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8637Y1 - 배관 이음매 - Google Patents

배관 이음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8637Y1
KR940008637Y1 KR2019910004523U KR910004523U KR940008637Y1 KR 940008637 Y1 KR940008637 Y1 KR 940008637Y1 KR 2019910004523 U KR2019910004523 U KR 2019910004523U KR 910004523 U KR910004523 U KR 910004523U KR 940008637 Y1 KR940008637 Y1 KR 9400086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socket
plug
traditional body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45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9739U (ko
Inventor
레이찌 마끼시마
Original Assignee
닛또오 고오끼 가부시끼가이샤
미끼야 도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또오 고오끼 가부시끼가이샤, 미끼야 도시오 filed Critical 닛또오 고오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97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7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86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6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2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 F16L27/026Universal and axially displaceable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9/00Joints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29/04Joints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a cut-off device in each of the two pipe ends, the cut-off devices being automatically opened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917Flow path with serial valves and/or closures
    • Y10T137/87925Separable flow path section, valve or closure in each
    • Y10T137/87941Each valve and/or closure operated by coupling motion
    • Y10T137/87949Linear motion of flow path sections operates both
    • Y10T137/87957Valves actuate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배관 이음매
도면은 본 고안에 관한 배관이음매의 1실시예를 도시하는 4반부 종단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 : 다른쪽 이음매부재(플러그) 10 : 한쪽 이음매부재(소켓)
12 : 후통체(後筒體) 14, 24 : 볼
14a, 24a : 볼록원호면 15, 25 : 구면대우(球面對偶)
20 : 전통체(前筒體) 30 : 슬리이브
34, 35 : 오목 원호면 41 : 연결축
47 : 압축코일스프링 50 : 후부지지판(後部支持板)
55 : 전부지지판(前部支持板)
[고안의 목적]
[산업상의 이용 분야]
본 고안은 대향 설치한 배관계의 편심상태를 흡수하여 접속할 수 있는 배관이음매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종래 소켓과 플러그를 한쌍의 이음매부재로 하는 배관이음매는 한쪽 이음매부재가 벽면등에 고정된 배관에 접속되고, 이 이음매부재에 다른쪽 이음매부재를 삽입하는 사용법을 많이 볼수 있다.
이 사용법은 대구경관(大口經管)의 접속에 사용되는 소위 대구경관 이음매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나, 이 대구 경관을 접속하는 관이음매를 개시하는 예컨대 일본국 실공평 1-42711호 공보에는 고정측의 칼라부 및 상기 지지부재를 전후 한쌍의 구면대우와 스프링을 개재시켜서 지지레버에 의해 연결하고, 또 다른쪽 이음매 부재는 볼이음매형상의 구형으로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공지의 관이음매에서는 양쪽 이음매부재 상호의 축심이 다소 어긋난 위치 관계에 있어도, 이 어긋남을 고정측의 이음매부재로 수정하고, 양자의 축심을 일치시킬수 있는 것이므로 양쪽 이음매부재는 완전히 접속되어 유체의 누출이나 이음매부재의 파손을 방지할수 있다.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상기 공지의 고안은 이음매 부재의 외주부에 칼라부를 설치하고, 해당 칼라부를 지지부재와의 연결에 이용하고 있으므로 대구경의 관이음매에 있어서는 더욱 대형화한다.
