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920Y1 - 팁 클램프 기구 - Google Patents

팁 클램프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920Y1
KR940004920Y1 KR2019890013894U KR890013894U KR940004920Y1 KR 940004920 Y1 KR940004920 Y1 KR 940004920Y1 KR 2019890013894 U KR2019890013894 U KR 2019890013894U KR 890013894 U KR890013894 U KR 890013894U KR 940004920 Y1 KR940004920 Y1 KR 9400049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pin
clamp
hol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38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8449U (ko
Inventor
다쓰오 아라이
가쓰미 하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기가이샤
나가노 다께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9050352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44401Y2/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기가이샤, 나가노 다께시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84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84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9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9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14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 B23B27/16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with exchangeable cutting bits or cutting inserts, e.g. able to be clamped
    • B23B27/1662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with exchangeable cutting bits or cutting inserts, e.g. able to be clamped with plate-like cutting inserts clamped against the walls of the recess in the shank by a clamping member acting upon the wall of a hole in the cutting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05/00Fixation of cutting inserts in holders
    • B23B2205/08Fixation of cutting inserts in holders using an eccent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팁 클램프 기구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의 팁 클램프 기구의 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제1도는 주요부를 단면표시한 정면도.
제2도는 동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며 주요부를 단면표시한 정면도.
제4도는 고정용 핀의 변형예를 표시하는 정면도.
제5도 및 제6도는 종래의 팁 클램프 기구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제5도는 주요부를 단면 표시한 정면도.
제6도는 동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호울더본체 2 : 팁
3 : 팁 부착시이트 4 : 저면
5 : 구멍부 6 : 시이트
11 : 부착공 12 : 측벽
20 : 클램프 핀 21 : 본체
22 : 회동핀 23 : 요함부
24 : 삽통공 25 : 고정용 핀
26 : 고정나사 O1, O2: 축선
본 고안은 각종의 절삭공구에 있어서 절삭날이 되는 팁을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팁 클램프 기구에 관한 것이다.
제5도 및 제6도는 드로우어웨이식 바이트에 사용되는 종래의 이런 종류의 팁 클램프 기구를 표시하는 것이다.
제5도 및 제6도에 있어서, 도면의 부호 1은 호울더 본체를 표시하는 것이다.
이 호울더 본체(1)는, 기단부가 쌩크부(1a)로 되어 있으며 그 선단부에는 팁(2)을 장치하기 위한 계단형상의 팁 부착시이트가 형성되어 있다.
이 팁 부착 시이트(3)의 저면(4)에는 이것에 대략 수직으로 관통하는 구멍부(5)가 천설되어 있다.
그리고, 팁 부착 시이트(3)의 저면(4)위에는, 시이트(6)가 재치되어 있다.
이 시이트(6)는, 강 철이나 초경합금 등으로된 판형상의 부재로서 그 중앙부에는 상기한 구멍부(5)에 연통되는 대략 직경이 같은 개구부(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구멍부(5) 및 개구부(7)내에 팁(2)고정용 클램프핀(8)이 설치되어 있다.
이 클램프핀(8)은 외경이 상기한 구멍부(5)의 내경과 대략 같은 원주 형상을 한 본체(9)의 기단면(9a)에 6각 볼트 삽입용의 요함부가 형성된 것이고 다른 쪽의 선단부에는 회동핀(30)이 그 축선(O1)을 본체(9)의 축선(O2)에서 편심시켜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클램프핀(8)은, 상기한 구멍부(5)내에서 축선(O2)주위에 회전자재하게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다시 팁 부착시이트(3)에는 절삭날이 되는 팁(2)이 그 중앙부에 형성된 부착공(11)내에 상기한 클램프핀(8)의 회동핀(10)을 삽입시켜서 재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클램프핀(8)을 6각 볼트(도시않음)에 의하여 회동시킴에 의하여 회동핀(10)으로서 팁(2)의 부착공(11)내멱면을 팁 부착시이트(3)의 측벽(12)쪽으로 압압하여 상기한 팁(2)을 팁 부착시이트(3)에 고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팁(2)을 고정하는 경우에 6각 볼트로서 클램프핀(8)의 기단쪽에서 이것을 회동시키도록 하면 클램프핀(8)에 제6도 있어서, 윗쪽으로 빠져나가 버린다.
