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805B1 - 팩킹재료 및 그 재료에 의해 제조된 팩킹용기 - Google Patents

팩킹재료 및 그 재료에 의해 제조된 팩킹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805B1
KR940005805B1 KR1019890010873A KR890010873A KR940005805B1 KR 940005805 B1 KR940005805 B1 KR 940005805B1 KR 1019890010873 A KR1019890010873 A KR 1019890010873A KR 890010873 A KR890010873 A KR 890010873A KR 940005805 B1 KR940005805 B1 KR 940005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material
packing
relief pattern
carrier lay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0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3031A (ko
Inventor
한스 라우징
Original Assignee
테트라 라발 홀딩스 앤드 파이낸스 예스. 에이
쎄브렐 괴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트라 라발 홀딩스 앤드 파이낸스 예스. 에이, 쎄브렐 괴스타 filed Critical 테트라 라발 홀딩스 앤드 파이낸스 예스. 에이
Publication of KR900003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contain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closing or contents-support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inwardly a wall extending from, and continuously around, an end of the tubular body
    • B65D5/064Rectangular containers having a body with gusset-flaps folded outwardly or adhered to the side or the top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9/00Envelopes, wrappers, and paperboard boxes
    • Y10S229/93Fold detai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55Elemental metal containing [e.g., substrate, foil, film, coat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5Sheet, web, or layer weakened to permit separation through thick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19Fold at ed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10T428/24446Wrinkled, creased, crinkled or crep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612Composite web or she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777Edge fe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8Alkali metal or alkaline earth metal or compound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of base or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13Heat or solvent activated or sealable
    • Y10T428/2817Heat sealable
    • Y10T428/2826Synthetic resin or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78Of metal
    • Y10T428/31692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팩킹재료 및 그 재료에 의해 제조된 팩킹용기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웨브형 팩킹재료의 엣지영역을 도시한 도면.
제 2 도는 제 1 도의 팩킹재료로 제조된 팩킹용기의 상부 사시도.
제 3 도는 제 1 도 팩킹재료 중 부분적으로 노출된 영역을 링으로 형성시킨 확대도.
제 4 도는 제 1 도의 Ⅳ-Ⅳ선을 절취한 확대 단면도.
제 5 도는 제 1 도의 Ⅴ-Ⅴ선을 절취한 확대 단면도.
제 6 도는 제 1 도의 Ⅵ-Ⅵ선을 절취한 확대 단면도.
제 7 도는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따른 팩킹재료에 있어서, 제 6 도에 대응하는 부위의 확대 단면도.
제 8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팩킹재료 제조용 장치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웨브형 재료 2 : 팩키지
3 : 종방향 엣지 구역 4 : 횡방향 밀봉구역
5 : 캐리어층 6 : 상승표면부(릿지)
7 : 표면패널 8, 9 : 종 및 횡방향 평면 약화구역
10 : 강성 증대층 11 : 중간밀봉층
12: 압출기 13 : 필름
14, 15 : 로울러
본 발명은 팩킹용기 제조에 이용되는 시트 및 웨브(web)형의 가연성 재료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팩킹재료로 제조된 팩킹용기 및/또는 그 일부에 관한 것이다.
팩킹기술에서 1회용 팩키지가 예를들어 우유, 쥬스등과 같은 음료품을 다른 물건들과 함께 포장(팩킹) 및 수송하는데 오랫동안 사용되어왔다.
소위 1회용 팩키지라 불리우는 이들 제품들은 대체적으로 열가소성수지로 그 내외부를 코팅한 종이 혹은 판지(Cardboard)에 캐리어층 즉, 재료의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형성된 층을 구성시킨 재료로 제조된다.
이들 팩키지에 필요한 재료로는 흔히 예를들어 앞에서 언급한 것 이외에 Al-박이나 플라스틱코팅등과 같은 다른 재료층이 추가로 코팅된 것도 있다.