또 상기 고안은 축심이 약간만 어긋나 있을때나 또는 미소한 각도로 교차되어있을 때에는 비교적 용이하게 수정할수 있어도, 크게 어긋나있거나 교차각도가 큰 상태이면 접속이 곤란해지며, 또 위치가 축심방향으로도 어긋나 있는 복수개의 배관이음매를 동시에 접속하려고하는 경우에는 접속시에 축심방향의 편위를 조정할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조정을 할수 없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그 제1의 목적은 양쪽 이음매부재의 축심이 크게 어긋나 있어도, 대구경의 배관 이음매로서 최적의 소형배관 이음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고안의 제2의 목적은 양쪽 이음매 부재외축심이 반경방향으로 어긋나 있을뿐 아니라 축심방향으로 어긋나 있어도, 이들의 편의를 쉽게 흡수할 수 있는 다중배관용으로서 최적의 소형 배관이음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고안의 구성]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배관이음매는 소켓과 플러그를 한쌍의 이음매 부재로 하는 배관이음매에 있어서, 한쪽 이음매부재가 다른쪽 이음매부재에 접속되는 전통체와 고정배관에 접속되는 후통체로 이루어지며, 이들 양통체의 외주면상호간을 구면 대우를 통하여 슬리이브로 축심조절이 가능하게 연결하고, 동 슬라이브와 구면대우로 상기 양통체의 외주면을 포위하는 유체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배관이음매에 있어서, 상기 전후 통체를 서로 대향하는 전후 지지판에 의해 지지하고, 적어도 상기 한쪽 통체를 상기 구면대우에 대하여 축심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지지판 사이를 잇는 연결축과 스프링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오프셋이 자유롭게 설치함으로써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작용]
이음매를 구성하는 한쪽 이음매부재의 축심과 다른쪽 이음매부재의 축심이 어긋나 있는 경우에 양부재를 접속하기 시작하면 고정핀측의 이음매부재에서는 슬리브와 구면대우에 의해 일체로 접속되어 있는 전통체와 후통체의 양자간에 있어서, 먼저 전통체가 다른쪽 이음매부재의 삽입력에 의해 이 다른쪽 이음매부재의 축심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반경방향 힘이 걸리고 전통체는 슬리이브의 축심선에 대하여 구면대우를 통해 회전이동하며, 이때 후통체는 방향을 일체 변경하는 일없이 때로는 예컨대 전통체의 축심과 교차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전통체의 축심과 다른쪽 이음매부재의 축심이 중심 일치 상태가 되어 양부재의 접속이 행하여진다.
이 배관이음매가 복수개 배열되어 있는 경우라도 양 이음매부재의 위치가 배관이음매마다 축심방향으로 어긋난 경우, 상기 전동체에 가장 접근한 위치에 있는 이음매 부재로부터 삽입이 개시되고, 다음에 해당 이음매부재에 뒤이어 삽입이 개시되는 다른 배관 이음매의 이음매부재삽입이 시작되면 선행하는 이음매부재와 짝을 이루는 이음매부재의 전통체는 스프링의 탄발력에 저항, 후퇴하여 위치가 조정되고, 이어서 양이음부재 전체가 서로 순차적으로 접속되어 최종적으로 모든 배관이음매가 완전히 접속된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가장 적절한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한쪽 이음매부재를 소켓(10)이라 하고 다른쪽 이음매부재를 플러그(8)라 한다.
또 소켓(10)의 플러그(8)와 접속되는 쪽을 전부, 전면 전방, 전단부등으로 기입하고, 소켓부의 배관과 접속되는 쪽을 후부, 후면, 후방 후단부등으로 기입한다.
소켓(10)은 후단부 내주면에 고정배관으로의 접속용 암나사(13)를 가지는 후통체(12)와, 전단부 내주면으로 플러그(8)의 진입을 안내하는 테이퍼면(21)을 가지는 전통체(20)와, 축심을 일치시켜 이 전통체(10)와 후통체(12)를 연결하는 원통형상의 슬리이브(30)에 의해 구성되고, 전후의 통체(20, 12)와 슬리이브(30)사이에는 뒤에 설명하는 구면대우(15, 25)가 형성되어 있다.
후통체(12)의 전단부의 외주면에는 축방향의 중앙부가 원심방향으로 팽창돌출한 볼록 원호면이 형성된 외주면(14a)를 가지는 볼(14)을 O링(16)을 개재시켜 끼워 맞춤하고, 이 볼(14)은 후통체(12)의 중앙부에 설치한 단차부(17)와, 후통체(12)의 전단부 외주면에 끼워맞추어진 완충용 와셔(18) 및 스톱링(19)에 의해 끼워져 축심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상기 볼(14)의 볼록원호면(14a)은 상기 슬리이브(30)의 내주면에 형성된 오목원호면(34)과 각부 똑같이 면접촉하여 상기 구면대우(15)를 형성하고 있다.
또 전통체(20)의 후단면의 외주면에도, 전자(15)와 동일한 구면대우(25)를 가지나, 전통체(20)는 볼(24)에 대하여 축심방향으로 약간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27은 볼(24)의 전단면과 접착분리가 가능한 단차부, 28은 보올(24)의 후단면과 접착분리가 가능한 완충용와셔, 29는 스톱링이다.
