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7032Y1 - 가구의 연속적인 조정을 위한 쇄정 가능한 승강식장치 및 그러한 승강식 장치용의 안내스리브 - Google Patents

가구의 연속적인 조정을 위한 쇄정 가능한 승강식장치 및 그러한 승강식 장치용의 안내스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7032Y1
KR940007032Y1 KR2019880002937U KR880002937U KR940007032Y1 KR 940007032 Y1 KR940007032 Y1 KR 940007032Y1 KR 2019880002937 U KR2019880002937 U KR 2019880002937U KR 880002937 U KR880002937 U KR 880002937U KR 940007032 Y1 KR940007032 Y1 KR 9400070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s
guide
tube
rib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29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5927U (ko
Inventor
바우어 한스-페터
율겐 바우어 한스
Original Assignee
후릿츠 바우어+쇠에네 오 에취 지
한스-페터 바우어 및 한스 율겐 바우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릿츠 바우어+쇠에네 오 에취 지, 한스-페터 바우어 및 한스 율겐 바우어 filed Critical 후릿츠 바우어+쇠에네 오 에취 지
Publication of KR8900159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59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70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0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1/00Cabinets with means for moving compartments up and dow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Landscapes

  • Fluid-Damping Device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구의 연속적인 조정을 위한 쇄정 가능한 승강식장치 및 그러한 승강식 장치용의 안내스리브
제1도는 승강식 장치의 종단면도.
제2도는 이 고안에 따르는 안내스리브의 종단면도.
제3도는 스라이드 스리브의 종단면도.
제4도는 안내스리브의 반분스리브(semi-sleeve)의 종단면도, 그리고
제5도는 제4도에서 교차선 V-V에 따르는 반분스리브의 횡단면도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대튜브 8 : 개스스프링
9 : 원통형하우징 12 : 축볼베어링
20 : 튜브 31 : 반송튜브
32,33 : 스라이드 스리브
본 고안의 청구범위 제1항의 선행특징부에 따르는 쇄정가능한 승강식 장치 및 그러한 승강식장치용의 안내스리브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승강식장치는 (미국특허 제3711 054호 및 일본특허 제892 209호)에 대응하는 독일특허 제19 31 012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개스스프링의 하우징의 원통형의 외부표면은 안내튜브에 연결된 안내스리브에 직접 안내된다. 개스스프링은 의자 또는 테이블 기둥의 지지 및 길이 조정 가능한 요소일 뿐만이 아니라 안내 및 피봇트 요소이다. 피스톤봉은 안내튜브의 저면판에 자유롭게 피봇팅하도록할 뿐만이 아니라 층분한 반경방향의 유격을 가지고 부착되어 있으므로 개스스프링은 좌석 또는 테이블 상부판의 응력방향에서의 어떤 가능한 변화에도 조정할수 있으며 그 결과로 전체적으로 안내 스리브에는 조여짐의 위험이 거의 없다.
마찬가지로 청구범위 제1항의 첫번째 부분에 따르는 또 다른 승강식 장치에서는 개스스프링의 하우징이 추가적인 튜브에 의하여 둘러쌓여 있으며 이추가적인 튜브에는 개스스프링의 하우징이 축방향으로 미끄러질수 없도록 배열되어 있다.
이 경우에 추가적인 튜브는 안내스리브에서 찌봇팅되도록-그리고 종방향에서 스라이딩할수 있도록 안내되어 있다. (일본실용신안 60-54446호에 대응하는 유럽특허 제0 133 524호)
이 공지된 실시예들은 고품질의 내마모성 재료로된 1개편 안내스리브들을 갖는다. 이들은 안내튜브들 속으로 눌러 넣어진다.
다음에는 스라이드 표면으로서 역활을 하는 스리브의 안내표면이 선삭이나 마찰에 의하여 정확한 칫수에 맞추어진다.
이것은 그들의 싸이즈로 인하여 안내스리브들이 넓은 허용한계들을 가지기 때문에 그리고 이들이 안내튜브속으로 밀어 넣어질때 이들은 상이하게 변형되어지기 때문에 필요하다. 그외에 우수한 스라이드 특성을 가지며 내마모성이 있고 그리고 아직도 상응하는 경-탄성(hard-elastic) 변형을 가지는 안내 튜브속으로 밀어넣어지는 가능성을 제공하는 것에 대한 안내스리브에 대한 요구들은 재료의 조건에서 모두 실현되어지는 것이 대단히 어렵다.