팩킹재료의 조성물은, 팩킹해야할 제품을 최강의 품질로 유지하려는 바램과 정상적으로 팩키지를 취급할 경우 외부응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기계적 강도 및 내구성을 모두 참작해서 선택한다.
기계적 견고성을 지니도록 하기 위하여 한편으로는 제품에 대한 기계적 보호성을 부여하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치수를 적절하게 설계함으로써 별 어려움없이도 취급할 수 있음은 물론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들 팩키지의 재료로는 흔히 비교적 두꺼운 캐리어층을 형성한 종이 또는 판지를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재료는 액체 또는 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성질인 밀봉성이 약할뿐만 아니라 습기 또는 액체로 인해 재료의 강성이 급격히 상실된다.
따라서, 이들 재료가 필요한 정도의 액체 밀봉성을 갖도록 하기 위한 방편으로 그 양측면에 액체 밀봉용 플라스틱 코팅이 행해진 캐리어층을 구성시키되, 만일 이들 플라스틱재가 열가소성수지일 경우 소위 열차단재라 불리우는 다른 물질을 적절하게 이용하여 상기 플라스틱 코팅층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기계적으로 영속화할 수 있도록 봉합조인트 및 액체밀봉용 재료패널을 중첩시키는 결과가 됨으로 상기 코팅된 열가소성수지와 열차단재에 의해 본래의 형상을 영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본 설명과 연관된 타입의 1회용 팩키지는 현대식 팩킹기계에 의해 제조되므로, 미리 블랭크를 형성시킨 팩킹재 혹은 웨브를 이용하여 고속으로 생산할 수 있으며, 이때의 팩키지는 그 내부에 어떤 물질이 충전된 상태에서 밀폐되는 것임은 물론이다.
팩키지를 예를들어, 튜브 형상으로 형성시킬 경우 웨브의 종엣지(가장자리)를 중첩해서 조인트하는 방법으로 제조한다.
상기 튜브에는 목적하는 내용물이 충전되고, 상기 튜브의 종축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튜브를 반복해서 평탄화시키고 밀봉함으로써 밀폐된 팩키지로 바뀐다.
이어서, 상기 팩키지의 횡봉합구역을 절단하여 서로 분리시킨 후 절첩 및 밀봉함으로써 목적하는 기하학적 형상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팩키지를 제조하는 과정중 재료가 절첩될때 특히 많은 응력을 받게 되는데 이는 캐리어층의 두께가 비교적 두꺼울 뿐만 아니라, 하나의 플라스틱 코팅층은 강한 신장력을 받게 되는 반면에, 또다른 플라스틱 코팅층은 절첩선에 연하여 그에 대응하는 정도로 압축되기 때문이다.
이같은 플라스틱 코팅층들의 강한 신장으로 인한 균열이나 또는 기타 다른 손상이 재료에 가해지지는 않으나, 만일 상기 팩킹재료에 상기 플라스틱층들에 비해 신장력이 매우 약한 알루미늄박이 포함되어 있다면 재료절첩시 균열이 발생할 수 있는등 문제가 심각해질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재료를 180°로만 절첩시키면 이러한 중대한 문제는 야기되지 않지만, 만일 상기 재료를 교차 절첩선, 소위 십자선방향으로 절첩할 경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야기된다. 이같은 문제는 흔히, 상기 팩키지가 웨브를 이용하여 제조된 것이냐 혹은 미리 형성시킨 블랭크를 이용하여 제조된 것이냐의 여부에 따라 달라지며, 이같은 타입의 팩키지에 외부밀봉 영역을 별도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흔한 일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밀봉은, 서로 밀봉되어야할 엣지구역에 연한 플라스틱 코팅충을 일단 열을 가하여 녹이고, 이후 상기 플라스틱 코팅층이 가열됨에 따라 상기 재료도 융용되면 팩키지의 외측에 밀봉용휜(fin)을 형성시키도록 서로 압착시키는 방법으로 행한다. 상기 밀봉용휜은 이중재료층으로 구성되므로 그 자체가 팩키지 제조에 장애가 되지는 않으며 흔히 팩키지 외측에 대향해서 평탄하게 되어있고 밀봉용휜의 재료층중 어느 하나는 180°로 절첩이 행해지고, 절첩된 밀봉휜 영역내에 있는 팩키지 벽은 3개의 재료층을 갖는바, 결과적으로 3번 절첩된 바와 동일한 두께를 갖게되는 것이다.