그러므로 상기한 종래의 팁 클램프 기구에 있어서는 클램프핀(8)의 기단부에 이탈방지 장치를 설치하였다.
즉, 호울더 본체(1)의 구멍부(5)의 아랫면쪽 둘레 가장자리에 스포트패이싱(spot facing)가공을 실시하여 대경(大徑)부분(13)이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쪽 클램프핀(8)기단부의 대향하는 외주부분에 고리형상의 홈부(14)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크램프핀(8)을 구멍부(5) 내에 삽입한 다음에, 일단 클램프핀(8)의 기단부를 호울더 본체(1)의 아랫면쪽으로 돌출시지고, 홈부(14)내에 C자형상을 한 링(15)을 끼워넣은 다음에 클램프핀(8)을 죄어붙이는 정위치까지 밀어넣어서 링(15)을 대경부분(13)에 걸어맞춰 회동시에 이 클램프핀(8)이 구멍부(5)에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팁 클램프 기구에 있어서는 호울더 본체(1)의 아랫면에 스포트 패이싱 가공을 실시하여 대경부분(13)을 형성하였으므로 상대적으로 클램프 핀(8)과 당접하는 구멍부(5) 내벽의 축선방향의 길이(D1)가 짭아져 버린다.
이때문에 팁(2)의 고정시에 팁(2)의 부착공(11) 벽면에서 작용하는 반력(F)을 받는 구멍부 내벽면의 면적이 작아지고, 더우기 호울더 본체(1)의 상기한 반력(F)에 의하여 클램프핀(8)에 작용하는 모우멘트에 저항하는 작용이 저하되어 버리기 때문에 특히 호울더 본체(1)의 두께(H1)가 얇은 것에 있어서는 충분한 팁(2)의 클램프럭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팁 클램프 기구는, 클램프핀 본체의 외주부에 원주방향을 따라서 요함부를 형성하고, 호울더 본체에 클램프핀의 죄어 붙이는 정위치에 있어서 요함부에 연통하는 삽통공을 천설하고, 이 삽통공에 요함부내에 삽통되어서 클램프핀의 축선 방향으로의 이동을 걸어 멈추게 하는 고정용 핀을 삽탈 자재하게 설치한 것이다.
상기한 구성의 팁 클램프 기구에 있어서는 6각 볼트로서 클램프핀을 회동시킬 경우에 클램프핀의 요함부내에 호울더 본체의 삽통공내에 삽입된 고정용 핀이 걸려 있으므로서, 클램프핀이 6각 볼트에 압압되어서 빠져나가 버리는 일이 없다.
또, 호울더 본체의 아랫면에 스포트패이싱 가공을 실시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멍부내벽의 축선방향의 길이가 손실되는 일이 없고 따라서 팁의 죄어붙이는 힘의 반력을 구멍부에서 넓은 면적으로 받을 수가 있다.
더구나 상기한 축선방향의 길이가 길므로, 호울더 본체의 상기한 반력(F)에 의하여 클램프핀에 작용하는 모우멘트에 저항하는 작용도 향상된다.
[실시예]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의 팁 클램프 기구의 제1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제5도 및 제6도에 표시한 것과 동일한 구성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본 예의 팁클램프 기구에서는 팁 부착시이트(3)의 구멍부(5)내에 클램프핀(20)이 회전자재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 클램프핀(20)은, 기단면(21a)에 6각 볼트 삽입용의 요함부가 형성된 외경이 구멍부(5)의 내경과 대략 동등한 원주상의 본체(21)의 선단부에 회동핀(22)이 그 축선(O1)을 본체(21)의 축선(O2)에서 편심시켜서 설치된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과 동일하다.
그러나, 이 클램프핀(20)에 있어서는 본체(21) 외주의 중앙부에서 팁부착시이트(3)쪽으로 기울어진 위치에 전원주에 걸쳐서 단면이 반원형상의 고리형상인 요함부(23)가 형성 되어 있다.
한편, 호울더 본체(1)에는, 내경이 상기한 요함부(23)의 단면 반경과 대략 동등한 삽통공(24)이 천설되어 있다.
