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8544B1 - 정보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정보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8544B1
KR940008544B1 KR1019910004177A KR910004177A KR940008544B1 KR 940008544 B1 KR940008544 B1 KR 940008544B1 KR 1019910004177 A KR1019910004177 A KR 1019910004177A KR 910004177 A KR910004177 A KR 910004177A KR 940008544 B1 KR940008544 B1 KR 940008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e
index
key
display
unwritt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4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시 히라야마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기가이샤
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기가이샤, 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기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8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lculators And Similar Device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정보처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정보처리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정보처리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화면도.
제3도는 데이터의 격납상태를 나타낸 모식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정보처리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외관시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계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스플레이부 3 : 펜
21 : CPU 30 : V-RAM
70 : 액션화면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펜을 사용하여 입출력데이터를 처리하는 전자수첩장치 등의 데이터를 신속하게 취출할 수 있는 정보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펜을 사용한 입출력데이터를 처리하는 전자수첩장치 등의 데이터를 신속하게 취출할 수 있는 정보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며, 페이지마다 정보를 관리하는 동시에, 이 페이지중 동일한 속성을 가진 그룹을 인덱스별로 하여 관리하는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마다의 정보 및 상기 인덱스의 종류를 표하는 표시수단과, 이 표시된 인덱스의 종류를 지시하는 지시수단과, 상기 표시수단이 표시하고 있는 현재의 표시페이지가 상기 지시수단에 의해 지시된 지시인덱스에 속하는 최초의 페이지인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판정수단에 판정결과가 상기 현재의 표시페이지가 상기 지시인덱스에 속하는 최초의 페이지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지시인덱스에 속하는 미기입 페이지를 표시하는 것으로, 키로 조작하기 쉽고, 페이지넘기기를 번잡하게 행하지 않아도 되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콤퓨터(이하 CPU라고 함) 등에서는 메모리내에 기억되는 데이터를 페이지 또는 카드의 형태로 격납시키는 프로그램이 일반적이다. 페이지의 형태로 격납한 것은 소정의 데이터를 페이지마다 일괄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카드의 형태로 격납한 것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데이터일지라도, 일괄적으로 되어 있으나 흩어져 있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들 페이지마다 및 카드마다의 데이터일지라도, 일괄적으로 되어 있으나 흩어져 있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들 페이지마다 및 카드마다의 데이터중 동일한 속성을 가진 페이지의 그룹을 인덱스별로 관리한 데이터로서 설명을 진행한다. 이와 같이 인덱스별로 관리한 데이터의 소정의 것을 취출하여, 이미 기입되어 있는 것을 읽는 경우 당연히 페이지를 넘길 필요가 있으며, 또한 데이터를 새로이 기입하는 경우에는 미기입의 페이지를 펼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별로 관리한 한 권의 노트와 같은 것을 생각했을 때, 이미 기입한 페이지와 함께 미기록부분이 있고, 이 미기록부분에 소정 사항을 기입하기 위해서는 미기록부분까지의 페이지넘기기가 필요하다. 이러한 것을 전자수첩장치등에서 행하는 경우에 예를 들면 30페이지의 인덱스별로 관리되어 있는 데이터를 넘기는 경우, 최악 20회의 페이지넘기기 키조작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번잡한 조작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기입모드용의 키를 신규로 배설하여, 이 기입모드용 키를 누름으로써 최후의 페이지를 펴도록 한 것 등이 알려져 있다. 또,「최초 키」「최후 키」등을 배설하고, 이들 키의 조작으로 인덱스별로 관리한 데이터의 최초 또는 최후의 페이지를 펼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도 알려져 있다.
