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7982Y1 - 정밀부품용 용기 - Google Patents

정밀부품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7982Y1
KR940007982Y1 KR2019900002916U KR900002916U KR940007982Y1 KR 940007982 Y1 KR940007982 Y1 KR 940007982Y1 KR 2019900002916 U KR2019900002916 U KR 2019900002916U KR 900002916 U KR900002916 U KR 900002916U KR 940007982 Y1 KR940007982 Y1 KR 9400079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ide wall
container body
wall
precision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29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7792U (ko
Inventor
가즈히로 다께이
유끼오 야마다
겐이찌 하나오까
도시쓰구 야지마
Original Assignee
다이닛뽕 인사쓰 가부시기가이샤
기다지마 요시도시
신에쓰 폴리머 가부시기가이샤
이이지마 아쓰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닛뽕 인사쓰 가부시기가이샤, 기다지마 요시도시, 신에쓰 폴리머 가부시기가이샤, 이이지마 아쓰시 filed Critical 다이닛뽕 인사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77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77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79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9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5Closed carriers
    • H01L21/67356Clos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aining chips, dies or 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정밀부품용 용기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정밀부품용 용기의 사시도.
제 2 도는 용기본체의 전개도.
제 3 도 및 제 4 도는 용기본체내에서의 리드프레임 수납상태 설명도.
제 5 도는 용기본체 코너부의 사시도.
제 6 도는 덮개체의 내측사시도.
제 7 도는 덮개체의 횡단면도.
제 8 도는 용기끼리의 적층상태 정면도.
제 9 도∼제 11 도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제 9 도는 용기본체의 전개평면도.
제 10 도는 제 9 도중 X-X선 단면도.
제 11 도는는 제 9도중 XI-XI선 단면도.
제 12 도∼제 14 도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제 12 도는 용기본체의 전개평면도.
제 13 도는 제 12 도중 XⅢ-XⅢ는 단면도.
제 14 도는 제 12 도중 XⅣ-XⅣ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 2 : 용기본체
3 : 덮개체 6b : 얇은 두께부
8 : 돌기 9 : 홈
10 : 요부 23 : 얇은 두께부
24, 31 : 절결 25, 30 : 돌기
27 : 요부 O1, O2: 계지돌기
r : 요부 32 : 용기본체
33 : 저벽 34 : 수납물
35 : 고정편 36, 37 : 측벽
39 : 용기본체 40 : 저벽
41 : 수납물 42 : 고정편
43, 44 : 측벽
본 고안은 반도체칩을 장착하는 리드프레임과 같은 정밀전자부품 등을 복수매 적층상태로 수납해 두기 위한 정밀부품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드프레임 등의 정밀전자부품은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포장지를 사용하여 복수매를 싸넣고, 점착테이프에 의해 그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3개소 정도 고정한 것을 패킹과 동시에 다수의 상자에 넣어 출하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와 같이 포장지에 싼 것은 그 취급중에 외력(外力)이 가해지면 변형되어 이미 사용할 수 없는 상태로 되고, 특히 리드프레임 등 중량이 크고 얇으며, 또한 정밀도가 요구되는 수납물에 있어서는, 변형방지용의 패키지가 요구되고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은 다수의 정밀부품을 그 변형을 확실히 방지하는 동시에 용기끼리의 적층상태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용기자체를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는 정밀부품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래서, 본 고안에 관한 용기는 용기본체와 이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체로 이루어지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를 저벽의 각 측부의 각 결합부를 통하여 각각 대응한 각 장측벽(長側壁)과 단측벽(短側壁)으로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를 2개의 경사면을 V자 홈형으로 얇게 하여 절곡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장측벽과 단측벽과의 끝부를 돌기와 홈에 의한 계탈가능한 계합구조로 함으로써, 평면으로 전개하거나, 또는 상기 장측벽과 단측벽의 끝부를 계합하여 상부개방상자형으로 조립가능하게 하고, 상기 저벽 내측의 정밀부품재치용 지지면이 상기 장측벽과 단측벽의 상자 조립위치에 있는 경사면을 넘어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장측벽의 끝부 근방 내측면부에 요부(凹部)를 형성하고, 상기 덮개체를 상기 용기본체에 피착한 상태에서, 상기 덮개체의 내평면부의 일부가 상기 장측벽과 단측벽의 자유측끝보다 저벽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본체에 덮개체를 덮을 때에 양자를 로크하기 위한 로크수단을 용기 본체의 단측벽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최소한 하나의 돌기와, 상기 덮개체의 단측벽의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는 최소한 하나의 돌기로 구성해도 된다.