따라서 이 고안의 목적은 한편으로는 개스스프링의 안내가 조여짐없이 마모에 견디게 그리고 우수한 스라이드 특성을 가지고 얻어지며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안내스리브의 제조가 재료 소비의 조건에서 유리한 그러한 방법으로 일반적인 종류의 쇄정 가능한 승강식 장치의 안내스리브를 실현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범위 제1항의 특정부분의 특징들에 따라서 이루어진다. 이 고안에 따르는 조치들은 한편으로는 스라이드 스리브들이 높은 내마모성을 가지며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금속에 비하여 우수한 스라이드 특성을 가지는 재료로부터 만들어질수 있는 것을 보증한다.
스라이드 스티브들이 서로 간격을 떼어 배열된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이것을 둘러싸고 있는 개스스프링 또는 추가적인 튜브는 각각 조임이 없이 안내되어진다.
다른 한편으로는 안내튜브내로 눌러넣어지는 것에 관련해서만 반송스리브를 실현하는 것이 충분하다. 즉 내마모성과 스라이드 특성이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값싼 프라스틱이 재료로서 선택되어질 수 있다.
금속으로된 반송튜브가 한편으로는 스라이드 스리브들 사이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반송스리브 사이에 배열된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안내튜브에 밀려 넣어질때 반송스리브의 변형이 스라이드 스리브들의 안내표면의 칫수와 형태에 영향하지 않는다.
종속항들은 안내스리브의 몇가지의 유리한 실시예를 반영한다.
이 고안의 또 다른 이점, 특징 및 상세들이 도면들과 관련시켜 취하여진 실시예의 다음의 기술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의자 또는 테이블 상부판의 연속적인 조정을 위한, 도면들에서 나타내어진 쇄정 가능한 승강식 장치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으로 설계된 더 낮은 안내튜브(1)를 가지며 이 안내튜브는 그의 더 낮은 부분에 하방을 향하여 원추형으로 구배가 지어진 구간(2)을 가지며 이 구간은 대좌(4)의 상웅하는 칼라(3)를 포함한다.
안내튜브(1)는 그의 저단부가까이에는 전체의 승강식 장치의 중앙종축(6)에 그러므로 역시 안내튜브(1)에 동심인 하나의 개구(7)를 보이고 있는 저면판(5)을 갖는다. 길이-조정이 가능한, 유압적으로 또는 공압적으로 쇄정 가능한 개스스프링(8)이 종축(6)에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이 스프링의 원통형 하우징(9)은 안내튜브(1)의 상측부분에 위치하여 있으며 이 안내튜브를 통하여 상방으로 뻗쳐있다.
이 스프링의 피스톤봉(10)은 하우징(9)을 통하여 하방으로 뻗쳐 있으며 저면판(5)과는 이동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피스톤봉(10)의 자유단은 감소된 직경을 가지는 하나의 돌기부(tang)(11)를 가지고 설계되어 있으며 이 돌기부위에는 축볼베어링(12)이 배열되어 있으며, 이 축볼베어링의 상부레이스(13)는 돌기부(11)와 피스톤봉(10) 사이의 천이 구역에 형성된 칼라(14)에 대하여 지지되어 있으며 한편 하부케이스(15)는 저면판(5)에 대하여 지지되어 있다.
그외에 돌기부에 장착된 고정칼라(16)는 하부레이스(15)가 단부판(5)에 대하여 지지되어 있지 않는다 하더라도 보여진 위치에서 축볼베어링(12)을 파지한다.
돌기부(11)는 10분의 수 미리메터로부터 1 미리메터까지의 충분한 유격을 가지고 개구(7)속에 위치하여져 있으며 그 결과로 피스톤봉(10)은 안내튜브(1)와 관련하여 반경 방향으로 조여져 있지가 않다. 외측으로부터 즉, 저면에서는 개구(7)의 직경보다도 더 큰 직경을 가지는 스페이서(spacer) (17)가 돌기부(11)에 위치하여져 있다. 개스스프링(8)의 피스톤봉(10)이 축방향으로 그러나 제거할 수 있게 안내튜브(1)에 단단히 연결되어 있다. 피스톤봉(10)상에는 고무로 만들어진 단부위치 설정부 또는 충격감쇠부(19)가 있으며 이충격 감쇄부는 그의 하측면을 가지고 축볼베어링(12)의 상부레이스(13)에 대하여 기대고 있다.
개스스프링(8)의 연속적으로 원통형의 하우징(9)은 스라이딩 끼움으로 튜브(20)안에 배열되어 있으며 이 튜브는 그의 대부분의 길이에서 역시 원통형이다. 하우징(9)과 튜브(20)사이의 반경방향의 유격은 100분의 수미리메터로부터 최대로 10분의 1 또는 2미리메터이다.
