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558B1 - 비디오 신호 기록 장치 - Google Patents

비디오 신호 기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558B1
KR940005558B1 KR1019860001313A KR860001313A KR940005558B1 KR 940005558 B1 KR940005558 B1 KR 940005558B1 KR 1019860001313 A KR1019860001313 A KR 1019860001313A KR 860001313 A KR860001313 A KR 860001313A KR 940005558 B1 KR940005558 B1 KR 940005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reference signal
recording
track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1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6766A (ko
Inventor
미노루 야마자끼
데루히꾜 고오리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6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6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5/584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5/584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 tapes
    • G11B5/58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 tapes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rotating heads
    • G11B5/592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 tapes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rotating heads using bimorph elements supporting the heads
    • G11B5/5921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 tapes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rotating heads using bimorph elements supporting the heads using auxiliary signals, e.g. pilot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02Driving or moving of heads
    • G11B21/10Track finding or aligning by moving the head ; Provisions for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track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i.e. track following
    • G11B21/103Track finding or aligning by moving the head ; Provisions for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track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i.e. track following on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5/584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 tapes
    • G11B5/58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 tapes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rotating heads
    • G11B5/592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 tapes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rotating heads using bimorph elements supporting the heads
    • G11B5/5921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 tapes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rotating heads using bimorph elements supporting the heads using auxiliary signals, e.g. pilot signals
    • G11B5/5922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 tapes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rotating heads using bimorph elements supporting the heads using auxiliary signals, e.g. pilot signals superimposed on the main signal

Landscapes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디오 신호 기록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기록 장치의 한 예를 표시하는 계통도.
제2도는 그 동작 설명에 제공되는 파형도.
제3도는 기록 패턴과 기준 신호의 기록 위치의 관계를 표시하는 도면.
제4도는 비디오 신호 등의 주파수 특성도.
제5도는 기준 신호의 기록, 재생 모드의 순서도.
제6도는 소왜신호의 한 예의 파형도.
제7도는 디지털 데이터와 전왜소자용 드라이브 전압과의 관계를 표시하는 도면.
제8도는 헤드 제어의 한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9도는 회전헤드 장치의 설명도.
제10도는 그 테프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
제11도는 헤드 전환과 재생출력과의 관계를 표시하는 도면.
제12도는 재생시의 트랙킹 서보용의 기준 신호의 주파수 관계를 표시하는 도면.
제13도 내지 제15도는 기록 트랙에 대한 기준 신호의 기록 모양을 표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전드럼 2 : 자기 테프
H1, H2: 제1 및 제2의 헤드 3, 4 : 전왜소자
12, 22 : 기록앰프 30, 40 : 기준 신호 추출수단
31, 41 : LC 필터 23, 43 : 제어수단
50 : 레벨 판별수단 60 : CPU
SP1, SP2: 헤드간 단차 맞춤에 제공되는 기준 신호
34, 35, 44, 45, 62, 63 : 스위칭 수단
70 : 축차 비교형 A/D 변환기
VP1, VP2: 재생 기준 신호의 인벨로프 검파출력
본 발명은 1의 헤드에서 기록한 기준 신호를 다음 트랙을 기록하는 다른 헤드에서 재생하면서 기록시에 있어서 헤드간의 단차 맞춤을 하도록 한 DTF(Dynamic Track Following) 기능이 부착된 비디오 신호의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DTF 동작에 의해 헤드간 단차가 기록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비디오 신호의 기록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헤드와 제2헤드와의 헤드가 단차 맞춤에 제공하는 기준 신호를 이들 한쌍의 헤드를 사용하여 소정의 기록 트랙을 거쳐서 교대로 기록하므로서, 기준 신호의 기록구간과 동일한 구간을 신호 재생용의 구간으로 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인접 트랙의 트랙 시단의 어긋남이 0.5H(H는 수평주기)와 같이 적은 경우일지라도, 충분한 기준 신호 재생구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비디오 신호의 기록장치에서, 회전헤드에 대해서 거의 180°의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는 한쌍의 헤드를 바이모르프판등을 전왜소자 위에 설치하고, 비디오 신호의 기록시, 1의 헤드에서 기록한 기준신호를 다음의 트랙을 기록하는 다른 헤드로 재생하면서 기록시에 있어서 헤드간의 단차 맞춤을 하도록 한 DTF 기능이 부착된 비디오 신호의 기록장치는 이미 일본국 특허 공개 소54-115113호 공보등에 나타나 있다.
제9도는 이와같은 기록장치에 사용되는 회전헤드 장치의 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것은 즉, 8밀리 비디오 등과 같은 1체형 비디오에 채용되는 포맷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회전드럼으로, 이것에는 거의 180°의 간격을 유지하여 방위각이 서로 다른 1쌍의 기록 재생용의 헤드 H1,H2가 설치되나, 이들 헤드 H1,H2는 각각 바이모르프판등과 같은 전왜소자(3),(4)위에 설치된다. 자기테프(2)는 회전드럼(1)에 대해 180°이상의 소정의 각 범위에 걸쳐서 감겨지고, 이 180°를 넘는 권각범위에 대응하는 트랙은 오프션용 (PCM 오디오 신호등의 기록용)으로 사용된다.
제10도는 그 테프 포맷을 도시하고, To는 오프션용 트랙, Tv는 비디오용 트랙이다. 또한, 기록시에 있어서 헤드간의 단차 맞춤을 하기 위해, 비디오 신호의 기록에 선행하여 헤드간의 단차 맞춤에 제공하는 기준신호 Sp가 소정의 구간 WR(3H 이내)에 걸쳐, 헤드 H1,H2를 사용해서 각 트랙마다에 기록된다. 이 소정의 구간 WR은 수직 동기 신호가 기록되는 수직 귀선 기간의 일부가 맞닿는다.
