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13180A - 전화선 자동 호출 방법 - Google Patents

전화선 자동 호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13180A
KR980013180A KR1019960027138A KR19960027138A KR980013180A KR 980013180 A KR980013180 A KR 980013180A KR 1019960027138 A KR1019960027138 A KR 1019960027138A KR 19960027138 A KR19960027138 A KR 19960027138A KR 980013180 A KR980013180 A KR 980013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number
unit
call
calling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7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0213B1 (ko
Inventor
김필기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27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0213B1/ko
Publication of KR980013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3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0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02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 H04M11/045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using recorded signals, e.g. speec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기의 자동 호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기 주변환경의 긴급 상황발생을 감지하여 순차적으로 자동 호출하도록 한 전화기의 자동 호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화기는 사용자가 직접 다이얼 키를 이용하여 호출해야 하므로, 부재시 화재 발생으로 온도 상승, 비닐하우스 내의 온풍기 고장으로 인한 온도 저하 등의 긴급상황이 발생하면 대처할 수 있는 기능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자 부재시에도 긴급 상황 발생을 온도 검출부에서 감지하여 제어 처리부에인가하고 해당 제어 처리부의 제어에 따라 순차적으로 호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호출하므로써, 화재로 인한 재산손실, 비닐하우스내의 온풍기 고장으로 인한 손실 등에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전화선 자동호출 방법
본 발명은 전화기의 자동 호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기 주변 환경의 긴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감지하여 순차적으로 자동 호출하도록 한 전화기의 자동 호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기는 음성 신호를 검출하고 송출하는 통화 회로부와,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다이얼링을 수행하는 다이얼부와, 국선에 인가되는 링 신호를 검출하는 링신호 검출부와, 여러 가지의 정보를 볼 수 있게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와, 통화에 필요한 송화기부 및 수화기부와, 음성과 착/발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부와, 전화기의 모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해당 프로그램에 따라 전화기의 모든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처리부(Main Control Unit)를 포함하여 이루어졌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전화기는 화재 발생으로 온도 상승, 비닐하우스 내의 온풍기 고장으로 인한 온도 저하 등의 자산에 손실을 입힐 긴급 상황 발생시에 자동 호출 동작 수행을 하기 위해서, 먼저 사용자가 다이얼부의 다이얼 키를 이용하여 제어 처리부 또는 다이얼 집적회로에 상대측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시킨다. 이에,긴급 상황 발생시 사용자가 직접 단축 다이얼 키나 무선 송신 기기를 이용하여 다이얼링하면 상기 제어 처리부가 이를 감지하여 상대측 전화를 호출하므로써 도움을 요청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걸려온 전화를 수신하여 상대측 전화번호를 입력시키게 한 후 사용자에게 무선 호출로써 전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종래 전화기는 사용자가 직접 다이얼 키를 이용하여 호출해야 하므로 부재시 긴급 상황이 발생 하면 대처할 수 있는 기능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사용자 부재시에도 긴급 상황 발생을 감지하여 순차적으로 자동 호출하여 화재로 인한 재산 손실 등에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한 전화기의 자동 호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자동 호출 방법은 순위별 호출 전화번호, 설정 온도 및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고 자동 호출 기능을 선택했는지를 감지하는 제1과정과: 상기 자동 호출 기능을 선택하면 LED(Light Emitting Diode)를 점등하고, 전화기의 주변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설정 온도와 비교한 후 벗어나면 통화중인지를 확인하는 제2과정과: 상기 통화중이면 상기 LED를 점멸하여 긴급 상황을 경고하며, 상기 통화중이 아니면 국선을 접속하여 제1호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특정 전화번호를 송출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2과정후 상기 국선을 오프하고 상기 LED를 점멸하며, 제2호출 전화번호가 선택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2호출 전화번호가 선택되어 있으면 상기 국선을 재접속하여 상기 제2호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한 후 상기 국선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검색하여 