또, 상기 돌기가 상기 용기본체와 덮개체의 양 단측벽위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장단측벽은 결합부를 통하여 상기 저벽에 일체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용기본체의 단측벽은 끝부분을 가지고, 이 끝부분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본체의 장측벽은 끝부분을 가지고, 이 끝부분 상에 홈이 용기본체를 조립할 때에 단측벽의 대응돌기에 계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덮개체의 1쌍의 장측벽과 1쌍의 단측벽의 어느 하나에 그 상단(上端)에 돌기가 형성되는 동시에 그 하단(下端)에 절결이 형성되고, 상기 절결은 각각 상기 각 돌기 각각의 숫형(雄形)에 대응한 암형(雌形)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최소한 하나의 돌기가 덮개체의 장측벽의 각각의 내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용기본체의 저벽에는 수납물을 수납하는 데 적합한 얇은 벽구조의 중심부분이 배설되어 있는 구조로 해도 된다.
또, 상기 용기본체의 장측벽에는 용기본체의 코너부 근방에 얇은 벽구조의 끝부분이 배설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용기본체와 덮개체는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해도 된다.
또, 상기 합성수지는 투명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덮개체의 천판(天板)은 얇은 벽구조의 부분을 가지고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덮개체의 천판에는 내측에 오목한 구조의 주위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용기본체의 단측벽의 내표면에는 용기본체의 저벽의 표면적보다 작은 면적의 수납물을 고정하기 위한 돌출편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용기본체의 저벽의 내표면에는 용기본체의 저벽의 표면적보다 작은 표면적을 가진 수납물의 양측을 고정하기 위한 돌출편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용기본체의 저벽과 양 측벽을 결합하고 있는 결합부는 저벽의 외주에지부를 에워싸고 있는 경사면부와, 측벽의 각각의 일단에지에 따라서 뻗는 경사면부에 의해 구성되고, 저벽의 외주에지부를 에워싸고 있는 상기 각 저벽경사면부는 측벽의 각각의 일단에지에 따라서 뻗는 상기 각 경사면부보다 긴 폭을 가지고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각형(角形) 용기본체를 그 복수의 측벽을 전개가능하게 하여 세정을 용이하게 하고, 조립된 각형의 용기본체의 외측을 착탈가능도록 덮개체로 피착하여 전개가능한 용기본체의 강도를 보강하고, 덮개체의 상면의 측벽에 돌기를 배설하는 동시에, 이 돌기에 대하여 덮개체의 측벽 하면에 절결을 형성하여 용기끼리를 안정되게 적층가능하게 하고, 덮개체와 본체 사이에 이들을 결합시켰을 때에 간단한 덮개체가 열리지 않도록 로크기구를 배설하고 있다.
또한, 용기본체의 저벽에는 수납물의 형상, 특히 그 부분적 돌출형성에 맞추어서 요부를 형성하여 여러가지 형상의 수납물을 밀실하게 수납가능하게 하고, 용기의 외측으로부터 수납물의 종류, 규격 등을 판별할 수 있도록 덮개 체에 투명한 수지의 얇은 두께부분을 형성하였다.
또한, 전개가능한 용기본체의 수납물지지면의 주위와 측벽사이에 요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덮개체의 천판의 내면의 주위에 요부를 형성하여 리드프레임 등의 얇은 판재가 본체의 접어올린 측벽과 저판(底板)의 주위 사이에 끼어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본체 측벽 상면과 덮개체 사이에 끼어들어가지 않도록 하고, 또한 모서리가 있는 리드프레임 등의 수납물이 용기본체 코너부에 충돌하여 손상되지 않도록 본체의 측벽 코너부 근방을 두께가 얇게 형성하였다.