그래서, 헤드 H1에 기록된 기준 신호 SP는, 다음의 비디오 트랙 TV을 형성하기 위한 헤드 H2에서 재생되고, 헤드 H2에서 기록된 기준 신호 SP는 다음의 비디오 트랙을 형성하기 위한 헤드 H1에 의해 재생된다. 따라서, 각 헤드 H1,H2마다 구간 WR이 기준 신호 SP의 기록 구간이고, 이것에 이어지는 구간 WP이 기준 신호 SP의 재생구간이다.
따라서, 지금 헤드 H2에서 재생한 기준 신호 SP의 누화 성분과, 헤드 H1에서 재생한 기준 신호 SP의 누화 성분이 같아지도록, 헤드 H1또는 H2가 설치된 전왜소자(3), (4)에 구동전압을 부가하면, 헤드 H1에 대한 헤드 H2의 단차가 항상 일정해지고, 기록중 헤드간 단차를 항상 일정하게 할 수가 있다.
제11도는 이와 같은 DTF 제어를 하였을때에 제1 및 제2채널 CH-1, CH-2 용의 각 헤드 H1, H2에서 출력되는 재생출력(RF 출력)과 헤드 전환 펄스 PSW와의 관계를 표시한다.
또한, 재생시에 있어서 트랙킹은 4주파의 기준 신호를 사용한 트랙킹 서보가 이용된다. 즉, 비디오 트랙 TV에 비디오 신호를 기록할 때 제1의 비디오 트랙 T1에는 주파수 f1의 기준 신호가 중첩기록되고, 아래와 같이 제2 내지 제4의 비디오 트랙 T2내지 T4에는 f2,f3및 f4의 각 정현파 신호가 트랙 고유의 기준 신호로서 기록되고, 이들의 관계를 갖고 이후의 비디오 트랙에 대응하는 기준 신호가 차례로 기록된다.
여기에서, 복수의 기준 신호의 주파수 관계는 다음과 같이 선택된다(제12도 참조).
f1=102KHz
f2=118KHz
f3=165KHz
f4=149KHz
그런데, 이와 같이 DTF 기능이 부착된 기록장치로, 기준 신호 SP를 기록, 재생하는 경우, 기준 신호 SP를 재생할 수 있는 구간 WP은 기준 신호 SP의 기록구간 WR의 전부는 아니고, 이 기록구간 WR의 길이에 관계없이, 인접 트랙간에 있어서 트랙 시단의 어긋남의 구간 TX에 의해 정해진다.
즉,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랙 T1을 주사하는 제1의 헤드 H1에 의해 기준 신호 SP(이하 SP1라 한다)가 기록되는 시점을 a, 종점을 d라 하면, 이 ad간이 기록구간 WR으로 되고, 이것은 최대 3H로 정해져 있다. 또한, 트랙 T1과 T2의 트랙 시단의 어긋남을 TX로 한 경우, 트랙 T2을 주사하는 제2의 헤드 H2에 의해 기록되는 기준 신호 SP(이하 SP2라 한다)는 기준 신호 SP1의 기록 개시 타이밍과 동일하므로, 기준 신호 SP2의 기록 개시 시점은 a점보다 TX만큼 빠른 시점 b이고, 이것보다 WR만큼 시간적으로 떨어진 시점 c가 기록 종료점으로 된다.
한편, 제2의 트랙 T2을 주사하는 제2의 헤드 H는 기준 신호 SP2의 기록 종료점 c에서 재생모드로 되고, 제1의 트랙 T1에 기록된 기준 신호 SP1의 누화 성분이 재생된다. 이 때문에, 기준 신호 SP1의 재생 개시점은 c이고, 종료점은 d이다. 따라서, 구간 cd가 기준 신호 SP1의 재생구간 WP이 된다.
여기에서, 제1의 트랙 T1에 있어서 구간 bd 은 WR+TX로 되고, 제2의 트랙 T2에 있어서 구간 bd는 WR+WP이므로, 기준 신호 SP1의 재생구간 WP은 인접 트랙간의 트랙 어긋남 TX와 같다. 따라서, 예컨대 WR=3H로, TX=1.5H의 경우에는, 기록된 구간 WR이 3H라 하더라도, 실제로, 그 기준 신호 SP1를 재생할 수 있는 구간 WP은 1.5H로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기록구간 WR을 1.5H로 선택하여도 하등의 변화가 없으므로, 제1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WR=1.5H(∴W=1.5H)에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관계는, 제2의 트랙 T2에 기록된 기준 신호 SP2를 다음 트랙인 제1의 트랙 T1을 주사하는 제1의 헤드 H1로 재생하는 경우도 같다.
기준 신호 SP1,SP2의 재생구간 WP이 1.5H 정도면, 그들의 누화 성분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으므로, 전왜소자(3),(4)를 구동하는 전압을 형성하는데는 거의 지장은 없다.
그러나, 트랙 어긋남 TX이 1.5H 이하, 따라서 H형 배열을 고려하여 1.0H 또는 0.5H 정도로 선택되어 있는 8밀리 비디오 등의 기록장치의 경우에는 이트랙 어긋남 TX이 적어짐에 따라서 재생구간 WP도 짧아지는 결점이 있다. 여기에, TX=0.5H는 LP(Long Play) 모드일 때이며, TX=1.0H는 SP(Short Play) 모드일 때이다.