슬라이브(30)는 본체통(31)의 전단부와 후단부의 내부면에 본체통(31)와 동일 직경의 보조링(32, 33)을 나사 맞춤하여 일체로하고, 슬라이브(30) 내주면의 전후부에는 상기 볼(14, 24)의 외주부 볼록원호면(14a, 24a)에 면접촉하는 오목원호면(34, 35)을 형성하고, O링(36, 37)을 통하여 볼(14, 24)의 외주면에 끼워 붙인다. 이와같이하여 후통체(12)와 전통체(20)는 전후방향으로 소요되는 간격을 벌려 슬라이브(30)에 의해 연결되고, 전통체(20)는 상기 링(32, 33)을 포함하는 상기 구면대우(15, 25)의 작동범위내에서 해당 축심선에 대해 교차하여 그 위치를 변화시킬수 있고, 전통체(20)와 후통체(12)는 O링(16, 26, 36, 37)으로 밀봉되어 소켓(10)의 유체유로(11)를 형성한다.
또한 38은, 슬리이브(30)에 보조링(32, 33)을 나사맞춤할때 공구를 찔러넣어 죄어붙이기 위한 구멍이다.
그리고 소켓(10)의 상기 후통체(12)는 후부지지판(50)을 관통시켜 동지지판(50)에 보울트(51)로 고정되고, 또 전통체(20)는 후부지지판(50)과 평행으로 대치시킨 전부지지판(55)을 관통시켜, 충격흡수용 스프링워셔(58)를 개재시켜서 동 지지판(55)에 고정되어 있다.
슬라이브(30)의 주위 4개소에는 슬리이브(30)의 축심선과 평행으로 연결축(41)을 같은 간격으로 배열설치하고, 후통체(12)측에서는 상기 후부지지판(50)에 각 연결축(41)의 후단부에 너트(42)를 나사장착하여 동 단부를 후부지지판(50)에 고정하는, 한편 전통체(20)측에서는 상기 전부지지판(55)에 각 연결축(41)의 전단부를 플랜지(44)를 가지는 칼라(43)를 개재시켜서, 전부지지판(55)의 상기 칼라(44)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관통구멍(56)에 헐겁게 끼워 맞춤하고, 다시 칼라(44)와 동일 직경의 스페이서(45)를 상부 지지판(55)의 전면부에 개재시켜서 같은 전단부에 너트(46)를 나사장착하여 전부지지판(55)을 연결축(41)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킬수 있도록 한다.
연결축(41)의 외주면에는 칼라(43)의 플랜지(44)후면과 후부지지판(50)의 전면과의 사이에 압축코일스프링(45)을 끼워맞춤하고, 이 압축코일스프링(47)으로 후부지지판(50)과 전부지지판(55)을 서로 멀어지게하는 방향으로 탄발시키며, 정상위치에서는 양지지판을 평행상태로 유지하고, 이 압축코일스프링(47)의 작용으로 전부지지판(55)은 연결축(41)의 축심선에 대하여 경사상태로 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와같이하여, 전부지지판(55)은 연결축(41)의 전단부에 자유상태로 지지되어 있으나, 연결축(41)의 적소에도 전부지지판(55)이 후퇴하는 것을 허용하는 단차부(41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전통체(20)는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위치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어서 소켓(10)의 밸브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통체(20)의 내주면 후부에는 밸브지지통(60)을 끼워넣어 고정하고, 동 지지통(60)의 전단부를 전통체(20)의 내주면에 형성한 단차부(62)에 맞닿게하고 또한, 동 지지통(60)의 후단부를 스톱링(63)으로 걸어둔다.
지지통(60)의 앞부에는 후기하는 밸브레버(75)를 끼워맞추는 밸브지지구멍(66)을 축심 방향으로 설치하는 동시에 동 지지구멍(66)의 주위에 복수개의 유로(67)를 형성하고, 이들 끼워맞춤구멍(66)과 유로(67)는 전통체(20)의 유체유로의 일부의 형성하는 밸브 지지통(60)의 후부공간(65)으로 개방되어 있다.
70은 정면부에 밀봉링(73)을 구비한 밸브체로서 상기 밸브지지통(60)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상기 밸브레버(75)상에 본체원반(71)과 이 원반(71)과 함께 밸브 본체를 구성하고, 상기 밀봉링(73)을 끼워두는 보조원반(72)을 중합하여 끼워 맞추고, 그 전후방향으로부터 너트(74, 77)로 끼워둠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 후기하는 플러그축의 밸브체(80)도 동일하게 구성되고, 너트(74)가 헤드부로 되어 서로 밀어붙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71a는 본체원반(71)과 밸브레버(75)의 사이를 밀봉하는 O링, 78은 상기 밸브체(70)의 밀봉링(73)을 전통체(20)의 내주면에 돌출설치한 밸브좌(79)에 맞닿게하기 위한 밸브스프링이다.