또한, 본체의 저벽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의 수납물을 저벽위에 고정하는 경우, 본체의 저벽 또는 측벽에 배설된 고정편을 이용함으로써, 약간 큰 본체일지라도 수납물을 용기내에 적정하게 고정할 수 있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제 1 도에 있어서, 본 고안의 정밀부품용 용기(1)는 장방형의 상자형을 이루는 용기본체(2)와, 이 용기본체(2)에 외측에서 끼워 용기본체(2)를 덮는 덮개체(3)를 가지고 있다. 상기 용기(1)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저압법, 중압법, 고압법 등으로 제조된 각종 폴리에틸렌이나, 이들 공중합체 등의 올레핀계 수지, 폴리아세탈, ABS수지 등의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프로필렌은 그 재질로서 비중이 0.9로 비교적 낮고, 투명하고 가벼우므로, 수납물을 외측으로부터 투시할 수 있으며, 또 수납되는 정밀부품, 예를 들면 리드프레임과 같은 가늘은 선을 변형시키지 않고, 이송중의 진동 등에 의해 용기와 정밀부품이 접촉되어도 마모분이 발생하지 않므므로 바람직한 재료이다. 또한, 강성(剛性)도 커서 내충격성, 내마모성, 내열성도 우수하고, 또한 전기(電氣)특성, 내수(耐水), 내약품성도 우수하다. 그리고, 먼지 등의 흡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합성수지에 대전(帶電)방지제나 도전성부여제를 배합시켜도 좋다.
상기 용기본체(2)는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개형이고, 장방향의 저벽(4)의 주위에 얇은 두께의 결합부(5,5,……5)를 통하여 결합된 장측벽(長側壁) (6,6)과 단측벽(短側壁) (7,7)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단측벽(7)의 양끝부에는 돌기(8,8)가 형성되고, 이들 돌기(8,8)가 형성되고, 이들 돌기(8,8')에 대응하여 상기 장측벽(6)의 양끝부에는 홈(9,9)이 형성되고, 이들 양 측벽(6,7)을 접어올려서 상기 돌기(8)와 홈(9)을 계합시킴으로써, 낮은 상자형의 용기본체(2)가 형성된다.
이 용기본체(2)의 저벽(4)에는 장방향의 중심부분 즉 요부(凹部)(10)가 형성되고, 이 요부(10)는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물인 리드프레임(f)이 그 칩을 장착하는 부분이 돌출되어 있는 이른바 오프셋가공된 리드프레임의 경우에, 그 돌출부(fa)를 수납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fa)는 상기 요부(10)의 표면에 접촉되지 않게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용기본체(2)와 측벽(6,7)과의 결합부(5)는 제 4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벽주위의 경사면(4a,4b)와, 측벽(6,7)의 경사면부(6a,7a)로 이루어지고, 상기 저벽경사면부(4a,4b)는 측벽경사부(6a,7a)보다 길게 형성되고, 저벽의 리드프레임(f)의 지지면(11)과 측벽(6,7) 사이의 하단 사이에는 요부(r)가 형성되고, 이와같이 요부(r)를 형성함으로써 리드프레임(f)의 끝에지가 양 경사면부(4a,6a) 또는 (6b,7a) 사이에 끼어들어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단측벽(7)의 외면에는 덮개체(3)와 본체(2)와의 계합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로크기구의 일부를 이루는 계지돌기(O1, O2……O1)가 형성되어 있다(제 1, 2, 5 도).
