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237B1 - 회전헤드형 자기기록 재생장치 및 그것을 위한 트랙킹 제어신호 발생방법 - Google Patents

회전헤드형 자기기록 재생장치 및 그것을 위한 트랙킹 제어신호 발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237B1
KR900002237B1 KR1019840006349A KR840006349A KR900002237B1 KR 900002237 B1 KR900002237 B1 KR 900002237B1 KR 1019840006349 A KR1019840006349 A KR 1019840006349A KR 840006349 A KR840006349 A KR 840006349A KR 900002237 B1 KR900002237 B1 KR 900002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ing
signal
track
signals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6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3021A (ko
Inventor
다까시 후루하따
야스후미 윤데
후지오 오까무라
다까하루 노구찌
도시후미 시부야
가쯔오 모리
다까오 아라이
도시미찌 데라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8190766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8324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90878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01750A/ja
Priority claimed from JP5820908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0174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268758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19654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50003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3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467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467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 G11B15/4671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simultaneously the speed of the tape and the speed of the rotating head
    • G11B15/4672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simultaneously the speed of the tape and the speed of the rotating head with provision for information track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467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 G11B15/4673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tape while the head is rotating
    • G11B15/4675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tape while the head is rotating with provision for information tracking
    • G11B15/467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tape while the head is rotating with provision for information tracking using signals recorded in track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scanning direction
    • G11B15/4677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tape while the head is rotating with provision for information tracking using signals recorded in track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scanning direction using auxiliary signals, i.e. pilot signals
    • G11B15/4678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tape while the head is rotating with provision for information tracking using signals recorded in track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scanning direction using auxiliary signals, i.e. pilot signals superimposed on the main signal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467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 G11B15/473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heads
    • G11B15/4731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heads control of headwheel rotation
    • G11B15/4733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heads control of headwheel rotation with provision for information tracking, e.g. for time base correction
    • G11B15/4735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heads control of headwheel rotation with provision for information tracking, e.g. for time base correction using signals recorded in tracks disposed parallel with the scanning direction
    • G11B15/473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heads control of headwheel rotation with provision for information tracking, e.g. for time base correction using signals recorded in tracks disposed parallel with the scanning direction using auxiliary signals, i.e. pilot signals
    • G11B15/4738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heads control of headwheel rotation with provision for information tracking, e.g. for time base correction using signals recorded in tracks disposed parallel with the scanning direction using auxiliary signals, i.e. pilot signals superimposed on the main signal track

Landscapes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회전헤드형 자기기록 재생장치 및 그것을 위한 트랙킹 제어신호 발생방법
제 1 도, 제 2 도, 제 3 도 및 제 4 도는 종래 트랙의 패턴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의한 기록 서보 제어를 도시한 도면.
제 6 도는 제 5 도의 각 부분의 파형도.
제 7 도는 제 5 도의 트랙의 패턴을 도시한 도면.
제 8 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의한 트랙킹 제어를 도시한 도면.
제 9 도 a, 제 9 도 b 및 제 10 도는 제 8 도의 각 부분의 파형도.
제 11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트랙킹 제어를 도시한 도면.
제 12 도 a, 제 12 도 b는 제 11 도의 각 부분의 파형도.
제 13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록 서보 제어를 도시한 도면.
제 14 도는 제 13 도의 각 부분의 파형도.
제 15 도는 제 13 도의 테이프 패턴을 도시한 도면.
제 16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트랙킹 제어를 도시한 도면.
제 17 도 a, 제 17 도 b, 제 18 도 및 제 19도는 제 16 도의 각 부분의 파형도.
제 20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서보 제어를 도시한 도면.
제 21 도는 제 20 도의 각 부분의 파형도.
제 22 도는 제 20 도의 트랙패턴도.
제 23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트랙킹 제어장치를 도시한 도면.
제 24 도 a, 제 24 도 b는 제 23 도의 각 부분의 파형도.
제 25 도 a, 제 25 도 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랙 패턴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기테이프 2 : 디스크
3 : 자석 4,5 : 회전자기헤드
6 : 디스크모오터 7 : 타코미터헤드
8 : 위상조정회로 9 : 구형파 형성회로
10a,10b : 지연회로 15 : 래치회로
16 : 디스크 서보회로 17 : 2상분할회로
18 : 트랙킹 신호선택회로 19 : 트랙킹신호원
20 : 캡스턴 모오터 21 : 캡스턴서보회로
50 : 영상신호 처리회로
본 발명은 회전헤드형 자기기록재생장치 및 그 장치를 위한 트랙킹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헬리컬 주사식 VTR등의 회전헤드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자기테이프에 기록형성된 트랙을 회전헤드로 정확히 주사시키기 위한 트랙킹 제어로써, 자기테이프의 끝부분에 마련된 제어트렉에 기록된 제어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회전헤드의 회전위상 또는 자기테이프의 주행위상을 제어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제어신호를 사용하는 종래 방법에서는 제어신호를 기록재생하는 제어헤드와 회전헤드 양자의 상대위치관계를 각 장치에서 일정하게 해야 하며, 이것과 다를때는 트랙킹이 정확히 실행되지 않아 호환, 재생이 곤란하게 되는등 장치의 신뢰성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것을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의 제어신호를 사용하지 않고, 이것 대신에 소위 "파이롯 신호"라고 하는 트랙킹 신호를 영상신호등의 기록하여야 할 신호로 주파수를 다중화하여 기록하고, 재생시에 양 인접 트랙에서 재생되는 파이롯 신호의 누화량이 거의 같아지도록 테이프속도를 제어하여 트랙킹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 파이롯 신호로서 1주파, 2주파, 3주파 내지 4주파로 부여해서 트랙킹 제어하는 방법은 공지이다.
1주파의 파이롯신호를 사용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소화 56-20621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같이(제 1 도), 파이롯 신호를 그 기록위치에 인접하는 트랙사이에서 트랙의 긴쪽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관하여 서로 인접하지 않도록 트랙의 긴쪽방향으로 다수 기록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 제 1 도에 있어서, H를 영상신호의 수평주사단위로 하면, 트랙끝부분에서의 H 어긋남량을 1.5H로 하여 트랙의 긴쪽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인접하는 트랙사이에서 수평동기신호의 기록위치가 나란하도록 "H얼라인먼트"를 하도록 하여, 각 트랙 A,B의 사선부분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파이롯 신호 a,b를 기록하고, 재생시에, 예를들면 동일 도면의 트랙 B1을 헤드가 주사할때에는 파이롯 b11의 재생에 따라 인접하는 트랙 A2에서 재생되는 파이롯 a21의 누화량과 인접하는 트랙 A2에서 재생되는 파이롯 a12의 누화량을 검출하고, 이들의 양자의 누화량이 같아지도록 트랙킹제어가 행하여지고, 또 다음의 트랙 A2를 헤드가 주사할 때에는 파이롯 a22의 재생에 따라 인접하는 트랙 B2에서 재생되는 파이롯 b21의 누화량과 인접하는 트랙 B1에서 재생되는 파이롯 b13의 누화량을 검출하고, 이들의 양자의 누화량이 같아지도록 트랙킹제어가 행하여진다.
제 1 도의 공지의 예는 인접하는 트랙 사이에서 H얼라인먼트로 되는 것이 기본 조건이며, 각 트랙의 주사개시점(동일 도면의 S로 표시한 점)에서 적어도 1회의 트랙킹 오차정보를 얻는데 필요한 파이롯신호의 기록시간 TA는 상기의 동작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트랙 B1을 주사할때에 최대로 되어 다음 식으로 된다.
TA=7.5H ………………………………………………………………… (1)
또, 1회의 검출에 대해 트랙킹 오차정보가 얻어지는 기간 TE는 다음 식으로 된다.
TE=1.0H …………………………………………………………………(2)
이 제 1 도의 공지의 예는 상기에서 알수 있는 바와같이, 각 트랙의 주사마다 양쪽의 인접하는 트랙에서 트랙킹 오차정보가 검출되는 패턴이 트랙 A와 B에서 같기(즉, 각 트랙에서 동일 도면의 아래쪽의 트랙에서 누화가 검출된 다음 위쪽의 트랙에서 누화가 검출된 경우에 트랙킹 오차정보가 검출되는 타이밍이 트랙 A와 B에서 같다)때문에, 소위 역 트랙킹의 상태(즉, 헤드 A가 트랙 B를, 헤드 B가 트랙 A를 주사하는 상태)에서 안정화되는 문제가 있고,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트랙이 A인지 B인지를 구별하는 등 어떠한 대책이 필요하다.
다음에, 2주파의 파이롯신호를 사용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소화 54-3507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같이(제 2 도), 2주파의 파이롯신호 f1, f2를 트랙의 긴쪽방향 2H씩 교대로, 인접 트랙사이에서 1H씩 교대로 배치되도록 기록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 제 2 도에 있어서, 트랙의 끝부분에서의 H어긋남량을 제 1 도와 마찬가지로 1.5H로 해서 트랙의 긴쪽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인접하는 트랙사이에서 서로 H얼라인먼트하도록 규정되어 있고, 각 트랙 A,B의 사선부분으로 표시하는 위치에 파이롯신호 f1이, 공백부분으로 표시하는 위치에 파이롯신호 f2가 각각 기록되어 있다. 재생시에, 예를들면 동일 도면의 트랙 B1을 헤드가 주사할때, b 및 c로부터의 재생파이롯 f2에 따라서 인접하는 트랙 A1의 a에서 재생되는 파이롯 f1의 누화량과 인접하는 트랙 A2의 d에서 재생되는 파이롯 f1의 누화량이 검출되고, 양자가 동등하게 되도록 트랙킹 제어된다.
또, 다음의 트랙 A2는 헤드가 주사할 경우, d 및 e로부터의 재생파이롯 f1에 따라서 인접하는 트랙 B1의 c에서 재생되는 파이롯 f2의 누화량과 인접 트랙 B2의 f에서 재생되는 파이롯 f2의 누화량이 검출되고, 양자가 동등하게 되도록 트랙킹 제어된다.
이 제 2 도의 공지의 예에서는, 상기 제 1 도와 마찬가지로 인접하는 트랙사이에서 H얼라인먼트하는 것이 기본 조건이고, 각 트랙의 주사개시점(동일 도면의 S로 표시하는 점)에서 적어도 1회의 트랙킹 오차정보를 얻는데 필요한 파이롯신호 기록시간 TA는 트랙 B1을 주사할 경우에 최대로 되고, 다음 식으로 주어진다.
TA=6.0H…………………………………………………………………(3)
또, 1회의 검출에 따라 트랙킹 오차정보가 얻어지는 기간 TE는 다음 식으로 주어진다.
TE=1.0H…………………………………………………………………(4)
또, 이 공지의 예에서 각 트랙에 2주파 파이롯이 교대로 기록되므로, 상기에 동작을 설명한 바와같이 트랙 A에 대해서는 인접 트랙에서의 파이롯 f2에 착안하고, 트랙 B에 대해서는 인접 트랙에서의 파이롯 f1에 착안하는 것과 같은 차별화를 실시하여도 현재의 주사트랙이 A인지 B인지가 식별될 수 없어 상기 제 1 도의 공지의 예와 같이 역 트랙킹 상태에서 안정화되는 문제가 있고, 트랙의 식별이 필요하게 된다.
다음에, 3주파의 파이롯신호를 사용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소화 56-20622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같이(제 3 도), 3트랙마다 2주파의 파이롯신호 f1,f2,f3의 순으로 순차 순환적으로 연속 기록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 공지의 예에서는 각 헤드에서 3주파를 순차 순환적으로 기록하기 위해, 상기 제 1 도 및 제 2 도의 공지의 예와같이, 역 트랙킹 상태에서 안정화되는 문제가 있어 트랙의 식별이 필요하다.
또 4주파의 파이롯신호를 사용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소화 53-116120호(U.S.P. 4,297,733, U.K.P. 1,571,874, DT-OS 2,809,402에 대응)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이(제 4 도), 4트랙마다 4주파의 파이롯신호 f1, f2, f3, f4의 순으로 순차 순환적으로 연속 기록하는 방법을 들수 있다.
이것들은 어느 것이나 양쪽의 인접하는 트랙에서 재생되는 다른 주파수의 파이롯신호를 기록해야 할 영상신호로 주파수를 다중화해서 기록하는 것이므로, 파이롯신호가 영상신호에 혼합되어서 비트방해등의 의사를 발생하고, 또는 기록해야 할 주신호가 디지탈 부호화된 PCM신호의 경우, 이 파이롯신호가 혼합되는 것에 의해서 부호에러가 발생하는 것과 같은 본질적인 문제가 있고, 그 영향을 경감하기 위해서 파이롯신호의 기록레벨을 영상주신호의 그것에 비해서 낮게 하지 않으면 안되고, 또 주신호의 기록대역을 좁게 해야 하고, 이를 위해 주신호의 기록밀도가 실질적으로 저하하고, 또 재생 파이롯신호의 S/N이 불충분하게 되어, 안정된 트랙킹 제어를 행하게 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고, 트랙의 긴쪽방향으로 트랙킹 오차정보를 시간적으로 세분하게 또는 연속적으로 검출해서 트랙킹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특징을 살릴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 상기 제 1 도 및 제 2 도의 공지의 예에서는 인접하는 트랙사이에서 H얼라인먼트를 확보할 필요가 있으므로, 테이프 주행속도를 변화시킬 수가 없는 등,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큰 제약으로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라서, 인접 트랙등에서의 H얼라인먼트등의 제약을 받지 않음과 동시에 트랙킹 제어에 사용하는 파이롯신호와 같은 트랙킹신호의 기록영역을 최소한으로 하고, 또한 충분한 S/N이 얻어지도록 해서 안정된 트랙킹 제어를 행하도록 할수 있는 회전헤드형 자기기록재생장치 및 그를 위한 트랙킹 제어신호의 발생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도면으로 명확하게 될것이다.
본 출원에서 개시되는 발명중 대표적인 것의 개요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의하면, 트랙킹 제어신호의 발생방법은 다음의 특징을 포함한다.
3종류의 트랙킹신호를 자기테이프와 평행하게 경사진 트랙의 적어도 일부분에 자기헤드로 기록한다. 제 1 및 제 2의 트랙킹신호를 기수번째의 각 트랙의 제 1의 부분 및 제 2 의 부분에, 제 1 및 제 3의 트랙킹 신호를 우수번째의 각 트랙의 제 1의 부분 및 제 2 의 부분에 각각 자기헤드로 기록한다. 각 트랙의 제 1의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그 트랙에 인접하는 2개의 트랙 각각의 제 2의 부분의 적어도 일부보다 트랙의 긴쪽방향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보아서 각 트랙의 주사개시단에 가깝다. 기수번째의 트랙을 헤드로 주사하는 것에 의하여 기록된 제 1의 트랙킹 신호와 2개의 인접하는 우수번째의 트랙에서의 기록된 제 3의 트랙킹 신호와 누화신호를 재생하고, 우수번째의 트랙을 헤드로 주사하는 것에 의하여 기록된 제 1의 트랙킹 신호와 2개의 인접하는 기수번째의 트랙에서 기록된 제 2의 트랙킹신호의 누화신호를 재생한다. 제 1의 트랙킹신호의 재생을 소정의 시간관계를 가진 타이밍으로 각 트랙의 재생주사에서 재생된 제 2및 제 3의 각각의 트랙킹 신호의 2개의 누화신호의 레벨을 비교하여 트랙킹 제어신호를 얻는다. 제 2의 트랙킹신호는 제 3의 트랙킹신호와 동일한 주파수를 가져도 좋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다수개의 회전헤드를 구비하는 회전헤드형 자기기록재생장치는 다음의 특징을 포함한다.