전술한 종래의 구성에서는 최초 또는 최후의 페이지는 점프시키는데는「최초 키」「최후 키」 등을 배설하지 않으면 안된다. 특히 데이터가 인덱스별로 관리되고 있는 것에서는 인덱스별로 이들 「최초 키」또는「최후 키」를 설치할 필요가 있으므로, 키수가 증가하고, 사용의 불편도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특히 미기입부분에의 기입페이지의 검색이 용이한 정보처리장치를 얻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정보처리장치는 그 예가 제1도 내지 제3도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페이지마다 정보를 관리하는 동시에, 이 페이지중 동일한 속성을 가진 그룹을 인덱스별로 하여 관리하는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마다의 정보 및 상기 인덱스의 종류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이 표시된 인덱스의 종류를 지시하는 지시수단과, 상기 표시수단이 표시하고 있는 현재의 표시페이지가 상기 지시수단에 의해 지시된 지시인덱스에 속하는 최초의 페이지인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판정수단의 판정결과가 상기 현재의 표시페이지가 상기 지시인덱스에 속하는 최초의 페이지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 표시수단은 상기 인덱스에 속하는 미기입 페이지를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처리장치는 페이지마다 정보를 관리하는 동시에, 이 페이지중 동일한 속성을 가진 그룹을 인덱스별로 하여 관리하는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마다의 정보 및 상기 인덱스의 종류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이 표시된 인덱스의 종류를 지시하는 지시수단과, 상기 표시수단이 표시하고 있는 현재의 표시페이지가 상기 지시수단에 의해 지시된 지시인덱스에 속하는 미기입 페이지인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판정수단과 판정결과가 상기 현재의 표시페이지가 상기 지시인덱스에 속하는 미기입 페이지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지시인덱스에 속하는 최초의 페이지를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처리장치는 페이지마다 정보를 관리하는 동시에, 이 페이지 중 동일한 속성을 가진 그룹을 인덱스별로 하여 관리하는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마다의 정보 및 상기 인덱스의 종류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이 표시된 인덱스의 종류를 지시하는 지시수단과, 상기 표시수단이 표시하고 있는 현재의 표시페이지가 상기 지시수단에 의해 지시된 지시인덱스에 속하는 미기입 페이지인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판정수단과 판정결과가 상기 현재의 표시페이지가 상기 지시인덱스에 속하는 미기입 페이지가 아닌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지시인덱스에 속하는 미기입 페이지를 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정보처리장치에 의하면, 인덱스별로 펴진 소정의 페이지로부터 인덱스키를 한번 누름으로써, 페이지는 그 인덱스의 최후의 페이지인 미기입페이지로 점프하고, 다음에 2회 인덱스키를 누르면 그 인덱스의 서두의 페이지로 점프하므로, 앞의 인덱스의 최후의 페이지에 1매 앞으로 보내면 되며, 기입페이지의 검새기 용이한 정보처리장치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정보처리장치를 전자수첩장치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의 플로도 및 도면예 및 데이터의 파일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제4도 및 제5도에 따라서 본 발명장치의 전체적 구성을 설명한다.
제4도에 있어서, 좌우상자체(16), (17)로 이루어지는 좌측 상자체(17)에는 액정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장치, 즉 디스플레이부(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디스플레이부(1)에는 후술하는 CPU 등으로부터의 화상데이터가 표시되는 동시에, 이 표면에는 입력장치 이른바 투명터치센서 등으로 이루어지는 입력태블릿(2)의 배설되어 있다. 또, (3)은 이 입력태블릿(2)과 함께 동작하여 임의의 데이터를 등을 입력하고 펜이고, 이 펜(3)과 태블릿(2)은 이 펜(3)과 태블릿(2)간의 정전용량(靜電容量) 변화 등을 취출하는 검지수단을 가지고, 펜끝이 태블릿(2)에 접촉되어 있지 않아도 좌표위치검출을 할 수 있는 동시에 커서가 펜끝의 대향위치에 표시되도록 이루어진다.
이 펜(3)을 꺼내서, 그 펜끝으로 입력태블릿(2)에 접촉함으로써, 그 접촉상태나 접촉위치 등의 정보가 코드(4)등을 통해 CPU에 공급되고, 임의의 데이터 등의 입력이 행해진다. 또한, (5a), (5b), (5c), (5d) 및 (6a), (6b), (6c), (6d)는 각각 소정의 키스위치이고, 이들로 부터의 신호도 CPU에 공급된다.
또, (7)은 스피커부, (8)은 전자수용부로서 록기구(9)의 해제에 의해 개폐되는 덮개의 내부에 전원용의 전지가 수용된다. 또한, (10)은 전원스위치, (11)은 마이크로폰이다. 또, (12)는 후술하는 고체녹음을 위한 조작키이고, (12a)는 녹음키, (12b)는 재생키, (12c)는 정지키, (12d)는 음량을 대, 중, 소로 조절할 수 있는 음량조정키이고, 이들 조작키(12)의 누름, 슬라이드에 의해 마이크로폰(11)에 공급되는 음성신호가 녹음되고, 전술한 스피커부(7)로부터 방음(放音)된다. 또한, 파선으로 표시된 (13)은 ROM, RAM 등의 IC카드가 삽입접속되는 소켓, (14)는 외부기기 등과 접속하는 확장용 소켓 등이고, 우측 상자체(16)의 측면위치에 배설되어 있다.