또한, 제 2 도 및 제 5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측벽(6)의 본체 코너부 근방(끝부)은 소정의 길이에 걸쳐서 그 내면이 깍여져 얇은 벽구조의 끝부분 즉 얇은 두께부(6b,6b, ……6b)로 되어 있고, 이 부분을 얇게 형성함으로써, 예를 들면 이송중 또는 양 측벽(6,7)을 접어올려서 돌기(8)와 홈(9)을 계합시킬 때등에 리드프레임(f)의 뾰족한 모서리부분의 측벽(6)에의 충돌이나 모서리부분에 압력이 가해지는 것이 방지되며, 모서리부분이 손상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덮개체(3)는 제 6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방형의 천판(天板)(20)과, 이 주위를 에워싸고 있는 장측벽(21,21)과 단측벽(22,2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천판(20)은 본체(2) 측으로 들어가서 천판(20)의 내면 주위에 오목한 구조의 주위 부분인 요부(27)가 형성되고, 이로써 본체(2)의 측벽(6,7)의 상단과 천판 내면 주위 사이의 간극(S,S) 사이에 리드프레임(f)의 끝에지가 끼어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또, 천판(20)의 중앙부분에는 장방형의 얇은 벽구조의 부분인 얇은 두께부(23)가 형성되고, 이 얇은 두께부(23)는 외부로부터 수납물의 종류, 규격 등을 판별할 수 있도록 투명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또, 얇은 두께부(23)의 주위의 두꺼운 부분(28)은 복수매 적층된 리드프레임을 위로부터 누르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장측벽(21)의 내면 중앙부에는 소정 간극을 두고 보강돌기(26,26)가 배설되며, 이 돌기(26,26)는 본체(2)의 측벽(6)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기능을 갖는다. 또, 상기 단측벽(22)의 내면에는 상기 본체측의 계지돌기(01,01……01)와 계합하여 본체(2)와 덮개체(3)와의 계합을 로크하는 계지돌기(02,02……02)가 배설되며, 이 계지돌기(02)는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3)를 본체(2)의 외측에서 끼울때는 돌기(01)를 타고넘어 그 하측에 계지된다. 이 양 돌기(01, 02)로 이루어지는 로크수단인 로크기구에 의해 덮개체(3)를 파지하여 들어올려도 본체(2)가 덮개체(3)로부터 이탈되는 일이 없고, 덮개체(3)의 장측벽(21)의 중앙부를 내측으로 누르면서 덮개체(3)의 단측벽(22)을 들어올리지 않도록 하든가, 또 본체(2)의 단측벽(7)을 내측으로 누르면서 덮개체(3)를 들어올리지 않는 한 덮개체(3)가 열리는 일은 없다. 그리고, 덮개체(3)의 측벽(21)의 중앙부를 잡고 들어 올린 경우에는 덮개체(3)의 길이방향 양끝부가 수납물의 무게에 의해 내측으로 굽어지려고 하므로, 로크작용은 더욱 강해진다.
또한, 상기 덮개체(3)의 상면의 양 측벽 주앙부분에는 돌기(25,25,30,30)가 형성되고, 한편 이들 양 돌기(25,30)에 대응하여 대응 측벽(21,22)의 하단에는 절결(24,31)이 형성되고, 용기(1)를 적층했을 때에는 제 8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의 용기(1)의 돌기(30,25)가 상측의 용기(1)의 절결(31,24)내로 들어가고, 이로써 케이스를 적층했을 때에 케이스의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며, 가로놓은 후의 위치어긋남이 유효하게 방지된다.
다음에, 상기 용기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납물로서의 리드프레임을 본체(2)내에 수납할 때에는 제 2 도와 같이 전개한 상태에서 리드프레임을 약 50매정도 적층한 것을 저벽(4)위에 재치하고, 양측벽(6,7)을 접어올려서 그 끝부분끼리를 계합시켜 상자형으로 조립한다. 그 후, 일체 형성된 덮개체(3)를 위로부터 밀어내려 상기 양 돌기(01, 02)를 계합시켜서 본체(2)와 덮개체(3)를 로크한다. 이와 같이 로크한 용기(1)를 적층시켜 큰 상자체에 수납하여 출하한다.
그리고, 용기(1) 내의 수납물을 취출할 때에는 용기(1)로부터 덮개체(3)의 장측벽(21)의 중앙부를 내측으로 눌러서 덮개체(3)의 장측벽(21)의 절결(24)를 잡고 덮개체(3)를 위쪽으로 들어올리면 된다. 또는, 본체(2)의 단측벽(7)을 내측으로 눌러서 그 계지돌기(01)를 대향돌기(02)로부터 벗겨서 덮개체(3)의 장측벽(21)의 절결(24)을 잡고 덮개체(3)를 위쪽으로 들어올리도록 해도 된다. 덮개체(3)를 연 후에 본체(2)의 측벽(6,7)을 전개하여 수납물을 취출한다. 따라서, 수납물의 취출이 용이하다. 수납물을 꺼낸 후의 용기(1)는, 예를 들면 에틸알코올 등으로 세정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또, 본체는 전개가능하므로, 세정이 용이하며, 높은 세정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2]
제 9 도∼제 11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본체(32)의 저벽(33)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의 수납물(34)을 상기저벽(33)위에 고정하기 위한 돌출편인 고정편(35)이 이 본체(32)의 장측벽(36)에 배설되어 있다. 이 고정편(35)은 대략 장방형이고, 각 장측벽(36,36)의 용기 내면측에 그 길이방향에 따라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4개씩 배설되어 있다. 단측벽(37)에도 필요에 따라서 고정편을 배설할 수도 있다.