이같은 밀봉휜은 종종 팩키지를 구성하는 면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에 연하여 형성되며, 예를들어 평행 육면체 팩키지가 상기 밀봉휜에 대해 직각으로 형성되는 주름선을 따라 180°로 절첩되면, 팩키지의 임의 영역에 있어서의 재료 두께는 본래 박판 두께의 6배 이상까지 증대될 것이다.
상기 밀봉구역에 대해 횡으로 180°절첩함에 따라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재료층은 자체적인 신장에 의거하여 매우 강한 장력을 받게됨과 동시에 그들 재료의 특성상 크랙이 발생될 위험이 증대된다. 흔히 이들 장력은 너무커서 재료에 포함된 알루미늄박 뿐만 아니라 팩킹된 액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열가소성수지 코팅층에서도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액체는 크랙이 발생됨에 따라 노출되는 캐리어층에 쉽사리 흡수되므로 재료의 강성을 손상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팩킹재중 습기에 예민한 종이나 혹은 판지층을 사용함에 따른 단점과, 제조된 팩킹용기가 필요한 만큼의 기계적 강성을 지닐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재료를 두껍게 해야하는 등의 단점이 있는바, 이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팩킹재료로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팩킹재료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서로 밀접한 상태에서 이격되어 있는 다수의 함몰부(평탄면보다 낮은곳) 및/또는 상승부(평탄면보다 높은곳)로 구성된 릴리프패턴을 구성하고 가소성 변형에 의해 적어도 한면에 플라스틱재료를 구성시키고, 열을 차단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변형이 가능한 시트 혹은 웨브를 구성한다.
상기 팩킹재료는 캐리어층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플라스틱재를 박판화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만일 상기 캐리어층의 다수 측면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을 소성변형시킴에 따라 릴리프형 표면 패턴을 형성한 경우에는 이 팩킹재료를 변형이 가능함과 동시에 열을 차단할 수 있는 플라스틱재로 구성함으로써 팩킹재료의 강성을 상당히 증대시킬 수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팩킹재료는 패턴화되지 않은 즉, 평탄하고 동일재료의 캐리어층으로 구성된 팩킹재의 휨(굴곡)저항(팩킹재를 구부리는데 대한 역작용 즉, 구부려지지 않으려는 힘)보다도 30% 이상 효과가 좋은 휨저항을 갖는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 경우 팩킹재료의 일부분이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치수적 강성을 갖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상기 표면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플라스틱 변형이 강성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하는 신장에 수반되는 분자배향을 견디어 내는 동안에 플라스틱재가 변형할 수 있다는 사실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캐리어층용 재료는 재료강성이 양호하도록 탄산칼슘, 황산칼슘, 활석, 운모등과 같은 무기물 입자를 첨가한 열가소성수지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하면, 열가소성수지의 량도 줄이고 결과적으로 재료원가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열가소성 재료의 특별한 잇점은, 상기 열가소성수지 재료가 폴리프로필렌재, 예를들어 ASTM에 따르면 0.5~5 범위의 용융유동 지수를 갖는 폴리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예를들어 황산칼슘 또는 탄산칼슘등의 칼슘염과 같은 적절한 충전제를 50~80%, 바람직하게는 65~70% 정도의 량을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공중합체)로 구성된다는데 기인한다.
상기 릴리프패턴은 그 형상이 리브에 의해 경계되어지는 골과 같다.
즉, 전체면이 평탄한 것이 아니라 평탄면에 대해 일정한 정도 솟아났다던지 아니면 꺼진 부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오돌도돌한 면이 된다.