헤드 위치신호 발생수단에 의해서, 헤드가 각 트랙의 주사개시단에 위치했을때의 시점을 나타내는 다수개의 주사 개시 펄스를 포함하는 헤드 위치신호가 회전헤드의 회전에 동기해서 발생된다. 기수번째 및 우수번째의 트랙을 위한 주사개시 펄스에서 제 1 및 제 2시간 경과시에 상승하는 2개의 제 1의 게이트 펄스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수단이 상기 헤드 위치신호 발생수단에 접속되어 있다.
대응하는 제 1의 게이트 펄스신호와 제 1의 시간관계를 가지고, 제 2의 게이트 펄스신호를 기수번째의 각 트랙에 대해서 대응하는 제 1의 게이트펄스신호와 제 2의 시간관계를 가지고, 제 3의 게이트 펄스신호를 우수번째의 각 트랙에 대해서 상기 헤드 위치신호의 제어하에 발생하기 위한 수단이 상기 2 개의 제 1의 게이트 펄스를 발생하는 수단에 접속되어 있다.
적어도 2종류의 다른 주파수를 발생할 수 있는 신호원이 설치되고, 그 출력이 상기 제 1, 제 2, 제 3의 게이트 펄스신호에 의해서 제어되는 선택수단에 의해서 순차적으로 반복해서 출력되고, 신호처리수단을 거쳐서 헤드에 공급되고 헤드가 기수 및 우수번째의 트랙을 순차 주사해서 3개의 신호가 트랙킹 신호로서 기록된다. 헤드에 의한 트랙의 재생주사에 의해 상기 신호 처리수단을 거쳐서 얻어진 재생출력은 트랙킹 제어회로 수단에 공급된다.
이 수단의 출력인 트랙킹 제어신호는 테이프를 구동하는 수단 또는 헤드지지수단을 구동하는 수단에 공급된다.
트랙킹 제어회로수단은 상기 재생출력에서 재생된 제 1의 트랙킹 신호를 각 트랙에 대해서 추출하는 수단, 상기 재생출력에 포함되는 누화신호에 따라 우수번째의 트랙 및 기수번째의 트랙으로 부터의 제 1 및 제 2의 누화검출신호 및 제 3, 제 4의 누화신호를 교대로 생성하는 수단, 상기 재생된 제 1의 트랙킹신호를 추출하는 수단에 접속되어 재생된 제 1의 트랙킹신호를 따라 샘플링신호를 발생하는 수단, 제 1 및 제 2의 누화검출신호의 비교 및 제 3, 제 4 의 누화검출신호를 상기 샘플링신호를 사용해서 비교하여 트랙킹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비교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또 필요에 따라서 트랙킹신호에 인접해서 블랭킹(blanking)신호가 기록되어도 좋다.
또, 트랙킹 제어신호만 유효하게 기록재생하기 위한 영역을 트랙의 긴쪽방향으로 일부 설치하는 것에 의해 트랙킹 제어신호중의 트랙킹신호의 기록레벨이 충분히 얻어지도록 해서 충분한 S/N이 얻어지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서 실시예와 함께 설명한다.
또,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 5 도는 회전헤드형 헤리컬 주사식 VTR 에 본 발명을 적용하였을때의 기록시의 서보 제어를 나타낸 도면, 제 6 도는 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각 부의 파형도, 제 7 도는 이것에 의하여 기록 형성되는 트랙의 패턴을 도시한 도면, 제 8 도는 재생시의 트랙킹제어를 나타내는 도면, 제 9 도는 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각 부의 파형도이다.
제 5 도에 있어서, 자기테이프(1)은 캡스턴 모오터(20)에 의해 주행되고, 캡스턴 모오터(20)은 캡스턴 서보회로(21)에 의해 일정속도로 회전하도록 제어된다. 회전자기헤드(4),(5)는 디스크(2)의 위에 서로 180°의 각도로 부착되고, 디스크 모오터(6)에 의해 디스크(2)와 함께 회전된다. 테이프(1)은 디스크(2)에 180°보다 약간 많은듯하게 감겨서, 트랙위에서 제 7 도의 Q1,Q2,로 표시한 오버랩부분이 형성된다. 디스크(2)에는 자석(3)이 부착되어 있고, 이것을 타코미터헤드(7)로 검출하여 자기헤드(4),(5)의 회전에 동기한 펄스(제 6 도의 a)를 얻는다. 이 타코미터헤드(7)로 부터의 펄스는 위상 조정회로(8)에 의해 자기헤드(4),(5)와 테이프(1)이 소정의 상대위치관계가 되도록 위상조정된 후, 그 출력(제 6 도의 b)은 구형파 형성회로(9)로 공급된다. 이 구형파 형성회로(9)로부터는 자기헤드(4),(5)의 회전에 동기한 듀티비 50%의 펄스 c(제 6 도의 c)가 출력된다.
(10a)는 예를들어 멀티 바이브레이터로 구성된 지연회로로서, 회로(9)로부터의 펄스 c의 상승과 하강의 양에지로 트리거되어 다음에 기술하는 트랙끝부분에서의 인접 트랙사이의 변위량에 해당하는 시간 t의 폭의 펄스 d(제 6 도의 d)가 회로(10a)로부터 출력된다.
예를들면, 멀티바이브레이터로 구성된 지연회로(10b)에서 이 회로(10a)로부터의 펄스 d가 하강으로 트리거되어 시간 2τ의 폭의 펄스 e(제 6 도의 e)가 출력된다. 또한, 예를들면 멀티바이브레이터로 구성된 지연회로(14)에서 회로(10b)로부터의 펄스 e가 하강으로 트리거되어 소정시간 τ0의 폭의 펄스 f(제 6 도의 f)가 출력된다. (15)는 래치회로로서, 회로(9)로 부터의 펄스 c가 회로(14)로부터의 펄스 f의 하강으로 래치되고, 따라서 회로(9)로부터의 펄스 c가 시간(τ+2τ+τ0)만큼 지연된 펄스 g(제 6 도의 g)가 회로(15)로부터 출력된다. 이 회로(15)로부터의 펄스 g는 디스크 서보 회로(16)의 한쪽입력단자로 공급되고, 그 다른쪽의 입력단자에는 기록할 영상신호(예를들면 비디오 카메라로 부터의 신호)의 프레임주기의 수직동기신호가 기록시의 디스크 서보계의 기준 신호로서 단자(100)에서 공급된다. 이 디스크 서보회로(16)은 회로(15)로부터의 펄스 g와 단자(100)으로 부터의 기준신호를 위상 비교하고 양쪽의 위상차에 따르는 위상 오차신호를 출력하여 디스크 모오터(6)에 공급하고, 그 결과 펄스 g가 기준신호에 위상 동기되도록 서보 제어되어 자기헤드(4),(5)는 프레임 주파수와 같은 회전수로 회전된다.
(50)은 영상신호 처리회로로서, 단자(200a)로부터의 기록해야할 영상신호가 입력되어 적절하게 처리된 후, 상기한 서보 제어에 따라 자기헤드(4),(5)에 의해 각각 제 7 도의 트랙 A,B에 가이드 밴드없이 조밀하게 기록된다.
(17)은 2상분할 회로로서, 회로(10b)로부터의 펄스 e가 회로(9)로부터의 펄스 c에 의해 2상분할되어 펄스 c가 "high"인 기간에서는 펄스 h(제 6 도의 h)가, 펄스 c가 "low"인 기간에서는 펄스 i(제 6 도의 i)가 출력된다. (19)는 트랙킹신호원으로서, 적어도 두개의 다른 주파수의 트랙킹 신호, 여기서는 3주파의 트랙킹신호 f0, f1, f2가 발생된다.
이들 각 트랙킹신호의 주파수는 임의의 주파수 fx를 사용해서, 예를들면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f1=f0-fx
f2=f1-fx………………………………………………………………… (5)
(18)은 트랙킹신호 선택회로로서, 회로(10a)로부터의 펄스 d에 의해 그 펄스폭 τ의 기간만큼 파이롯신호 f0이 선택되고, 회로(17)로 부터의 펄스 h에 의해 2펄스폭 2τ의 기간만큼 파이롯신호 f1이 선택되고, 또 펄스 i에 의해 그 펄스폭 2τ의 기간만큼 파이롯 신호 f2가 선택된다.
따라서, 회로(18)로부터는 제 6 도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펄스 c가 "high"(펄스 g가 "low")의 기간에서는 트랙킹신호가 f0,f1의 순으로, 또 펄스 c가 "low"(펄스 g가 "high")의 기간에서는 파이롯신호가 f0,f2의 순으로 교대로 출력된다. 이 회로(18)로부터의 트랙킹신호는 영상신호처리회로(50)을 거쳐서 영상신호와 함께 자기헤드(4),(5)에 의해 교대로 기록된다.
제 7 도는 이상의 기록서보제어장치에 의해 기록 형성된 트랙의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에서 Q1,Q2는 테이프(1)을 디스크(2)에 180°보다 많은 듯하게 감아주므로써 형성되는 오버랩부분을 표시하며, 트랙킹신호는 오버랩 부분 Q1의 P로 표시한 영역에 기록된다. 또, V는 180°를 감아주므로써 형성되는 영상신호의 기록영역이며, 이 V 이외의 오버랩부분 Q1과 Q2에도 영상신호가 기록되므로, 이 경우에는 P의 영역에서 트랙킹신호가 영상신호와 함께 주파수가 다중화되어서 기록되지만, 다음에 기술되는 바와같이, 이 오버랩부분의 영상신호는 재생시에 제거되기 때문에 트랙킹신호의 기록레벨을 올려도 그것에 의해 재생영상신호가 저하되지 않고, 트랙킹신호의 기록영역과 주신호의 기록영역이 실효적으로 분리된다.
또, 양자를 완전히 분리하려면 P의 영역에서 영상신호의 기록을 일시적으로 정지하면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P의 영역 또는 그것을 포함하는 전후의 영역에 주신호(예를들면 비디오신호) 이외의 다른 신호(예를들면 PCM 오디오신호)를 기록하는 경우에도 본 실시예의 취지에서 어긋나는 것은 아니다.
이 제 7 도에 있어서 트랙끝 부분에서의 인접하는 트랙사이의 엇갈림량(동일 도면의 τ)은 테이프의 주행속도와 회전헤드(4),(5)의 회전속도에 따라 정해지며 회전헤드의 주사하는 시간량으로 하여 τ로 주어진다. 한편, 제 6 도에서 언급한 바와같이 트랙킹신호 f0은 상기의 엇갈림량 τ와 같은 시간만큼 기록되며, 트랙킹신호 f1과 f2는 트랙킹신호 f0에 계속하여, 상기한 엇갈림량의 2배와 같은 시간, 즉 2τ만큼 기록된다. 그러므로,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트랙킹신호 f1또는 f2의 트랙위에 기록개시점은 그것에 후속되는 인접 트랙위의 트랙킹신호 f0의 기록개시점과 일치하며, 또 트랙킹신호 f1또는 f2의 기록종료점은 그것에 후속되는 인접 트랙 위의 트랙킹 신호 f1또는 f2의 기록개시점과 각각 일치한다.
다음에 제 8 도는 이상의 트랙킹신호를 사용한 재생시의 트랙킹제어를 표시한 도면이며, 제 9 도의 파형도를 사용하여 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재생시의 서보 제어에 대해서는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 5 도의 기록 서보 제어장치의 대부분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재생시에 회로(17),(18)이 사용되지 않는 것, 단자(100)에는 프레임주기의 수직동기신호 대신에 프레임주파수의 소정기준신호가 입력되는 것, 다음에 기술하는 제 8 도의 트랙킹에 제어장치로 부터의 트랙킹 오차신호, 즉 트랙킹제어신호가 단자(22)에 입력되고, 이것에 의하여 캡스턴 서보회로(21)을 거쳐서 캡스턴 모오터(20)이 제어되는 것, 영상신호처리회로(50)에서 자기헤드(4),(5)에서 자기헤드(4),(5)에 의하여 자기테이프(1)로부터 재생되는 영상신호와 트랙킹신호가 적절하게 처리되어 단자(200b)에 재생영상신호가, 그리고 단자(200c)에 재생트랙킹신호가 각각 출력되는 것이 다를 뿐 다른 것은 모두다 같다. 따라서, 제 8 도의 동작에 대해서는 제 5 도를 일부 병용하여 설명한다.
제 5 도에 있어서, 재생시에는 단자(100)에 프레임주파수의 기준신호가 입력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같은 래치회로(15)로 부터의 펄스 g가 기준 신호에 위상동기하도록 서보제어되고, 자기헤드(4),(5)는 기록시와 같이 프레임주파수와 같은 회전수로 회전된다.
자기헤드(4),(5)에 의하여 테이프(1)에서 교대로 재생되는 신호는 영상신호처리회로(50)에서 충분히 증폭된 후, 제 8 도에 도시한 단자(60)을 거쳐서 저역통과필터(30)에 입력되고, 이것으로 트랙킹신호가 추출된다. 제 8 도의 (19')는 로컬 트랙킹신호원으로서, 제 5 도의 그것과 공통으로 할 수 있다. (37)은 선택회로로서, 그 제 1, 제 2의 입력단자에는 신호원(19')에서의 트랙킹신호 f1과 f2가 입력되고, 그 제 3의 입력단자는 제 5 도의 구형파 형성회로(9)에서의 펄스 c가 단자(70)을 거쳐서 입력된다. 이 선택회로(37)에는 펄스 c가 "high"의 기간, 즉 기록시에 트랙킹신호 f1이 선택한 기간(따라서 자기헤드(4)가 테이프상을 주사하는 기간)에는 그것과 같이 트랙킹신호 f1이 선택되고, 펄스 c 가 "low"의 기간, 즉 기록시에 파이롯 f2가 선택된 기간(따라서 자기헤드(5)가 테이프상을 주사하는 기간)에는 그것과 같이 트랙킹신호 f2가 선택되어, 이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적어도 제 7 도의 파이롯영역 P의 주사기간에서 상기 트랙킹신호 f1, f2가 선택출력되고, 그 이외의 기간에서 트랙킹신호는 출력되지 않는다. 이 회로(37)의 출력은 로컬트랙킹신호로서 주파수 변환회로(31)에 공급된다. 주파수 변환회로(31)에 있어서, 필터(30)으로부터의 재생트랙킹신호는 회로(37)에서의 로컬트랙킹신호에 의해서 주파수변환되어, 양자의 차 주파수 성분이 회로(31)로 부터 출력된다. (32),(38)은 각각 공진주파수 2fx및 fx를 가진 탱크회로이고, (33),(39)는 각각 (32),(38)의 출력의 포락선이 검파하는 검파회로이다.