제15도는 TX=0.5H로 선택할 때의 기록, 재생구간 WR,WP의 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 기준 신호 SP1,SP2의 재생구간 WP은 그 기록 구간 WR이 3.0H일지라도 0.5H로 된다.
재생구간 WP이 이와 같이 짧아지면, 재생 정보량이 극단적으로 적어져서 전왜소자(3),(4)에 대한 구동전압을 형성할 수가 없다.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S/N이 좋은 대역통과 앰프를 사용할 필요가 있으므로, 비용 상승을 초래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트랙 어긋남 TX이 적은 경우에도, 실질적인 재생구간 WP을 길게 하여 충분한 재생 기준 신호가 얻어지도록 한 비디오 신호의 기록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회전드럼(1)에 대해서 거의 180°의 각 간격을 유지하여 기록재생용의 제1 및 제2의 헤드 H1,H2가 전왜소자(3),(4)를 거쳐서 설치된 기록장치에 있어서, 비디오 신호의 기록시, 소정의 구간에 걸쳐서 제1의 헤드 H1에서 기록된 기준 신호 SP1가 제2의 헤드 H2에서 재생됨과 동시에, 소정의 기록 트랙을 경계로 하여 제2의 헤드 H2에서 기록된 기준 신호 SP2가 제1의 헤드 H1에서 재생된다.
구체적으로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의 헤드 H1에서, 제1의 트랙 T1을 주사할 때 소정의 구간에 걸쳐 기준 신호 SP1를 기록하고, 제1의 트랙 T1에 인접하는 제2의 트랙 T2을 헤드 H2가 주사할 때 기준 신호 SP1의 누화 성분을 재생한다. 따라서, 제2의 트랙 T2에는 기준 신호 SP2는 기록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2의 헤드 H2가 주사하는 제4의 트랙 T4에 제2의 헤드 H2가 위치하였을 때 상기한 바와 같이 소정의 구간에 걸쳐 제2의 헤드 H2에서 기준 신호 SP2를 기록하고, 이 제4의 트랙 T4에 인접하는 제5의 트랙 T5을 제1의 헤드 H1가 주사할 때 이 기준 신호 SP2의 누화 성분을 재생한다. 이때도, 제1의 헤드 H1에 의해 기준 신호 SP1는 기록하지 않는다.
제2의 트랙 T2에 기준 신호 SP2를 기록하지 않으면, 제1의 헤드 H1에서 기록된 기준 신호 SP1의 기록 구간 WR에 대응하는 위치를 제2의 헤드 H2가 주사하는 동안, 이 제2의 헤드 H2를 재생모드로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재생구간 WP은 기록구간 WR과 같게 된다. 제2의 헤드 H2에서 기준 신호 SP2를 기록하는 경우도 동일하다.
상기와 같은 점에서, 트랙 어긋남 TX의 장단에 불구하고, 재생구간 WP을 기록구간 WR과 같게 할 수가 있으므로, 트랙 어긋남 TX이 적은 경우라 하더라도 충분한 재생 기준 신호가 얻어진다.
이들 기준 신호 SP1,SP2는 그 재생 레벨이 비교되고, 그 출력에 의거하여 전왜소자(3),(4)에 대한 구동전압이 제어되어서, 제1 및 제2의 헤드 H1,H2의 기록시에 있어서, 헤드간 단차가 조정된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의 기록장치의 한 예를 제1도 이하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나, 설명의 편의상 먼저 본 기록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기록 트랙 패턴과 기준 신호 SP1,SP2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도에 있어서, 기수번째의 트랙 T1,T3,T5,…은 제1의 헤드 H1에 의해 형성되는 기록 트랙을 표시하고, 우수번째의 트랙 T3,T4,…은 제2의 헤드에 의해 형성되는 기록 트랙을 표시한다. 제1의 트랙 T1을 주사하는 제1의 헤드 H1는 시점 a에서 기준 신호 SP1의 기록이 개시되고, 시점 c에서 종료한다. 이 구간을 WR'라 하면,
WR=WR'+TY
이고, 구간 TY은 트랙 어긋남 TX와 같게 선택된다. 따라서, 이제 WR=3.0H, TX=0.5H라 하면, 실제로 기준 신호 SP1가 기록되는 구간 WR'은 2.5H로 된다.
제2의 트랙 T2를 주사하는 제2의 헤드 H2는 기준 신호 SP1의 기록 개시 시점 a과 동일 타이밍인 시점 b에서 재생모드에 제어되어, 시점 c까지 재생모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bc 간을 재생구간 Wp이라 하면,
WP=WR'+TX
=WR
로 되고, 구간 TX은 기준 신호 SP1의 존재하지 않는 구간이므로, 실질적인 재생구간은 WR'과 같게 되고, 상기 예에서는 2.5H로 된다.
이와 같이 기록 개시 타이밍과 재생 개시 타이밍을 동일하게 선정하는 경우에는, 재생구간 WP의 최대의 기록구간 WR이고, 이때에, 테이프 위에 있어서 기록개시점과 재생개시점은 TX만큼 반드시 어긋나게 되므로, 재생구간 WP의 종료점은, 기록구간 WR의 종료점 d보다 TX만 어긋난다. 이와 같은 사실에서 실제로 기준 신호 SP1를 기록하는 구간을 WR'이상으로 선택하여도 무의미해지기 때문에, 실제의 신호 기록구간 WR'은,
WR'=WR-TY
=WR-TY
로 선택되어 있다.