사람의 음성 신호이면 상기 음성 메시지를 송출하는 제5과정과: 상기 제3과정 후 또는 상기 검색된 신호가 사람의 음성이 아니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국선을 오프하고 상기 LED를 점멸하며, 제3호출 전화변호가 선택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제6과정과: 상기 제3호출 전화번호가 선택되어 있으면 상기 국선을 재접속하여 상기 제3호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한 후 상기 국선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검색하여 사람의 음성 신호가 아니면 상기 국선을 오프시킨 다음에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국선을 재접속하며, 사람의 음성 신호이면 상기 음성 메시지를 송출하고 상기 국선을 오프하는 제7과정과: 상기 제7과정후 또는 상기 제2호출 전화번호가 선택되어 있지 않거나 상기 제3호출 전화번호가 선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LED를 소등하여 긴급 상황 발생시 자동 호출을 종료하는 제8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의 자동 호출 장치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의 자동 호출 방법을 나타낸 구성 플로우 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국선 접속부, 12 ; 훅스위치부, 13 ; 송화기부, 14 ; 수화기부, 15 ; 통화 회로부, 16 ; 다이얼 직접회로부, 17 ; 음성 검색부, 18 ; 제어처리부, 19 ; 메모리부, 20 ; 입력부, 21 ; 기능 설정 표시부, 22 ; 온도 검출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의 자동 호출 장치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의 자동 호출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자동 호출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선 접속부(11), 훅 스위치부(12), 송화기부(13), 수화기부(14), 통화 회로부(15), 다이얼 직접회로부(16), 음성 검색부(17), 제어 처리부(18), 메모리부(19), 입력부(20), 기능 설정 표시부(21) 그리고 온도 검출부(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 처리부(18)은 전화기의 모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해당 프로그램에 따라 전화기의 모든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훅 스위치부(12)는 상기 제어 처리부(18)의 제어에 따라 스위치 온/오프(ON/OFF)하여 국선을 온/오프시킨다. 상기 국선 접속부(11)는 상기 제어 처리부(18)의 제어에 따라 상기 국선을 통해 인가되는 시호를 상기 훅 스위치부(12)로 인가하고, 상기 훅 스위치부(12)를 통해 인가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상기 국선으로 송출한다. 상기 송화기부(13)는 음성신호를 상기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인가한다. 상기 통화 회로부(15)는 상기 제어 처리부(18)의 제어에 따라 상기 송화부(13)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상기 훅스위치부(12)를 경유해 상기 국선 접속부(11)로 인가하고, 상기 훅 스위치부(12)를 경유해 상기 국선 접속부(11)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들(예로, 링백톤, 통화중 톤, 무신호, 사람음성 등)을 검출하여 인가한다. 상기 수화기부(14)는 상기 통화 회로부(15)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들을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송출한다. 상기 음성 검색부(17)는 상기 제어 처리부(18)의 제어에 따라 상기 통화 회로부(15)로 인가된 신호들이 어떤 신호인지를 검색하고 사람의 음성 신호이면 상기 제어 처리부(18)에 해당 사람의 음성 신호임을 알리는 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입력부(20)는 다이얼 키를 이용하여 인가되는 순위별 호출 전화번호와 설정 온도를 입력한다. 상기 다이얼 직접 회로부(16)는 상기 제어 처리부(18)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입력부(20)를 통해 인가되는 순위별 호출 전화번호를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부(19)는 상기 제어 처리부(18)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입력부(20)를 통해 인가되는 설정 온도나 상기 송화기부(14)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 음성신호를 저장한다. 상기 온도 검출부(22)는 전화기의 주변 온도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 처리부(18)에 인가한다. 상기 기능 설정 표시부(21)는 상기 제어 처리부(18)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온도 검출부(22)에서 검출된 온도나 상기 입력부(20)를 통해 인가되는 기능 설정을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자동 호출 장치의 동작을 도 2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화재 발생으로 온도상승, 비닐하우스 내의 온풍기 고장으로 인한 온도 저하 등의 긴급 상황 발생시에 자동 호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먼저, 입력부(20)의 기능키를 이용하여 순위별 호출 전화번호와 설정 온도를 입력하고 송화기부(13)를 통해서 음성 메시지를 입력하면, 제어 처리부(18)는 해당 인가되는 순차별 호출 전화번호, 설정 온도 및 음성 메시지를 다이얼 집적회로부(16)나 메모리부(19)에 저장하는데, 일반적으로 해당 순차별 호출 전화번호는 해당 다이얼 집적회로부(16)에 저장하고 해당 설정온도와 음성 메시지는 해당 메모리부(19)에 저장한다.(단계 S1). 그리고, 입력부(20)의 기능키를 이용하여 자동 호출 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 처리부(18)는 해당 자동 호출 기능 선택을 감지하며(단계 S2), 온도 검출부(22)와 기능 설정 표시부(21)를 제어하는데 해당 온도 검출부(22)는 주변 온도를 검출하고 해당 기능 설정 표시부(21)는 LED는 점등되게 된다(단계 S3).