그러므로 이 유격은 개스스프링(8)의 하우징(9)를 튜브(20)속으로 삽입하거나 거기서부터 끌어내며, 그리고 동시에 튜브(20)안에서 반경방향에서 하우징(9)을 안내하며 이것을 파지하기에 바로 충분하다.
개스스프링(8)의 이동 가능한 부분을 형성하고 있는 상기의 튜브(20)는 의자, 회전의자, 테이블상부판 따위의 하측에 고정된 상응하는 칼라(22)와 간단한 플러그 결합을 만든 하나의 결합체를 형성하며 하우징(9)위로 뻗쳐있는 이 튜브의 상부분에서 원추형으로 구배가 주어진 쇄정구간(21)이 마련되어 있다. 쇄정구간(21)의 천이부에는 튜브(20)의 테이퍼링에 따라서 설계된 케이싱(23)이 튜브안에 배열되어 있으며 그러므로 쇄정구간(21)으로 향하는 방향에서 축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다. 개스스프링(8)의 하우징(9)은 상기의 케이싱(23)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단단히 지지되어 있다.
튜브(20)의 하부 자유단에는 하우징(9)이 제거 가능한 쇄정요소(24)를 사용하여 축방향으로 지지되어 있다. 이것은 소위 갈구리, 즉 탄성의 끈들이 형성되어진 하나의 링일수가 있으며 이 링은 즉 이것이 하우징에 기댈때까지 비교적 용이하게 일방향으로 튜브(20)안으로 밀어넣어질수 있으며 그러나 이것은 튜브에 대한 가시형상의 조임에 의하여 반대방향으로의 운동을 저항한다. 예를들면 스크류 드라이버의 사용에 의하는 것과 같이 충분한 힘을 가지고는 이것은 하방을 향한 방향으로 쉽게 꺼집어 내어질수 있으며 그래서 하우징(9)과 튜브(20)사이의 결합이 간단한 방법으로 해체된다. 나사연결을 포함하는 많은 다른 종류의 쇄정요소들이 고려되어질수 있다.
상기의 튜브는 개스스프링(8)의 제거할 수 있는 부분을 형성하여 그리고 통상적인 방법으로 안내튜브(1)내에서 축방향으로 움직일수 있다.
이 안내튜브는 그의 상부구역에 아래에 자세히 기술된 안내스리브(25)를 가지고 있다. 안내튜브(1)와 튜브(20)는 강으로 만들어져 있다.
개스스프링(8)의 하우징(9)에 대한 경우도 동일하며 한편 케이싱(23)은 예를들면 다이캐스팅된 아연과 같은 더 연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개스스프링(8)의 종방향의 조정과 그리고 전체의 승강식 장치의 상응하는 높이 조정은 개스스프링(8)의 작동봉(26)의 도움으로 이루어지며 이 작동봉은 피스톤봉(10)으로부터 먼쪽의 개스스프링(8)의 상단으로부터 뻗쳐있으며 그리고 이것은 길이에서의 각각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하우징(9)내로 밀려진다. 이 목적을 위하여는 상부로 뻗쳐 있는 스라이드(27)가 원추형으로 구배가 주어진 쇄정구간(21)에 배열되어 있으며 하나의 면(28)을 가지고 작동봉(26)에 대하여 기대고 있다. 그위에 이 스라이드(27)은 고정갈고리들(29)을 가지고 있으며 이 고정갈고리는 케이싱(23)의 상응하는 링(30)의 배측 또는 하측을 탄력적으로 파지하며 그리고 스라이드(27)로 하여금 쇄정구간(21)으로 부터 잘못하여 떨어지거나 제거되는 것에 대하여 고정되어지도록 허용하며, 한편 동시에 작동봉(26)에 대하여 그면(28)의 작은 유격을 가지는 정좌(定座)를 보증한다. 작동화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칼라(22)에 배열되어 있으며 예를들면 미국특허 제3790119호로부터 공지된 것과 같이 스라이드(27)의 외부표면에 대하여 기대고 있는, 표시되지는 않은, 선회가능한 작동 레버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개스스프링(8)은 부가적인 원통형튜브(20)에 억지로 배열되어질 필요가 없다; 즉 이것은 역시 그의 하우징을 가지고 안내스프링(25)내에 직접 안내되어질수 있으며, 의자, 테이블 상부판등의 하측면에 고정되어질수 있다. 이것은 예를들면 인용되어진 미국특허 제 3 711 054호 및 일본특허 제 892 209호에 대응하는 독일특허 제19 31 012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 안내스리브(25)는 몇개의 부품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삽입된 스라이드 스리브(32),(33)를 가지는 하나의 반송튜브(31)와 그리고 하나의 외측의 2개편 반송스리브(34)를 포함한다. 반송튜브(31)은 특히 다만 작은 허용차를 가지는 비교적 정밀한 내경(Di)을 가지는 원통형상이다. 2개의 스라이드 스리브(32),(33)은 동일하다. 반송튜브(31)에 삽입하기 전에 이들은 반송튜브(31)의 내경(Di)보다도 100분의 수 미리메터 예를들면 0.02로부터 0.09㎜가 더 많은 외경을 갖는다. 하나의 단부에서 원통형 스라이드 스리브(32),(33)는 외측으로 뻗쳐있는 칼라(35)를 갖는다.