제3의 트랙 T3위에도 제2의 트랙 T2과 동일하게 기준 신호의 SP는 기록되지 않는다. 그러나, 제2의 헤드 H2가 또다시 주사하는 제4의 트랙 T4에는 상기한 바와같은 타이밍과 기간에 걸쳐서 기준 신호 SP2가 기록되고, 이것과 인접하는 제5의 트랙 T5을 주사하는 제1의 헤드 H1에 의해 구간 WP에 걸쳐서 기준 신호 SP2의 누화 성분이 재생된다.
이와 같이 제1의 헤드 H1에서 기준 신호 SP1를 기록하였을 때, 다음의 기준 신호 SP2를 제2의 헤드 H2에서 기록하도록 한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 의거한다. 즉, 기준 신호 SP1를 제2의 헤드 H2에서 재생하므로서, 제1의 헤드 H1에 대한 제2의 헤드 H2의 어긋남이 명확해지고, 기준 신호 SP2를 제1의 헤드 H1에서 재생하므로서, 제2의 헤드 H2에 대한 제1의 헤드 H1의 어긋남, 따라서 제1의 헤드 H1를 기준으로 한 경우에는 제1의 헤드 H1에 대한 제2의 헤드 H2의 어긋남이 명확해지므로, 기준신호 SP1,SP2의 재생 레벨이 동일하게 되도록 제2의 헤드 H2의 높이를 제어하면, 양 헤드 H1,H2의 헤드간 단차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어느 경우나 제1의 헤드 H1만으로 기준 신호 SP1,SP2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양 기준 신호 SP1,SP2의 재생레벨을 비교하여도, 제2의 헤드 H2의 높이를 어느 방향으로 어느 정도 제어할 것인가의 정보가 얻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헤드간의 단차는 6트랙(1트랙에 1필드의 정보가 기록되어 있을 때에는 6필드)마다 단차 맞춤의 정보가 얻어지게 된다. 덧붙여서, 종래에는 2트랙(2필드)으로 완결한다. 6필드 검출의 경우에는 2필드 검출보다도 시간적으로 3배 많이 걸리나, 전왜소자(3),(4)의 히스테리시스 특성에 의한 어긋남이 없어지도록 미리 소왜되어 있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헤드간의 단차의 어긋남의 양은 극단적으로 크지는 않다(통상수 ㎛ 내지 10㎛ 정도). 따라서, 검출시간이 6필드 정도 필요하더라도, 제어의 응답성이 현저하게 약화되지 않는다.
제1도는, 상기한 바와같은 기준 신호의 기록 재생 상태를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의 기록장치의 한 예를 도시하는 계통도다.
단자(11)에는 비디오 트랙 TV에 기록되는 비디오 신호등이 공급된다. 비디오 신호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FM 휘도 신호 Y와 저역 변환 색도 신호 c를 가지며, 이 비디오 신호외에, 이들 신호 Y,C의 주파수 대역 사이에 그 주파수 영역이 선정된 FM 오디오 신호 A, 또다시 상기한 재생시에 있어서, 트랙킹 서보용의 기준 신호가 각각 주파수 다중되고, 이 주파수 다중된 혼합신호가 단자(11)에 공급된다. 혼합신호는 기록앰프(12), 회전트랜스(13)를 거쳐서 제1의 헤드 H1에 공급된다.
한편, (61)은 기준 신호 SP용의 연속파 신호를 얻는 발진기로, 이 연속파 신호는 스위칭 수단(62)에 의해, 제2B도에 도시한 소정의 기록구간 WR'의 사이만큼 출력되어 버어스트형의 기준 신호 SP1로 된 후 가산기(14)에 공급되어, 제1의 헤드 H1에 기록된다. 그 때문에, 스위칭 수단(62)에는 제2d도에 도시한 스위칭 펄스(제3의 스위칭 펄스) P3가 공급된다. 이 기준 신호 SP1는 FM 휘도신호 Y를 캐리어로 하여 바이어스 기록된다.
또한, 제1의 헤드 H1에서 재생된 혼합신호는 프리앰프(16)를 거쳐서 신호재생계(도시하지 아니함)에 공급된다.
제2채널의 기록계도 동일하게 구성된다. 즉, 단자(21)에 공급된 혼합신호는 기록앰프(22), 회전트랜스(23)를 거쳐서 제2의 헤드 H2에 공급됨과 동시에, 감산기 (24)에는 스위칭 수단(63)에 의해 버어스트화된 기준 신호 SP2(제2c도)가 공급되고, 구간 WR'만큼 이 기준 신호 SP2가 FM 휘도신호 Y를 캐리어로서 테프(2)위에 기록된다. 스위칭 수단(63)에는 제2도h로 표시하는 제4의 스위칭 펄스 P4가 공급된다. 제2의 헤드 H2에서 재생된 혼합신호는 프리앰프(26)를 거쳐서 재생계에 공급된다.
여기에서, 기준 신호 SP는 인접 트랙으로부터의 누화로서 재생이 가능하도록, 방위각 손실 효과가 적은 단일 주파수 신호로서, 더우기, 재생시 혼합신호와 주파수분리가 가능한 주파수로 선택되는 것으로, 규격치는 230KHz 이하다. 이 예에서는 230KHz의 정현파 신호가 사용된다.