제 7 도에 있어서, 헤드가 기록했을때와 같은 트랙을 주사했을 경우, 예를들면 자기헤드(5)가 트랙킹신호 f0, f2가 기록된 트랙 B1을 주사했을 경우(이때의 제 8 도의 각부 파형을 제 9 도 a에 도시한다), 트랙킹 영역 P에 있어서, 우선 주트랙 B1에서는 트랙킹신호 fo과 f2가 재생된다. 또, 동일 도면의 위쪽의 인접트랙 A1에서는 트랙킹신호 f0과 f1이 누화로서 검출되고, 하측의 인접 트랙 A2에서도 마찬가지로 트랙킹신호 f0과 f1이 누화로서 검출되고, 이들 양쪽의 인접 트랙에서의 각 트랙킹신호는 검출되는 타이밍이 다르고, 서로 2τ의 시간편차를 가지고 검출되기 때문에 양자가 시간적으로 중복되는 일은 없다. 한편, 상기한 바와같이 자기헤드(5)의 주사기간에는 회로(37)에서 로컬트랙킹신호 f2가 검출되고, 상기의 주트랙 및 인접트랙에서의 재생트랙킹신호는 회로(31)에서 이 로컬 트랙킹신호 f2에 의해서 주파수가 변환되므로, 회로(31)에서는 그 차 주파수성분으로서 상기 (5)식에서 f0-f2=fx의 성분(제 9 도의 a의 a)과 f1-f2=2fx의 성분(제 9 도의 a의 b)이 출력된다. 즉, 주트랙 B1에서는 트랙킹신호 f0에 다른 출력 fx의 성분(제 9 도 a의 a의 z)만이 τ의 기간이 검출되고, 트랙킹신호 f2에 대하여서는 차주파수가 영(0)으로 되기 때문에 검출되지 않는다. 또, 인접트랙 A1과 A2에서는 트랙킹신호 f1에 따른 출력 fx의 성분이 제 9 도 a의 b에 x와 y로 표시된 바와같이 서로 시간 2τ만큼 어긋나서 2τ의 기간이 검출된다. 또한 이들 인접 트랙 A1과 A2의 트랙킹 신호 f0에 따른 출력 fx의 성분(제 9 도 A의 a의 u와 v)도 검출되지만, 주트랙을 지배적으로 주사하고 있을 경우, 그 검출레벨(u,v)은 주트랙에서의 트랙킹신호 f0에 따른 검출레벨(z)보다 충분히 낮아진다. 회로(31)에서의 상기 fx의 성분은 탱크회로(38)에서 추출되어 충분히 대역이 제한되고, 또한 증폭되고 나서 포락선 검파회로(39)에서 검파되고, 또 다시 펄스파정형 회로(40)에서 적당한 임계값으로 펄스가 정형된다. 따라서, 회로(40)에서는 제 9 도 a의 c에 표시된 바와 같이 주트랙의 트랙킹신호 f0에 따른 검파출력(z)만으로 펄스가 얻어진다.
또, 상기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회로(31)에서의 2fx의 성분(x,y)는 양 인접트랙에서의 트랙킹신호의 누화성분만을 포함하고, 그 검출레벨은 트랙킹오차에 대응하고 있고, 주트랙 B1에 대해서 주사의 중심이 위쪽의 인접트랙 A1과 어긋난 경우에는 최초의 2τ의 기간의 검출레벨(x)가 증가해서, 다음의 2τ의 기간의 검출레벨(y)는 감소하고, 마찬가지로 주사의 중심이 아래쪽의 인접트랙 A2와 어긋난 경우, 상기의 관계가 역으로 된다.
따라서, 이들 양자(x와 y)의 검출레벨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트랙킹의 오차량과 어느쪽으로 어긋났는지의 극성을 검지할 수가 있다. 이상의 회로(31)에서의 2fx의 성분은 탱크회로(32)에서 추출되어 충분히 대역이 제한되고, 또 증폭되어 포락선검파회로(33)에서 검파되고, 그 출력은 샘플홀드회로(34)와 (35)중 한쪽의 입력단자에 공급된다.
한편, 먼저의 회로(40)에서의 펄스는 샘플링펄스 생성회로(41)에 공급되어 2개의 샘플링펄스 SP1과 SP2가 생성된다. 제 1의 샘플링펄스 SP1(제 9 도 a의 d)은 그 펄스폭이 2τ이든지 그 이하로 되도록 회로(40)으로 부터의 펄스의 상승에 의해 트리거되어 생성된다. 또, 제 2의 샘플링펄스 SP2(제 9 도 a의 e)는 상기 제 1 의 샘플링펄스를 거의 2τ만큼 지연해서 생성된다. 또 제 1 의 샘플링펄스 SP1은 회로(34)의 샘플링펄스로서 공급되므로, 회로(34)에서는 한쪽의 인접트랙(A1)에서의 트랙킹오차에 따른 오차전압이 출력된다. 또, 제 2 의 샘플링펄스 SP2는 회로(35)의 샘플링펄스로서 공급되므로 회로(35)에서는 다른쪽 인접트랙(A2)에서의 트랙킹오차에 따른 오차전압(트랙킹제어신호)이 출력된다. 이들 회로(34) 및 (35)에서의 오차전압은 전압비교회로(36)에서 비교되고, 그 출력은 단자(80)을 거쳐 제 5 도의 캡스턴 서보회로(21)의 입력단자(22)에 공급되어 캡스턴 모오터(20)이 부귀환제어된다.
이상의 동작은 상기 주트랙 B1에 이어지는 다음의 주트랙 A2를 자기헤드(4)가 주사할 경우(이때의 제 8 도의 각부파형을 제 9 도 b에 도시한다)도 마찬가지로 행하여지고, 이 경우에는 회로(37)에서 로컬 트랙킹신호 f1이 선택되는 점이 다르고, 다른 것은 전부 같고, 각부 파형도 마찬가지로 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서, 상기 양쪽의 인접 트랙에서의 트랙킹신호의 누화량이 서로 같아지도록 즉 주트랙의 중심을 자기헤드가 주사하도록 테이프속도가 제어되어서 트랙킹 제어된다.
다음에 제 10 도는 역 트랙킹의 상태, 예를들면 자기헤드(4)가 기록했을때와 다른 트랙 B1을 주사했을 경우의 제 8 도의 각부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에는 로컬 트랙킹신호로서 신호 f1이 선택되어 트랙킹신호 f0과 f2가 기록된 트랙 B1을 주사하는 ㄳ으로 되므로, 회로(31)에서는 현재의 주사트랙 B1에서의 트랙킹신호 f0에 따른 fx성분(제 10 도의 z)에 계속해서 같은 트랙 B1에서의 트랙킹신호 f2에 따른 2fx성분(제 10 도의 w)이 검출되고, 양쪽의 인접트랙 A1, A2에서의 트랙킹신호 f1에 따른 트랙킹에러정보는 검출되지 않는다. 이때문에 제 10 도의 파형에서도 명백한 바와같이, 회로(34)로부터의 출력전압과 회로(35)로부터의 출력전압이 일치하는 일은 없고, 서로 어긋난다. 여기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역 트랙킹 상태에서 시스템이 안정화되는 일이 없으므로, 역 트랙킹 상태에서는 회로(36)에서 큰 오차전압이 얻어져서 정규의 트랙킹상태로 복귀시키는 작용을 하므로, 시스템의 동기 인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상의 작용은 본 실시예의 착안점의 하나인 로컬트랙킹신호 f1,f2를 자기헤드의 주사에 대응해서 교대로 전환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것으로, 즉 이것에 의해서 트랙킹의 식별이 자동적으로 행하여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트랙킹제어에 의해서 제 7 도의 영상기록영역 v에서 자기헤드(4),(5)에서 교대로 재생되는 영상신호는 제 5 도의 래치회로(15)에서의 펄스 g에 의해서 영상신호 처리회로(50)에서 교대로 전환되어 하나의 연속된 재생영상신호가 출력된다. 이 재생영상신호에 재생 트랙킹신호가 혼합되는 일은 없다.
이상으로 명백한 바와같이, 제 7 도의 오버랩 Q1에 기록된 트랙킹신호는 재생영상신호와 완전히 분리되므로, 그 기록레벨을 충분히 높일 수가 있고, 따라서 S/N의 양호한 재생트랙킹신호를 얻을 수가 있으므로, 안정된 트랙킹제어를 행하게 할수가 있다.
또, 본 실시예는 트랙킹신호를 트랙의 끝부분에서 인접하는 트랙사이의 어긋남량 τ에 관련해서 배치하는 것으로, 그 어긋남량 τ는 임의로 설정할 수가 있어 상기한 공지예와 같이 그것에 의해 제약되는 일은 없다.
또, 이 어긋남량 τ에 관련해서 배치하는 것에 의해서 이하에 기술하는 바와같이 트랙킹신호의 기록영역을 적게 하고, 또한 긴 시간, 즉 많은 트랙킹 오차정보를 얻을 수가 있게 된다. 이것을 앞서의 공지의 예와 비교하기 위해서 상기 어긋남량 τ를 공지의 예와 같이 τ=1.5H로 하면 적어도 1회의 트랙킹 오차정보를 얻기 위해 필요한 트랙킹 신호의 기록기간 TA는 다음식으로 얻어진다.
TA=3τ=4.5H………………………………………………………………… (6)
또, 1회의 검출에 대한 트랙킹 오차정보가 얻어지는 기간 TE는 다음식으로 얻어진다.
TE=2τ=3.0H …………………………………………………………………(7)
이상의 (6),(7)식을 상기의 (1)~(4)식과 비교하면 명백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TA를 적게할 수가 있고, 또, TE를 크게 할 수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TE를 크게 할수 있는 것은 트랙킹 오차정보를 시간적으로 많이 검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보다 정밀도 좋게 트랙킹 제어가 되고, 또 시간적인 적분효과가 얻어지므로 보다 안정되게 트랙킹 제어되는 것등의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또, 제 5 도의 실시예에서는 트랙킹신호 f1및 f2이 기록기간을 2τ로 해서 TE가 크게 되도록 한 경우를 도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회로(10b)에서의 지연시간을 2τ이외에, 예를들면 τ로 정해도 좋고, 이 경우에 TE는 감소하지만, TA를 가일층 줄일수가 있어 테이프의 긴쪽방향의 기록밀도를 높일수가 있는 효과를 얻을수가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트랙킹신호를 제 7 도의 오버랩부 Q1에만 기록할 경우를 나타냈지만, 본 실시예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오버랩부 Q1, Q2의 여러곳에 기록하도록 해도 좋다. 또, 이들 오버랩부 Q1,Q2에 기록하는 대신에 기록영상신호의 수직 블랭킹 위치에 기록하도록 해도 좋고, 이 경우에 트랙킹 신호가 영상신호를 방해해도 그 기록위치가 수직 블랭킹 기간이기 때문에 재생화면상에 나타나지 않는다.
또, 본 실시예에는 기록해야 할 주신호를 영상신호에만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예를들면 영상신호 또는 음성 신호등을 디지탈화해서 얻은 pCM 신호등 다른 임의 신호를 기록할 경우에도 적용되는 것이다.
또한, 제 5 도에서 테이프(1)을 디스크(2)에 감는 각을 180℃로 하고 2개의 헤드를 사용할 경우를 나타냈지만, 본 실시예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임의의 감는 각과 임의의 헤드수로 구성되는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고, 또 트랙킹신호의 기록위치를 오버랩부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들면 오버랩부가 생기지 않도록 감는 각과 헤드수가 정해진 장치에서 트랙의 긴쪽방향으로 주신호의 기록영역과 트랙킹신호의 기록영역을 분리하도록 시분할로 기록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도 적용되고, 이들 어느것의 경우에 있어서도, 얻어지는 효과는 동일하다.
다시 제 5 도를 참조해서 상기의 실시예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제 5 도에 도시된 자기헤드(4),(5)의 방위각과 트랙킹신호의 주파수를 다음과 같이 해도 좋다. 즉, 자기헤드(4),(5)는 서로 방위각이 다르고 디스크(2)위에 서로 180°의 각도로 장착되어 디스크 모오터(6)에 의해서 디스크(2)와 함께 회전된다. 트랙킹 신호원(19)에서는 서로 주파수가 다른 적어도 2개의 트랙킹신호, 즉 제1, 제 2 및 제 3 의 트랙킹신호 f0, f1, f2가 발생된다.
제 3 의 트랙킹신호 f0의 주파수는 제 2 및 제 3의 트랙킹신호 f1, f2의 주파수보다 높고, 또 자기신호헤드(4), (5)의 방위각에 대해서 에지머스손실이 충분히 크게 되도록 정해진다. 또, 상기 제 2 및 제 3 의 트랙킹 신호 f1,f2의 주파수는 자기헤드(4),(5)의 방위각에 대해서 에지머스손실이 충분히 적어지도록 정해진다. 따라서, 제(5)식과 관계는 없다. 기타의 구성은 제 5 도와 동일하므로, 제 7 도에 도시되는 기록패턴에 대한 상기 설명이 그대로 적용된다.
제 11 도는 상기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트랙킹신호를 사용한 재생시의 트랙킹제어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 12 도 a 및 b의 파형도를 상용해서 그 동작을 설명한다. 또한, 재생시의 서보제어에 관해서는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앞서의 제 5 도의 기로시의 서보제어와 대부분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고, 재생시 회로(17),(18)은 사용되지 않는 것, 단자(100)에는 프레임주기의 수직동기신호 대신에 프레임 주파수의 소정의 기준 신호가 입력되는 것, 다음에 기술하는 제 11 도의 트랙킹 제어장치에서 트랙킹 오차신호, 즉 트랙킹제어신호가 단자(22)에 입력되어 캡스턴 서보회로(21)을 거쳐서 캡스턴 모오터(20)이 제어되는 것, 영상신호 처리회로(50)에서 자기헤드(4),(5)에 의해 자기테이프(1)에서 재생되는 영상신호와 트랙킹신호가 적절히 처리되어 단자(200b)에 재생영상신호가, 단자(200c)에 재생트랙킹신호가 각각 출력되는 것이 다를 뿐이고 그외는 전부 동일하다. 따라서, 제 11 도의 동작에 대해서는 이 제 5 도를 일부 병용해서 설명한다.
제 5 도에 있어서, 재생시에는 단자(100)에 프레임주파수의 기준신호가 입력되므로, 상기한 것과 같은 회로(15)에서 펄스 g가 기준 신호에 위상동기하도록 서보 제어되고, 상기 헤드(4),(5)는 기록시와 동일한 프레임 주파수와 같은 회전수로 회전된다. 자기헤드(4),(5)에 의해 테이프(1)에서 교대로 재생되는 신호는 회로(50)에서 충분히 증폭된 후 영상신호와 트랙킹신호를 분리되어 단자(200c)로 재생트랙킹신호가 출력된다.
제 11 도에 있어서, (19')는 로컬 트랙킹 신호원으로서, 제 5 도의 그것과 공통으로 할 수 있다. (37)은 선택회로로서, 그 한쪽의 입력단자에는 신호원(19')에서의 로컬 트랙킹신호 f1과 f2가 입력되고, 그 다른쪽에는 제 5 도의 구형파 형성회로(9)에서의 펄스 c가 단자(70)을 거쳐서 입력된다. 이 선택회로(37)에서 자기헤드(4)가 테이프상을 주사하는 기간이고 펄스 c가 "high"인 기간, 즉 기록시에는 트랙킹신호 f1이 선택된 기간에서는 그것과 동일하게 트랙킹신호 f1이 선택되고, 또 자기헤드(5)가 테이프위를 주사하는 기간이고, 펄스 c가 "low"인 기간, 즉 기록시에 트랙킹신호 f2가 선택된 기간에서는 그것과 동일하게 트랙킹신호 f2가 선택되어, 이중 어느것이든 적어도 제 7 도의 트랙킹신호 영역 p의 주사기간에서 상기 트랙킹(+)신호 f1,f2가 선택 출력되고, 그 이외의 기간에서는 트랙킹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다.
이 회로(37)에서의 출력은 로컬 트랙킹신호로서 주파수 변환회로(31)의 한쪽 입력단자에 공급된다. 주파수 변환회로(31)의 다른쪽의 입력단자에는 제 5 도의 단자(200c)에서의 재생 트랙킹신호가 단자(60)을 거쳐서 공급된다. 단자(60)에서의 재생 트랙킹신호는 회로(37)에서의 로컬 트랙킹신호에 의해서 주파수 변환되어 양자의 차 주파수 성분이 주파수 변환회로(31)에서 출력된다.