이 삽통공(24)은 호울더 본체(1)의 측면(1b)쪽에서 아랫면과 대략 평행으로 연장되어 클램프핀(20)의 죄어 붙임 정위치에 있어서 상기한 요함부(23)에 연통되도록 천설되어 있다.
그리고, 이 삽통공(24)내에는 고정용 핀(25)이 삽탈 자재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면중 부호(26)은 상기한 고정용 핀(25)이 삽통공(24)으로 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삽통공(23)의 개구부에서 나사 맞춤된 고정나사이다.
상기한 클램프핀(20)은, 상기한 구멍부(5)내에서 축선(O2) 주위를 회전자재 하게 삽입되고, 다시 팁 부착시이트(3)에는 절삭날이 되는 팁(2)이 그 중앙부에 형성된 부착공(11)내에 상기한 클램프핀(20)의 회동핀(10)을 삽입시켜서 재치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되는 팁클램프 기구에 의하여 팁(2)을 팁 부착시이트(3)에 고정하는 방법은 팁 부착시이트(3)위에 시이트(6)를 재치한 다음 시이트(6)위로 부터 구멍부(5)내에 클램프핀(20)을 그 죄어붙이는 정위치까지 삽입한다.
이어서, 삽통공(24)내에 고정용 핀(25)을 삽입하여 선단부를 요함부(23)내에 걸어 맞추고, 다시 삽통공(24)의 개구부에 고정나사(26)를 나사맞춤하여 이것을 막는다.
그리고 다음에 본체(21)의 기단면(21a)의 요함부내에 6각 볼트를 삽입하여 상기한 클램프 핀(20)을 회동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팁(20)은, 그 부착공(11)의 벽면이 회동되는 클램프핀(20)의 회동핀(22)에 의하여 팁 부착시이트(3)의 측벽(12)쪽으로 압압되어서 팁 부착시이트(3)에 고정된다.
이와같은 팁 클램프 기구에 의하면 6각 볼트로서 클램프핀(20)을 회동시킬때에 클램프핀(20)의 요함부(23)내에 호울더 본체(1)의 삽통공(24)개에 삽입된 고정용 핀(25)이 걸어맞추어져 있으므로서, 클램프핀(20)이 6각 볼트에 압압되어서 제2도의 윗쪽으로 빠져버리는 일이 없다.
또, 종래의 것과 같이 호울더 본체(1)의 아랫면에 스포트패이싱 가공을 실시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멍부(5)의 내벽의 축선방향 길이(D2)를 손상하는 일이 없다.
이 결과, 팁(2) 및 클램프핀(20)을 개재하여 구멍부(5)늬 내벽면에 작용하는 죄어붙이는 힘의 반력(F)을 넓은 면적에서 받을 수 잇는 바 환언하면 한층 강고한 죄어붙이는 힘으로서 팁(2)을 고정할 수가 있다.
더우기 상기한 축선방향길이(D2)가 길어, 호울더 본체(1)의 상기한 반력(F)에 의하여 클램프핀(20)에 작용 하는 모두멘트에 저항하는 작용이 보다 향상되어, 이 점에 있어서도 우수한 클램프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제3도는 본 고안의 팁 클램프기구의 제2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하의 구성이 상기한 제1실시예에 표시한 것과 상이하다.
즉, 이 예의 팁 클램프 기구에 있어서는, 호울더 본체(1)에 상기한 삽통공(24)의 선단부에서 그 축선위를 벋어서 호울더 본체(1)의 측면(1b)과 반대쪽의 측면(1c)에 연통하는 구멍부(27)가 천설되어 있다.