이에, 상기 제어 처리부(18)는 상기 온도 검출부(22)에 의해 검출된 온도를 인가받는데, 상기 메모리부(19)에 저장된 설정 온도와 비교하고 화재 발생으로 인한 온도 상승, 비닐하우스 내의 온풍기 고장으로 인한 온도 저하 등 해당 설정 온도의 범위에서 벗어나면 이를 감지하며(단계 S4), 훅 스위치부(12) 또는 통화 회로부(15)를 검색하여 전화기의 통화 상태를 판단한다(단계 S5).
만약, 통화중이면, 상기 제어 처리부(18)는 통화중임을 감지하고 상기기능 설정 표시부(21)를 제어하여 상기 기능 설정 표시부(21)의 LDE가 점멸되도록 함으로써 긴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알려준다.(단계 S6). 한편, 통화중이 아니면, 상기 제어 처리부(18)는 통화중임 아님을 감지하고 상기 훅 스위치부(12)를 제어하여 오프(OFF)시켜 국선 접속부(11)를 통해 국선을 접속시킨다(단계 S7). 국선을 접속시킨 다음에 상기 제어 처리부(18)는 상기 다이얼 집적회로부(16)에 저장된 순위별 호출 전화번호 중 제1호출 전화번호를 읽어내어 다이얼링 하는데, 예를 들어 무선 호출기일 경우에는 해당 제1호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 한후 (단계 S8) 소정의 시간(약 10초)후에 상기 다이얼 집적회로부(16)에 저장된 특정한 전화번호를 송출하고(단계 S9) 소정의 시간(약 2초)후 상기 훅 스위치부(12)를 제어하여 온시켜 국선을 오프시킨다(단계 S10).
이때, 또한, 상기 제어 처리부(18)는 상기 기능 설정 표시부(21)를 제어하여 상기 기능 설정 표시부(21)의 LDE를 점멸시킨후 (단계 S11) 상기 다이얼 집적회로부(16)에 순위별 호출 전화번호 중 제 2호출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검색한다(단계 S12). 만약, 상기 제2호출 전화번호가 설정되어 있다면 상기 제어 처리는 상기 훅 스위치부(12)를 제어하여 다시 오프시켜 국선 접속부(11)를 통해 국선을 재접속시킨다(단계 S13).
국선을 접속시킨 다음 상기 제어 처리부(18)는 상기 다이얼 집적회로부(16)에 저장된 제2호출 전화번호를 읽어내어 다이얼링하는데, 예를 들어 국선 전화일 경우에는 해당 제2호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한 후(단계 S14) 통화 회로부(15)와 음성 검색부(17)를 제어하며, 해당 통화 회로부(15)는 상기 제어 처리부(18)의 제어에 따라 상기 훅 스위치부(12)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들(예로, 링백톤, 통화중 톤, 무신호, 사람 음성 등)을 검출하여 수화기부(14)로 송출하고 해당 음성 검색부(17)는 상기 제어 처리부(18)의 제어에 따라 해당 통화 회로부(12)에 인가되는 신호들을 검색하나(단계 S15).
이에, 상기 제어 처리부(18)는 상기 음성 검색부(17)에서 검색된 신호가 사람 음성인지를 판단한다(상기 S16). 만약 사람 음성이 아닌 링백톤, 통화중 톤, 무신호이면, 상기 제어 처리부(18)는 소정의 시간(약 20초)이 지났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훅 스우치부(12)를 제어하여 온(ON)시켜 국선을 오프시킨다(단계 S17). 한편, 사람 음성이면, 상기 제어 처리부(18)는 상기 메모리부(19)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메시지를 읽어내어 상기 통화 회로부(15)를 통해 상기 제2호출 전화번호의 국선으로 5회 반복 송출하고(단계 S18), 소정의 시간(약 2초)후 상기 훅 스위치부(12)를 제어하여 온(ON)시켜 국선을 오프시킨다(단계 S19).