제 7 도에 있어서, 헤드가 기록했을 때와 같은 트랙을 주사한 경우, 예를들면 자기헤드(5)가 트랙킹신호 f0,f2가 기록된 트랙 B1을 주사했을 경우(이때의 제 11 도의 각부 파형을 제 12 도 a에 표시한다), 트랙킹신호 영역 p의 주트랙 B1에서는 트랙킹신호 f0과 f2가 재생된다. 한편, 양쪽의 인접 트랙 A1및 A2는 주트랙 B1과 다른 방위각으로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그 방위각에 대해서 에지머스손실이 충분히 크게 되도록, 정해진 높은 주파수의 트랙킹신호 f0에 대해서 양쪽의 인접 트랙 A1및 A2에서 검출되지 않으나, 상기 방위각에 대해서 에지머스손실이 충분히 적게 되도록, 정해진 낮은 주파수의 트랙킹신호 f1에 대해서는 양인접 트랙 A1및 A2에서 누화로서 검출된다. 이들 양쪽의 인접 트랙에서의 누화는 주파수가 동일하지만, 검출되는 타이밍이 다르기 때문에 서로 2τ의 시간어긋남을 가지고 검출되어 양쪽이 시간적으로 중복되는 것은 없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자기헤드(5)의 주사기간에서는 회로(37)에서 로컬 트랙킹신호 f2가 출력되어 상기 주트랙 및 양쪽의 인접 트랙에서의 재생 트랙킹 신호는 회로(31)에서 이 로컬 트랙킹 신호 f2에 의해서 주파수 변환되기 때문에, 회로(31)에서는 그 차주파수 성분으로서 f0~f2의 성분과 f1~f2의 성분이 출력된다. 이들 2개의 성분중에서 대역통과 필터(32')에 의해서 f1~f2의 성분만이 추출된다. 이 필터(32')에서의 출력(제 12 도 a의 b)은 검파회로(33)에서 포락선 검파가 된다. (38')는 단자(60)에서의 재생 트랙킹신호중에서 주파수 f0의 성분만을 통과시키는 대역통과 필터이고, 이 필터(38')에서는 주트랙 B1에서의 트랙킹신호 f0에 따른 출력(제 12 도 a의 a)만이 τ의 기간으로 검출된다. 또, 검파회로(33)에서는 양쪽의 인접 트랙 A1및 A2에서의 트랙킹신호 f1에 따른 출력만이 제 12 도 a의 c의 x와 y로 표시한 것과 같이 서로 시간 2τ만큼 엇갈려서 2의 기간으로 검출된다. 또, 주트랙 B1의 트랙킹신호 f2에 대해서는 로컬 트랙킹신호 f2와 차주파수가 영(0)이 되기 때문에 검파회로(33)에서 검출되는 것은 없다.
이 검파회로(33)에서의 출력은 양쪽의 인접 트랙에서의 누화성분만을 포함하고, 그 출력레벨 x 및 y 는 트랙킹 오차량에 대응하고 있고, 주트랙 B1에 대해서 주사의 중심이 한쪽의 인접 트랙 A1측에 엇갈린 경우, 최초의 2τ의 기간의 검출레벨 x가 증가하고, 다음 2τ의 기간의 검출레벨 y는 감소하며, 역으로 주사의 중심이 다른쪽의 인접 트랙 A2측에 엇갈렸을 경우, 상기의 관계는 정반대로 된다. 따라서, 이들 양쪽의 검출레벨 x와 y를 비교하여 트랙킹의 오차량과 어느쪽으로 엇갈렸는가의 극성을 검지할 수가 있다.
이 회로(33)에서의 출력은 샘플홀드회로(34)와 (35)의 한쪽에 공급된다. 한편, 전의 필터(38')에서의 출력은 검파회로(39)에서 포락선 검파된 후 펄스파 정형회로(40)에서 적당한 임계값으로 펄스가 정형된다. (241)은 지연 시간 2τ이상, 예를들면 4τ를 갖는 멀티 바이브레이터로, 회로(40)에서의 출력펄스(제 12 도 a의 d)의 상승에서 트리거되어 시간 4τ의 폭의 펄스( 제 12 도 a의 e)가 출력된다. 이 지연회로(241)에서의 펄스는 샘플링펄스생성회로(242)에 공급되어 2개의 샘플링펄스 SP1과 SP2가 생성된다.
제 1의 샘플링펄스 SP1(제 12 도 a의 f)은 그 펄스폭이 2τ 내지 그 이하로 되도록 회로(241)에서의 펄스의 상승에서 트리거되어 생성된다. 또, 제 2 의 샘플링펄스 SP2(제 12 도 a의 g)는 상기 제 1 의 샘플링펄스를 약 2τ만큼 지연해서 생성된다. 이 제 1 의 샘플링펄스 SP1은 회로(34)에서 샘플링펄스로서 공급되므로, 회로(34)에서는 한쪽의 인접 트랙(A1)에서의 트랙킹 오차에 따른 오차전압이 출력된다. 또 제 2의 샘플링펄스 SP2는 회로(35)의 샘플링펄스로서 공급되므로, 회로(35)에서는 다른쪽의 인접 트랙(A2)에서의 트랙킹오차에 따른 오차전압이 출력된다.
이들 회로(34) 및 (35)에서의 오차전압은 전압 비교회로(36)에서 비교되고, 그 출력은 트랙킹 오차신호, 즉 트랙킹 제어신호로서 단자(80)을 거쳐서 제 5 도의 캡스턴 서보회로(21)의 단자(22)에 공급되고, 이것으로 인하여 캡스턴모오터(20)이 부귀한 제어된다.
이상의 동작은 상기 주트랙 B1에 이어지는 다음의 주트랙 A2를 그것과 같은 방위각의 자기헤드(4)가 주사할 경우도 같고, 이 경우에는 회로(37)에서 로컬 트랙킹신호 F1이 선택되는 점이 다른 점일 뿐이고, 그밖의 것은 전부 같으며, 각부의 파형도 상기와 마찬가지이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서, 상기 양쪽의 인접 트랙에서의 트랙킹신호의 누화량이 서로 같아지도록, 즉 주트랙의 중심을 주사하도록 테이프의 속도가 제어되어 트랙킹 제어된다.
다음에 역 트랙킹의 상태, 예를들면 자기헤드(4)가 기록했을 때와 다른 트랙1을 주사할 경우의 제 11 도의 각부 파형을 제 12 도 b에 도시한다. 이 경우에는 로컬 트랙킹신호로서 f1이 선택되어 자기헤드(4)와 다른 방위각으로 트랙킹신호 f0과 f2가 기록된 트랙 B1을 자기헤드(4)에 의해서 주사하는 것으로 되고, 상기한 바와 같은 트랙킹신호 f0에 대해서는 에지머스손실이 크기 때문에 현재 주사트랙 B1에서는 트랙킹신호 f0이 검출되지 않고, 자기헤드(4)에서 기록된 양쪽의 인접트랙 A1및 A2에서는 에지머스손실이 없어 트랙킹신호 f0이 누화로서 검출된다. 따라서 필터(38')에서는 제 12 도 b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쪽의 인접 트랙 A1과 A2에서의 트랙킹신호 f0에 따른 출력 u와 v가 서로 2τ의 시간간격으로 검출된다.
이 필터(38')에서의 출력 u와 v는 회로(39)에서 검출된 후, 회로(40)에서 펄스가 정형되지만, 회로(241)이 지연시간 4τ의 지연회로로 구성되며 그 분주작용에 의해 회로(241)에서는 상기 필터(38')중에서 먼저 실행된 출력 u에 따른 펄스(제 12 도 b와 e)만이 출력되고, 출력 v는 저지된다. 따라서, 회로(242)에서는 이 출력 u에 따른 샘플링펄스 SP1과 SP2가 생성되어 출력 v에 의해서 샘플링펄스가 생성되는 일은 없다. 한편, 현 주사트랙 B1에서의 트랙킹신호 f2에 대해서는 트랙킹신호 f1과 같이 자기헤드(4)의 방위각에 대해서 에저머스손실이 충분히 적게 되도록 그 주파수가 정해져 있으므로, 역 트랙킹의 상태일지라도 현 주사 트랙 B1에서 트랙킹신호 f2가 검출되고, 필터(32')에서는 로컬 트랙킹신호 f1과 차주파수 f2~f1의 성부네 따른 출력(제 12 도 b의 b)만 얻어지고, 양쪽의 인접 트랙 A1및 A2에서의 트랙킹신호 f1에 따른 트랙킹 오차정보는 검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2 도 b의 파형에서도 명백한 바와같이 회로(34)에서의 출력전압과 회로(35)에서의 출력전은 일치하는 일은 없이 서로 어긋나게 되어, 회로(36)에서는 큰 오차전압이 출력된다. 이것으로 명백한 바와 같이 역트랙킹 상태에서 시스템이 안정화되는 일이 없어 역 트랙킹 상태에서는 큰 오차신호가 얻어져서 정규의 트랙킹 상태로 되돌아가는 작용을 하므로, 시스템의 동기 인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상의 작용은 로컬 트랙킹신호 f1과 f2를 자기헤드의 주사에 대응해서 교대로 전환하여 얻어지는 것으로서, 즉 이것으로 인하여 트랙의 식별이 자동적으로 행하여지는 것이다.
이상의 트랙킹 제어에 의해 제 7 도의 영상신호의 기록영역 v에서 자기헤드(4),(5)에서 교대로 재생되는 영상신호는 제 5 도에 도시한 회로(15)의 펄스 g에 의해 영상 신호처리회로(50)에서 교대로 전환되어 1 개의 연속한 재생 영상신호가 단자(200b)에 출력되며, 이 재생영상신호에 재생 트랙킹 신호가 혼입하는 일은 없다. 이상으로 명백한 바와 같이, 제 7 도의 오버랩부 Q1에 기록된 트랙킹 신호는 재생영상신호와 완전히 분리되기 때문에, 그 기록레벨을 충분히 높일 수가 있고, 따라서 S/N이 양호한 재생 트랙킹신호를 얻을 수가 있어서 안정된 트랙킹 제어를 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예는 트랙킹 신호를 트랙의 끝부분에서의 인접 트랙간의 어긋남량 τ에 관련해서 배치하는 것으로서, 그 어긋남량 τ를 임의로 설정할 수가 있고, 상기한 종래예와 같이 그것으로 인하여 제약되는 일은 없다. 또, 이 어긋남량 τ에 관해 배치하여 트랙킹신호의 기록영역을 적게 하고, 또한 시간적으로 긴 트랙킹 오차정보가 얻어지도록 된다. 이것을 먼저의 공지예와 비교하기 위해서 상기 어긋남량 τ를 τ=1.5H로 하면, 적어도 1회의 트랙킹 오차 정보를 얻을 때 필요한 트랙킹 신호의 기록기간 TA는 다음 식으로 얻어진다.
TA=3τ=4.5H………………………………………………………………… (8)
또 1 회의 검출에 대해서 트랙킹 오차 정보가 얻어지는 기간 TE는 다음 식으로 얻어진다.
TE=2τ=3.0H………………………………………………………………… (9)
이상의 (8),(9)식을 상기의 (1)~(4)식과 비교하면 명백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TA를 적게 할수 있고, 또 TE를 크게 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TE를 크게 할 수 있는 것은 트랙킹 오차 정보를 시간적으로 많이 검출하는 것이고, 또 시간적 적분 효과도 얻어지는 것으로 인하여, 보다 정밀도 좋고 안정되게 트랙킹을 제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상의 실시예에서 트랙킹신호를 제 7 도의 오버랩부 Q1에만 기록한 경우를 표시하였으나, 본 실시예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제 7 도의 오버랩부 Q2에도 기록하고, 또한 오버랩부 Q1, Q2에 다수개를 기록하도록 해도 좋다. 또, 오버랩부 Q1, Q2에 기록하는 대신에 기록영상신호의 수직 블랭킹 위치에 기록하도록 해도 좋고, 이 경우에 트랙킹 신호가 영상신호를 방해해도 그 기록위치가 수직 블랭킹 기간이기 때문에 재생화면상에 나타나는 일은 없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록해야 할 주신호로서 영상신호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들면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등을 디지탈화해서 얻은 PCM신호등 다른 임의의 신호를 기록하는 경우에도 적용되는 것이다.
또, 제 5 도에서 테이프(1)을 디스크(2)에 감은 각을 180°로 하고 2개의 헤드를 사용한 경우를 도시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임의의 감은 각과 임의의 헤드수로 구성되는 위치에 적용된다. 또, 트랙킹신호의 기록위치를 오버랩부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들면 오버랩부를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된 장치에 있어서는 트랙의 긴쪽방향으로 주신호의 기록영역과 트랙킹신호의 기록영역을 분리하도록 시분할로 기록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또, 트랙킹신호의 기록방법으로 직접 기록해도 좋고, 또는 주신호를 바이어스로서 또는 주신호와는 다른 그밖의 신호를 바이어스로서 기록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 효과가 얻어진다.
다음에 제 13 도를 참조해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3 도는 회전헤드형 헬리컬주사형 VTR에 본 발명을 적용했을 경우의 기록시의 서보제어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제 14 도는 그 동작 설명용의 각 부의 파형도이고, 제 15 도는 이것으로 해서 기록이 형성되는 트랙의 패턴을 표시하는 도면이고, 제 16 도는 재생시의 트랙킹제어를 표시하는 도면이며, 제 17 도 a, 제 17 도 b 및 제 18 도는 그 동작 설명용의 각부 파형도이다.
제 13 도에 있어서, 자기테이프(1)은 캡스턴 모오터(20)에 의해서 주행되고, 캡스턴 모오터(20)은 캡스턴 서보회로(21)에 의해서 일정속도로 회전 제어된다. 회전 자기헤드(4),(5)는 디스크(2)위에 서로 180°의 각도로 장착되어서 디스크 모오터(6)에 의해서 디스크(2)와 같이 회전된다. 테이프(1)은 디스크(2)에 180°보다 좀 많이 감겨져서 트랙상에서 제 15 도의 Q1,Q2로 표시되는 오버랩부가 형성된다. 디스크(2)에는 자석(3)이 장치되어 있고, 이것을 타코미터헤드(7)로 검출해서 자기 헤드(4),(5)의 회전에 동기한 펄스 a(제 14 도의 a)를 타코미터헤드(7)에서 얻는다. 이 타코미터헤드에서의 펄스 a는 위상 조정회로(8)에 의해서, 자기헤드(4),(5)와 테이프(1)이 소정의 상대 위치의 관계로 되도록 위상 조정된 후, 그 출력 b(제 14 도의 b)는 구형파 형성회로(9)에 공급된다. 이 구형파 형성회로(9)에서는 자기헤드(4),(5)의 회전에 동기한 듀티비 50%의 펄스 c(제 6 도의 c)가 출력된다.
10c는, 예를들면 멀티 바이브레이터로 만들어진 지연회로이고, 회로(9)에서의 펄스 c의 상승 및 하강의 양에지에서 트리거되어서, 트랙의 끝부분의 인접 트랙사이의 어긋남량에 해당되는 시간 τ의 폭의 펄스 d(제 14 도의 d)가 회로(10c)에서 출력된다. 예를들면, 멀티바이브레이터로 구성된 지연회로(10d)에서 회로(10c)로 부터의 펄스 d의 하강에서 트리거되어서 τ의 폭의 펄스 e(제 14 도의 e)가 출력되고, 마찬가지로 예를들면(10d)에서의 펄스 e의 하강에 트리거되어서 멀티 바이브레이터로 구성된 지연회로(10e)에서 시간 τ의 폭의 펄스 f(제 14 도의 f)가 출력된다.
또 예를들면, 멀티 바이브레이터로 구성된 지연회로(14)에서 회로(10e)로 부터의 펄스 f의 하강에 트리거되어서 소정 시간 τ0의 폭이 펄스 g(제 14 도의 g)가 출력된다. (15)는 래치회로로서, 회로(9)에서의 펄스 c가 회로(14)에서의 펄스 g의 하강에 래치되어 회로(9)에서의 펄스 c가 시간(τ+τ+τ+τ0)만큼 지연된 펄스 h(제 14 도의 h)가 회로(15)에서 출력된다.