또한, 저벽(33)에 배설되어 있는 부호(38)로 도시한 것은 수납물(34)과 착좌(着座)를 좋게 하기 위한 평행한 2개의 철조(凸條)이다.
이 용기를 사용하는데는, 수납물(34)인 판형의 리드프레임을 전개상태의 본체(33)의 저벽(33)에 재치하고, 양 측벽(36,37)을 접어올려 그 끝부끼리를 계합시켜서 상자형으로 조립한다. 그 후, 일체형성된 실시예 1 에있어서와 동일한 덮개체를 위로부터 덮어서 출하한다. 조립된 본체(32)내에서는 수납물(34)인 리드프레임은 제 9 도에 있어서 2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편(35)의 선단에지와 단측벽(37)의 내면에서 위치결정되고, 또한 고정되므로, 운반중에 있어서도 용기내에서 부주의로 이동되는 일이 없다.
또, 이와 같이 고정편(35)을 별도 배설하여 수납물(34)을 고정하므로, 본체의 저벽(33) 및 측벽(36,37), 또 덮개체는 다른 종류의 수납물을 수납하기 위한 것과 동일한 크기로 하여 성형하고, 고정편(35)의 위치, 크기등만을 수납물(34)의 사이즈에 맞추어서 변경하면 된다. 사출성형 금형(金型)을 그 고정편(35)의 개소에 상당하는 금형 부분만 다른 것과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코스트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3]
제 12 도∼제 14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39)의 저벽(40)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의 수납물(41)을 상기 저벽(40)위에 고정하기 위한 돌출편인 고정편(42)이 이 본체(39)의 저벽(40)에 세워 배설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용기도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하여 리드프레임 등의 수납물(41)의 포장에 제공되고, 이 경우 수납물(41)은 고정편(42)과 장측벽(43,43)의 내면에 의해 구속되게 된다.
또, 이 용기본체(39)도 그 저벽(40), 장측벽(43) 및 단측벽(44)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있어서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고, 따라서 금형의 본체부분도 동일한 것을 사용하여 고정편(42)의 부분에 상단하는 금형 부분만 조(組)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편은 필요에 따라서 다시 장측벽(43) 및 단측벽(44)에 배설해도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이 구성하였으므로, 얇고 비교적 중량이 있는 리드프레임 등의 수납물을 확실하고 안전하게 손상되는 일 없이 수납할 수 있고, 수납물의 수납과 취출도 용이하고, 또한 용기끼리의 적층도 확실하고 안정되어 있으며, 위치어긋남이 없고, 용기본체의 세정도 용이하고, 도중에 덮개체가 외력에 대해 간단히 열리는 일도없다.

Claims (16)

  1. 용기본체와 이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체로 이루어지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2)를 저벽(4)의 각 측부의 각 결합부(5)를 통하여 각각 대응한 각 장측벽(長側壁)(6)과 단측벽(短側壁)(7)으로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5)를 2개의 경사면을 V자 홈형으로 얇게 하여 절곡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장측벽(6)과 단측벽(7)과의 끝부를 돌기와 홈에 의한 계탈가능한 계합구조로 함으로써, 평면으로 전개하거나, 또는 상기 장측벽(6)과 단측벽(7)의 끝부를 계합하여 상기개방상자형으로 조립가능하게 하고, 상기 저벽(4) 내측의 정밀부품재치용 지지면(11)이 상기 장측벽(6)과 단측벽(7)의 상자 조립위치에 있는 경사면을 넘어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장측벽(6)의 끝부 근방 내측면부에 요부(凹部)를 형성하고, 상기 덮개체(3)를 상기 용기본체(2)에 피착한 상태에서, 상기 덮개체(3)의 내평면부의 일부가 상기 장측벽(6)과 단측벽(7)의 자유측끝보다 저벽(4)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부품용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에 덮개체(3)를 덮을 때에 양자를 로크하기 위한 로크수단(01, 02)을 용기본체(2)의 단측벽(7)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최소한 하나의 돌기(01)와, 상기 덮개체(3)의 단측벽(22)의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는 최소한 하나의 돌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부품용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돌기(01, 02)가 상기 용기본체와 덮개체의 양 단측벽(7,22)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부품용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단측벽(6,7)은 결합부(5)를 통하여 상기 저벽(4)에 일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부품용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단측벽은 끝부분을 가지고, 이 끝부분에 돌기(8)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본체의 장측벽(6)은 끝부분을 가지고, 이 끝부분 상에 홈(9)이 용기본체(2)를 조립할 때에 단측벽의 대응 돌기에 계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부품용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의 1쌍의 장측벽(21)과 1쌍의 단측벽(22)의 어느 하나에 그 상단(上端)에 돌기(25 또는 30)가 형성되는 동시에 그 하단(下端)에 절결(24 또는 31)이 형성되고, 상기 절결은 각각 상기 돌기 각각의 숫형(雄形)에 대응한 암형(雌形)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부품용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돌기(26)가 덮개체의 장측벽(21)의 각각의 내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부품용 