또, (15)는 신호를 전달하는 플렉시블기판 등을 내장하는 힌지이고, 이 힌지(15)에 의해 이 장치는 전기적인 장해 등을 받지 않고 2절로 접을 수 있다. 또한, 이 장치의 사용에 있어서 펴진 상태에서의 크기는 세로가 약 29cm, 가로가 약 20.5cm, 접었을 때 두께가 약 4cm로 되며, 디스플레부(1)의 크기는 약 15cm x 10cm 이다.
또한, 이 장치에 있어서, 내장되는 하드웨어의 구성은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루어져 있다. 도면에 있어서, (21)은 CPU, (22)는 그 버스라인이고, 이 버스라인(22)을 통해 각종의 IC등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먼저 (23)은 ROM이고, 이 ROM(23)에는 장치전체의 시스템프로그램외에, 예를 들면 워스프로세서기능용의 일본문자-한자변환프로그램 및 그것을 위한 사전데이터, 그리고 수서(手書) 입력에 대한 인식프로그램 및 그것을 위한 사전데이터 등이 기입되어 있다.
또, (24)는 워킹용의 RAM, (25)는 전원(26)이 병성될 백업 RAM이다.
또한, (27)은 타이머 IC이고, 이 IC(27)도 전원(26)으로 구동되는 동시에, 수정(水晶)진동자(28)로부터의 클록을 계수하여 항상 그 시점의 년월일 및 시각의 데이터를 출력하고 있다.
다음에, 제4도의 사시도에 나타낸 각 부하의 접속관계를 포함하여 설명한다. 먼저, (29)는 디스플레이부(1)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콘트롤러이고, 이 콘트롤러(29)는 CPU(21)에 의해 제어되는 동시에, CPU(21)에 작성된 표시데이터가 디스플레이콘트롤러(29)를 통해 V-RAM(30)에 기입되고, 이 기입된 데이터가 콘트롤러(29)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에 공급된다.
또한, (31)은 디스플레이부(1)와 일체화된 입력태블릿(2) 및 (3)의 인터페이스회로이고, 이 인터페이스회로(31)에서 입력태블릿(2)에 기입된 데이터 등이 CPU(21)에 공급된다.
또, (32)는 고체녹음의 처리회로이고, 마이크로폰(11)으로부터의 음성신호가 AD변환 등의 처리가 행해져서, CPU(21)를 통해 백업 RAM(25)에 기억된다. 또, 백업 RAM(25)에 기억된 음성신호데이터를 처리회로(32)에서 DA변환 등의 처리가 되어, 혼합기(33)를 통해 스피커(7)에 공급된다.
또한, (34)는 다이얼러회로이고, CPU(21)로부터 임의의 전화번호등의 데이터가 공급되면, 이른바 푸시폰의 듀얼톤에 상당하는 음향신호가 발생되고, 이 신호가 혼합기(33)를 통해 스피커(7)에 공급된다.
또, (35)는 키인터페이스회로이고, 전술한 (5a)∼(5d), (6a)∼(6d), (10) 및 (12) 등의 키스위치군으로부터의 신호가 직접 또는 전원회로(36)를 통해 공급되고, 소정의 변환된 신호가 CPU(21)에 공급된다. 또한, 전원스위치(10) 및 키스위치(6a)∼(6d)와 정지키(12c)를 제외한 조작키(12)는 전원회로(36)를 통해 인터페이스회로(35)에 공급되고, 이들 키스위치가 조작되면 먼저 전원회로(36)가 기동되고, 그 후 키조작의 정보가 인테페이스회로(35)에 공급되도록 되어있다.
또한, (37), (38)은 IC카드 및 확장시의 외부기기와의 인테페이스회로이고, 각각 소켓(13), (14)에 접속된다.
전술한 전자수첩장치에 있어서, CPU(21)에 의해 V-RAM(30) 내에 격납된 동일한 속성을 가진 페이지의 그룹을 인덱스별로 관리한 데이터를 취출하는 처리를 다음에 설명한다.