이 회로(15)에서의 펄스 h는 디스크 서보회로(16)의 한쪽의 입력단자에 공급되고, 그 다른쪽의 입력단자에는 기록할 영상신호의 프레임 주기의 수직동기신호가 기록시의 디스크 서보시스템의 기준 신호로서 단자(100)에서 공급된다. 이 디스크 서보회로(16)에서 회로(15)에서의 펄스 h와 단자(100)에서의 기준 신호가 위상 비교되어 양자의 위상차에 따라서 위상 오차신호가 회로(16)에서 출력되어 디스크 모오터(6)에 공급되고, 그 결과 펄스 h가 기준 신호에 위상 동기하도록 서보 제어되고, 자기 헤드(4),(5)는 프레임 주파수와 같은 회전수로 회전된다.
(11)은 2상 분할회로로서, 회로(10c)에서의 펄스 d가 회로(9)에서의 펄스 c에 의하여 2상분할되고, 펄스 c가 "high"인 기간에서는 펄스 i(제 14 도의 i)가, 펄스 c가 "low"인 기간에서는 펄스 j(제 14 도 j)가 교대로 출력된다. 마찬가지로(17)도 2상분할회로로서, 회로(10e)에서의 펄스 f가 회로(9)에서의 펄스 c에 의하여 2상분할되며, 펄스 c가 "high"인 기간에서는 펄스 i'(제 14 도 i')가, 펄스 c가 "low"인 기간에서는 펄스 j'(제 14 도 j')가 교대로 출력된다.
(19)는 트랙킹신호원으로서, 3주파의 트랙킹신호 f0,f1,f2가 발생된다. 이들의 트랙킹신호의 주파수는 임의의 주파수 fa를 사용해서, 예를들면 다음과 같이 정하여진다.
f1=f0+fa
f2=f0+2fa………………………………………………………… (10)
(18)은 트랙킹신호 선택회로로서, 회로(10d)에서의 펄스 e에 의하여 그 펄스폭 τ의 기간만큼 트랙킹신호 f0이 선택되고, 회로(11)에서의 펄스 i와 회로(17)에서의 펄스 j'에 의하여 그 펄스폭 τ의 기간만큼 트랙킹신호 f1이 선택되고, 또 회로(11)에서의 펄스 j와 회로(17)에서의 펄스 i'에 의하여 그 펄스폭 τ의 기간만큼 트랙킹 신호 f2가 선택된다.
따라서, 회로(18')에서는 제 14 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펄스 c가 "high"(펄스 h가 "low")인 기간에서는 트랙킹신호가 f1,f0,f2의 순으로, 또 펄스 c가 "low"(펄스 h가 "high")인 기간에서는 트랙킹신호가 f2,f0,f1의 순으로 교대로 출력된다.
이 회로(18')에서의 트랙킹 신호는 영상신호처리회로(50)을 거쳐서 영상신호와 함께 자기헤드(4),(5)에 의하여 교대로 기록된다.
제 15 도는 이상의 기록 서보제어장치에 의하여 기록 형성된 트랙의 패턴을 형성하는 도면이다. 동일 도면에서 Q1,Q2는 테이프(1)을 디스크(2)에 180°보다 약간 많이 감기게 하여 형성되는 오버랩부를 표시하고, 트랙킹 신호는 오버랩부 Q1의 P에 도시된 영역이 기록된다. 또, v는 180°로 감아 형성된 영상신호의 기록영역이며, 이 v이외의 오버랩부 Q1및 Q2에도 영상신호가 기록되므로, 이때에는 P의 영역에 있어서 트랙킹신호가 영상신호와 함께 주파수 다중화되어 기록되어도 좋다.
그러나, 이 오버랩부의 영상신호는 재생시에 삭제되기 때문에 트랙킹신호의 기록레벨을 높혀도 이것에 의하여 재생영상신호가 저하되는 일이 없고, 따라서 트랙킹신호의 기록영역과 주신호의 기록영역이 실효적으로 분리된다. 또 양자를 완전히 분리하려면, P의 영역에 있어서 영상신호의 기록을 일시적으로 정지하면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P의 영역 또는 그것을 포함하는 전후의 영역에 주신호 이외의 다른 신호를 기록할 때에도 본 실시예의 기술사상에 어긋나는 것은 아니다. 이 제 15 도에 있어서, 트랙 끝부분에서의 인접 트랙 사이에 어긋남량(동일 도면 τ)은 테이프(1)의 주행속도와 회전헤드(4),(5)의 회전속도에 따라서 정해지고, 회전헤드를 주사하는 시간량으로서 τ가 주어진다. 한편, 제 14 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트랙킹신호 f1및 f2는 상기의 어긋남량 τ와 같은 시간만큼 기록되고, 트랙킹신호 f0은 트랙킹신호 f1및 f2에 계속해서 어긋남량 τ와 같은 시간만큼 기록되고, 또 트랙킹신호 f2 및 f1은 트랙킹신호 f0에 계속하여 상기 어긋남량 τ와 같은 시간만큼 기록된다.
이 때문에, 제 15 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트랙킹신호 f0의 트랙상의 기록 개시점은 그것에 후속하는 인접 트랙상의 트랙킹신호 f1또는 f2,에 기록 개시점과 일치하고, 또 트랙킹신호 f0의 기록 종료점은 그것에 후속하는 인접 트랙상의 트랙킹신호 f2또는 f1의 기록 개시점과 각각 일치한다.
다음에 제 16 도는 이상의 트랙킹신호를 사용한 재생시의 트랙킹제어장치의 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제 17 도 a, 제 17 도 b의 파형도를 사용하여 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재생의 서보제어에 대해서는 특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의 제 13 도의 기록시의 서보제어와 대부분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고, 재생시에는 회로(11),(17),(18')가 사용되지 않는 것, 단자(100)에는 프레임주기의 수직동기신호 대신에 프레임 주파수의 소정의 기준 신호가 입력되는 것, 다음에 기술하는 제 16 도의 트랙킹 제어장치의 트랙킹 오차 신호, 즉 트랙킹 제어신호가 단자(22)에 입력되고, 이것에 의하여 캡스턴서보회로(21)을 거쳐서 캡스턴 모오터(20)이 제어되는 것, 영상신호처리회로(50)에 있어서 자기헤드(4),(5)에 의하여 자기테이프(1)에서 재생된 영상신호와 트랙킹신호가 적당히 처리되어 단자(200b)에 재생영상신호가, 단자(200c)에 재생트랙킹신호가 각각 출력되는 것이 다를 뿐이며, 그외는 모두 같다. 따라서, 제 16 도의 동작에 대하여 제 13 도의 부분을 병용하여 설명한다.
제 13 도에 있어서, 재생시에는 단자(100)에 프레임 주파수의 기준신호가 입력되므로, 상기한 것과 마찬가지로 회로(15)에서의 펄스 h가 기준 신호에 위상 동기하도록 서보제어되고, 자기헤드(4),(5)는 기록시와 같은 프레임 주파수와 같은 회전수로 회전된다.
자기헤드(4),(5)에 의하여 테이프(1)에서 교대로 재생된 신호는 충분히 증폭된 후 제 16 도의 단자(60)을 거쳐서 저역 통과 필터(30)에 입력시키므로써 트랙킹신호가 추출된다. 제 16 도의 (142)는 트랙킹신호와 동일 주파수의 로컬 트랙킹 신호원이다.
단자(70)을 거쳐서 제 13 도에 도시된 회로(15)에서 회로(142)에 입력되는 신호h에 의하여, 적어도 제 14 도의 e에 의해 표시되는 기간(기록시에는 트랙킹신호 f0을 기록하는 기간 τ)을 포함하는 기간만으로 로컬 트랙킹신호 f0이 회로(142)로부터 출력되고, 그 이외의 기간에는 이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다. 이 회로(142)로 부터의 출력은 주파수 변환회로(31)에 공급된다. 주파수 변환회로(31)에 있어서, 필터(30)으로 부터의 재생 트랙킹신호는 회로(142)로 부터의 로컬 트랙킹신호 f0에 의하여 주파수 변환되어 양자의 차주파수 성분이 회로(31)로 부터 출력된다. (132),(137)은 각기 공진 주파수 fa및 2fa를 가지는 탱크회로이며, (133),(138)은 각기 (132),(137)의 출력을 포락선 검파하는 검파회로이다.
제 15 도에 있어서, 헤드가 기록한 때와 같은 트랙을 주사한 경우, 예를들면 자기헤드(4)가 트랙킹신호 f1,f0,f2의 순으로 기록된 트랙 A2를 주사한 경우(이때의 제 16 도의 각부 파형을 제 17 도 a에 도시함), 트랙킹신호영역 P에서 우선 주트랙 A2로 부터의 트랙킹신호 f1,f0,f2가 재생된다. 또 동일 도면의 상측 인접 트랙 B1로 부터는 트랙킹신호 f2,f0,f1이 누화로서 검출되고, 하측의 인접 트랙 B2로 부터도 마찬가지로 트랙킹신호 f2,f0,f1이 누화로서 검출된다. 이들 양쪽의 인접 트랙에서의 누화는 검출되는 타이밍이 달라서 상호간의 2τ의 시간 어긋남으로 검출 된다. 따라서, 상측 인접트랙 B1로 부터의 주파수 f1의 누화와 하측 인접 트랙 B2로 부터의 주파수 f2의 누화는 주트랙 A2로 부터 재생되는 트랙킹신호 f0일 때 동시에 검출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회로(139)로 부터 로컬 트랙킹 f0이 출력되고, 상기의 주트랙 및 인접 트랙으로 부터의 재생 트랙킹신호는 회로(31)에서 이 로컬 트랙 f0에 의하여 주파수 변환되기 때문에 회로(31)로 부터는 그 차주파수성분으로서 상기(5) 식으로 부터 f1~f2=fa의 성분(제 17 도 a의 b), f2~f0=2fa의 성분(제 17 도 a의 c)이 출력된다. 즉, 인접트랙 B1로 부터는 트랙킹신호 f1에 따른 출력 fa가 제 17 도 a의 b의 x로, 또 인접 트랙 B2로 부터는 트랙킹신호 f2에 따른 출력 2fa가 제 17 도 a의 c의 y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동시에 τ의 기간 검출된다. 또, 이들 인접 트랙 B1과 B2로 부터 트랙킹신호 f0( 17 도 a의 a의 u와 v)으로 검출되지만, 주트랙을 주사하고 있을 경우, 그 검출레벨(u,v)은 주트랙으로 부터의 트랙킹신호 f0의 검출레벨(제 17 도 a의 a의 z)보다 충분히 낮아진다.
(139)는 주파수 f0의 탱크회로이며, 회로(139)에서 충분히 대역제한되고, 또 증폭되어서 포락선검파회로(140)에서 검파되고, 다시 펄스 정형회로에서 적당한 임계값으로서 펄스가 정형된다. 따라서, 회로(141)로 부터 제 17 도 a의 d에 표시한 바와 같이 주트랙의 트랙킹신호의 검출출력(z)만으로 된 펄스가 얻어진다.
또, 상기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회로(31)로 부터의 fa와 2fa의 성분(x와 y)은 양쪽의 인접트랙으로 부터의 누화성분만을 함유하고, 그 검출레벨은 트랙킹 오차에 대응하고 있으며, 주트랙 A2에 대하여 주사의 중심이 상측의 인접트랙 B1과 어긋났을 때에는 fa의 검출레벨(x)이 증가하고 2fa의 검출레벨(y)은 감소하며, 마찬가지로 주사의 중심이 하측인 인접트랙 B2와 어긋났을 경우에는 상기의 관계가 역으로 된다.
또, 자기헤드(5)가 B1을 주사할 때(이때의 제 16 도의 각부 파형을 제 17 도 b에 표시한다), 주트랙 B1로 부터 재생되는 트랙킹신호가 f0일 때에 상측 인접트랙으로 부터의 누화주파수는 f2이며, 하측 인접트랙으로 부터의 누화주파수는 f1로 상기한 자기헤드(4)가 트랙 A2를 주사할 때와 역으로 된다. 따라서, 주트랙 B1에 대하여 주사의 중심이 상측의 인접트랙 A1과 어긋날 경우, 2fa의 검출레벨(y)이 증가하고, fa의 검출레벨(x)은 감소하며, 마찬가지로 주사의 중심이 하측의 인접트랙 A2와 어긋난 경우에는 상기의 관계가 역으로 된다.
이상, 회로(31)로 부터의 fa및 2fa성분은 각각 탱크회로(132),(137)로서 충분히 대역제한되고, 또 증폭된 포락선 검파회로(133),(138)에 검파되어, 각각의 진폭에 따른 수치의 전압신호 P1, P2로 한 후, 차동증폭기(134)에 의해서 양자의 차를 구하면, 그 차동출력으로 fa성분과 2fa성분의 차전압신호 T,-스캔-가 얻어진다.
이때 주트랙이 A1또는 A2일 때와 B1또는 B2일 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트랙킹이 어긋난 방향에 대한 차주파수신호의 증감방향이 역으로 된다. 그러므로, 차동증폭기(134)로 부터 극성이 다른 두개의 차전압신호 K(P1-P2)=T,K(P2-P1)=-스캔-(K:정수)를 출력시키고, 그 차동출력신호 T,-스캔-의 각각을 스위치회로(135)에 공급하여 단자(90)을 거쳐서 입력되는 제 13 도에 도시한 회로(9)로 부터의 펄스c(제 14 도의 c)를 사용하여, 예를들면 펄스 c가 'high"인 기간, 즉 헤드(4)의 주사기간에는 T를, 펄스 c가 "low"인 기간, 즉 헤드(5)의 주사기간에서는 -스캔-를 출력하도록 전환되고, 그 출력신호는 샘플홀드회로(136)으로 공급된다. 한편, 앞의 회로(141)로부터의 펄스는 그 펄스폭이 τ 내지 그 이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샘플링 펄스로서 샘플홀드회로(136)에 공급되고, 회로(136)으로 부터는 트랙킹오차에 따른 트랙킹 오차신호, 즉 트랙킹 제어신호가 추출되어 출력되며, 그 출력은, 단자(80)을 거쳐서 제 13 도의 캡스턴 서보회로(21)의 입력단자(22)에 공급되어 캡스턴 모오터(20)에 부귀환제어된다.
다음에 제 18 도는 역 트랙킹의 상태, 예를들면 자기 헤드(4)가 기록한 때와 다른 트랙 B1을 주사하였을때의 제 13 도의 도시한 각부 파형을 표시한다. 주트랙 B1로부터 재생되는 트랙킹신호가 f0일때 상측 인접 트랙으로 부터의 누화주파수는 f2이며, 하측 인접 트랙으로부터의 누화주파수는 f1이다. 이때 단자(90)을 거쳐 입력되는 제 13 도의 회로(9)로 부터의 펄스 c(제 14 도의 c)에 따른 트랙킹 오차신호는 정규 트랙킹상태(헤드(5)가 트랙 B1을 추적)에서 -스캔=K(P2-P1)이지만, 역 트랙킹상태에서는 T=K(P1-P2)로 역극성이 되어 역 트랙킹상태에서 시스템이 안정되지 않는다. 이 작용은 로컬 트랙킹신호 f0의 주파수를 일정하게 하여 양쪽의 인접트랙으로부터의 차 전압신호를 자기헤드의 주사에 대응해서 교대로 극성을 전환하므로서 얻어지는 것이며, 즉 트랙이 이것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식별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트랙킹제어에 의해 제 15 도의 영상기록 영역 v로부터 자기헤드(4),(5)에서 교대로 재생되는 영상신호는 제 13 도의 회로(15)로부터의 펄스 h에 의하여 영상신호처리회로(50)에 의해 교대로 전환되어 하나로 연속된 재생영상신호가 출력되므로 이 재생영상신호에 재생트랙킹신호가 혼합되는 일은 없다.
이상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제 15 도의 오버랩부 Q1에 기록된 트랙킹신호는 재생영상신호와 완전히 분리되므로, 그 기록레벨을 충분히 높일 수 있으며, S/N이 양호한 재생트랙킹신호를 얻을 수 있어서 안정된 트랙킹제어를 행하게 할 수 있다.