기록앰프(12),(22)의 전단에는 각각 스위칭 수단으로 구성된 제어수단(33),(43)이 설치되고, 제1 및 제2의 헤드 H1,H2를 재생헤드로서 사용하는 기간만큼, 즉, 구간 WP의 사이만큼, 기록앰프(12),(22)로의 기록 전류의 공급이 금지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1의 헤드 H1에서 기준 신호 SP1가 기록되고, 제2의 헤드 H2에서 기준 신호 SP2가 기록되는 것으로 하면, 제2도의 기간 Ⅰ에 있어서, 제2의 헤드 H2에서 출력된 재생출력중 기준신호 SP1는 기준 신호 추출수단(40)에 공급된다. 이 추출수단(40)은 기준 신호 SP1만을 추출 분리하기 위한 LC형의 필터(그 차단 주파수는 300 내지 400KHz)(41)를 구비하여, 이것으로 추출분리된 기준 신호 SP1는 재생앰프(42)로 증폭된 후, 스위칭 수단(45)으로 공급되어서 기간 Ⅰ에 있어서 재생구간 WP만이 기준 신호 SP1가 후단에 전송된다. 재생앰프(42)에는 스위칭 수단(44)이 관련되고, 이것이 오프상태인 때 재생출력이 얻어지고, 온상태에서는 재생이득이 0이 되도록 제어된다.
이들 스위칭 수단(44),(45) 및 상기한 제어수단(43)은 공통의 제2의 스위칭 펄스 P2(제2e도)에서 동시에 제어된다. 이 경우 재생구간 WP일 때 기록전류를 금지하고, 필터로 추출된 기준 신호 SP1가 출력되도록 하기 위해서, 제어수단(43) 및 스위칭 수단(45)이 각각 온상태인 때에는, 다른쪽의 스위칭 수단(44)이 오프상태로 되도록 다른쪽의 스위칭 수단(44)에는 인버터(47)를 거쳐서 제2의 스위칭 펄스 P2(제2f도)가 공급된다.
제1의 채널에도 동일하게 제어수단(33)이 설치됨과 동시에, 기준 신호 추출수단(30)이 설치된다. 이 추출수단(30)도 LC 형의 필터(31)를 갖고, 이것으로 추출분리된 기준 신호 SP2(제2도 기간 Ⅱ)는 재생앰프(32)에서 증폭된 후 스위칭 수단(35)에 공급되고,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의 헤드 H1에 관한 재생구간 WP만이 기준 신호 SP2가 후단에 전송된다. 그래서, 재생앰프(32)에는 스위칭 수단(34)이 관련되고, 이것이 오프상태일 때 재생출력이 얻어진다.
따라서, 제1의 헤드 H1에 있어서 재생구간 WP일 때 기록전류를 금지하고, 필터(31)에서 추출된 기준 신호 SP2가 출력되도록, 제1의 스위칭 펄스 P1(제2i도)에서 공통적으로 제어되는 제어수단(33) 및 스위칭 수단(35)이 각각 온일 때, 다른쪽의 스위칭 수단(34)이 오프하도록, 다른쪽의 스위칭 수단(34)에는 인버터(37)를 거쳐서 제1의 스위칭 펄스
Figure kpo00001
가 공급된다. 단, 제1도의 스위치 전환 상태는 기간 Ⅰ에 있어서의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다.
기준 신호 추출수단(30),(40)에서 각각의 시점을 달리하여 얻어지는 기준 신호 SP1,SP2는 가산기(48)를 거쳐서 레벨 판별수단(50)에 공급된다.
레벨 판별수단(50)은 종속 접속된 한쌍의 동조앰프(51),(52)를 가져, 이것들로 추출수단(30),(40)의 출력에 포함되는 불필요 신호 및 외부 잡음이 제거되어 기준 신호 SP1,SP2만이 추출되고, 이것이 앰프(53)를 거쳐서 제1의 샘플링 홀드 회로(54)에 공급되어 재생구간 WP의 기간에 얻어지는 기준 신호 SP1,SP2의 PF 진폭이 샘플링 홀드되고, 그 진폭이 다이오드 검파기 (55)에 공급되어 엔베로프 검파되고, 엔베로프 검파출력 VP1,VP2(제2g도,2k도)이 또다시 제2의 샘플링 홀드 회로(56)에서 재생구간 WP에 재샘플링된 후, 이예에서는 마이크로 컴퓨터(60)에 공급되어 헤드간 단차 맞춤을 위한 연산처리가 실행된다.
즉, 제2의 헤드 H2에서 재생된 기준 신호 SP1의 누화 성분인 검파출력 VP1과, 제1의 헤드 H1로 재생된 기준 신호 SP2의 누화 성분인 검파출력 VP2을 연산하고, 그 차가 0이 되는 구동전압 V3,V4이 형성되어 이것이 구동기(64) 또는 (65)를 거쳐서 전왜소자(3),(4)에 공급되므로서, 예컨대 제1의 헤드 H1를 기준으로 하였을때의 제2의 헤드 H2의 단차가 제어되어, 헤드간 단차가 늘 일정하게 되도록 제어된다.
또한, 레벨 판단수단(50)의 후단에 설치된 스위치(57)는 혼합신호의 기록재생 모드에서 전환되는 스위치로서, 재생시는 단자(58)에 기준 신호 f1내지 f2로 형성된 트랙킹 에러 신호(ATF 에러신호)가 공급되고, 이 트랙킹 에러 신호에 의해 전왜소자(3) 또는 (4)의 구동전압 V3,V4이 제어된다.
또한, 상기한 제1 내지 제4의 스위칭 펄스 P1내지 P4는 헤드 전환 펄스 PSW(제2a도)에 의해 마이크로 컴퓨터(60)에서 생성한 것이 사용된다.