먼저, 제4도의 사시도에 나타낸 전자수첩장치의 우측 상자체(16)위의 전원스위치(10)를 누르면, 제2도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의 화면상에 사선으로 나타낸 영역(60)에 아이콘(Icon : CRT화면상의 메뉴로 문자의 대신에 사용하는 도형)군 (54)이 표시된다.
여기서, 제2도 a의 우측영역에 나타내고 있는 연필로 쓰여진 「쓰다」 아이콘53)을 펜(3)으로 접촉시키면, 이 우측영역의 끝에 액션(45), 코넥션(46), 레포트(47) 등의 문자가 표시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들 각 액션(45), 코넥션(46), 레포트(47)의 문자부분을 인덱스키로서 설명한다. 여기서, 액션(45)은 주로 스케듈관리에 사용되고, 코넥션(46)은 주로 주소록 등에 사용되고, 레포트(47)는 간이 워드프로세스적 기능을 가진 것이다. 또, 영역(60)의 우측에 종방향으로 배열한 아이콘군(54) 중의「보다」아이콘(52)중에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간스케듈(40), 주간스케듈(41).... 전화번호부(42), 주소록(43), 미체크러스트(44)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격납데이터를 볼 때 사용한다. 「쓰다」 아이콘(53)은 마찬가지로 제3도의 구성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션(45), 코넥션(46), 레포트(47) 등으로 성립되고, 쓸 때에 사용한다. 이들은 각각 복수에 페이지로 이루어지는 동일한 속성을 가진 페이지의 그룹으로 이루어지는 인덱스별로 된 데이터로 성립되고, 예를 들어 액션(45)에 대해보면, 액션의 서두의 페이지(45a)와 액션의 최후의 페이지(45b) 사이에 복수의 페이지가 있고, 최후의 페이지(45b)는 미기입페이지로 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액션(45)의 페이지수가 전부 29페이지(페이지수는 매겨 있지 않음)이고, 이것들에 각종 액션데이터가 이미 기입되어 있다고 하면, 전자수첩장치내에서는 최후에 미기입의 제30페이지의 액션페이지를 자동적으로 발생시켜서 30페이지의 인덱스별로 관리한 데이터로서 파일링된다. 처리아이콘(48), 보류아이콘(49), 기타 아이콘(51) 등도 제3도에 모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인덱스별로 층구조로 이루어져 관리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수첩장치의 구성에서의 본 예의 페이지넘기기 조작을 제1도 및 제2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도에서 제1스텝 ST1은 CPU(21)의 입력대기이고, 제2스텝 ST2에서는 앞에 설명한 액션(45), 코넥션(46), 레포트(47) 등의 인덱스키에 펜(3)의 선단이 접촉되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인덱스에 펜(3)의 선단이 접촉되어 있지 않으면, 제3스텝 ST3에서에서 기타의 처리가 이루어지고, 제1스텝 ST1에의 입력대기로 복귀한다. 제2스텝 ST2에서 어느 하나의 인덱스키에 펜(3)이 접촉되어 있는 "YES"의 상태이면 제4스텝 ST4에서 눌린 인덱스키는 지금 페이지의 인덱스키인가 여부를 판단한다. 제2도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션화면(70)의 페이지가 펴져 있고, 인덱스키는 코넥션(46)에 펜(3)의 선단이 접촉되면 "NO"상태이므로 제5스텝 ST5으로 이행하여 눌린 인덱스의 소정의 페이지가 펴진다. 즉, 이 경우는 코넥션의 페이지가 펴져서 제1스텝 ST1의 입력대기상태로 된다. 제2도a에 나타낸 액션화면(70)은 행동예정의 시각이 1990년 1월 1일이었기 때문에 펴져 있던 예를들면, 액션페이지로서 30페이지중의 제18페이지라고 한다. 제4스텝 ST4에서 인덱스키로서 액션(45)의 에리어가 펜(3)의 선단으로 접촉되었다고 하면, CPU(21)는 제6스텝 ST6으로 이행하여 지금 펴져 있는 페이지는 인덱스내의 최초의 페이지인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제2도adp 나타낸 바와 같이, 인덱스키중의 최초의 페이지가 아니고 제18페이지인 "NO"상태에서는 제7스텝 ST7으로 이행하여, 지금 펴져 있는 페이지는 인덱스내의 최후의 페이지인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후술하지만, 제2도cdp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아무 것도 쓰여 있지 않은 미기입의 최후의 페이지이면, 제8스텝 ST8으로 이행하여 인덱스내의 예를 들면 제2도d에 나타낸 최초의 페이지를 나타내는 액션화면(70c)을 펴도록 한다. 제6스텝 ST6에서 지금 펴져 있는 페이지는 인덱내의 최초의 페이지인 "YES" 상태 및 제7스텝 ST7에서 지금 펴져 있는 페이지는 인덱스내의 최후의 페이지가 아닌 "NO"상태에서는 제9스텝 ST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도a 내지 b의 상태로부터 제2도c의 상태로 점프한다. 제 9스텝 종료 후에는 제1스텝 ST1의 펜입력 대기상태로 복귀된다.