스라이드 스리브(32),(33)는 칼라(35)가 반송튜브의 면(36)에 대하여 기대어 있는 곳의 그러한 점까지 스라이드 스리브의 2개의 단부의 각각이 각각 하나의 스라이드 스리브(32) 또는 (33)로 누르는 그러한 방법으로 반송튜브(31) 안으로 삽입된다.
제2도는 2개의 스라이드 스리브(32),(33)가 반송튜브(31)의 길이의위에서 뻗쳐 있으며 그 결과로 2개의 스라이드 스리브(32),(33) 사이에는 반송튜브(31)의 길이의 약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보인다. 그래서 각각 개스스프링의 하우징 또는 튜브(20)에 대한 안내표면(38)으로서 역활을 하는 스라이드 스리브(32),(33)의 내부표면은 역시 간격을 떼어서 위치하여져 있으며 그 결과로 튜브(20) 또는 개스스프링의 하우징은, 각각, 이들의 간격을 떼어서 위치하여진 안내표면들(38)에 의해서만 안내되어진다.
스라이드 스리브(32),(33)의 내경(Di)은 각각 통상적인 안내유격을 가지고 개스스프링의 하우징의 외경에 또는 튜브(20)의 외경에 상응한다.
2개편 반송스리브(34)는 동일종류의 2개의 반분스리브(39),(40)로 되어 있으며 이 반분스리브는 근본적으로 반원의 원통향 단면(41)으로 되어 이 단면으로 부터 리브들(42)이 축(6)에 평행하게 외측을 향하여 뻗쳐 있다. 반분스리브(39),(40)는 종방향의 후렌지(43),(44)를 가지며 이들 후렌지는 반분스리브(39),(40)가 서로 결합될때 서로에 대하여 기댄다. 이 후렌지들은 중앙의 종축(6)을 통하는 하나의 평면에서 서로에 대하여 기대어 있게 된다. 이들 종방향 후렌지(43),(44)는 돌기부(45)와 이 돌기부에 짝이 되는 개구(46)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결과로 두개의 반분스리브(39),(40)가 서로 결합될때 하나의 반분스리브(39),(40)의 돌기부(45)는 다른 반분스리브(40) 또는 (39)의 개구(46)와 각각 맞물린다.
반분스리브(39),(40)의 일단 즉, 하단은 각각의 경우에 반경방향으로 내측으로 뻗쳐있는 반원형의 접합부(47)가 형성되어 있다.
제2도는 안내스리브가 조립될때 상응하는 스라이드 스리브(32)의 칼라(35)는 접합부(47)에 대하여 기대며 그 결과로 반송튜브(31)는 2개의 스라이드 스리브(32),(33)와 함께 축방향으로 한 방향에서 구속되어짐을 보인다. 반대 방향에서 2개의 스라이드 스리브(32),(33)와 함께 반송튜브(31)는 반분원형 접합부에 대하여 인접하는 스라이드 스리브(33)의 칼라(35)가 축방향으로 기대는 각각의 경우에서의 반분원형 접합부(48)가 반분원의 원통형구간상에 동일하게 내측을 향하여 뻗치고 있는 2개의 반분스리브(39),(40)에 형성되어 있는 그러한 방법으로 구속되어 있다. 제2도는 상기의 상부접합부(48)는 축방향에서 약간 탄성적이며 그 결과로 한편으로는 이것은 2개의 스라이드 스리브(32),(33)를 가지는 반송튜브(3l)의 길이 허용차들을 보상하며,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축방향에서의 유격없이 2개의 스라이드 스리브(32),(33)와 함께 반송튜브(31)를 파지하며 그래서 단단히 이것을 구속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상기의 접합부(48)에게는 리브들(42)의 반경방향의 외측에 도달하고 있는 반분-링 디스크의 형상이 주어지며 여기에서 이것은 반분-링부분(49)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 반분-링 부분은 외측으로 뻗쳐 있으며 그리고 안내튜브(1)의 내경에 상응하는 외경을 갖는다. 나아가서 상기의 반분-링부분(49)과 접합부(48)의 연결부에는 완전히 조립된 안내스리브(25)가 밀어 넣어질때 안내튜브(1)의 상응하는 면(51)에 대하여 기대고 있는 링칼라(50)가 형성되어 있다.