또, 이 실시예는 트랙킹신호를 트랙 끝부분에서의 인접 트랙간의 어긋남량에 관련하여 배치하는 것으로서 그 어긋남량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한 공지의 예와 같이 제약되는 일은 없다.
또, 이 어긋남량에 관련하여 배치하므로서 트랙킹신호의 기록영역을 적게하고, 시간적으로 많은 트랙킹 오차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을 앞에서 말한 공지의 예와 비교하기 위하여 상술한 어긋남량 τ를 τ=1.5H로 하면, 적어도 1회의 트랙킹 오차정보를 얻는데 필요한 트랙킹신호의 기록기간 TA는 다음식으로 주어진다.
TA=3τ=4.5H………………………………………………………………… (11)
또, 1 회의 검출에 대하여 트랙킹 오차정보를 얻을 수 있는 기간 TE는 다음 식으로 주어진다.
TE=τ=1.5H………………………………………………………………… (12)
이상의 (11),(12)식을 앞의 (1)~(4)식과 비교하면 명백한 바와같이 TA를 최소로 할 수 있고, 또 TE를 크게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에서는 트랙킹신호를 제 15 도의 오버랩부 Q1에만 기록한 경우를 나타냈지만, 이 실시예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오버랩부 Q2에도 기록하고 또는 이들 오버랩부 Q1,Q2의 여러곳에 기록하도록 해도 좋다. 또, 이들 오버랩부 Q1,Q2에 기록하는 대신에 기록영상신호의 수직 블랭킹 위치에 기록하도록 하여도 좋고, 이때에 트랙킹신호가 영상신호에 방해를 주어도 그 기록위치가 수직 블랭킹 기간이기 때문에 재생 화면상에 나타나는 일은 없다.
또,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록해야할 주신호로서 영상신호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등을 디지탈화하여 얻은 PCM 신호등 다른 임의의 신호를 기록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제 13 도에서 테이프(1)을 디스크(2)에 감는 각도를 180°로 하고, 2개의 헤드를 사용하였을 경우를 표시하였지만, 이 실시예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임의의 감는 속도와 임의의 헤드수로서 구성되는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며, 또 트랙킹신호의 기록위치를 오버랩부에만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예를들어 오버랩부가 생기지 않도록 감는 각과 헤드수가 정해진 장치에서 트랙의 긴쪽방향으로 주신호의 기록영역과 트랙킹신호의 기록영역을 분리하도록 시분할로 기록할 때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트랙킹신호 f0,f1,f2는 모두 트랙끝부분에서의 인접트랙사이의 어긋남량 τ와 같은 시간만큼 기록하는 경우를 표시했으나, f1,f2를 τ보다 짧은 시간만 기록하고 f0은 τ보다 긴 시간만 기록할 경우, 예를 들어 제 19 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f1,f2의 기록 시간을 τ/2,f0의 기록시간을 3/2τ로 하여 트랙킹신호의 기록영역을 적게 하고 주신호의 기록영역을 크게 하였을 경우에도 이 실시예가 적용되는 것은 명백하다.
이하 제 20 도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20 도는 회전헤드형 헬리컬 주사식 VTR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 기록시의 서보제어를 표시한 도면, 제 21 도는 그 동작 설명용의 각부 파형도, 제 22 도는 이것에 의하여 기록형성되는 트랙킹의 패턴도, 제 23 도는 재생시의 트랙킹 제어장치의 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제 24 도 a 및 제 24 도 b는 그의 동작을 설명용의 각부 파형도이다.
제 20 도에 있어서 자기테이프(1)은 캡스턴 모오터(20)에 의하여 주행되며, 캡스턴 모오터(20)은 캡스턴 서보회로(21)에 의하여 일정속도로 회전 제어된다. 자기헤드(4a),(4b)는 서로 방위각이 다르게 디스크(2)의 위에 서로 180°의 각도로 부착되어 디스크모오터(6)에 의하여 디스크(2)와 함께 회전된다. 테이프(1)은 디스크(2)에 의하여 180°보다 많게 감겨져 있기 때문에 자기헤드(4a),(4b)가 테이프(1)위를 동시에 중첩하는 부분, 즉 트랙위에서 제 22 도의 Q1,Q2에 표시한 소위 오버랩부분이 형성된다. 디스크(2)에는 2개의 자석(3a),(3b)가 서로 180°의 각도로 부착되어 있고, 이것을 타코미터헤드(7)로 검출하여 자기헤드(4a),(4b)의 회전에 동기한 펄스 a(제 21 도의 a)를 타코미터헤드(7)에서 얻는다. 이 타코미터헤드(7)로부터의 펄스 a는 위상조정회로(8)에 의하여 자기헤드(4a),(4b)와 테이프(1)이 소정의 상대 위치 관계가 되도록 위상 조정된 후, 그 출력은 구형파 형성회로(9)에 공급된다. 이 회로(9)로부터는 자기헤드(4a),(4b)의 회전에 동기한 듀티비 50%의 펄스(제 21 도의 b)가 출력된다. (10f)는 지연멀티회로로서, 회로(9)로부터의 펄스 b의 상승과 하강의 양에지에서 트리거되어 소정의 시간 τ0의 폭의 펄스 c'(제 21 도의 c')가 출력된다. 이 τ0의 값은 임의이지만, 다음에 기술하는 트랙 끝부분에서의 인접 트랙사이의 어긋남량에 해당하는 시간 τ에 대하여 여기서는 τ0=τ가 되도록 설정된다. 이 회로(10f)로부터의 펄스 c'의 하강으로 트리거되어 지연멀티회로(10g)에서 소정시간 τ1의 폭이 펄스 d(제 21 도의 d)가 출력된다. 여기서 τ1의 값은 상기 τ의 값과 같도록 (τ1=τ) 정해진다. 이 회로(10g)로부터의 펄스 d의 하강으로 트리거되어 지연멀티회로(10h)에서 소정시간 2의 폭의 펄스 e(제 21 도의 e)가 출력된다. 이 2의 값은 τ2=2τ가 되도록 정해진다. 회로(10h)로부터의 펄스 e의 하강으로 트리거되어 또 지연멀티회로(10i)에서 소정시간 τ3의 폭의 펄스 f(제 21 도의 f)가 출력된다. 여기서 τ3의 값은 τ32가 되도록 정해진다. 회로(10i)로부터의 펄스 f의 하강으로 트리거되어 또 지연멀티회로(10j)에서 소정시간 τ4의 폭의 펄스 g(제 21 도의 g)가 출력된다. 이 τ4의 값은 임의이지만 여기서는 τ4=τ가 되도록 정해진다. 회로(10j)로 부터의 펄스 g의 하강으로 트리거되어 또 지연멀티회로(14)에서 소정시간 5의 폭의 펄스 h(제 21 도의 h)가 출력된다.
(15)는 래치회로이며, 회로(9)로부터의 펄스 b가 회로(14)로부터의 펄스 h의 하강으로 래치되므로, 회로(9)로부터의 펄스 b가 시간(τ012345)만큼 지연된 펄스 i(제 21 도의 i)가 출력된다. 이 회로(15)로 부터의 펄스 i는 디스크서보회로(1b)의 한쪽에 공급되고, 그 다른쪽에는 기록할 영상신호의 프레임주기의 수직동기신호가 기록시의 디스크서보계의 기준 신호로서 단자(100)으로 부터 공급된다. 이 디스크서보회로(16)에서는 회로(15)로부터의 펄스와 단자(100)으로 부터의 기준 신호가 위상 비교되고, 양자의 위상차에 따르는 위상 오차신호가 회로(16)에서 출력되어 디스크 모오터(6)에 공급된다. 이 때문에, 펄스 i가 기준신호에 위상동기하도록 서보제어되고, 자기헤드(4a),(4b)는 프레임 주파수와 같은 회전수로 회전된다.
(50)은 영상신호 처리회로로서, 단자(200a)로부터 기록할 영상신호가 입력되어 회로(50)에서 적절히 처리된 후, 상기 서보제어에 의거하여 자기헤드(4a),(4b)에 의해 각각 제 22 도의 트랙 A,B에 가아드밴드 없이 정밀도 좋게 기록된다.
다음에(17)은 2상 분할회로로서, 회로(10i)로부터의 펄스 f가 회로(9)로부터의 펄스 b에 의하여 2상 분할되어 펄스 b가 "high"인 기간에서는 펄스 j(제 21 도의 j)가, 펄스 b가 "low"인 기간에서는 펄스 k(제 21 도의 k)가 출력된다.
(325)는 트랙킹 신호원이며, 적어도 두개의 다른 주파수의 신호, 여기서는 3개의 트랙킹신호 f0,f1,f2를 발생한다. 이들 각 트랙킹신호의 주파수는 자기헤드(4a),(4b)의 방위각에 대하여 에지머스손실이 비교적 적게 되도록 정하여서, 트랙킹신호 f1과 f2는 서로 주파수가 다르게, 또 트랙킹신호 f0의 주파수는 임의로 정해진다.
(326)은 블랭킹 신호원이며, 상기 각 트랙킹신호 f0,f1,f2는 주파수가 다른 블랭킹신호 fB를 발생하고, 여기서는 예로서, 자기헤드(4a),(4b)의 방위각에 대해서 에지머스손실이 충분히 커지는 주파수로 주어진다. (319)는 선택회로로서, 회로(10g)로부터의 펄스 d에 의해서, 그 펄스폭 τ1(=τ)의 기간만큼 회로(325)에서 트랙킹신호 f0이 선택되고, 회로(17)로부터의 펄스 j에 의해 그 펄스폭 τ3(=2τ)의 기간만큼 트랙킹신호 f1이 선택되고, 또 회로(17)로부터의 펄스 k에 의해 그 펄스폭 τ3(=2τ)의 기간만큼 트랙킹신호 f2가 선택된다.
또, 선택회로(319)에서는 회로(10f)로부터의 펄스 c', 회로(10h)로부터의 펄스 e 및 회로(10j)로부터의 펄스 g에 의해서 각 펄스폭의 기간만큼 회로(326)으로부터의 블랭킹신호 fB가 선택된다. 선택된 각각의 트랙킹신호와 블랭킹신호는 시계열 순으로 정렬되고, 그 출력 l(제 21 도의 l)에서는 펄스 b가 "high"인 기간동안 트랙킹신호 f0,f1의 순으로 펄스 b가 "low"의 기간동안 트랙킹신호 f0,f2의 순으로, 또 이들 각 트랙킹신호의 전후에 블랭킹신호 fB가 삽입된 형태인 버스트(burst)상태로 출력된다. 이 회로(319)로부터의 출력신호 1은 회로(50)을 거쳐서 제 22 도의 트랙 A,B의 오버랩부 Q1의 P에 도시한 영역에 기록된다.
다음에 제 22 도에 있어서, 트랙끝부분에서의 인접트랙 사이의 어긋남량(동일 도면의 τ)은 테이프(1)의 주행속도와 자기헤드(4a),(4b)의 회전속도에 따라서 정해지고, 자기헤드의 주사하는 시간량으로서 τ로 부여된다. 한편, 제 2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트랙킹신호 f0은 상기의 어긋남량 τ와 같은 시간만큼 기록되고, 트랙킹신호 f1및 f2는 트랙킹신호 f0에 계속해서 상기 어긋남량의 2배와 같은 시간 2τ의 후에 2τ으 시간만큼 기록된다. 이로인해, 제 2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트랙킹신호 f1또는 f2의 트랙위의 기록개시점은 그에 후속하는 인접트랙위의 트랙킹신호 f0의 기록종료점과 일치하고, 트랙킹신호 f1또는 f2의 기록 종료점은 그의 후속하는 인접트랙위의 트랙킹신호 f1또는 f2의 기록 개시점과 각각 일치한다.
이 제 22 도의 패턴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트랙킹신호 f1과 f2의 기록위치가 트랙의 긴쪽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인접 트랙사이에서 일부가 겹치는 것이 있더라도 트랙킹신호 f1끼리 또는 트랙킹신호 f2끼리 인접하는 트랙 사이에서 겹치는 일은 없고, 트랙킹신호 f1또는 f2의 기록위치에 대해서 트랙의 긴쪽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트랙킹신호 f0의 기록위치가 인접 트랙 사이에서 서로 겹치는 일은 없으며, 트랙킹신호 f0끼리도 인접 트랙 사이에서 겹치는 일도 없다.
제 23 도는 이상의 트랙킹신호를 사용한 재생시의 트랙킹제어를 도시한 도면이며, 제 24 도 a 및 제 24 도 b의 파형도를 사용해서 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리고, 재생시의 서보제어장치에 대해서는, 특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앞서의 제 20 도의 기록시의 서보제어장치와 대부분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고, 재생시에는 회로(17),(319),(326)이 사용되지 않는 것, 단자(100)에는 프레임 주기의 수직동기신호 대신으로 프레임 주파수의 소정의 기준 신호가 입력되는 것, 다음에 기술하는 제 23 도의 트랙킹제어장치로부터의 트랙킹제어오차신호가 단자(22)에 입력되고, 이로 인해 캡스턴 서보회로(21)을 거쳐서 캡스턴 모오터(20)이 제어되는 것, 영상신호 처리회로(50)에 있어서 자기헤드(4a),(4b)에 의해 자기테이프(1)에서 재생되는 영상신호와 트랙킹신호가 적절히 처리되어 단자(200b)에 재생영상신호가, 단자(200c)에 재생 트랙킹신호가 각각 출력되는 것이 다를 뿐이고, 그외는 전부 동일하다. 따라서, 제 23 도의 동작에 대해서는 제 20 도를 일부 병용해서 설명한다.
제 20 도에 있어서, 재생시에는 단자(100)에 프레임 주파수의 기준 신호가 입력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같이, 마찬가지로 회로(15)로부터의 펄스 i가 기준신호에 위상 동기하도록 서보제어되어 자기헤드(4a),(4b)는 기록시와 같은 프레임 주파수와 같은 회로수로 회전된다. 자기헤드(4a),(4b)에 의해 테이프(1)에서 순서대로 재생되는 신호는 회로(50)에서 충분히 증폭된 후, 영상신호와 트랙킹 신호가 분리되어 단자(200c)로 재생 트랙킹 신호를 출력한다.
제 23 도에 있어서, (19')는 로컬 트랙킹 신호원이며, 제 20 도의 신호원(325)와 공통으로 할 수 있다. (37)은 선택회로이고, 그 한쪽의 입력단자에는 신호원(19')로부터의 로컬 트랙킹신호 f1과 f2가 입력되고, 그 다른쪽의 입력단자에는 제 20 도의 구형파 형성회로(9)로부터의 펄스 b가 단자(70)을 거쳐서 입력된다. 이 선택회로(37)에서 자기헤드(4a)가 테이프위를 주사하는 기간에 있어서 펄스 b가 "high"인 기간, 즉 기록시에 트랙킹신호 f1이 선택된 기간에서는 그것과 마찬가지로 로컬 트랙킹신호 f1이 선택된다. 또, 자기헤드(4b)가 테이프 위를 주사하는 기간에 있어서, 펄스 b가 "low"인 기간, 즉 기록시에 트랙킹신호 f2가 선택된 기간에서는 그것과 마찬가지로, 로컬 트랙킹신호 f2가 선택된다. 이중 적어도 제 22 도의 트랙킹신호영역 P의 주사기간에서 상기 로컬 트랙킹신호 f1,f2가 선택출력되고, 그 외의 기간에서는 로컬 트랙킹신호가 출력되지 않는다. 이 회로(37)로부터의 출력은 로컬 트랙킹신호로서 주파수변환회로(31)의 한쪽의 입력단자에 공급된다. 주파수변환회로(31)의 다른쪽의 입력단자에는 제 20 도의 단자(200c)로부터의 재생트랙킹신호가 단자(60)을 거쳐서 공급된다. 이 주파수변환회로(31)에서 단자(60)으로부터의 재생트랙킹신호는 회로(37)로부터의 로컬 트랙킹신호에 의해 주파수 변환되고, 양자의 차 주파수성분이 회로(31)에서 출력된다.