이때 또한, 상기 제어 처리부(18)는 상기 기능 설정 표시부(21)를 제어하여 상기 기능 설정 표시부(21)의 LED를 점멸시킨 후(단계 S20) 상기 다이얼 집적회로부(16)에 순위별 호출 전화번호 중 제3호출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검색한다(단계 S21). 만약, 상기 제3호출 전화번호가 설정되어 있다면 상기 제어 처리는 상기 훅 스위치부(12)를 제어하여 다시 오프(OFF)시켜 국선 접속부(11)를 통해 국선을 재접속시킨다(단계 S22). 국선을 접속시킨 다음에 상기 제어 처리부(18)는 상기 다이얼 집적회로부(16)에 저장된 제3호출 전화번호를 읽어내어 다이얼링하는데, 예를 들어 휴대폰일 경우에는 해당 제3호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 한 후(단계 S23) 상기 통화 회로부(15)와 음성 검색부(17)를 제어하며, 상기 통화 회로부(15)는 상기 제어 처리부(18)의 제어에 따라 상기 훅 스위치부(12)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들을 검출하여 상기 수화기부(14)로 송출하고 상기 음성 검색부(17)는 상기 제어 처리부(18)의 제어에 따라 상기 통화 회로부(12)에 인가되는 신호들을 검색한다(단계 S24). 이에 상기 제어 처리부(18)는 상기 음성 검색부(17)에서 검색된 신호가 사람 음성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25).
만약, 사람 음성이 아닌 링백톤, 통화중 톤, 무신호이면, 상기 제어 처리부(18)는 소정의 시간(약 20초)후 상기 훅 스위치부(12)를 제어하여 온(ON)시켜 국선을 오프시키고(단계 S26), 소정의 시간(약 1분)이 경과했는지를 확인하여 다시 상기 제3호출 전화번호를 재 다이얼링한다(단계 S27). 한편, 사람 음성이면, 상기 제어 처리부(18)는 상기 메모리부(19)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메시지를 읽어내어 상기 통화 회로부(15)를 통해 상기 제 3호출 전화번호의 국선으로 5회 반복 송출하고(단계 S28), 소정의 시간(약 2초)후 상기 훅 스위치부(12)를 제어하여 온(ON)시켜 국선을 오프시킨다(단계 S29). 이에, 상기 제어 처리부(18)는 상기 기능 설정표시부(21)를 제어하여 상기 기능 설정 표시부(21)의 LDE를 소등시켜 자동 호출 기능을 종료하고, 상기 제2 호출 전화번호가 설정되어 있지 않았거나 상기 제3호출 전화번호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제어 처리부(18)는 상기 기능 설정 표시부(21)를 제어하여 상기 기능 설정표시부(21)의 LED를 소등시켜 자동 호출 기능을 종료한다(단계 S30).
그런데, 상기 온도 검출부(22)에 사용한 온도센서를 대신하여 가스, 정전, 원적외선 등 여러 가지 센서를 이용하고 상기 제어 처리부(18)의 프로그램 수정으로 많은 다른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사용자 부재시에도 긴급 상황 발생을 온도 검출부에서 감지하여 제어 처리부에 인가하고 해당 제어 처리부의 제어에 따라 순차적으로 호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자동적으로 호출하므로써, 화재로 인한 재산 손실, 비닐 하우스 내의 온풍기 고장으로 인한 손실 등에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다.