스라이드 스리브(32),(33)가 이미 장착된 반송튜브(31)는 반분-스리브(39),(40)가 하나 속으로 삽입된다. 그 다음에 다른 반분-스리브(40) 또는 (39)가 각각 설치되며 그리고 돌기부들(45)이 짝이 되는 개구들(46)과 맞물린다. 상기의 완전히 조립된 안내스리브(25)는 그 다음에 링칼라(50)가 면(51)에 기대는 곳인 그러한 점까지 안내튜브(1)속으로 밀어 넣어진다. 그래서 리브들(42)는 전체의 안내스리브(25)가 안내스리브(1)내에서 단단히 구속되어 있도록 약간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반송튜브(31)는 강 또는 알미늄 또는 비교될수 있는 금속으로 되어서 실제적으로 변형할수가 없으므로 반송스리브(34)의 허용 한계에 기인하는 변형들은 스라이드 스리브(32),(33)의 내경(di)과 그리고 그래서 안내표면(38)의 정확한 칫수는 영향을 끼치지 아니한다.
그외에 재료에 있어서 비교적 고가이며, 각각 1개편으로 되어 있는 반분스리브(39),(40)는 금속, 특히 강에 비하여 특별히 좋은 스라이딩 품질을 가지는 덜 비싼 프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질수가 있다. 튜브(20)와 직접 안내된 개스스프링의 하우징은 각각 금속으로 되어 있다. 폴리아세탈은 특별히 좋은 스라이딩 품질을 가지는 프라스틱 재료인 것으로 고려된다.
반송튜브(31)의 외부직경(Da)은 유격없이 반송스리브(34)내에서 지지되는 그러한 방법으로 선정된다.

Claims (16)

  1. 대좌(4)에 연결할수 있는 안내튜브(1)을 가지며 그리고 길이 조정이 가능하고 쇄정할수 있는 개스스프링(8)을 가지며, 이 개스스프링중에서 피스톤봉(10)은 축방향에서 안내튜브(1)의 저면판(5)에 단단히 그러나 제거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 개스스프링중에서 하우징(9)은 피스톤봉(10)의 반대편의 부분에서 의자 또는 테이블 상부판에 축방향으로 단단하게 그러나 원칙적으로는 제거할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이 개스스프링중에서 하나의 추가적인 튜브(20)에 의하여 가능하게 둘러 쌓인 하우징(9)은 안내튜브(1)내에 파지되어 있는 안내스리브(25)를 사용하여 횡방향으로는 단단히 그리고 축방향으로 스라이딩 할수 있도록 안내되며 그리고 이 개스스프링은 개스스프링(8)의 길이 조정을 위한 작동봉을 가지는 그러한 의자, 테이블 상부면류의 연속적인 조정을 위한 쇄정 가능한 승강식 장치에 있어서, 안내스리브(25)는 중앙의 반송튜브(31)를 가지며 이 반송튜브안에 스라이드 스리브들(32,33)이 공간을 가지고 배열되어 있으며 그리고 이 반송튜브는 안내튜브(1)안에 파지된 반송스리브(34)에 의하여 둘러쌓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반송스리브(34)는 2개의 동일한 1개편 반분스리브들(39,40)로부터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반분스리브(39,40)은 그들의 축방향의 단부의 구역에서 반경방향으로 내측을 향하여 뻗쳐있는 접합부들(47,48)을 가지며 이 접합부들에 대하여 스라이드 스리브(32,33)를 가지는 반송튜브(31)가 유격이 없이 기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접합부(48)가 축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만들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반분스리브들(39,40)은 종방향의 후렌지들(43,44)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후렌지들은 돌기부들(45)과 그리고 짝이 되는 개구들(46)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스라이드 스리브들(32,33)는 반송튜브(31)의 인접하는 면(36)과 반송스리브(34)의 인접하는 접합부(47,48)사이에서 링 칼라(50)를 사용하여 각각 축방향에서 파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스라이드 스리브들(32,33)은 반송튜브(31)안에 압축 또는 고착으로 파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반송튜브(31)은 금속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장치.