한편, 플러그(8)는 그 선단부가 상기 소켓(10) 전통체(20)의 내경사이에서 소요되는 끼워맞춤공차를 가지고 형성되고, 플러그 외주부는 밀봉링(22)에 의해 밀봉되도록 되어 있다.
81은 밸브(80)를 탄발하는 밸브스프링으로서 플러그(8)와 소켓(10)이 접속되었을때는 각각의 헤드부(74)가 서로 밀쳐서 후퇴하고 유체유로가 개방되도록 되어있다.
다음에 이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소켓(10)이 플러그(8)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후부지지판(50)과 전부지지판(55)은 4개의 압축코일스프링(47)에 의해 균등하게 탄발되어 평행상태로 유지되고, 전통체(20)가 볼(24)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영역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때, 소켓(10)의 전통체(20)의 축심과 플러그(8)의 축심이 일치되어있으면, 소켓(10)의 유로(11)가 1개의 통체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배관이음매와 동일 작용으로 접속이 가능하다.
그러나 소켓(10)과 플러그(8)가 분리된 상태로 쌍방의 축심이 평행하게 어긋나 있거나, 또는 축심이 교차하는 상태로 양자(8, 10)가 대향하고 있을 때, 플러그(8)의 선단부가 소켓(10)의 전통체(20)내에 진입하기 시작하면, 소켓(10)의 전통체(20)와 후통체(12)는 각각 지지판(50, 55)에 의해 지지되어있으나, 전부지지판(55)은 연결축(41)에 의해 그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이는 상태에 있고, 더구나 전통체(20)와 후통체(12)는 구면대우(15, 25)를 통하여 슬리이브(30)에서 기밀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통체(20)는 후통체(12)와 독립적으로 요동하고, 전통체(20)의 축심과 플러그(8)의 축심이 중심일치 상태로 된다.
다음에 상기 소켓(10)이 다수 병렬하여 설치되어있는 경우에, 해당 소켓의 각각에 대하여 다수의 플러그를 동시에 접속하려고 할 때, 짝을 이루는 소켓(10)과 플러그(8)의 삽입이 통상의 경우보다 강하고, 따라서 플러그(8)가 한층 더 깊이 삽입된 상태로 되었을 경우, 플러그(8)가 소켓(10)의 전통체(20)내에 진입하고, 접속이 완료되는 위치가 도면에서 좌측방향으로 치우쳐도 전부지지판(55)에 의해 지지된 전통체(20)는 압축코일스프링(47)의 탄발력에 저항하여 후퇴하므로 접속완료 위치가 조정되어 소켓(10)과 플러그(8)는 접속된다.
이때 전통체(20)는 구면대우(25)를 구성하는 볼(24)의 내주면을 따라 후퇴하므로, 슬리이브(30)와 후통체(12)와의 위치관계는 변화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는 소위 시건기구를 소켓(10)과 플러그(8)에 구비하고 있지 않은 형식의 배관이음매를 나타내고 있으나, 본고안이 시건기구를 구비한 형식에도 실시될 수 있음은 말할것도 없다.
[고안의 효과]
본 고안은 배관계의 반경방향의 편위를 흡수할수 있고, 더구나 전후통체의 외주부를 구면대우를 개재시켜서 슬리이브로 접속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으므로 소구경이라도 유체유로를 좁히는 원인은 제거되고, 따라서 소형화에 공헌하게 되고, 간단한 구조로 인해 생산단을 감소시킬수 있다.
특히 이 고안은 소켓 또는 플러그의 이동방향이 제한되고, 또한 중이 있는 대구경의 배관이음매로서도 효과적이다.
또 본 고안은 소켓과 플러그 상호간의 축심을 일치시키는 동시에 축심방향의 어긋도 흡수할수 있으므로 다수 배열되어 있는 소켓에 플러그를 동시에 접속하는 형식에는 보다 효과적이다.

Claims (1)

  1. 소켓(10)과 플러그(8)를 한쌍의 이음매부재로하는 배관이음매에 있어서, 한쪽 이음매부재(10)가 다른쪽 이음매부재(8)에 접속되는 전통체(20)와 고정배관에 접속되는 후통체(12)로 이루어지며, 이들 양통체의 외주면 상호간을 구면 대우(15, 25)를 통하여 슬리이브(30)로 축심조정이 가능하게 연결하여 동슬리이브(30)와 구면대우(15, 25)로 상기 양통체(20, 12)의 외주면을 포위하도록 유체유로(11)를 형성하고, 상기 전후통체(20, 12)를 상호 대향하는 전후지지판(55, 50)에 의해 지지하고, 적어도 상기 한쪽의 통체(20)를 상기 구면대우(15, 25)에 대하여 축심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지지판(55, 50)사이를 잇는 연결축(41)과 스프링(47)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오프셋이 자유롭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이음매.
