 B5의 세로치수)의 연속카피를 많이 사용할 경우에 롤(1, 2)의 표면의 고무(3, 5), 고무벨트(41, 44)는 그 폭이 좁은 종이 통과 에어리어 즉 통지에이리어만 오일(예를 들면 실리콘 오일)을 제거하게 되어 통지에어리어의 고무만 제거되는 오일로 팽윤되어 버려 다른 부분보다도 직경 또는 두께가 커진다.
그 때문에 팽윤이 너무 커진 경우에 통지에어리어 이외의 부분이 롤간 벨트와 롤간 또는 벨트간에서 접촉 될 수 없게 되어 닙을 형성하지 않게 될 우려가 있고 그부분에서 이형제를 제거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5도에 평면도와 정면도를 나타낸 것과 같이 정착롤(70)의 용지 반송방향 하류에 오일제거롤(51)과 대향롤(52)로 된 제1제거장치와 오일제거롤 53과 대향롤 54로 되는 제2제거장치를 분할하여 지그재그 배치하고 양자의 에지가 용지반송 횡단방향에서 약간 오버랩되도록 한 것이다.
또 각롤쌍의 연장부의 일에 용지에 반송을 돕는 반송롤(55)를 설비하고 있다.
도시한 경우에 A4의 세로반송을 많이 사용하는 경우를 전체로 하고 또 모든 사이즈의 용기는 장치 바로 앞쪽의 레지스트 레이숀 위치에 측벽을 위치 맞춤하여 반송되게 하고 있다. 이 경우에 제1제거장치의 오일제거롤(51)의 길이는 A4의 짧은쪽의 폭(210mm)보다도 약간 길게 되어 있고 A4의 세로반송의 경우에 이롤(51)에 의해서 용지위의 오일이 제거된다. 또 그보다도 짧은 B5의 세로반송의 경우(182mm)에도 이 롤(51)에 의해서 제거된다. 그리고 제2제거장치의 오일제거롤(53)의 장치안쪽의 에지는 A4 가로반송의 장치 안쪽 측변보다도 약간 안쪽에 배치되고 그 장치 바로앞쪽의 에지는 A4 세로반송의 장치 안쪽 측변과 용지 반송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에서 일치되든지 약간 장치의 앞쪽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A4 세로보다도 작은 B5 가로, A4 가로의 경우에 롤(51, 52)이 팽윤되어도 A4 세로 사이즈의 영역까지는 제1제거장치에 의해서 오일이 제거되고 그 이상의 부분은 제2제거장치의 롤(53, 54)에 의하여 제거되도록 하여 상기한 문제를 해결한다.
또 대향롤(52, 54)에 대해서는 오일제거롤(51, 53)과 같은 길이로 하든지 그보다도 길게 하여도 좋다. 또, 오일제거롤(51, 53), 대향롤(52, 54)를 모두 동일사이즈, 동일구조, 동일재질의 롤로 구성하여 제조, 조립의 용이성을 확보하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도 있다. 반송롤(55)에 대해서는 롤(51~54)와 동질의 것으로 하여도 좋고 통상의 반송롤로 구성해도 좋다.
또 이상은 롤쌍에 의해서 이형제를 제거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제3도, 제4도의 경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구성할 수 있다. 또 레지스트 레이숀 위치를 감광체 드럼축 방향 중심에 배치하는 경우는 제1제거장치의 양측 하류에 제2, 제3의 제거장치를 설비할 필요가 있다. 또 제5도와 같은 경우에도 2분할 보다도 더 나누어 3분할 이상으로 하여 3개 이상의 제거장치를 배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2도에 나타낸 오일제거장치를 사용한 정착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겠다.
제6도는 정착장치(29)의 일실시예의 단면도이고 정착롤(70)은 알루미늄 코어(73)에 두께 3mm의 실리콘 고무(72)를 피복하여 형성한 직경 50mm의 탄성체 롤이고 코어(73)의 내부에 열원으로서 적외선 램프(75)를 갖고 있다. 정착롤(70)의 표면온도는 온도센서(81)로 검지되고 도시치 않은 온도제어회로에 의해서 175℃로 제어된다.
가압롤(71)은 알루미늄 코어(77)에 테프론(상품명:듀폰사제)(74)를 50㎛ 피복한 직경 50mm의 롤이고 코어(77)내부에 열원으로서 마찬가지로 적외선 램프(76)를 갖고 있다. 가압롤(71)의 표면온도는 온도센서(82)로 검지되고 도시치 않는 온도제어회로에 의해서 165℃로 제어된다.