  9. 제1항의 선행 특징부분에 따르는 승강식 장치를 위한 안내스리브에 있어서, 안내스리브(25)는 중앙의 반송튜브(31)를 가지며 이 반송튜브안에는 스라이드 스리브들(32,33)이 공간을 떼어서 배열되어 있으며 이 반송튜브는 안내튜브(1)안에 파지되어 있는 반송 스리브(34)에 의하여 둘러쌓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스리브.
  10. 제9항에 있어서, 반송스리브(34)는 2개의 동일한 1개편의 반분스리브(39,40)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스리브.
  11. 제10항에 있어서, 반분스리브들(39,40)은 그들의 측방향의 단부 부분에서 반경방향으로 내측을 향하여 뻗쳐있는 접합부(47,48)를 가지며 이 접합부들에 대하여 스라이드 스리브(32,33)를 가지는 반송튜브(31)가 축방향으로 유격이 없어 기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스리브.
  12. 제1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접합부(48)가 축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만들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스리브.
  13. 제10항에 있어서, 반분스리브들(39,40)은 돌기부들(45)와 짝이되는 개구들(46)을 가지는 종방향의 후렌지(43,4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스리브.
  14. 제11항에 있어서, 스라이드 스리브들(32,33)은 반송튜브(31)의 인접하는 면(36)과 반송스리브(34)의 인접하는 접합부(48,47)사이에서 링칼라(50)를 사용하여 각각 측방향으로 파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스리브.
  15. 제9항에 있어서, 안내스리브들(32,33)은 반송튜브(31)안에서 압축 또는 고착으로서 파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스리브.
  16. 제9항에 있어서, 반송튜브(31)는 금속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스리브.
KR2019880002937U 1988-01-27 1988-03-04 가구의 연속적인 조정을 위한 쇄정 가능한 승강식장치 및 그러한 승강식 장치용의 안내스리브 KR94000703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6984 1988-01-27
DE8800976U DE8800976U1 (ko) 1988-01-28 1988-0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5927U KR890015927U (ko) 1989-08-18
KR940007032Y1 true KR940007032Y1 (ko) 1994-10-13

Family

ID=6820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2937U KR940007032Y1 (ko) 1988-01-27 1988-03-04 가구의 연속적인 조정을 위한 쇄정 가능한 승강식장치 및 그러한 승강식 장치용의 안내스리브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899969A (ko)
EP (1) EP0325726B1 (ko)
JP (1) JPH0531968Y2 (ko)
KR (1) KR940007032Y1 (ko)
AT (1) ATE74725T1 (ko)
DE (2) DE8800976U1 (ko)
ES (1) ES2031985T3 (ko)
GR (1) GR3004573T3 (ko)
TR (1) TR2424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03245C2 (de) * 1990-02-03 1997-08-21 Stabilus Gmbh Führung für teleskopartig ineinander verschiebbare zylindrische Teile
US5020752A (en) * 1990-06-12 1991-06-04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Adjustable pedestal for tables and the like
DE4024392A1 (de) * 1990-08-01 1992-02-06 Suspa Compart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gleitflaeche an einer aus kunststoff bestehenden fuehrungsbuechse fuer eine hoehenverstellbare stuhlsaeule
DE9013467U1 (ko) * 1990-09-25 1990-11-22 Suspa Compart Ag, 8503 Altdorf, De
DE4207470A1 (de) * 1991-05-01 1992-11-05 Suspa Compart Ag Blockierbare hubvorrichtung zum stufenlosen verstellen von stuhlsitzen
IL98036A0 (en) * 1991-05-02 1992-06-21 Yoav Cohen Plastic stand pipe support for load-bearing adjustable piston
FR2678495B1 (fr) * 1991-07-01 1993-09-24 Airax Sa Colonne destinee a faire partie d'un support de meuble equipe d'un ressort a gaz.
DE4200786A1 (de) * 1992-01-14 1993-07-15 Suspa Compart Ag Laengenverstellbare saeule fuer tische, stuehle o. dgl.