여기에서 이 구멍부(27)의 내경은 고정용 핀(25)의 외경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춘 본 예의 팁 클램프기구에 의하면 상기한 제1실시예에 표시한 것과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는 외에 사용시에 클램프핀(21)과 고정용핀(25)이 서로의 마찰력에 의하여 굳게 걸어 맞추어 졌을 경우에 있어서도, 고정나사(26)를 풀은 다음에, 제3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부착 해체용 렌치(28)를 구멍부(27)에 삽입하여 상기한 고정용핀(25)을 측면도(1b) 쪽으로 압압함에 의하여 고정용핀(25)을 삽통공(24)안에서 용이하게 집어낼 수 있다는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상기한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구멍부(27)를 형성함에 의하여 부착 해체용 렌치(28)를 사용하여 고정용핀(25)을 부착해제 하도록 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4도에 표시하듯이, 미리 고정용핀과 고정용 나사를 일체로 형성한 핀(29)을 , 후울더 본체(1)의 삽통공(24)내에 삽입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팁 클램프 기구에 있어서는 클램프핀의 본체 외주부에 원주방향으로 요함부를 형성하여 호울더 본체에 이 요함부에 연통되는 삽통공을 천설함과 아울러, 이 삽통공을 클램프핀의 축선방향에의 이동을 걸어멈추는 고정용 핀을 삽탈자재하게 설치 하였으므로서, 클램프핀 회동시에 이 클램프핀이 빠져나가는 일이 없고, 종래의 것보다 한층 우수한 클램프 성능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호울더 본체(1)의 팁 부착시이트(3)에 구멍부(5)를 천설하고, 이 구멍부(5)내에, 본체가 원주형상을 하고 선단부의 상기한 본체의 축선과 편심된 위치에 회동핀(22)이 설치된 클램프핀(20)을 상기한 축선주위를 회전자재하게 삽입하고, 절삭날이 되는 팁(2)을 그 중앙부에 형성된 부착공내에 상기한 클램프핀(20)의 회동핀(22)을 삽입시켜서 상기한 팁 부착시이트(3)에 재치함과 아울러, 상기한 클램프핀(20)을 회동시켜서 그 회동핀(22)으로서 상기한 팁(2)의 부착공내 벽면을 상기한 팁 부착시이트(3)의 측벽에 압압하여 상기한 팁을 고정하는 팁 클램프기구에 있어서, 상기한 클램프핀(20)의 본체 외주부에 원주방향을 따라서 요함부(23)을 형성하여, 상기한 호울더 본체(1)에 상기한 클램프핀(20)의 죄어붙임 정위치에 있어서 상기한 요함부(23)에 연통되는 삽통공(24)을 천설하고, 이 삽통공(24)에 상기한 요함부(23)내에 삽통된 상기한 클램프핀(20)의 축선방향에의이동을 걸어 멈추게 하는 고정용 핀(25)을 삽탈자재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팁 클램프 기구.
KR2019890013894U 1989-04-28 1989-09-25 팁 클램프 기구 KR94000492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0352 1989-04-28
JP1989050352U JPH0744401Y2 (ja) 1988-05-19 1989-04-28 チツプクランプ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8449U KR900018449U (ko) 1990-11-05
KR940004920Y1 true KR940004920Y1 (ko) 1994-07-23

Family

ID=12856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3894U KR940004920Y1 (ko) 1989-04-28 1989-09-25 팁 클램프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492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8449U (ko) 199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255474A (ja) 工具ホルダ
JP3421041B2 (ja) 穴あけ兼面取り工具
US4585380A (en) Tool attaching device in a machine tool
JPH08505093A (ja) 切削プレートのための締めつけ保持器
US5035550A (en) Hole saw
KR940004920Y1 (ko) 팁 클램프 기구
EP0247011A3 (en) Clamping device for a positive cutting insert
KR20010023807A (ko) 칩제거 가공용 공구
KR940006108Y1 (ko) 팁클램프기구
KR940004918Y1 (ko) 팁 클램프 기구
KR950006965Y1 (ko) 드로우어웨이팁의 클램프기구
JPH027535Y2 (ko)
JP3414641B2 (ja) チャック
JPH0744401Y2 (ja) チツプクランプ機構
JP2513074Y2 (ja) ソケットレンチ
JP2000246514A (ja) スローアウェイ式バイトのクランプ構造
JP2503842B2 (ja) カッタ締結機構
JPS6021142Y2 (ja) 工具ホルダ取付装置
JPH0724612A (ja) 切削工具などの取付け構造
KR920007063Y1 (ko) 머리부분부착 · 이탈형 절삭공구
JP2000296402A (ja) スローアウェイ式バイトのクランプ構造
JPH045209Y2 (ko)
JP2004116095A (ja) 物品の取付具
JPH0112894Y2 (ko)
JP2577931Y2 (ja) バイトのクランプ用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