그런데, 제1도에 도시한 레벨 판별수단(50)에서 얻어지는 검파출력 VP1,VP2은 마이크로 컴퓨터(60)를 이용한 축차 비교형 A/D 변환에 의해 디지털 신호(예컨대, 8비트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이 A/D 변환기(70)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차동앰프(71), cpu(60) 및 D/A 변환기(72)로 구성되고, 1비트씩 D/A 출력과 검파출력 VP1,VP2이 축차 비교된다. 그래서, 검파출력 VP1,VP2와 같은 A/D 변환 출력은 cpu(60)에서 연산되어, 헤드 단차를 제어하기 위한 전왜소자 구동용 전압(디지탈 신호)이 형성되고, 이것이 D/A된 후 저역통과 필터(73)에서 평활된다. 평활된 구동전압 V3,V4은 전환수단(74)에서 필요시 구동기(64) 또는 (65)에 공급되어서 전왜소자(3) 또는 (4)가 그 구동전압 V3,V4에 의해 소정의 방향으로 양만큼 편기된다.
제5도는 상기한 cpu(60)를 사용하여 헤드간 단차를 제어하는 경우의 한 예를 표시하는 순서도이다.
제5도에 있어서, 헤드간 단차 제어용의 프로그램이 개시하면, 단계(81)에서 전왜소자(3),(4)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의 초기화가 실행된 후, 단계(82)에서 각 전왜소자(3),(4)에 대한 소왜가 행해진다. 소왜용의 신호는 예컨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간과 함께 신호 레벨이 감쇄하는 것과 같은 감쇄 신호가 사용된다.
이 소왜조작은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전왜소자가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가지므로, 히스테리시스 특성이 영이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소왜한 후에는, 단계(83)으로 이동하여 전왜소자(4)에 초기구동전압 V4(=0)이 부가되고, 동일하게 단계(84)에서 전왜소자(3)에 대해서 초기구동전압 V3(=0)이 부가된다. 이 초기구동전압 cpu(60)에서 형성되는 구동전압용의 디지털 데이터(A/D 변환기(70)의 출력데이터에서, 예컨대 8비트 데이터)와의 관계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의 디지털 데이터 80H(H는 헥사디시멀 표시)때의 구동전압 V이 영으로 되도록 대응되어 있다.
이와 같은 초기 조작을 거친후, 단계(85)에서 제1채널에 기준 신호 SP1가 기록되고, 이 기준신호 SP1가 제2의 헤드 H2에서 재생된후(단계(86)), A/D 변환기(70)에서 A/D 변환된다(단계(87)). 동일하게 제4의 트랙 T4을 제2의 헤드 H2가 주사할 때 기준 신호 SP2가 기록되고(단계(88)), 이것이 단계(89)에서, 제1의 헤드 H1에 의해 재생됨과 동시에 단계(90)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A/D 변환된다.
기준 신호 SP1,SP2의 누화 성분인 검파출력에 대응한 A/D 출력은 단계(91)에 있어, 그 대소가 판별되고, 그 비교출력의 크기에 의한 제어가 실행된다. 그 경우, 제8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비교출력 V이 소정의 레벨 Va보다 클 때는, 이 예에서는 제2의 채널형성용의 제2의 헤드 H2의 회전드럼 1에 대한 위치가 높아지도록 제어되고, 이것과는 반대로, 비교출력 V이 소정의 레벨-Va보다도 적을 때에는 낮아지도록 제어되는 구동전압 V4이 전왜소자(4)에 부가된다. 그래서, 비교출력 V이 이들의 소정의 레벨-Va내지 Va의 사이(=△V)에 있을 때에는, 전왜소자(4)에 대한 제어는 실행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불감대를 설치한 것은, 거의 정규의 헤드간 단차에 있는 상태인데, 외래의 잡음의 혼입이나, 온도변화를 수반하는 전왜소자(4)의 높이 변동에 대응하여, 검출출력 VP1,VP2의 레벨이 약간 변동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는, 제어동작을 금지한 쪽이, 제어동작이 안정됨과 동시에, 비교출력 V 이 △V 내에 있을 때에는 정규의 헤드간 단차로 조정되어 있는 것으로서 취급을 하여도 하등의 문제는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단계(91)에 있어서, 비교출력이 불감대의 레벨 △V 이상이고, 또한 소정의 레벨 Va보다도 클 때에는, 단계(92)로 이동하여, 구동전압 V4용의 데이터(A/D 변환 출력 데이터)가 +1(1비트 데이터) 만큼 증가되고, 증가된 데이터가 그 최대구동전압 Vmax(V4max라 한다)(제7도 참조)보다 적은 것일 때에는, 단계(93)로 이동하여 증가된 데이터에 의거한 구동전압 V4이 전왜소자(4)에 인가되어서 제2의 헤드 H2의 높이가 앞보다 높아지도록 조정된다. 이 1단계로 이동하는 헤드 H2의 변화량은 1㎛이다. 즉 0.5㎛ 정도다.
이 제어동작이 수차 수행되어서, 비교출력이 불감대내에 들어가면 단계(95)로 이행하여 헤드간 단차의 조정이 종료한다.
여기에, 상기한 최대구동전압 V4max이란, 전왜소자(4)에 그 구동전압이 부가되어도, 기계적인 약화를 일으키지 않는 최대의 구동전압(직류전압)으로, 예컨대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100V의 직류전압을 구동전압으로 하여 부가할 수 있는 전왜소자라면, ±24V(8비트 데이터를 헥사디시멀 표시를 하였을 때에는, 60H 내지 AOH의 디지털 데이터) 정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번에 헤드의 단차를 맞추는 것은 아니고, 1단계씩 수회로 나누어서 차례로 단차 보정을 행하도록 한 것은, 재생 기준 신호 SP1,SP2중에 포함되는 잡음에 의한 오동작을 피하기 위해서다.