제 22 도에 있어서, 헤드가 기록할 때와 같은 트랙을 주사하는 경우, 예를들면 자기헤드(4b)가 트랙킹신호 f0,f2가 기록된 트랙 B1을 주사한 경우(이때의 제 23 도의 각부 파형을 제 24 도 a에 도시한다). 트랙킹신호영역 P의 주트랙 B1에서는 트랙킹신호 f0과 f2가 재생된다. 또, 두 인접트랙 A1및 A2에서는 트랙킹신호 f0과 f1이 누화로서 검출된다. 이들 두 인접트랙으로부터의 노화는 제 22 도의 패턴에서 명확한 것과 같이, 검출되는 타이밍이 다르고 서로가 2τ의 시간 어긋남을 가지고 검출되기 때문에, 양자가 시간적으로 겹치는 일은 없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자기헤드(4b)의 주사시간에서는 회로(37)에서 로컬 트랙킹신호 f2가 출력되고, 상기의 주트랙 및 두 인접 트랙으로부터의 재생 트랙킹신호는 회로(31)에서 이 로컬 트랙킹신호 f2에 의해 주파수 변환되므로, 회로(31)에서는 2차 주파수 성분으로서 f0~f2의 성분과 f1~f2의 성분이 출력된다. 이들 2개의 성분중, 필터(32')에 의해 f1~f2의 성분만이 추출되고, 그 출력은 검파회로(33)에서 포락선 검파된다. 그리고, 주트랙 B1의 트랙킹신호 f2에 대해서는 로컬 트랙킹신호 f2와의 차 주파수가 영으로 되기 때문에 검파회로(33)에서 검출되는 일은 없다. 또 상기한 바와같이 트랙킹신호 f1및 f2의 기록위치에 대해서, 트랙의 긴쪽방향과 직교방향으로 트랙킹신호 f0의 기록위치가 인접트랙 사이에서 겹치는 일은 없으므로, 상기 회로(31)로부터의 2개의 성분 f0~f2와 f1~f2가 시간적으로 일치해서 검출되는 일은 없으므로, f1~f2의 성분만 불필요한 성분이 혼합하는 일이 없고, S/N 비가 좋게 검출할 수 있다.
이 검파회로(33)에서는 두 인접트랙 A1및 A2로부터의 트랙킹신호 f1에 따른 출력만이, 제 24 도 a의 b에 x,y로 표시한 바와 같이, 서로 시간 2τ 어긋나서 2τ의 기간이 검출된다. 이 검파회로(33)으로부터의 출력은 두 인접 트랙으로부터의 누화성분만 포함하고, 그 출력레벨 x 및 y는 트랙킹 오차량에 대응하고 있으며, 주트랙 B1에 대해서 주사의 중심이 한쪽의 인접 트랙 A1측과 어긋날때에는 최초의 2τ의 기간의 검출레벨 x가 증가하고, 다음의 2τ의 기간의 검출레벨 y는 감소하며, 역으로 주사의 중심이 다른쪽의 인접트랙 A2측과 어긋날 때에는 상기의 관계는 완전히 반대로 된다. 따라서, 이들 양자의 검출레벨 x와 y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트랙킹의 오차량이 어느쪽과 어긋났는가의 극성을 검출할 수가 있다. 이 회로(33)으로부터의 출력은 샘플홀드회로(34)와 (35)의 각각 한쪽의 입력단자에 공급된다.
다음에 (38')는 단자(60)으로부터의 재생 트랙킹신호에서 트랙킹신호 f0을 추출하기 위한 필터이며, 이 필터(38')로부터의 출력은 검파회로(39)에서 포락선 검파된다. 이 검파회로(39)로부터는 제 24 도 a의 a에 도시한 바와같이, 주트랙 B1로부터의 트랙킹신호 f0에 따른 출력 z와 양 인접 트랙 A1및 A2로부터의 트랙킹신호 f0에 따른 출력 u 및 v가 각각 τ의 기간동안 검출된다. 이때에도, 트랙킹신호 f1또는 f2가 동시에 검출되는 일은 없으므로, 트랙킹신호 f0성분만 S/N을 좋게 검출할 수 있다. 이 검파회로(39)로부터의 출력은 펄스파정형회로(40)에서 적당한 임계값으로 정형되어 주트랙의 트랙킹신호 f0에 따른 출력 z에 관한 펄스(제 24 도 a의 c)가 출력된다. (241')는 지연시간 6τ 이상을 가진 지연멀티회로이며, 회로(40)으로부터의 펄스의 상승으로 트리거된다. 지연시간이 6τ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들면 트랙킹신호 f1또는 f2의 재생에 관련해서 트랙킹신호 f0과 잘못 검출되는 일이 있더라도 그것은 억제되어 오동작하는 일은 없다. 즉, 트랙킹 신호 f0의 주파수를 트랙킹신호 f1또는 f2와 같은 주파수로 설정하여도 좋고, 일반적으로는 임의로 주파수를 선택할 수가 있다. 이 회로(41)로부터의 출력펄스(제 24 도 a의 d)는 샘플링 펄스생성회로(242)에 공급되어서 2개의 샘플링펄스 SP1과 SP2가 생성된다. 제 1 의 샘플링펄스 SP1(제 24 도의 a의 e)의 그 펄스폭이 2τ 내지 그 이하로 되도록 회로(241)로부터의 펄스의 상승에 의해 시간 2τ만큼 지연된 위상으로 생성된다.
또, 제 2 의 샘플링펄스 SP2(제 24 도 a의 f)는 상기 제 1의 샘플링펄스 대략 2τ만큼 지연해서 생성된다. 이 제 1 의 샘플링펄스 SP1은 회로(34)의 샘플링펄스로서 공급되고, 회로(34)에서는 한쪽의 인접 트랙(A1)로 부터의 트랙킹 오차에 따른 오차 전압이 출력된다. 또 제 2의 샘플링펄스 SP2는 회로(34)의 샘플링펄스로서 공급되며, 회로(35)에서는 다른쪽의 인접 트랙(A2)로부터의 트랙킹 오차에 따른 오차전압이 출력된다. 이들 회로(34) 및 (35)로부터의 오차 전압은 전압 비교회로(36)에서 비교되고, 그 출력은 트랙킹 오차신호로서 단자(80)을 거쳐서 제 20 도의 캡스턴 서보회로(21)의 단자(22)에 공급되며, 이로 인해 캡스턴 모오터(20)이 부귀한 제어된다.
이상의 동작은 상기 주트랙 B1에 이어지는 다음의 주트랙 A2를 그것과 같은 방위각의 자기헤드(4a)가 주사할 때도 마찬가지로서, 이때에 회로(37)에는 로컬트랙킹신호 f1이 선택되는 점이 다를 뿐이며, 그외는 모두 동일하고, 각부 파형도 상기와 마찬가지이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상기 두 인접 트랙으로부터의 트랙킹 신호의 누화량이 서로 동일하게 되도록, 즉 주트랙의 중심을 주사하도록 테이프속도가 제어되어 트랙킹 제어된다.
다음에 역 트랙킹의 상태, 예를들면 자기헤드(4a)가 기록한 때와 다른 트랙 B1을 주사한 경우의 제 23 도의 각부 파형을 제 24 도 b에 도시한다. 이 경우에는 로컬 트랙킹 신호로서 f1이 선택되어서 트랙킹신호 f0과 f2가 기록된 트랙 B1을 주사한 것으로 되므로, 회로(39)로부터의 현재 주사트랙 B1로부터의 트랙킹신호 f0에 따른 출력 z에 의해서 샘플링펄스 SP1과 SP2(제 24 도 b의 e와 f)가 생성된다. 한편, 회로(33)에서는 현재 주사트랙 B1로부터의 트랙킹 신호 f2에 따른 f1~f2의 성분(제 24 도 b의 w)이 검출되고, 양쪽의 인접 트랙 A1, A2로부터의 트랙킹신호 f1에 따른 트랙킹 오차정보는 검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 24 도 b의 파형에서도 명백한 바와같이, 회로(34)로부터의 출력전압과 회로(35)로부터의 출력전압은 일치하는 일이 없이 서로가 불균형으로 되고, 회로(36)에서는 큰 오차 전압이 출력된다. 이것으로서 명백한 바와같이, 역 트랙킹상태로 계통이 안정화되는 일은 없고, 역 트랙킹상태에서는 큰)에서는 큰 오차 전압이 출력된다. 이것으로서 명백한 바와같이, 역 트랙킹상태로 계통이 안정화되는 일은 없고, 역 트랙킹상태에서는 큰상의 작용은 로컬 트랙킹신호 f1과 f2를 자기헤드의 주사에 대응시켜 교대로 전환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것으로서, 즉 이로 인해 트랙을 자동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트랙킹신호 f0과 트랙킹신호 f1또는 f2에 전후해서(제 22 도의 사선부로 표시한 위치에)기록된 블랙킹신호 fE는 트랙킹 오차정보의 검출과 직접 관계가 없지만, 자기헤드(4a),(4b)로 트랙 피치보다 폭이 넓은 헤드를 사용한 경우에 인접 트랙에 걸쳐서 기록된 트랙킹신호를 소거하거나 또는 이미 기록되어 있는 불필요한 신호를 소거하는 데 사용된다. 또 블랭킹신호는 트랙킹신호끼리 서로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유효하다. 이것에 의해 바라는 트랙킹신호를 한층 S/N이 좋게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상의 트랙킹 제어에 의해서, 제 22 도의 영상신호의 기록영역 V에서 자기헤드(4a),(4b)에 의해 교대로 재생되는 영상신호는 제 20 도의 회로(15)로부터의 펄스 i에 의해 영상신호처리회로(50)에서 교대로 전환되어 1개로 연속한 재생영상신호가 단자(200b)에 출력되므로, 이 재생영상신호에 재생 트랙킹 신호가 혼합되는 일은 없다. 이상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제 22 도의 오버랩부 Q1에 기록된 트랙킹신호는 재생영상신호와 완전히 분리되기 때문에, 그 기록 레벨을 충분히 높일 수가 있으므로, S/N이 양호한 재생 트랙킹 신호를 얻을 수가 있어 안정된 트랙킹 제어를 행하게 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예는 트랙킹신호를 트랙 끝부분에서의 인접 트랙사이의 어긋남량 τ와 관련해서 배치하므로, 그 어긋남량 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어 상기한 종래의 예와 같이 제약되는 일은 없다. 또한, 이 어긋남량 τ와 관련해서 배치하는 것에 의해 트랙킹 신호의 기록영역을 적게하고, 또한 시간적으로 최대한의 트랙킹 오차정보가 얻어지게 된다. 이것을 앞에서의 공지의 예와 비교하기 위해 상기 어긋남량 τ를 τ=1.5H로 하면, 적어도 1회의 트랙킹 오차정보를 얻기 위해 필요한 트랙킹신호의 기록기간 TA는 다음의 식으로 부여된다.
TA=5τ=7.5H………………………………………………………………… (13)
또, 1 회의 검출에 대해 트랙킹 오차 정보가 얻어지는 기간 TE는 다음 식으로 부여된다.
TE=2τ=3.0H………………………………………………………………… (14)
이상의 (13),(14)식을 앞에서의 (1)~(4)식과 비교하면 명백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TA는 크게 하지 않고, TE를 최대로 할 수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TE를 크게 할 수 있는 것은 트랙킹 오차정보를 시간적으로 많이 검출할 수가 있는 것이며, 또 시간적 적분효과도 얻어지는 것으로, 보다 정밀도 좋고 안정되게 트랙킹제어를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상의 동작 설명에서도 명백한 바와같이, 실시예의 제 1 의 특징은 트랙킹 오차량을 검출하기 위한 트랙킹신호(f1및 f2)와 그 소재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트랙킹신호(f0)를 트랙 끝부분에서의 인접 트랙사이의 어긋남량(τ)와 관련해서, 상기 양 트랙킹 신호의 기록위치가 트랙의 긴쪽 방향과 직교방향으로 인접 트랙사이에서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에 의해 이들 양 트랙킹신호를 서로 간섭없이 S/N비 좋게 검출될 수 있도록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본 실시예의 제 2 의 특징은 트랙킹 오차량 검출을 위한 트랙킹신호(트랙킹신호 f1끼리 또는 트랙킹신호 f2끼리)가 트랙의 긴쪽방향과 직교방향에 인접 트랙 사이에서 겹치지 않도록 배치시키고, 또 그 소재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트랙킹신호(f0)로 인접 트랙 사이에서 겹치지 않도록 배치시키는 것에 의해 이들 각 트랙킹신호(f0,f1,f2)를 자기 간섭없이 S/N을 좋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 22 도의 실시예 이외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랙의 패턴도를 제 25 도 a, 제 25 도 b에 도시한다.
제 25 도 a는 제 20 도의 회로(10g),(10h),(10i)의 각 지연시간 τ1, τ2, τ3을 각각 τ1〈τ, τ2〉2τ, τ3〈2τ로서 얻어지는 트랙의 패턴을 도시한다. 제 25 도 b는 제 20 도의 회로(10h)의 지연 시간 τ2를 트랙 A에서는 τ2=2τ로, 트랙 B에서는 τ2=5τ로 교대로 전환해서 얻어지는 트랙의 패턴을 도시한다. 특히 이 제 25 도 b의 실시예에 의하면, 트랙킹신호 f1과 f2의 기록 위치가 트랙마다 달라서 인접 트랙 사이에서 서로 겹치는 일이 없으므로, 트랙신호 f1과 f2의 주파수를 같게 하여도 정확하게 트랙킹 오차량을 검출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상기한 바와같이 트랙킹신호 f0의 주파수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이들 트랙킹신호 f0,f1,f2를 전부 동일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이 경우에는 트랙킹신호 f0을 기준으로 해서 트랙킹신호 f1및 f2가 재생되는 타이밍이 트랙마다 다른 성질을 이용해서 트랙을 자동적으로 식별할 수가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트랙킹신호를 제 22 도의 오버랩부 Q1에만 기록한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본 실시예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22 도의 오버랩부 Q2에도 기록하고, 또는 이들 오버랩부 Q1, Q2의 여러곳에 기록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이들 오버랩부 Q1, Q2에 기록하는 대신에, 기록영상신호의 수직 블랭킹위치에 기록하도록 하여도 좋으며, 이때에 트랙킹신호가 영상신호를 방해하는 것이라도 그 기록위치가 수직 블랭킹 기간이기 때문에, 재생 화면위에 나타나는 일은 없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록하여야 할 주 신호가 영상신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들면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등을 디지탈화해서 얻은 PCM신호등 다른 임의의 신호를 기록할 때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 제 20 도에서 테이프(1)을 디스크(2)에 감는 각을 180°로하고, 2개의 헤드를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임의의 감는 각과 임의의 헤드수로 구성되는 장치에 적용되고, 또 트랙킹신호의 기록위치를 오버랩부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들면 오버랩부를 일으키지 않도록 구성된 장치에서는, 트랙의 긴쪽방향으로 주신호의 기록영역과 트랙킹신호의 기록영역을 분리하도록 시분할로 기록할 때도 적용할 수 있다. 또, 트랙킹신호의 기록방법으로서 직접 기록하여도 좋고, 또는 주신호를 바이어스로서 또는 주신호와는 다른 그밖의 신호를 바이어스로서 기록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 어떤 경우에 있어서도 본 실시예의 요지에 어긋나는 일은 없으며 얻어지는 효과는 전부 동일하다.