양롤(70,71)은 하중 80kg, 닙폭 5mm로 접촉되고 서로 160mm/s의 속도로 회전되게 구동된다.
또, 제6도에서 부호 78로 나타낸 것은 박리조이고 가압롤(71)에 감기는 용지를 박리시키는 수단이다. 또 부호 83은 정착롤(70)에 이형제인 실리콘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을 나타내고 있고 이 자체는 주지의 여러가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부호 84는 페이퍼 슈트를 타나내고 있다.
제1도와 같은 칼러 전자사진 복사기에서 시안, 마젠다, 예로, 블랙의 4색 토너가 전사된 미정착 용지(79)는 양롤(70,71)간에서 정착, 발색되어 칼러 화상이 형성되고 그후에 이형제 제거장치(60)로 인도된다.
이형제 제거장치(60)는 제2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쌍의 탄성체 롤(31,32)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화상면쪽의 롤(31)은 알루미늄 코어(34)에 실리콘 고무(고무경도 30도)(33)가 4mm의 두께로 피복되고 또 한쪽의 롤(32)은 알루미늄 코어에 동일한 실리콘 고무(35)가 1mm의 두께로 피복되고 양롤(31,32)은 닙폭 2.5mm로 정착롤(70)과 같은 속도로 회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정착후의 토너회상이 표면에 잔존하는 이형제(39)는 롤(31)의 표면에 전이되어 토너화상 표면으로부터 제거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정착장치(29)에 의해서 정착된 화상농도, 광택도에 대해서 그들의 시간적 변화를 조사한 결과, 표-1에 나타낸 데이타가 얻어지고 농도, 광택도 모두가 거의 변화되지 않은 결과로 되었다. 여기서 사용한 측정기는 농도계는 마크베스/910, 광택도계는 가드나 그로스미터-II이다. 또 이 화상표면을 손가락으로 접촉하여도 화상위에 지문이 생기지 않아 안정된 화상인 것을 알았다.
[표 1]
이에 대해서 상기 정착장치(29)에서 오일제거장치(60)을 제거하여 정착시킨 결과 농도, 광택도의 변화는 표-2에 나타낸 데이타로 되고 이 표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농도와 광택도는 서서히 감소되고 약 5일 후에 겨우 안정되는 데이타로 되었다.
[표 2]
또 농도 불균일에 관해서 50인에 대해서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그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해서 오일제거장치(60)를 부착한 것에서는 농도 불균일에 관해서는 전혀 문제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사람이 대부분이었는데 대해서 오일제거장치(60)를 부착하지 않았던 것에서는 정착후 1일 경과한 시점에서 가장 농도 불균일이 크다고 판단되고 그 이후는 서서히 저하되고 1주간 후에는 잘 보지 않으면 느낄 수 없는 레벨로 되었다.
[표 3]
(주) 그레이드 1 : 전혀 느낄 수 없다.
그레이드 2 : 잘보지 않으면 느낄 수 없다.
그레이드 3 : 느끼지만 무시할 수 있다.
그레이드 4 : 무시할 수 없다.
그레이드 5 : 매우 심하여 보기 흉하다.
특히 상기 표 2의 정착장치(29)에서 오일제거장치(60)를 제거한 것의 농도와 광택도의 감소는 정착후의 토너표면에 피막으로서 잔존하는 실리콘 오일이 토너층의 갈라진 곳이나 부분적으로 존재하는 토너 입자계 면이나 핀홀을 통하여 용지로 확산되어가는데 기인되는 것이다. 이 때문에 표 3과 같이 정착후 1시간부터 5일째 될때까지는 토너층의 갈라진 곳이나 입자계면, 핀홀주위의 화상농도가 다른 부분에 비해 낮아지고 농도 불균일이 존재하는 보기 흉한 화상으로 되어버린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착장치 및 이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는 토너가 부착된 쉬트를 통과시켜서 토너를 장착하는 정착롤 및 가압롤과 이 정착롤 및 가압롤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이형제 도포수단과 정착롤 및 가압롤간을 통과한 쉬트로부터 정착롤 경유시에 부착된 이형제를 제거하는 이형제 제거수단을 설비하고 토너화상위에 잔존하는 이형제를 이형제 제거수단에 의해서 제거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서 종래 발생되었던 이형제의 불균일 분포에 의해서 생긴 화상농도 불균일의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경시적으로 변화되지 않는 안정된 화상농도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고 그 공업적 이용가치는 매우 크다.