이것에 대해서, 데이터를 증가시킨 결과 구동전압 V4용의 데이터가 그 최대구동전압 V4max보다 커져도 불감대로 들어가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94)으로 이동하여 소왜조작의 유무가 첵크된다. 즉 비교출력이 불감대내로 밀려들어가기 전에 최대구동전압 V4max을 넘을 때에는, 전왜소자(4)를 소왜하지 않고 헤드가 단차의 조정이 실행되었다고도 생각이 되기 때문이다.
소왜가 행해지지 않고 있을 경우에는 단계(81)으로 되돌아가고, 소왜가 완료된 때에는 단계(95)로 이동하여, 이 경우에는 상기한 것과는 역으로 전왜소자(4)에 대한 구동전압 V1을 그대로 한 상태에서, 전왜소자(3)에 대한 구동전압 V3용의 데이터가 -1(1비트 데이터)만큼 증가되고, 이 데이터가 그 최대구동전압 -Vmax(V3max라 한다)(제7도 참조)의 데이터 이하일 경우는 단계(84)으로 이행하여, 증가된 새로운 데이터로, 이번에는 전왜소자(3)에 대해 구동전압이 부가되어서 제1의 헤드 H1에 대해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조정된다. 그 결과, 비교출력 V이 불감대내에 들어간 때에는 높이의 조정작업이 종료한다.
그러나, 데이터를 증가하여도 불감대내에 들어가지 않으면, 결국은 최대구동전압 -V3max용의 데이터와 같게 되므로, 이때는 단계(81)으로 되돌아가, 조정작업이 재실시된다.
한편, 비교출력 V이 소정의 레벨 -Va이하일 경우에는, 상기한 것과는 역으로 단계(97)에서 데이터가 -1만큼 증가되고, 그 결과의 데이터가 그 최대구동전압 -V4max용 데이터 이하일 때에는(단계(98)), 단계(83)에서 증가된 후의 데이터에 의해 구동전압 V4에서 전왜소자(4)가 제어된다. 그래서, 데이터를 증가한 결과, 구동전압 V4용의 데이터가 그 최대구동전압 -V4max보다도 커진 경우에는, 단계(99)으로 이동하여 소왜조작의 유무가 첵크된다. 즉, 비교출력이 불감대내로 밀려가기 전에 최대구동전압을 넘을 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전왜소자(4)를 소왜하지 않고 헤드간 단차의 조정이 실행되었다고 생각이 되기 때문이다.
소왜가 행해지지 아니한 때에는 단계(81)으로 되돌아가고, 소왜가 종료된 경우에는 단계(100)로 이동하여, 이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같이 전왜소자(3)에 대한 구동전압 V3용의 데이터가 +1만큼 증가되고, 그 데이터가 그 최대구동전압 V3max용의 데이터 이하일 때는, 단계(84)으로 이행하여, 증가된 새로운 데이터로, 이번에는 전왜소자(3)에 대해 구동전압이 부가되어서, 제1의 헤드 H1에 대해 그 높이가 높아지도록 조정된다. 그 결과, 비교출력이 불감대내에 들어간 때에는 높이 조정 작업이 종료한다.
그러나, 데이터를 증가시켜도 불감대내에 들어가지 않으면, 드디어는 최대구동전압 V3max용의 데이터 이상으로 되므로, 이 경우는 단계(81)으로 되돌아가, 조정작업이 재실시된다.
또한, 상기 기술에서는 6필드마다 헤드간 단차 맞춤에 제공하는 기준 신호가 얻어지도록 제1, 제4의 트랙 T1,T4에 기준 신호 SP1,SP2를 기록하였으나, 그 이상의 트랙을 경계로 하여 이들 기준 신호 SP1,SP2를 기록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제1의 헤드 H1에서 제1의 트랙 T1에 기준 신호 SP1를 기록할 때에는, 이것에 인접하는 제2의 트랙 T2은 이 기준 신호 SP1를 재생하도록 하고, 또한 제2의 헤드 H2에서 제4의 트랙 T4에 기준 신호 SP2를 기록할 때에는, 이것에 인접하는 제5의 트랙 T5에서는 이 기준 신호 SP2를 재생하도록 하였으므로, 제1 및 제4의 트랙 T1,T4에 각각 기록된 기준 신호 SP1,SP2를 그 기록 구간 WR'의 전체에 걸쳐서 재생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트랙 어긋남 TX이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매우 짧은 경우에도, 충분한 기준 신호 재생구간을 확보할 수가 있어, 트랙 어긋남 TX의 장단에도 불구하고 전왜소자를 구동하기에 충분한 구동전압을 형성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물론, 본 발명은 트랙의 어긋남 TX이 1.5H 정도 있는 종래의 기록장치에도 적용이 가능한 것은 말할나위도 없다.

Claims (1)

  1. 회전드럼에 대해서 거의 180°의 각 간격을 유지하여, 기록재생용의 제1 및 제2헤드가 전왜소자를 거쳐서 설치되고, 비디오 신호의 기록시, 소정의 구간에 걸쳐서 상기 제1헤드에서 기록된 피기준 신호가 상기 제2헤드에서 재생됨과 동시에, 소정의 기록 트랙을 경계로 하여 상기 제2헤드에서 기록된 기준 신호가 상기 제1헤드에서 재생되고, 상기 기준 신호의 재생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전왜소자에 대한 구동전압이 제어되어, 상기한 제1 및 제2헤드의 기록시에 있어 헤드간 단차가 조정되도록 형성된 비디오 신호의 기록 장치.