Claims (1)

  1. 전화기의 자동 호출 방법에 있어서, 순위별 호출 전화번호, 설정 온도 및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고 자동 호출 기능을 선택했는지를 감지하는 제1과정과: 상기 자동 호출 기능을 선택하면 LED를 점등하고, 전화기의 주변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설정 온도와 비교한 후 벗어나면 통화중인지를 확인하는 제2과정과: 상기 통화중이면 상기 LED를 점멸하여 긴급 상황을 경고하며, 상기 총화중이 아니면 국선을 접속하여 제1호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특정 전화번호를 송출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후 상기 국선을 오프하고 상기 LED를 점멸하여, 제2호출 전화번호가 선택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2호출 전화번호가 선택되어 있으면 상기 국선을 재접속하여 상기 제2호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한 후 상기 국선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검색하여 사람의 음성 신호이면 상기 음성 메시지를 송출하는 제5과정과: 상기 제3과정 후 또는 상기 검색된 신호가 사람의 음성이 아니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국선을 오프하고 상기 LED를 점멸하며, 제3호출 전화변호가 선택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제6과정과: 상기 제3호출 전화번호가 선택되어 있으면 상기 국선을 재접속하여 상기 제3호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한 후 상기 국선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검색하여 사람의 음성 신호가 아니면 상기 국선을 오프시킨 다음에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국선을 재접속하며, 사람의 음성 신호이면 상기 음성 메시지를 송출하고 상기 국선을 오프하는 제7과정과: 상기 제7과정후 떠는 상기 제2호출 전화번호가 선택되어 있지 않거나 상기 제3호출 전화번호가 선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LED를 소등하여 긴급 상황 발생시 자동 호출을 종료하는 제8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자동 호출 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27138A 1996-07-04 1996-07-04 전화기의자동호출방법 KR100390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7138A KR100390213B1 (ko) 1996-07-04 1996-07-04 전화기의자동호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7138A KR100390213B1 (ko) 1996-07-04 1996-07-04 전화기의자동호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3180A true KR980013180A (ko) 1998-04-30
KR100390213B1 KR100390213B1 (ko) 2003-10-04

Family

ID=37421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7138A KR100390213B1 (ko) 1996-07-04 1996-07-04 전화기의자동호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02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056A (ko) * 2000-04-17 2001-11-07 고성욱 긴급상황 통보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6179A (ko) * 1990-02-28 1991-09-30 주성화 방범전화기
KR930007930Y1 (ko) * 1991-01-21 1993-11-24 이규윤 비상전화 자동통보장치
KR940007907B1 (ko) * 1991-11-25 1994-08-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원터치에 의한 자동다이얼링 및 음성메세지 자동전송 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940007128Y1 (ko) * 1992-03-05 1994-10-13 이용운 긴급전화번호 다이얼링 기능을 가진 무선전화기
KR950022662A (ko) * 1993-12-24 1995-07-28 박병엽 전화기의 긴급메시지 송출방법
KR0131725B1 (ko) * 1994-05-30 1998-04-21 배순훈 긴급전화호출기능을 갖춘 전화시스템
KR950035274A (ko) * 1994-05-30 1995-12-30 배순훈 긴급전화호출기능을 갖춘 전화기
KR960009559A (ko) * 1994-08-05 1996-03-22 박병철 리모콘을 이용한 긴급상황 전달장치 및 전달방법
KR960039805A (ko) * 1995-04-25 1996-11-25 배순훈 전화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056A (ko) * 2000-04-17 2001-11-07 고성욱 긴급상황 통보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0213B1 (ko) 2003-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1411A (en) Caller ID blocking method and processing system (block caller ID information)
JP2933575B2 (ja) 無線電話機能付き携帯情報端末
US6002763A (en) Telephone with a mute ringer function having an automatic ringer reactivation capability
US4571455A (en) Electronic monitoring system particularly useful as an electronic babysitter
KR980013180A (ko) 전화선 자동 호출 방법
KR0184505B1 (ko) 전자수첩을 이용한 다이얼링 장치 및 방법
KR20030094326A (ko) 액자겸용 단축다이얼 장치 및 전화기
JPH09116611A (ja) 電話装置
JP3241652B2 (ja) ボタン電話装置
JP3606397B2 (ja) 携帯電話機
KR2004004298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모드변환 장치 및 그 방법
KR0120406B1 (ko) 자동 착신 스피커폰 전환기
KR100186619B1 (ko) 스피커 폰 자동제어 방법
KR0141255B1 (ko) 키폰 시스템의 호저장 방법
GB2266431A (e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KR100211328B1 (ko) 일반 전화기의 벨음량 및 벨음색 제어방법 및 장치
JP4375421B2 (ja) 通信装置、制御プログラム
GB2253541A (en) Radio telephones
KR0175586B1 (ko) 램프 자동점등 기능을 갖는 전화기 및 그에 따른 램프점등방법
JPH11205863A (ja) 通話状態報知機能付き移動無線装置
JPH04357747A (ja) 電話装置
KR200330593Y1 (ko) 발신자번호 서비스를 이용한 방범용 자동전화장치
JPH04358449A (ja) コードレス留守番電話装置
GB2253967A (en) portable radio telephone
JPH02248191A (ja) ボタン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