DE9200884U1 (ko) * 1992-01-25 1992-04-09 Suspa Compart Ag, 8503 Altdorf, De
US5234187A (en) * 1992-06-02 1993-08-10 Steelcase Inc. Chair height adjustment mechanism
DE69334200T2 (de) * 1992-06-15 2008-12-24 Herman Miller, Inc., Zeeland Rückenlehne für einen Stuhl
DE4227553A1 (de) * 1992-08-20 1994-02-24 Stabilus Gmbh Höhenverstellbare Stütz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die Sitzfläche eines Stuhles
DE9212735U1 (de) * 1992-09-22 1994-02-03 Schneider W Dictator Tech Blockierbare Gasfeder
DE4233407A1 (de) * 1992-10-05 1994-04-07 Stabilus Gmbh Führung für teleskopartig ineinander verschiebbare zylindrische Teile
DE4242475A1 (de) * 1992-12-16 1994-06-23 Suspa Compart Ag Führungsbuchse, insbesondere für längenverstellbare Stuhl-Säule und Stuhl-Säule mit derartiger Führungsbuchse
DE9402656U1 (de) * 1994-02-18 1994-04-14 Suspa Compart Ag Führungsbüchse und längenverstellbare Säule mit Führungsbüchse
US5511759A (en) * 1994-05-26 1996-04-30 Steelcase, Inc. Hydraulic chair height adjustment mechanism
EP0707160B1 (de) * 1994-07-28 1998-12-02 SUSPA COMPART Aktiengesellschaft Längenverstellbare Gasfeder für Stühle, Tische o.dgl.
US5586830A (en) * 1994-12-05 1996-12-24 Ashley Furniture, Industries, Inc. Pivoting and variable height table
US5740997A (en) * 1995-06-07 1998-04-21 Herman Miller, Inc. Pneumatic height adjustment column for a chair
US5608960A (en) * 1995-06-07 1997-03-11 Herman Miller,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a support column to a chair base and tilt control housing
US5556170A (en) * 1995-08-22 1996-09-17 Lai; Yu-Shan Sleeve structure of an office chair
US5756569A (en) * 1996-12-19 1998-05-26 Carver; Bobby Carroll Use of alkyl 3-alkoxypropionates as coalescing agents in aqueous coating compositions
ES2143338B1 (es) * 1996-04-11 2000-12-01 Gain Gas Technique Sl Cilindro hidraulico.
JP2000515614A (ja) * 1996-07-24 2000-11-21 ピロット プレシィジョン ダンパース リミテッド 大きな移動量をもつダンパ
DE29705568U1 (de) * 1997-03-27 1998-07-23 T R Plast Kunststoff Führungsbuchse für in einem Standrohr einsetzbaren Federrohr, insbesondere für Bürostühle
US5979845A (en) * 1997-05-16 1999-11-09 Steelcase Inc. Hub tube/washer assembly
CN1106512C (zh) * 1997-06-04 2003-04-23 燃气技术开发公司 气筒
US6371421B1 (en) * 1997-08-23 2002-04-16 Samhongsa Co., Ltd. Device for controlling the height of a swivel chair
US6224264B1 (en) 1997-10-16 2001-05-01 Suspa Holding Gmbh Guide bush and adjustable length column with guide bush
US6116555A (en) * 1998-05-29 2000-09-12 Krueger International, Inc. Plastic chair base including hub with integral ring and oppositely-directed tapers
US5984567A (en) * 1998-07-09 1999-11-16 Gollin & Co., Inc. Molded split sleeve bushing for chair base
US6841021B1 (en) 2000-07-10 2005-01-11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of making a polyimide resin and carbon fiber molded tube clamp
DE10227201C1 (de) * 2002-06-18 2003-09-04 Stabilus Gmbh Möbelsäule
TWM255364U (en) * 2004-04-12 2005-01-11 Chin-Chih Lin Cantilever arm structure
DE102007003321A1 (de) * 2007-01-17 2008-08-21 Mbb International Group Ag Verschlusseinrichtung für einen mit Druckgas befüllbaren Druckbehälter eines Kaltgasgenerators
DE112012001922T5 (de) * 2011-04-29 2014-03-20 Samhongsa Co., Ltd. Stützeneinheit für Stuhl
US20130086835A1 (en) * 2011-10-10 2013-04-11 Steven W. Minneman Weapon rest
DE102014207191A1 (de) * 2013-11-05 2015-05-07 Sedus Stoll Ag Höhenverstellungsvorrichtung und Stuhl mit einer solchen Höhenverstellungs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235759U (de) * 1973-02-01 Giroflex Entwicklungs Ag Gasmechanik insbesondere fur Stuhle