제2도b의 액션화면(70a)은 제2도a의 액션화면(70)이 최후의 페이지의 미기입페이지의 액션화면(70b)에 스텝하는 순간의 화상을 나타낸 것으로 사선부는 페이지넘기기의 순간을 나타내고 있다.
즉, 본 예에서는 처음에 예를들면 액션(45)의 인덱스키중의 도중의 페이지가 펴져 있으면, 다음에 액션(45)의 인덱스내에 펜끝을 접촉시키면 최후의 미기입페이지(45b)로 점프하고, 다시 또 한번 액션(45)의 인덱스키에 접촉시키면 최초의 페이지(45a)로 점프하고, 다음에 또 한번 액션(45)의 인덱스키에 접촉시키면 또 최후의 미기입 페이지(45b)로 점프한다. 물론, 처음에 최후 또는 최초의 페이지가 펴져 있으면, 한번의 인덱스키 조작으로 최초 또는 최후로 점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인덱스키의 재조작만으로 동일한 속성을 가진 페이지의 그룹의 최후의 페이지로 점프하므로 미기입페이지(물론 미기입페이지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이 최후의 페이지의 기입이 종료되어 격납되면 미기입페이지가 동일한 속성을 가진 페이지의 그룹의 최후에 추가됨)로부터 즉시 기입할 수 있다. 또, 액션(45)의 인덱스키의 서두의 페이지(45a)를 선택한 경우도 이 페이지의 앞은 예를 들면 제3도의 모식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보다 아이콘(52)의 미체크리스트(44)의 최후의 페이지이고, 제2도A에서 예를 들어 B로 페이지 넘기기키(72)에 펜(3)의 선단을 접촉하면 미체크리스트의 최후를 볼 수 있다.
본 예에 의하면 인덱스별로 펴진 소정의 페이지로부터, 한번 인덱스키를 누름으로써, 미기입의 최후의 페이지로 점프하여, 즉시 기입란을 펼 수 있으므로, 번잡한 페이지넘기기를 반복할 필요가 없고, 기입키를 조작하는 경우에 비하여 동일한 속성의 인덱스를 조작하므로 매우 사용자가 이해하기 용이할 뿐 아니고, 여분의 키를 설치할 필요가 없는 것을 얻을 수 있다. 전술에서는 쓰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읽는 동작에 대해서도 본 예를 적용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을 명백하다.
본 발명의 정보처리장치에 의하면 적은 키구조로 족하며, 기입페이지의 검색이 사용자에게 이해하기 용이한 것을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페이지마다 정보를 관리하는 동시에, 이 페이지 중 동일한 속성을 가진 그룹을 인덱스별로 하여 관리하는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마다의 정보 및 상기 인덱스의 종류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이 표시된 인덱스의 종류의 지시하는 지시수단과, 상기 표시수단이 표시하고 있는 현재의 표시페이지가 상기 지시수단에 의해 지시된 지시인덱스에 속하는 최초의 페이지인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판정수단의 판정결과가 상기 현재의 표시페이지가 상기 지시인덱스에 속하는 최초의 페이지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지시인덱스에 속하는 미기입 페이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2. 페이지마다 정보를 관리하는 동시에, 이 페이지중 동일한 속성을 가진 그룹을 인덱스별로 하여 관리하는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마다의 정보 및 상기 인덱스의 종류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이 표시된 인덱스의 종류를 지시하는 지시수단과, 상기 표시수단이 표시하고 있는 현재의 표시페이지가 상기 지시수단에 의해 지시된 지시인덱스에 속하는 미기입 페이지인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판정수단의 판정결과가 상기 현재의 표시 페이지가 상기 지시인덱스에 속하는 미기입 페이지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지시인덱스에 속하는 최초의 페이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3. 페이지마다 정보를 관리하는 동시에, 이 페이지 중 동일한 속성을 가진 그룹을 인덱스별로 하여 관리하는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마다의 정보 및 상기 인덱스의 종류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이 표시된 인덱스의 종류의 지시하는 지시수단과, 상기 표시수단이 표시하고 있는 현재의 표시페이지가 상기 지시수단에 의해 지시된 지시인덱스에 속하는 미기입 페이지인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판정수단의 판정결과가 상기 현재의 표시 페이지가 상기 지시인덱스에 속하는 미기입 페이지가 아닌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지시인덱스에 속하는 미기입 페이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KR1019910004177A 1990-03-30 1991-03-16 정보처리장치 KR9400085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84314A JP2822569B2 (ja) 1990-03-30 1990-03-30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2-84314 1990-08-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544B1 true KR940008544B1 (ko) 1994-09-24

Family

ID=13827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4177A KR940008544B1 (ko) 1990-03-30 1991-03-16 정보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673406A (ko)
EP (1) EP0449569B1 (ko)
JP (1) JP2822569B2 (ko)
KR (1) KR940008544B1 (ko)