또 쉬트의 반송방향으로 이형제 제거수단을 복수 배치함으로써 이형제 제거수단의 경시변화에 의한 이형제 제거의 불균일이 생기는 것을 없앨 수 있다.

Claims (12)

  1. 토너가 부착된 쉬트를 통과시켜서 토너를 정착시키는 정착롤 및 가압롤과, 상기 정착롤 및 가압롤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이형제 도포수단과, 상기 정착롤 및 가압롤간을 통과한 쉬트로부터 상기 정착롤 경유시에 부착된 이형제를 제거하는 이형제 제거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제 제거수단은 서로 회전되는 한쌍의 이형제 제거롤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제 제거수단은 서로 회전되는 한쌍의 이형제 제거벨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제 제거수단은 서로 회전되는 이형제 제거롤과 이형제 제거벨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제 제거수단은 서로 회전되는 이형제 제거롤의 쌍이 쉬트의 반송방향에 복수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이형제 제거롤이 각각 코어와 코어에 피복된 탄성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이형제 제거롤은 각각 최대 쉬트폭 이상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쌍의 이형제 제거롤이 쉬트 반송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에서 서로 엇갈려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쌍중의 한쌍의 이형제 제거롤이 최대 쉬트폭보다도 짧은 길이이고 다른 짧은 쉬트폭보다 약간 긴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쌍의 이형제 제거롤은 다른쌍의 이형제 제거롤과 쉬트 반송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에서 서로 에지가 일치되든지, 약간 오버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제는 실리콘 오일로 되고 또 상기 탄성체는 실리콘 고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장치.
  12. 제1항에 기재의 정착장치를 구비하고 또 복수색의 토너를 겹쳐지게 쉬트에 부착시키는 현상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19910013184A 1990-07-31 1991-07-31 정착장치 및 이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KR9400087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203060 1990-07-31
JP2-203060 1990-07-31
JP20306090 1990-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3123A KR920003123A (ko) 1992-02-29
KR940008793B1 true KR940008793B1 (ko) 1994-09-26

Family

ID=16467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3184A KR940008793B1 (ko) 1990-07-31 1991-07-31 정착장치 및 이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177550A (ko)
KR (1) KR9400087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2095B2 (ja) * 1994-10-14 2002-09-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定着装置
JP2001342319A (ja) 2000-06-01 2001-1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ッ素ゴム組成物、定着部材、定着方法、及び定着装置
US7229167B2 (en) * 2001-10-05 2007-06-12 Konica Corporatio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ink-jet recording method and ink jet recording medium
US6687483B2 (en) * 2002-05-30 2004-02-03 Nexpress Solutions Llc Fuser apparatus for adjusting gloss of a fused toner image and method for fusing a toner image to a receiver
US7845783B2 (en) * 2008-07-23 2010-12-07 Xerox Corporation Pressure roller two-layer coating for phase-change ink-jet printer for direct on paper printin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6234A (en) * 1977-11-30 1979-06-18 Ricoh Co Ltd Oil feeder of copier
JPS58203470A (ja) * 1982-05-22 1983-11-26 Canon Inc 定着装置
JPS59158158U (ja) * 1983-04-08 1984-10-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S60207171A (ja) * 1984-03-30 1985-10-18 Canon Inc 離型剤除去手段を有する記録装置
JPH065431B2 (ja) * 1988-12-20 1994-01-19 日東工業株式会社 弾性ロール及びその製造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3123A (ko) 1992-02-29
US5177550A (en) 199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1473B2 (ja) 画像形成装置
US6341205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leaning bias feature
JPS59214048A (ja) 二色電子写真複写装置
US8693901B2 (en) Transfer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940008793B1 (ko) 정착장치 및 이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JPH11161055A (ja) 画像形成装置
JP3165636B2 (ja) 画像形成装置
JP2586239B2 (ja) 定着装置
JP4820686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3521685B2 (ja) 画像形成装置
JPH04344680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7552055B2 (ja) 画像形成装置
JP4343499B2 (ja) 多色画像形成装置および多色画像形成方法
JP3880459B2 (ja) 画像形成装置
JPH0713791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0081805A (ja) 画像形成装置
JP387725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7138507A (ja) 画像形成装置
JP3857101B2 (ja) 転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750949B2 (ja) 画像形成装置
JPH0429177A (ja) 画像形成装置
JP3526193B2 (ja) 定着部材および定着装置
JP2019144332A (ja) ベルト駆動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109760A (ja) 転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8262887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9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