KR1019860001313A 1985-02-25 1986-02-25 비디오 신호 기록 장치 KR9400055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5899 1985-02-25
JP60035899A JPS61196422A (ja) 1985-02-25 1985-02-25 ビデオ信号の記録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6766A KR860006766A (ko) 1986-09-15
KR940005558B1 true KR940005558B1 (ko) 1994-06-20

Family

ID=12454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1313A KR940005558B1 (ko) 1985-02-25 1986-02-25 비디오 신호 기록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677504A (ko)
EP (1) EP0193129B1 (ko)
JP (1) JPS61196422A (ko)
KR (1) KR940005558B1 (ko)
AU (1) AU593237B2 (ko)
CA (1) CA1241439A (ko)
DE (1) DE3670918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5261A (en) * 1989-11-09 1991-11-12 Exabyt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timing signals for helical scan recorder
US5068757A (en) * 1989-11-09 1991-11-26 Exabyte Corporation Servo tracking for helical scan recorder
US5313347A (en) * 1990-01-12 1994-05-1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Rotating magnetic head for a magnetic recording reproduction system
JP2965269B2 (ja) * 1991-04-19 1999-10-18 株式会社東芝 ダイナミック・トラッキング再生装置
JP3271210B2 (ja) * 1993-05-11 2002-04-02 ソニー株式会社 回転ヘッド型磁気記録再生装置
DE69416054T2 (de) * 1993-08-13 1999-08-05 Sharp Kk Aufnahme/Wiedergabegerät und Verfahren zur Kopfhöheeinstellung in einem solchen Gerät
US6367047B1 (en) 1998-10-20 2002-04-02 Ecrix Multi-level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technique for data storage recording device
US6246551B1 (en) * 1998-10-20 2001-06-12 Ecrix Corporation Overscan helical scan head for non-tracking tape subsystems reading at up to 1X speed and methods for simulation of same
US6381706B1 (en) 1998-10-20 2002-04-30 Ecrix Corporation Fine granularity rewrite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storage device
US6307701B1 (en) 1998-10-20 2001-10-23 Ecrix Corporation Variable speed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 magnetic tape drive
US6421805B1 (en) 1998-11-16 2002-07-16 Exabyte Corporation Rogue packet detection and correction method for data storage device
US6367048B1 (en) 1998-11-16 2002-04-02 Mcauliffe Richard Method and apparatus for logically rejecting previously recorded track residue from magnetic media
US6308298B1 (en) 1998-11-16 2001-10-23 Ecrix Corporation Method of reacquiring clock synchronization on a non-tracking helical scan tape device
US6603618B1 (en) 1998-11-16 2003-08-05 Exabyt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nd adjusting tape position using control data packets
US6624960B1 (en) 2000-03-10 2003-09-23 Exabyte Corporation Current sensing drum/cleaning wheel position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agnetic storage system
US6364234B1 (en) 2000-03-10 2002-04-02 Michael Donald Langiano Tape loop/slack preven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ape drive
US9153249B1 (en) * 2014-04-21 2015-10-06 Lsi Corporation Cross-talk measurement in array reader magnetic record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7801318A (nl) * 1978-02-06 1979-08-08 Philips Nv Werkwijze voor het regelen van de positie van een schrijf-leeskop en inrichting voor het uitvoeren van de werkwijze.
JPS5836086A (ja) * 1981-08-27 1983-03-02 Canon Inc トラツキングエラ−検出装置
US4528605A (en) * 1982-02-13 1985-07-09 Victor Company Of Japan, Ltd. Rotary magnetic head scanning control system in a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DE3314743C1 (de) * 1983-04-23 1984-10-04 Grundig E.M.V. Elektro-Mechanische Versuchsanstalt Max Grundig & Co KG, 8510 Fürth Verfahren zur dynamischen Spureinstellung bei Videorecordern
NL8400593A (nl) * 1984-02-27 1985-09-16 Philips Nv Systeem voor het overdragen van signalen via een bandvormige registratiedra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93129B1 (en) 1990-05-02
CA1241439A (en) 1988-08-30
DE3670918D1 (de) 1990-06-07
EP0193129A2 (en) 1986-09-03
EP0193129A3 (en) 1988-03-02
JPS61196422A (ja) 1986-08-30
AU5382086A (en) 1986-08-28
AU593237B2 (en) 1990-02-08
US4677504A (en) 1987-06-30
KR860006766A (ko) 1986-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5558B1 (ko) 비디오 신호 기록 장치
US4237500A (en) Method of controlling the position of a write-read head and devic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KR900002237B1 (ko) 회전헤드형 자기기록 재생장치 및 그것을 위한 트랙킹 제어신호 발생방법
US4148082A (en) Tracking control apparatus
US5402281A (en) Tracking control apparatus of rotary head type recording unit using pilot signals of different frequencies and different formats
KR900003309B1 (ko) 경사주사형 자기 기록 재생방법
US5177649A (en) Information signal recording apparatus for recording pilot signals on particular areas
JPH07122944B2 (ja) トラツキング制御方式
KR930001595Y1 (ko) 2개의 파이로트 신호를 이용한 자동 트래킹화인(atf)회로
JPH0555945B2 (ko)
EP0357352B1 (en) Video sign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KR100328158B1 (ko) 자기기록재생장치
JPS6130338B2 (ko)
JP2636224B2 (ja) 磁気再生装置
JPS6396719A (ja) ビデオテ−プレコ−ダ
JPH0527178B2 (ko)
JP2625818B2 (ja) ディジタル信号再生装置
JPH0334606B2 (ko)
JPH0334607B2 (ko)
JPH0158567B2 (ko)
JPH0227740B2 (ko)
JPS58218029A (ja) 記録再生方式
JPS6083479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0197911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323249A (ja) ビデオレコ−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