상기 골과 리브는 평행할 수도 있고, 리브가 서로 교차되어 상기 골이 다수의 셀로 분할될 수도 있다. 이에따라 상기 캐리어층의 양측면중 어느 한 측면에 강성을 부여하기 위한 릴리프형 패턴이 예를들어 서로 교차하거나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어떤 범위로 한정되어 솟아오른 표면부위 또는 릿지에 형성되거나 혹은 예를들어 정사각형, 5각형, 6각형 따위의 규칙적인 기하학적 형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로 좀더 깊이 위치하여 중간정도 범위를 갖는 표면패널과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은 골 또는 셀 플로워가 형성된 곳보다 좀더 깊은 곳에 위치한 표면패널의 폭은 10,000㎛ 이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0㎛ 이내인 것이 요망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폭은 3000㎛ 이내로 할 수도 있다. 이같은 골 및 셀의 길이는 팩킹재 치수에 따라 제한되나 셀은 오히려 폭의 다섯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세배 이내의 길이를 갖도록 하는 것이 요망된다.
상기 골 및 셀의 폭은 10㎛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예를들어 500㎛정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요망된다. 팩킹용기 제조과정에 있어서, 본 발명의 팩킹재를 용이하게 절첩하기 위해서는 상기 팩킹재의 대응구역을 따라 인터럽트 되거나 삭제되어야 할 표면패턴에 의해 형성된 임의패턴의 주름선(협소한 평면 약화구역)이 마련될 수 있도록 적절한 재료를 준비해야 한다.
캐리어층의 표면패턴측이 팩킹용기(제조가 완료된) 내측에 접하도록 하려할 경우, 상기 캐리어층의 패턴화된 부위는 상기 용기의 제조과정중 서로 밀봉되거나 조인되도록 함으로써 평탄하게 되며 그 결과 기계적인 내구성과 상기 구역의 액체밀봉성을 위한 선행조건이 만족할만큼 개선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평행육면체 팩키지(2)로 변형되는 웨브형 부착재료(1)의 가장자리 일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팩키지(2)는 필요한 내용물을 충전시킬 수 있도록 튜브형태로 형성하는바, 이는 두 종방향 엣지 구역(3)(제 1 도에서는 하나의 종방향 엣지만 도시되어 있음)을 서로 중첩해서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상기 충전된 튜브는 튜브의 종축에 대해 직각인 횡방향밀봉구역(4)을 따라 소폭으로 반복해서 평탄화시킴과 동시에 밀봉시킴으로써 개개의 팩킹유니트로 분리된다. 결국 상기 팩킹유니트는 최종적으로 횡방향밀봉구역(4)을 절단하므로써 서로 분리된 후 성형 및 밀봉작업에 의해 목적하는 형상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재료(1)에는 50~80%, 바람직하게는 65~70%의 탄산칼슘 또는 황산칼슘을 포함하여 변형성 및 열밀봉성 성질을 갖춘 플라스틱재,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바와 같은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공중합체인 캐리어층(5)(제 3 도 내지 제 6 도)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캐리어층(5)을 일측면 예를들면, 서로 교차되거나 또는 상호 연결된 형태로 상승된(평탄면보다 약간 부풀어 오른) 표면부위(6)로 구성된 릴리프형 표면패턴을 가진 부위, 즉 팩키지(2)에 접하는 쪽에 구성되며, 예를들어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6각형 즉, 상기 표면부위(6)보다 더 하부에 위치한 표면패널(7)과의 한계영역 사이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형태의 표면패턴은 캐리어층(5)외 강성을 더욱 증대시키므로 이같이 증대된 강성을 갖는 재료(1)를 이용해서 팩키지(2)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예비조건을 개선시킨다. 상기 캐리어층(5)의 일측면을 소성변형시킴에 따라 형성되는 표면패널(7)의 형상은 일정하게 규격화시킬 필요가 없이 어느정도 해가 되지않는 치수범위 내에서 변경시킬 수도 있고 기타 다른 적절한 형상 즉, 예를들어 정사각형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치수가 비교적 큰 경우, 5각형 형상의 릴리프형 표면패턴은 중간정도의 크기를 갖는 표면패널로 제조하는 것이 6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상의 표면패턴을 갖도록 제조하는것보다 바람직하다는 것이 입증되었으며, 이는 상기 5각형 형상의 중간정도의 표면 패턴은 휨 또는 압축 응력을 받을 경우 재료 균열의 원인이 되는 약화선이 없기 때문이다.