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저벽(4)에는 수납물(f)을 수납하는데 적합한 얇은 벽구조의 중심부분(10)이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부품용 용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장측벽(6)에는 용기본체의 코너부 근방에 얇은 벽구조의 끝부분(6b)이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부품용 용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와 덮개체는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부품용 용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는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부품용 용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의 천판(天板)(20)은 얇은 벽구조의 부분(23)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부품용 용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의 천판(20)에는 내측에 오목한 구조의 주위부분(2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부품용 용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단측벽(36)의 내표면에는 용기본체의 저벽의 표면적보다 작은 면적의 수납물을 고정하기 위한 돌출편(3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부품용 용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39)의 저벽(40)의 내표면에는 용기본체의 저벽의 표면적보다 작은 표면적을 가진 수납물의 양측을 고정하기 위한 돌출편(4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부품용 용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2)의 저벽(4)과 양 측벽(6,7)을 결합하고 있는 결합부(5,5)는 저벽(4)의 외주에지부를 에워싸고 있는 경사면부(4a,4b)와, 측벽(6,7)의 각각의 일단에지에 따라서 뻗는 경사면부(6a,7a)에 의해 구성되고, 저벽(4)의 외주에지부를 에워싸고 있는 상기 각 저벽경사면부(4a,4b)는 측벽(6,7)의 각각의 일단에지에 따라서 뻗는 상기 각 경사면부(6a,7a)보다 긴 폭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부품용 용기.
KR2019900002916U 1989-03-15 1990-03-14 정밀부품용 용기 KR94000798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53989 1989-03-15
JP1-29539 1989-03-15
JP89-110088 1989-09-20
JP1989110088U JP2502252Y2 (ja) 1989-03-15 1989-09-20 精密部品用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792U KR900017792U (ko) 1990-10-05
KR940007982Y1 true KR940007982Y1 (ko) 1994-11-16

Family

ID=26367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2916U KR940007982Y1 (ko) 1989-03-15 1990-03-14 정밀부품용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25509A (ko)
JP (1) JP2502252Y2 (ko)
KR (1) KR940007982Y1 (ko)
DE (1) DE4008364C2 (ko)
NL (1) NL90005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080U (ko) 2020-07-01 2022-01-10 신혜지 물기를 감지하는 칫솔 살균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0055A (en) * 1990-08-21 1994-05-10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Magazine and shipping tray for lead frames
US5501354A (en) * 1992-05-26 1996-03-26 Stromberg; Per S. Collapsible container
GB9211112D0 (en) * 1992-05-26 1992-07-08 Stromberg Enterprises As Collapsible container
US5425453A (en) * 1993-12-10 1995-06-20 Agfa-Gevaert N.V. Light tight storage container
US5836454A (en) * 1996-01-17 1998-11-17 Micron Technology, Inc. Lead frame casing
TW377399B (en) * 1998-08-03 1999-12-21 Via Technologies Co Ltd Method of testing reworked chip
JP3871924B2 (ja) * 2001-09-27 2007-01-24 プラネット株式会社 ガラス基板搬送用ボックス
US20120171926A1 (en) * 2010-12-31 2012-07-05 Steven John Crnecki Art box
US9002235B2 (en) * 2013-02-27 2015-04-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oner cartridge packaging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68406A (en) * 1954-03-17 1959-01-13 Frederic G Kookogey Collapsible packing case
GB778601A (en) * 1955-02-22 1957-07-10 Emil Plattner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oldable boxes
US3048147A (en) * 1959-09-08 1962-08-07 Premere Mfg Corp Portable collapsible shipping kennel for animals
US3054501A (en) * 1960-08-05 1962-09-18 Robert E Maynard Lunch box
DE1968062U (de) * 1967-06-19 1967-09-07 Lucas & Soehne Richard Verpackungskarton.