DE (1) DE6912884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2387A (en) * 1992-12-17 1995-02-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nhanced data access efficiency in an electronic book
JPH06337896A (ja) * 1993-03-31 1994-1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書籍表示検索装置及び電子書籍表示検索方法
US5680605A (en) * 1995-02-07 1997-10-21 Torres; Robert J.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a large volume of data with a pointer-based device in a data processing system
JPH09212331A (ja) * 1996-02-01 1997-08-15 Seiko Epson Corp 携帯用情報収集装置およびその情報管理方法
US6407757B1 (en) * 1997-12-18 2002-06-18 E-Book Systems Pte Ltd. Computer-based brow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an electronic book form
US6064384A (en) * 1996-08-26 2000-05-16 E-Brook Systems Pte Ltd Computer user interface system and method having book image features
US6337698B1 (en) 1998-11-20 2002-01-08 Microsoft Corporation Pen-based interface for a notepad computer
JP2002222039A (ja) * 2001-01-25 2002-08-09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情報入力処理プログラム、情報入力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情報入力処理プログラム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実行装置、情報入力装置、及び情報入力方法
US6989815B2 (en) * 2001-09-13 2006-01-24 E-Book Systems Pte Ltd. Method for flipping pages via electromechanical information browsing device
US20140289593A1 (en) * 2013-02-28 2014-09-25 Basker S. Krishnan Apparatus & Method for Reviewing a Written Work Using an Electronic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7598A (en) * 1982-10-22 1985-05-14 George Van Valkenburg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publishing
JP2664665B2 (ja) * 1985-06-27 1997-10-15 ソニー株式会社 利用者端末装置
US4965558A (en) * 1987-07-15 1990-10-23 Interand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retrieval
GB8719829D0 (en) * 1987-08-21 1987-09-30 Randall S Information storag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128844T2 (de) 1998-05-20
EP0449569B1 (en) 1998-02-04
US5673406A (en) 1997-09-30
DE69128844D1 (de) 1998-03-12
EP0449569A2 (en) 1991-10-02
JP2822569B2 (ja) 1998-11-11
JPH03282967A (ja) 1991-12-13
EP0449569A3 (en) 1992-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12132B1 (ko) 정보처리장치
KR0125579B1 (ko) 전자수첩장치
CN102460372A (zh) 集成数字图书以及变焦界面显示
US6411300B1 (en) Processing apparatus
KR940008544B1 (ko) 정보처리장치
JPH04360260A (ja) 小型情報端末機
JP2785194B2 (ja) 個人情報管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3063722B2 (ja) スケジュール管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2893831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20010093988A (ko) 휴대용 전자책과 운용방법
JP2950312B2 (ja) 個人情報管理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20002712A (ko) 전자책단말기의 메모 기록장치 및 방법
JP3118807B2 (ja) 情報入力装置及びカレンダー情報処理方法
JP3237664B2 (ja) カレンダー情報処理装置及びカレンダー情報処理方法
JP3292163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3257529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3292162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3210318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3230507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2976459B2 (ja) 情報入力制御装置及び情報入力制御方法
JP3393156B2 (ja) データ処理装置
WO2002039297A1 (en) Portable computer apparatus
JPH02178764A (ja) 電子手帳装置
JPH0437919A (ja) 小型電子機器
KR20060102650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메모 데이터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7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