제 4 도 내지 제 6 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상승표면부 또는 릿지(6)가 협소하게 형성되도록 재료(1)의 임의 영역을 따라 인터럽트 되거나 또는 삭제된 종 및 횡평면 약화구역(8)(9)은 각각 팩키지제조시 재료(1)의 절첩이 용이하게 행해지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 5 도 및 제 6 도에는 재료의 종방향엣지 구역(3) 및 횡방향밀봉구역(4) 즉, 팩키지(2) 제조시 서로 밀봉 및 결합되는 영역을 따라 캐리어층(2)의 표면측이 패턴화된 것을 도시하였으며, 서로 평탄한 상태에서 이들 영역을 결합할 수 있도록 릴리프형 표면패턴과는 관계없는 평면부가 형성되므로 액체를 타이트하게 밀봉시킴과 동시에 기계적 내구성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선행조건을 개선시킨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캐리어층(5)중 패턴화된 표면측은 팩키지(2) 내측으로 접하도록 되어 있고, 본 발명의 재료(1)는 만일 상기 캐리어층이 탄성계수가 높거나 신장성이 낮은 재료의 캐리어층에 강성증대층(10)이 덮혀질 경우, 표면패턴에 의해 생성되는 강성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같은 강성증대층(10)은 예를들어 재료의 종방향엣지구역 및 횡방향밀봉구역(3)(4) 각각에 연한 캐리어층(5)의 평면부 뿐만 아니라 상승된 표면부(6)의 상부와 밀봉할 수 있을 정도로 접착력이 좋은 적절한 재료로 구성된 중간밀봉층(11)을 따라 Al박으로 도포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의 알루미늄박(10)은 상승된 부위(6)의 상부에 평탄하게 형성되므로, 뒷부분을 손으로 파지할 경우 이들 표면부 또는 릿지 간의 간격을 견고하게 유지시킴에 따라 팩키지(2)의 측부가 만입(움푹 들어가는것)되는 것을 저지하는 스페이서 소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제 7 도는 제 6 도에 도시한 재료에 대응하는 부위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써 이전에 기술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그대로 사용한다. 제 7 도에 의한 재료는 횡방향밀봉영역(4)이 주변의 릿지(6)의 상부와 동일평면에 놓이도록 설계되고, 팩키지 제조시 상기 팩킹재료 영역에서의 액밀 횡밀봉력을 강하게 해준다는 점이 이전의 실시예와 다르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형성된 표면패턴의 치수 및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으나, 이경우 필요한 강성을 재료에 부여하기 위하여는 상승된 부위 또는 릿지(6)의 높이는 대체로 200-800㎛ 범위 이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500㎛가 되어야 함과 동시에 캐리어층(5)의 평면부 재료의 두께는 50-400㎛ 범위이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200㎛가 되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음은 물론 손으로 파지할 수 있 는 견고한 팩키지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웨브형 재료(1)는 제 8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장치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적절하게 치수화된 시트 다이를 구비한 압출기(12)에 의해 연화 또는 초기용융(대략 180-300℃) 상태로 가열된 열가소성 수지는 ASTM에 따르면 0.5~5 범위의 용융유동 지수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으로된 공중합체를 포함함과 동시에 50~80%, 더욱 바람직하게는 65~75%로 미세하게 입자화된 칼슘 염 충전제를 포함하여 압출된다. 50~4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200㎛ 범위의 재료 두께를 갖는 압출된 평탄 연화필름(13)은 서로 공동동작하는 냉각된 압력로울러(14) 및 (15) 사이의 닙(nip)을 통과하게 되며, 상기 로울러(14)(15)중의 어느 하나의 로울러(14)는 그 자체의 표면상에 필름의 어느 일측면이 소성 변형됨에 따라 형성된 보충적인 표면패턴을 유지하는 상태로 재료필름을 통과시킴으로써 압착한 상승된 표면부 또는 매트릭스를 가진 릴리프형 표면패턴을 형성한다.