CH514317A (de) * 1969-06-19 1971-10-31 Bauer Fritz Hubvorrichtung zum stufenlosen Höherverstellen einer Tragfläche, insbesondere Sitzfläche von Stühlen oder Hockern
US4323088A (en) * 1979-11-20 1982-04-06 Pipe Shields, Inc. Insulating pipe support
CA1154369A (en) * 1980-02-11 1983-09-27 Duane M. Beukema Height adjustor for furniture
US4493469A (en) * 1983-01-19 1985-01-15 Mohasco Corporation Height adjustment control arrangement
DE8321916U1 (de) * 1983-07-29 1983-11-17 Fritz Bauer + Söhne oHG, 8503 Altdorf Blockierbare hubvorrichtung zum stufenlosen verstellen von stuhlsitzen, tischplatten oder aehnlichen moebelteilen
GB8329695D0 (en) * 1983-11-07 1983-12-07 Von Dulong O Table/desk
JPS6091054U (ja) * 1983-11-29 1985-06-21 ジロフレツクス エントヴイツクルンク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椅子用脚
JPS60146448U (ja) * 1984-03-09 1985-09-28 トキコ株式会社 椅子等の座部昇降装置
DE3420528A1 (de) * 1984-06-01 1985-12-05 Stabilus Gmbh, 5400 Koblenz Stufenlos verstellbare hubvorrichtung
JPS6137321U (ja) * 1984-08-09 1986-03-08 益太郎 中尾 板状体
US4592590A (en) * 1984-11-05 1986-06-03 Kimball International, Inc. Hydraulic lifting mechanism for a chair or the like using a two phase working fluid
US4613106A (en) * 1985-04-25 1986-09-23 Tornero Lino E Mechanical adjustable column
DE3517003A1 (de) * 1985-05-10 1986-11-13 Stabilus Gmbh, 5400 Koblenz Konusverbindung an einer hoehenverstellbaren stuhl- oder tischsaeule
DE3627138A1 (de) * 1986-08-09 1988-02-11 Stabilus Gmbh Fuehrung teleskopartig ineinander verschiebbare zylindrische teile
US4720068A (en) * 1986-08-29 1988-01-19 Tornero Lino E Seat support colum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25726B1 (de) 1992-04-15
TR24248A (tr) 1991-07-04
GR3004573T3 (ko) 1993-04-28
KR890015927U (ko) 1989-08-18
EP0325726A1 (de) 1989-08-02
JPH01117245U (ko) 1989-08-08
US4899969A (en) 1990-02-13
DE3870209D1 (de) 1992-05-21
ATE74725T1 (de) 1992-05-15
ES2031985T3 (es) 1993-01-01
DE8800976U1 (ko) 1989-06-01
JPH0531968Y2 (ko) 1993-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7032Y1 (ko) 가구의 연속적인 조정을 위한 쇄정 가능한 승강식장치 및 그러한 승강식 장치용의 안내스리브
US4684098A (en) Support column with gravity retention means
EP0591901A1 (en) A guide means for telescoping cylindrical parts and a column unit comprising such guide means
JPH0313237Y2 (ko)
JPH0132905Y2 (ko)
US5263763A (en) Vehicle seat mounting bracket
US4526334A (en) 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sktop, chair or similar
US5188345A (en) Lockable elevating mechanism for the continuous adjustment of chair seats
CA2072305C (en) Pillar intended to form part of a furniture support equipped with a gas spring
JPH0698064B2 (ja) 荷重を支承する調節可能な支柱のためのプラスチック製鉛直パイプ支持体
EP0108081A1 (en) Adjustable arm
US20050116402A1 (en) Polymer and rigid suspension bearing assembly for motor vehicles
EP3353434A1 (de) Linearführung mit selbsteinstellender spielreduzierung
US6430792B1 (en) Hydraulic tool
EP0344822A3 (fr) Articulation démontable à rotule
KR960001431Y1 (ko) 길이조정이 가능한 가스스프링 및 그러한 가스스프링을 구비한 높이조절기구
FR2636878A1 (fr) Outil pour installer et sertir une piece inseree
US4516441A (en) Flexible remote control with improved anchoring of outer ball races
EP0133523B1 (de) Längenverstellbare Gasfeder für eine blockierbare Hubvorrichtung zum stufenlosen Verstellen von Sitzen, Tischplatten oder dergleichen
GB2496582A (en) A ball and socket joint
AU608568B2 (en) Lockable elevating mechanism for the continuous adjustment of furniture and guide sleeve for such an elevating mechanism
CN216627191U (zh) 一种地插
CN219119654U (zh) 一种工程机械用衬套
CN219825034U (zh) 一种固定式的长度可调节铁马
EP0357578A1 (en) A chair base and post assembly for an office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