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518B1 - 무선전화기 휴대장치의 통화 및 대기상태 자동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전화기 휴대장치의 통화 및 대기상태 자동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518B1
KR940005518B1 KR1019910018830A KR910018830A KR940005518B1 KR 940005518 B1 KR940005518 B1 KR 940005518B1 KR 1019910018830 A KR1019910018830 A KR 1019910018830A KR 910018830 A KR910018830 A KR 910018830A KR 940005518 B1 KR940005518 B1 KR 940005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portable device
user
microcomput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8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9449A (ko
Inventor
최승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18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5518B1/ko
Publication of KR930009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5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선전화기 휴대장치의 통화 및 대기상태 자동전환 방법
제1도는 종래의 무선전화기 휴대장치 구성도.
제2도는 종래의 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무선전화기 휴대장치 구성도.
제4도는 제3도중 감지부의 구체적인 구성도.
제5도는 본 발명의 흐름도.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에 있어서 휴대장치의 통화 및 대기상태를 전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센서를 이용하여 통화 및 대기상태를 감지하는 회로 및 그 감지 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상태를 전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1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무선전화기 휴대장치를 이용하여 전화를 걸거나 받기 위해서는 상기 휴대장치의 마이컴(30)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동작수순을 거쳐 통화를 형성시키거나 종료하였다.
이를 사용자 측면에서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가 휴대장치를 잡는다. 그리고 상기 휴대장치를 들고, 통화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통화기능버튼 또는 스위치를 조작하여야 상기 휴대장치의 마이컴(30)이 고정장치와 교신함으로써 통화가 가능하였다. 그러므로 전화통화를 행하기 위해서는 3차례의 수행 절차가 필요하였고, 전화를 끊는 동작은 통화절단 기능버튼을 누르고 휴대장치를 내려 놓는 동작이 필요하였다. 만일 사용자가 통화절단을 위한 기능버튼을 누르지 않고 휴대장치를 방치하면 계속하여 통화상태를 유지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의 무선전화기로 통화 형성을 하기 위해서는 휴대장치를 잡고 통화를 위한 기능버튼이나 스위치를 조작하는 2단계의 절차가 필요하였으므로 번거로왔던 문제점이 있었고, 통화 종료시에는 반드시 대기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기능버튼이나 스위치를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을 뿐만아니라, 사용자가 대기상태로의 전환을 망각하여 행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통화상태를 유지하여 배터리 소모 및 전화 착신이 되지 않는 불편함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람이 손으로 휴대장치를 잡거나 놓은 것을 감지하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휴대장치가 사람의 손으로부터 착탈된 상태를 감지한 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통화 혹은 대기상태로 전환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전화기 휴대장치의 블럭도로서, 제1도와 동일한 구성에 사용자가 휴대장치를 잡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110)를 마이컴(30)에 연결하여 구성한다. 상기 감지부(110)는 휴대장치의 뒷커버 부분에 부착되는 다수의 센서를 구비한다. 상기 센서의 부착 위치는 사람의 손이 가장 많이 닿는 곳으로 하며 센서의 종류는 압력센서, 광센서, 습도센서등 다양하다.
제4도는 제3도중 감지부(110)의 구체적인 블럭도로서, 휴대장치의 뒷커버 부분의 임의의 위치에 부착되어 사람의 손이 닿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센서(111…112)와, 마이컴(30)의 제어를 받아 상기 다수의 감지신호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멀티플렉서(113)와, 상기 멀티플랙서(113)에서 선택된 신호를 소정레벨 이상 증폭하는 앰프(114)와, 상기 마이컴(3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앰프(114) 출력신호를 표본화하여 유지하는 샘플홀드(sample-hold)부(115)와, 상기 마이컴(30)의 제어를 받아 상기 표본화된 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마이컴(30)으로 전달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1)로 구성한다(단,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1)을 내장한 마이컴(32)을 이용할 수도 있음을 밝힌다).
제5도는 본 발명의 흐름도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대기상태에 있던 마이컴(30)은 (5a)단계에서 감지부(110)의 임의의 센서에서 사용자가 휴대장치를 잡았음을 나타내는 감지신호가 발생되었는지 체크한다. 상기 감지신호의 발생은 사용자가 휴대장치를 손을 잡음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센서의 상태변화에 따른 것으로, 상기 휴대장치의 마이컴(30)이 이를 입력하게 되면 즉시 고정장치로 통화 형성을 위한 통화 요구 데이터를 송출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5a)단계에서 감지신호가 발생되지 않았으면 키입력 및 표시부(10)를 스캔하여 통화버튼 입력 유무를 확인한다. 만일 통화버튼 입력도 없을시에는 다시 상기 감지신호 발생여부를 체크하도록 상기 (5a)단계로 루핑한다. 반면에 통화버튼이 입력되었거나 상기 감지신호가 발생되었을시에는 (5c)단계로 진행하여 통화 형성을 위해 고정장치와 소정의 데이터를 교신하고, 상기 데이터 교신이 완료되면 통화상태로 전환하여 사용자와 국선간의 통화상태를 유지시킨다. 상기 통화상태 유지시 상기 휴대장치의 마이컴(30)은 계속적으로 (5e)단계에서 상기 감지부(110)를 스캔하여 센서로부터 입력변화를 탐지한다. 즉 사용자가 휴대장치를 놓았음을 나타내는 감지신호가 발생되었는지 체크하는 것이다.