반면에, 상기 필름의 타측면은 전체적으로 로울러의 닙에 영향을 받지않고 통과한다. 로울러를 통과함에 따라 열밀봉성재료의 압출된 중간층(11)을 통해서 패턴화된 필름은 얇은 Al-박(10)(대략 10㎛)으로 덮혀 지고, 상호 동작하는 한쌍의 냉각된 압축 로울러 사이의 닙(nip)을 통과함에 따라 조합된 층으로 인해 패턴화된 부위 사이에 위치한 평면부 및 캐리어층의 패턴화된 측면 상의 상승된 표면 상부에 영속적으로 결합된다.

Claims (14)

  1. 팩킹재료의 강성을 증대시키도록 다수의 인접하는 함몰부 및 상승부를 구성시킨 릴리프 패턴을 적어도 한면상에 일체적으로 형성한 변형성 및 열밀봉성을 플라스틱 재료의 웨브(web)를 포함하는 유연성 팩킹 재료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재료는 무기물 충전 열가소성 물질이고, 상기 팩킹재료의 강성을 더욱 증대시키도록 릴리프패턴은 소성 변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팩킹재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는 200 내지 800㎛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킹재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 패턴에는 절첩이 용이하도록 일정범위의 길이를 갖는 약화구역(8, 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킹재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 패턴은 서로 밀봉되도록 된 팩킹재료의 종방향엣지구역 및 횡방향 밀봉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팩킹재료의 영역(3, 4)에서 폭이 다른 부위보다 좁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킹재료.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밀봉영역(4)은 인접 릴리프 패턴의 상부와 동일 평면상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킹재료.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 패턴은 서로 교차하거나 서로 연결되는 릿지(6)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킹재료.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릿지는 두께가 얇고, 릿지 사이에 위치하는 표면 패널(7)을 경계짓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킹재료.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패널(7)은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하며 기하학적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킹재료.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충전 열가소성 수지는 50 내지 80%의 황산 칼슘 또는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킹재료.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충전 열가소성 수지는 65 내지 75%의 황산칼슘 또는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킹재료.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 밀봉성 플라스틱 재료는 하나 이상의 또 다른 층(10)에 의해 캐리어층이 커버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킹재료.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층중 표면이 패턴화된 측은 높은 탄성계수 또는 작은 신장성을 가지고 캐리어층에 적층된 재료층(10)에 의해 덮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킹재료.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층은 Al-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킹재료.
  14. 제1 내지 제13항중 어느 한항에 따른 팩킹재료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킹용기.