KR2019910004523U 1990-11-20 1991-04-03 배관 이음매 KR94000863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0121391U JPH0637255Y2 (ja) 1990-11-20 1990-11-20 配管継手
JP2-121391(U) 1990-1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739U KR920009739U (ko) 1992-06-16
KR940008637Y1 true KR940008637Y1 (ko) 1994-12-26

Family

ID=14810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4523U KR940008637Y1 (ko) 1990-11-20 1991-04-03 배관 이음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181689A (ko)
JP (1) JPH0637255Y2 (ko)
KR (1) KR94000863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62465B1 (en) * 1999-08-31 2006-06-13 Verizon Services Corp.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gent controlled synchronized browsing at a terminal
US6771766B1 (en) * 1999-08-31 2004-08-03 Verizon Services Corp.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ive agent assistance
US6290434B1 (en) * 1999-12-30 2001-09-18 Hylsa, S.A. De C.V. Expansion joint for high-pressure high-temperature pneumatic transport of DRI or other abrasive particles
AU2010237602B2 (en) * 2009-04-17 2015-09-17 Craig Oldnall Flange seal
CN103047505B (zh) * 2011-10-13 2014-12-17 江苏百新波纹管有限公司 对夹式高温高压旋转补偿器
JP6200723B2 (ja) * 2013-08-08 2017-09-20 株式会社水道技術開発機構 伸縮可撓管及び伸縮可撓管の組立方法
KR102044512B1 (ko) * 2018-01-22 2019-11-13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플랜지용 접지장치
NO344856B1 (en) * 2018-10-19 2020-06-02 Vetco Gray Scandinavia As Misalignment Accommodating Hydraulic Coupl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55850A (en) * 1956-11-15 1960-10-11 Strachan & Henshaw Ltd Pipe coupling having telescopic and lateral compensating means
US3645294A (en) * 1970-10-19 1972-02-29 Aeroquip Corp Self-sealing coupling
US4154551A (en) * 1977-10-11 1979-05-15 J. Ray Mcdermott & Co., Inc. Flow-through swivel pipe joint
US4188050A (en) * 1977-10-25 1980-02-12 Fmc Corporation Remote-controlled flowline connector
SU679767A1 (ru) * 1978-02-20 1979-08-15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А-7976 Шарнирное соединение трубопроводов
US4482171A (en) * 1979-01-25 1984-11-13 Campbell Joseph K Pipe stress/strain neutralizers
JPS56174781U (ko) * 1980-05-27 1981-12-2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78385U (ko) 1992-07-08
US5181689A (en) 1993-01-26
KR920009739U (ko) 1992-06-16
JPH0637255Y2 (ja) 1994-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4155Y1 (ko) 이중관식 관 이음매
SU1256701A3 (ru) Узел шкворн
US20100140932A1 (en) Tapered nut for tube or pipe fitting
KR940008637Y1 (ko) 배관 이음매
JP2624988B2 (ja) 流体管継手用の改良した隔壁取付け装置
CA2636738A1 (en) Fitting with adapted engaging surfaces
EP2877768B1 (en) Quick connect coupling with swaged valve components and method for assembling
US3423110A (en) Quick-connective coupling
US4988129A (en) Fluid pipe coupling
GB1482197A (en) Couplings for units such as pipes and the like
CA2149465A1 (en) Tubular Adapter
JP7358423B2 (ja) 継手構造体
JP3501812B2 (ja) スプリングチャック装置
US5411297A (en) Conduit mounting system
JP2961288B2 (ja) 管継手
IE912775A1 (en) Joint between pipe sections
KR930003266Y1 (ko) 유체 접속구의 소켓
JP2501414B2 (ja) 流体連絡装置およびその組立て方法
JP2019060471A (ja) 管継手
JPH09119579A (ja) 複数の配管継手の接続装置
JP7253389B2 (ja) 継手部材
JP2544606Y2 (ja) 偏心自在継手
RU2064118C1 (ru) Быстроразъемное соединение трубопроводов
JP3160367B2 (ja) 逆火防止装置
JPH01145493A (ja) 自在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