또,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트랙킹 제어신호는 캡스턴 서보회로(21)에 공급되어 있지만, 디스크 모어터(6)등에 공급되어 헤드의 회전속도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 트랙킹제어를 행할 수도 있다. 또, 트랙킹제어신호를 구성하는 트랙킹 오차신호의 발생은 로컬 트랙킹신호를 사용하지 않고, 헤드의 트랙 재생주상에 의해 검출된 2개의 인접하는 트랙으로부터의 누화량을 직접 비교하는 것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Claims (11)

  1. 인접하는 2개의 트랙의 주사를 개시하는 끝부분이 트랙의 긴쪽방향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소정의 거리로 변위되어 있는 것과 같은 평행하고 경사진 테이프 트랙에 신호를 기록재생하도록 배치된 다수개의 회전헤드를 갖는 회전헤드형 자기기록재생장치에서 트랙킹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어 상기 평행하고 경사진 트랙의 소정의 하나인 제 1 의 트랙(A1,A2,…)의 연속이며 각각 겹치지 않도록 다른 위치에 있는 상기 제 1 의 트랙의 제 1의 부분과 제 2의 부분위에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제 1 의 기록위치검출신호(f0)과 제 1 의 트랙킹신호(f1)을 기록하는 스텝, 상기 제 1의 트랙에 인접하고 상기 제 1의 트랙 사이에 끼워지도록 서로 간격을 두어 상기 평행하고 경사진 트랙의 소정의 다른 하나인 제 2 의 트랙(B1,B2,…)의 연속이며 각각 겹치지 않도록 다른 위치에 있는 상기 제 2 의 트랙의 제 1 의 부분과 제 2 의 부분위에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제 2의 기록위치검출신호(f0)과 제 2의 트랙킹신호(f2)를 기록하는 스텝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및 제 1 의 트랙의 다른 임의의 하나에 인접하는 상기 제 1 및 제 2 의 트랙의 2개의 트랙의 제 1 의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트랙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지 않으며, 상기 제 2 및 제 1 의 트랙의 다른 임의의 하나에 인접하는 상기 제 1 및 제 2 의 트랙의 2개의 트랙의 제 2의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트랙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지 않으며, 상기 제 1 및 제 2의 기록위치검출신호의 제 1의 부분하나가 기록되는 상기 제 1 및 제 2의 트랙의 임의의 하나에 제 1 의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겹쳐지지 않는 부분이 트랙길이방향에 수직인 상기 방향에서 보아 트랙주사를 개시하는 끝부분보다 가까운 2개의 인접트랙의 제 2 의 부분이 겹쳐지지 않는 부분의 하나보다 트랙주사를 개시하는 끝부분이 가깝게 되며, 상기 제 1 및 제 2의 트랙킹신호의 하나를 상기 제 2 의 부분에 기록하는 스텝, 기록된 제 1 의 기록위치검출신호(f0)을 재생하고 2개의 인접한 제 2의 트랙에서 기록된 제 2의 트랙킹신호(f2)의 제 1 및 제 2의 누화신호(x,y)를 재생하기 위해 상기 제 1의 트랙을 주사하는 스텝, 기록된 제 2의 기록위치검출신호(f0)를 재생하고 2개의 인접한 제 1 의 트랙에서 기록된 제 1의 트랙킹신호(f1)의 제 3 및 제 4의 누화신호(x,y)를 재생하기 위해 상기 제 2의 트랙을 주사하는 스텝, 제 1의 트랙킹 오차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제 1의 트랙에서 기록된 제 1의 기록위치검출신호의 재생에 따른 제 1의 타이밍(SP1,SP2)에서 상기 제 1 및 제 2의 누화신호 사이의 레벨차를 검출하는 스텝, 제 2 의 트랙킹 오차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제 2의 트랙에서 기록된 제 2의 기록위치검출신호의 재생에 따른 제 2의 타이밍(SP1,SP2)에서 상기 제 3 및 제 4의 누화신호 사이의 레벨차를 검출하는 스텝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의 트랙킹 오차신호가 상기 제 1 및 제 2의 트랙에 교대로 사용되어 트랙킹 제어신호를 구성하는 트랙킹제어신호 발생방법.
  2.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의 누화신호 사이의 레벨차 검출과 상기 제 3 및 제 4의 누화신호 사이의 레벨차 검출은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의 타이밍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의 누화신호와 상기 제 3 및 제 4의 누화신호를 비교하여 실행되는 트랙킹제어신호 발생방법.
  3.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의 누화신호 사이의 레벨차 검출과 상기 제 3 및 제 4의 누화신호 사이의 레벨차 검출은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의 누화신호에 상기 제 1및 제 2의 트랙킹 신호중 주사되는 트랙에 기록되어 있는 하나의 트랙킹신호의 주파수와 동일한 로컬주파수신호와 혼합하여 제 1, 제 2, 제 3 및 제 4의 주파수 차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 1 및 제 2의 타이밍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의 주파수 차신호와 상기 제 3 및 제 4의 주파수 차신호를 비교하여 실행되는 트랙킹제어신호 발생방법.
  4.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의 위치검출신호의 주파수는 서로 같고, 상기 제 1 및 제 2의 트랙킹신호의 주파수는 서로 다르고, 상기 각각의 트랙의 상기 제 1 및 제 2의 부분은 서로 인접해 있으며, 상기 제 1의 부분의 각각은 상기 소정의 변위길이와 같은 길이를 갖는 트랙킹제어신호 발생방법.
  5. 특허청구의 범위 제 4 항에 있어서, 또, 제 3 의 트랙킹신호는 상기 트랙의 각각의 제 3의 부분위에 기록되며, 상기 제 3의 부분은 트랙 길이방향에 수직인 상기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제 2의 부분보다 주사를 개시한 끝부분에 가깝고, 상기 제 1의 부분에 인접하고, 상기 소정의 변위길이와 같은 길이와 같으며, 상기 제 3의 트랙킹신호의 주파수는 현재 주사중인 트랙이 제 1의 트랙일 때 제 2의 트랙킹신호와 동일하고 현재 주사중인 트랙이 제 2의 트랙일때 제 1의 트랙킹신호와 동일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의 누화신호 사이와 상기 제 3 및 제 4의 누화신호 사이의 레벨차의 검출은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의 누화신호의 각각에 상기 기록위치검출신호의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로컬 주파수 신호와 혼합하여 제 1, 제 2, 제 3 및 제 4의 주파수차신호를 발생하고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의 타이밍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의 주파수차신호와 상기 제 3 및 제 4의 주파수차신호를 비교하여 실행되는 트랙킹제어신호 발생방법.
  6.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부분에 인접한 부분의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의 부분사이, 상기 트랙의 상기 제 2의 부분에 인접한 각각의 위에 블랭킹신호(fB)가 또 기록되며, 상기 블랭킹신호는 상기 헤드에 의해 재생될 때 큰 에지머스손실을 받도록 높은 주파수를 갖는 트랙킹제어신호 발생방법.
  7.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부분은 상기 제 1의 트랙의 제 1의 부분보다 트랙주사를 개시하는 끝부분에 가깝고, 상기 제 1의 부분은 상기 제 2의 트랙의 제 2의 부분보다 트랙주사를 개시하는 끝부분에 가까운 트랙킹 제어신호 발생방법.
  8.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부분은 상기 제 1의 트랙의 제 2의 부분보다 트랙주사를 개시하는 끝부분에 가깝고, 상기 제 1의 부분은 상기 제 2의 트랙의 제 2의 부분보다 트랙주사를 개시하는 끝부분에 가까운 트랙킹 제어신호 발생방법.
  9.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의 트랙킹신호는 동일한 주파수를 갖고, 상기 제 1 및 제 2의 트랙의 각각의 제 2의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트랙길이방향에 수직인 상기 방향에서 보아 인접한 2개의 트랙의 제 2의 부분과 겹치지 않는 트랙킹 제어신호 발생방법.
  10.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의 기록위치 검출신호는 동일한 주파수인 트랙킹 제어신호 발생방법.
  11.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의 기록위치검출신호의 제 1의 부분하나가 기록되는 임의의 하나의 트랙의 제 1의 부분의 일부는 트랙길이방향에 수직인 상기 방향에서 보아 겹쳐지지 않는 부분이 트랙주사를 개시하는 끝부분에 가까운 2개의 인접한 트랙의 제 2의 부분의 겹쳐지지 않는 부분의 하나와 겹쳐지는 트랙킹제어신호 발생방법.
KR1019840006349A 1983-10-14 1984-10-13 회전헤드형 자기기록 재생장치 및 그것을 위한 트랙킹 제어신호 발생방법 KR9000022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190766A JPS6083247A (ja) 1983-10-14 1983-10-14 磁気記録再生装置
JP58-190766 1983-10-14
JP20908783A JPS60101750A (ja) 1983-11-09 1983-11-09 磁気記録再生装置
JP58-209085 1983-11-09
JP209085 1983-11-09
JP58209085A JPS60101748A (ja) 1983-11-09 1983-11-09 磁気記録再生装置
JP209087 1983-11-09
JP58-209087 1983-11-09
JP58-226875 1983-12-02
JP226875 1983-12-02
JP22687583A JPS60119654A (ja) 1983-12-02 1983-12-02 磁気記録再生装置
JP190766 1984-10-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021A KR850003021A (ko) 1985-05-28
KR900002237B1 true KR900002237B1 (ko) 1990-04-06

Family

ID=27475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6349A KR900002237B1 (ko) 1983-10-14 1984-10-13 회전헤드형 자기기록 재생장치 및 그것을 위한 트랙킹 제어신호 발생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843493A (ko)
EP (1) EP0138210A3 (ko)
KR (1) KR9000022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4347A (ja) * 1984-01-25 1985-08-14 Sony Corp デイジタル信号の記録再生方法
JPH0687330B2 (ja) * 1984-08-06 1994-11-02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信号の再生装置
US4688114A (en) * 1985-06-06 1987-08-18 Victor Company Of Japan, Ltd. Drum servo circuit
JPH0693304B2 (ja) * 1985-10-08 1994-11-16 ソニー株式会社 トラツキング制御装置
US5453887A (en) * 1987-01-13 1995-09-26 Canon Denshi Kabushiki Kaisha Head tracking servo pattern
JPH0664791B2 (ja) * 1987-01-19 1994-08-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EP0314879B1 (en) * 1987-07-15 1994-09-28 Nec Corporation Control of relative position between a magnetic head and a recording medium
US5251079A (en) * 1989-12-30 1993-10-05 Sony Corporation Tracking control circuit including gain correction control
JPH0426947A (ja) * 1990-05-21 1992-01-30 Sony Corp 再生方法
US5402281A (en) * 1992-03-13 1995-03-28 Sony Corporation Tracking control apparatus of rotary head type recording unit using pilot signals of different frequencies and different formats
US5426538A (en) * 1992-03-13 1995-06-20 Sony Corporatio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means for establishing an after-recording area
EP0569610B1 (en) * 1992-05-13 1997-03-05 Tandberg Data A/S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tape position for a tape using dedicated servo format
US5412520A (en) * 1992-10-06 1995-05-02 Sony Corporation Tracking control which avoids lock-up for rotary head reproducing apparatus and which senses whether a trucking control signal is absent for a predetermined time
FR2699723B1 (fr) * 1992-12-22 1995-01-20 Thomson Csf Support d'enregistrement d'informations, enregistreur, lecteur et procédé d'enregistrement.
JP3420286B2 (ja) * 1993-05-28 2003-06-23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JPH0883415A (ja) * 1994-07-15 1996-03-26 Sony Corp 信号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信号記録及び/又は再生方法並びに記録媒体
DE19540752A1 (de) * 1995-11-02 1997-05-07 Thomson Brandt Gmbh Verfahren und Schaltung zur Erzeugung von synchronen Steuersignalen in Videorekordern
EP0819523A1 (en) 1996-07-18 1998-01-21 Océ-Technologies B.V. Ink jet nozzle head
US6023385A (en) * 1997-02-21 2000-02-08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Tape servo pattern with enhanced synchronization properties
US5898533A (en) * 1997-02-21 1999-04-27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Tape servo pattern with embedded servo track number identification
US6018429A (en) * 1997-02-21 2000-01-25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Tape servo pattern with embedded servo track number identification
US5966264A (en) * 1997-08-07 1999-10-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oration Two frequency servo PES pattern
US6025970A (en) * 1997-08-07 2000-02-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gital demodulation of a complementary two-frequency servo PES pattern
EP1271477B1 (en) * 1998-03-30 2006-03-01 Imation Corp. Tape servo pattern with enhanced synchronization properties
WO1999050834A1 (en) * 1998-03-30 1999-10-07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Thin film tape head including split top pole
GB2508390A (en) * 2012-11-30 2014-06-04 Ibm Tape servo band with servo tracks of different frequencies
US9058828B1 (en) 2014-05-15 2015-06-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rvo pattern of a tape storage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2258B2 (ja) * 1976-09-13 1985-07-26 ソニー株式会社 自動トラツキング制御装置
JPS5335511A (en) * 1976-09-13 1978-04-03 Sony Corp Recorder-reproducer for picture signal
JPS5421809A (en) * 1977-07-20 1979-02-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agnetic reproducer
NL7801318A (nl) * 1978-02-06 1979-08-08 Philips Nv Werkwijze voor het regelen van de positie van een schrijf-leeskop en inrichting voor het uitvoeren van de werkwijze.
JPS5668923A (en) * 1979-11-09 1981-06-09 Victor Co Of Japan Ltd Tracking device of magnetic reproducing device
US4528605A (en) * 1982-02-13 1985-07-09 Victor Company Of Japan, Ltd. Rotary magnetic head scanning control system in a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S58194162A (ja) * 1982-05-07 1983-11-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回転ヘツド型磁気記録再生装置
JPS58218032A (ja) * 1982-06-14 1983-12-19 Canon Inc 回転ヘツド型記録再生装置
JPS59112406A (ja) * 1982-12-17 1984-06-28 Sony Corp Pcm信号の記録再生方法
JPH0754571B2 (ja) * 1983-02-02 1995-06-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ビデオ信号再生装置
JPS59157810A (ja) * 1983-02-28 1984-09-07 Sony Corp デジタル信号の再生方法
AT378301B (de) * 1983-06-17 1985-07-25 Philips Nv System zum wiedergeben von auf einem magnetband gespeicherten signal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38210A3 (en) 1986-02-05
KR850003021A (ko) 1985-05-28
US4843493A (en) 1989-06-27
EP0138210A2 (en) 1985-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2237B1 (ko) 회전헤드형 자기기록 재생장치 및 그것을 위한 트랙킹 제어신호 발생방법
US4237500A (en) Method of controlling the position of a write-read head and devic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US4644414A (en) Helical sca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tion system with head position control
US471497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signals having improved rotary head tracking control
KR940005558B1 (ko) 비디오 신호 기록 장치
KR930002403B1 (ko) 디지탈 신호의 기록재생방법
KR950001798B1 (ko) 기록/재생 장치
JPH0421391B2 (ko)
US5402281A (en) Tracking control apparatus of rotary head type recording unit using pilot signals of different frequencies and different formats
EP0116646A1 (en) Rotary head magnetic recorder/reproducer
US5177649A (en) Information signal recording apparatus for recording pilot signals on particular areas
JPH0750923B2 (ja) 回転ヘツド型再生装置
JP2646958B2 (ja) 情報信号の記録再生装置
JP2646960B2 (ja) 情報信号の記録されたテープ
KR910000187B1 (ko) 왕복 기록 재생방법
JP2646959B2 (ja) 情報信号の再生装置
US5978171A (en) Information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with diverse mode tracking control
JPS6142339B2 (ko)
JPH0810508B2 (ja) 情報信号の記録方法
JPS634256B2 (ko)
KR890004244B1 (ko) 슬로우 재생방법
JP2570773B2 (ja) トラッキング方式
JPH06259842A (ja) 情報信号の再生装置
JPH0740388B2 (ja) 記録再生装置と記録装置
JPH031159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0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