KR1019890010873A 1988-08-01 1989-07-31 팩킹재료 및 그 재료에 의해 제조된 팩킹용기 KR9400058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818242.3 1988-08-01
GB8818242A GB2221446B (en) 1988-08-01 1988-08-01 A packing material and packing containers manufactured from the material
CH8818242.3 1988-08-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031A KR900003031A (ko) 1990-03-23
KR940005805B1 true KR940005805B1 (ko) 1994-06-23

Family

ID=10641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0873A KR940005805B1 (ko) 1988-08-01 1989-07-31 팩킹재료 및 그 재료에 의해 제조된 팩킹용기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US (1) US5158816A (ko)
EP (1) EP0353991B1 (ko)
JP (1) JP2833708B2 (ko)
KR (1) KR940005805B1 (ko)
CN (1) CN1023306C (ko)
AR (1) AR245646A1 (ko)
AT (1) ATE105815T1 (ko)
AU (1) AU622687B2 (ko)
BR (1) BR8903824A (ko)
CA (1) CA1319483C (ko)
CS (1) CS277457B6 (ko)
DE (1) DE68915362T2 (ko)
ES (1) ES2056219T3 (ko)
GB (1) GB2221446B (ko)
HU (1) HU204013B (ko)
LT (1) LT3755B (ko)
LV (1) LV11155B (ko)
MX (1) MX172644B (ko)
PL (1) PL162200B1 (ko)
PT (1) PT91339B (ko)
RO (1) RO105927B1 (ko)
RU (1) RU1831459C (ko)
UA (1) UA13383A (ko)
YU (1) YU477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67772B (sv) 1991-01-09 1992-09-14 Tetra Alfa Holdings Foerpackningsmaterial jaemte anvaendning av materialet foer framstaellning av behaallare
SE468635B (sv) * 1991-01-09 1993-02-22 Tetra Alfa Holdings Foerpackningsmaterial jaemte anvaendning av materialet foer framstaellning av behaallare med goda syrgastaethetsegenskaper
SE502399C2 (sv) * 1991-02-14 1995-10-16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Med öppningsanvisning försedd förpackningsbehållare
SE502398C2 (sv) * 1991-03-07 1995-10-16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Kantförstärkt förpackningsbehållare
SE502397C2 (sv) * 1991-05-03 1995-10-16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Förpackningslaminat med goda förseglings- och barriäregenskaper samt av förpackningslaminatet framställda förpackningsbehållare
CH687144A5 (de) * 1994-01-11 1996-09-30 Walter Bucherer Archivierungsmittel.
LT3888B (en) 1994-05-11 1996-04-25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tengthened adge packaging container
SE503007C2 (sv) * 1994-08-04 1996-03-11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ätt och anordning för framställning av banformig plastfolie
US5704886A (en) * 1995-06-02 1998-01-06 International Pape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scoring paperboard package sheets
US5718024A (en) * 1996-02-05 1998-02-17 Reynolds Consumer Products, Inc. Closure arrangement with tapered flange
US5843374A (en) * 1996-10-11 1998-12-01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Method and apparatus for sterilizing packaging
US5730934A (en) * 1996-10-11 1998-03-24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Method and apparatus for sterilizing packaging TRX-349
US6178723B1 (en) 1999-06-07 2001-01-30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Method of packaging a bedding product
US6405764B1 (en) 2001-02-21 2002-06-18 The Coca-Cola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packaging of beverages in containers at controlled temperatures
US6779318B2 (en) 2001-02-21 2004-08-24 The Coca-Cola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ly forming, sealing and filling flexible packages
US6443189B1 (en) 2001-02-21 2002-09-03 The Coca-Cola Company Valve assembly for filling containers
CH696167A5 (fr) * 2002-12-04 2007-01-31 Fromageries Bel S A Emballage de conditionnement étanche pour produit pâteux.
CN107097468B (zh) * 2017-04-24 2020-03-10 常德金德镭射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保润包装箱
CN110936690A (zh) * 2019-12-25 2020-03-31 广州市瑞高包装工业有限公司 一种铝塑复合片材及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91419107A (en) * 1914-08-26 1915-08-26 Sidney David Lane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rrugated or like Packing Material.