상기 체크결과 사용자가 통화를 완료하고 휴대장치를 놓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감지신호가 발생되었거나 상기(5f)단계에서 통화종료버튼이 입력된 경우 상기 휴대장치의 마이컴(30)은 (5g)단계로 진행하여 통화종료를 알리는 데이터를 고정장치로 송출하여 소정의 교신을 마친 후 대기상태로 전환한다. 상기 대기상태에서는 다시 최초의 탐지상태로 전환되어 휴대장치가 사용자의 손에 의해 잡혔는지 여부를 계속 탐지한다.
한편 상기 (5E)단계에서 사용자가 휴대장치를 놓았다는 감지신호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는 (5F)단계로 진행하여 통화종료 버튼이 입력되었는지 체크하여 통화종료버튼도 입력되지 않았으면 다시 상기 (5D)단계로 루핑하여 통화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전화기 휴대장치를 사용자가 잡으면 통화가 형성되고 놓으면 자동으로 대기상태로 전환되므로 임의의 조작이 필요없어 사용상 편리한 이점이 있으며, 사용자가 휴대장치를 대기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실수로 망각한 경우에도 사용자가 휴대장치를 잡고 있지 않음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대기상태로 전환하므로 바테리소모를 방지할 뿐만아니라 사용자의 실수로 전화 착신이 불가능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휴대장치와 고정장치를 구비한 무선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장치의 뒷커버부분에 부착되어 사람의 손이 닿고 떨어짐을 감지하는 다수의 센서(111…112)와, 상기 휴대장치내의 마이컴(3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센서출력 중 임의의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수단(113)과, 상기 선택수단(113)의 출력을 소정 레벨로 증폭하는 증폭수단(114)과, 상기 증폭된 신호를 표본화하여 상기 마이컴(30)으로 전달하는 표본화 수단(115)으로 구성되어 상기 휴대장치가 사용자의 손에서 착탈된 상태를 감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의 착탈감지회로.
  2.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착탈 여부가 감지가능한 휴대장치를 구비한 무선전화기에 있어서, 대기상태에서 상기 휴대장치를 잡았음을 나타내는 감지신호가 입력되거나 통화버튼 입력시 통화 형성을 위해 고정장치와 교신하여 통화상태를 유지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 수행중 휴대장치가 놓여졌음을 나타내는 감지신호가 입력되거나 통화종료버튼 입력시 통화종료를 위해 상기 고정장치와 교신하여 대기상태로 전환하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 휴대장치의 통화 및 대기상태 자동전환방법.
KR1019910018830A 1991-10-25 1991-10-25 무선전화기 휴대장치의 통화 및 대기상태 자동전환 방법 KR940005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8830A KR940005518B1 (ko) 1991-10-25 1991-10-25 무선전화기 휴대장치의 통화 및 대기상태 자동전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8830A KR940005518B1 (ko) 1991-10-25 1991-10-25 무선전화기 휴대장치의 통화 및 대기상태 자동전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449A KR930009449A (ko) 1993-05-22
KR940005518B1 true KR940005518B1 (ko) 1994-06-20

Family

ID=19321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8830A KR940005518B1 (ko) 1991-10-25 1991-10-25 무선전화기 휴대장치의 통화 및 대기상태 자동전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55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415A (ko) * 1998-07-31 2000-02-15 서평원 휴대전화기의휴대감지에따른통화서비스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449A (ko) 199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03132B1 (en) One-handed control for wireless telephones
KR960012875A (ko) 스피커 폰의 통화로 자동 형성 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2205151A (ja) 通信装置
KR940005518B1 (ko) 무선전화기 휴대장치의 통화 및 대기상태 자동전환 방법
KR100749437B1 (ko) 키 잠금식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8079019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JPH06225354A (ja) ボタン電話装置
KR20000047171A (ko) 전화기의 빈번히 사용되는 전화번호 표시방법
JPH07231342A (ja) 電話機
JPH11168769A (ja) 着信機能自動選択型携帯電話機
JP2832966B2 (ja) 保留機能付電話機
KR2004004298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모드변환 장치 및 그 방법
KR940002982Y1 (ko) 음성다이얼링모듈(Module)을 구비한 전화기
JP2002171339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100229725B1 (ko) 키폰전화기의 국선확인 방법
JPH11168554A (ja) 携帯電話機
KR100678219B1 (ko) 이어폰마이크가 착탈가능하게 접속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소리에 의한 상태 표시 장치 및 방법
JP2000228689A (ja) 携帯電話機
JPS61121595A (ja) ボタン電話装置
JPH11355405A (ja) 移動体通信端末
JPH0613958A (ja) 電話装置
JPH04358449A (ja) コードレス留守番電話装置
JPH02303296A (ja) 多機能電話機の回線選択方式
KR980013180A (ko) 전화선 자동 호출 방법
JPH0623358U (ja) 誤操作防止型ワンピース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