US3675808A (en) * 1970-06-26 1972-07-11 Delbert L Brink Knockdown foamed plastic shipping container
US3814220A (en) * 1972-03-15 1974-06-04 Trojan Luggage Co Collapsible foot locker or trunk
FR2186348A1 (en) * 1972-05-30 1974-01-11 Celpex Lay flat packages - made of a cellular resin with fold lines of locally crushed material in a single unit
DE2737237A1 (de) * 1977-08-18 1979-03-01 Panick Fa Johann Stapelbarer behaelter
US4170313A (en) * 1977-12-29 1979-10-09 Caves Robert B Box and blank for forming the box
US4241829A (en) * 1979-06-04 1980-12-30 Republic Packaging Company Means for containing electrostatic sensitive electronic components
US4266670A (en) * 1979-07-20 1981-05-12 First National Packaging Co., Inc. Collapsible reinforced container
KR830002832Y1 (ko) * 1982-03-11 1983-12-10 동화엔지니어링주식회사 절첩식 과일상자
US4564880A (en) * 1984-03-14 1986-01-14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integrated circuits
US4609104A (en) * 1985-06-04 1986-09-02 Ade, Inc. RFI shielded, multiple part container and components thereof
JPS6238822U (ko) * 1985-08-26 1987-03-07
JPH0339384Y2 (ko) * 1986-04-01 1991-08-20
US4817263A (en) * 1986-06-19 1989-04-04 W.R. Grace & Co. Method of storing electrostatic discharge sensitive devices
US4681221A (en) * 1986-10-30 1987-07-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older for plastic leaded chip carrier
US4793488A (en) * 1987-07-07 1988-12-27 Empak, Inc. Package for semiconductor wafers
US4826440A (en) * 1987-10-23 1989-05-02 Molex Incorporated Chip carrier and header assembly and terminals theref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080U (ko) 2020-07-01 2022-01-10 신혜지 물기를 감지하는 칫솔 살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502252Y2 (ja) 1996-06-19
DE4008364A1 (de) 1990-09-20
NL9000592A (nl) 1990-10-01
JPH0319840U (ko) 1991-02-27
DE4008364C2 (de) 1997-01-16
US5125509A (en) 1992-06-30
KR900017792U (ko) 199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5970B1 (en) Cushioning support member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100246474B1 (ko) 액정표시모듈용 패킹 장치
JPH0612785B2 (ja) パッケージ
KR940007982Y1 (ko) 정밀부품용 용기
US7395932B2 (en) Carrier tape for electronic components
KR100475006B1 (ko) 포장용 지지체
US20070175778A1 (en) Cardboard packing box for cartridge container
JPH0771981B2 (ja) フィルム収容ボックス
KR200390818Y1 (ko) 포장용 상자
KR100517652B1 (ko) 글래스 기판 운반용 상자
CN109956194B (zh) 半导体晶片收纳容器的打包用缓冲体
KR20090011014U (ko) 포장박스
KR20110130879A (ko) 적층형 포장 상자
US5909812A (en) Container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leadframes
CN112298808A (zh) 包材盘及装载电池连接盘的包装构造
FI92992C (fi) Tuotepakkaus
JP3423258B2 (ja) ラベル付き容器収納箱
JP3641486B2 (ja) 運搬用容器
JP4025388B2 (ja) 梱包ユニット
JP3655404B2 (ja) 収納容器
KR200184300Y1 (ko) 계란재치판과 골판지를 이용한 계란포장상자
JP3010964B2 (ja) 梱包具
JPS5836700Y2 (ja) 包装用緩衝材
JP2002002700A (ja) コンテナ
KR960006491Y1 (ko) 절첩식 물품보관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8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