FR1174287A (fr) * 1956-04-18 1959-03-09 Thomson Houston Comp Francaise Procédé de fabrication des méthyldihalogénosilanes
US3142599A (en) * 1959-11-27 1964-07-28 Sealed Air Corp Method for making laminated cushioning material
FR1524796A (fr) * 1966-05-23 1968-05-10 Du Pont Structures nervurées en résine thermoplastique, leur procédé de fabrication et articles produits à partir de ces structures
GB1200190A (en) * 1966-07-26 1970-07-29 Diamond Shamrock Corp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ntainers
GB1142773A (en) * 1967-08-10 1969-02-12 Inland Container Corp Container
NL6908309A (ko) * 1968-06-07 1969-12-09
US3727825A (en) * 1971-03-19 1973-04-17 Pamark Inc Plastic container
US3907193A (en) * 1974-04-08 1975-09-23 Autoplex Corp Plastic folding containers and 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GB1554144A (en) * 1975-06-07 1979-10-17 Plastona Waddington Ltd John Plastic skillet containers
GB1554149A (en) * 1975-06-26 1979-10-17 Plastona Waddington Ltd John Plastic sheet material
AU484065B2 (en) * 1975-09-10 1975-12-04 Sealed Air Corporation Protective containers
JPS5746743A (en) * 1980-08-29 1982-03-17 Mitsui Petrochemical Ind Corrugated cardboard sheet in synthetic resin
US4386926A (en) * 1981-02-17 1983-06-07 Joel Heller Relatively rigid sheet plastic folding method, apparatus and article
JPS63281965A (ja) * 1987-05-01 1988-11-18 Achilles Corp リブ状模様の付与されたシ−ト状物
JPS63281966A (ja) * 1987-05-01 1988-11-18 Achilles Corp リブ状模様の付与されたシ−ト状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221446A (en) 1990-02-07
ES2056219T3 (es) 1994-10-01
AR245646A1 (es) 1994-02-28
CS277457B6 (en) 1993-03-17
CN1040002A (zh) 1990-02-28
GB8818242D0 (en) 1988-09-07
EP0353991B1 (en) 1994-05-18
CN1023306C (zh) 1993-12-29
BR8903824A (pt) 1990-03-20
EP0353991A2 (en) 1990-02-07
AU622687B2 (en) 1992-04-16
LTIP1809A (en) 1995-08-25
CA1319483C (en) 1993-06-29
GB2221446B (en) 1992-06-24
LV11155A (lv) 1996-04-20
PT91339B (pt) 1995-07-06
RU1831459C (ru) 1993-07-30
HUT55307A (en) 1991-05-28
ATE105815T1 (de) 1994-06-15
UA13383A (uk) 1997-02-28
AU3814789A (en) 1990-02-01
JPH02147325A (ja) 1990-06-06
DE68915362D1 (de) 1994-06-23
PT91339A (pt) 1990-03-08
PL162200B1 (pl) 1993-09-30
MX172644B (es) 1994-01-05
LT3755B (en) 1996-03-25
RO105927B1 (ro) 1993-01-30
EP0353991A3 (en) 1990-03-28
JP2833708B2 (ja) 1998-12-09
YU150689A (en) 1991-04-30
KR900003031A (ko) 1990-03-23
DE68915362T2 (de) 1994-08-25
HU204013B (en) 1991-11-28
LV11155B (en) 1996-08-20
US5158816A (en) 1992-10-27
YU47762B (sr) 1996-01-09
CS455189A3 (en) 1992-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5805B1 (ko) 팩킹재료 및 그 재료에 의해 제조된 팩킹용기
KR910009515B1 (ko) 시이트형태 또는 웨브형태의 가요한 포장지와 포장지의 제조방법 및 포장지로부터 제조되는 포장용기
JP2848635B2 (ja) 可撓性折り目付き包装材料
KR100321884B1 (ko) 중합체직물로제조된백및이의제조방법
EP0363540B1 (en) Pouch for containing retort food
US4287247A (en) Packing laminate provided with crease lines
US4711797A (en) Material for packing containers
KR100193963B1 (ko)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US4356053A (en) Edge sealing of laminate
CA2059035C (en) Packaging material
US4238263A (en) Edge sealing of laminate
US20060141215A1 (en) Corrugated product
CS229912B2 (en) Citern cut sizes from flexible sheet material
US5223194A (en) Flexible packing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CA2041376A1 (en) Insulating pouch
JP2000185740A (ja) 自立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44581Y2 (ja) 縦シールテープ付紙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6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