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063Y1 - 머리부분부착 · 이탈형 절삭공구 - Google Patents
머리부분부착 · 이탈형 절삭공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20007063Y1 KR920007063Y1 KR2019870008123U KR870008123U KR920007063Y1 KR 920007063 Y1 KR920007063 Y1 KR 920007063Y1 KR 2019870008123 U KR2019870008123 U KR 2019870008123U KR 870008123 U KR870008123 U KR 870008123U KR 920007063 Y1 KR920007063 Y1 KR 92000706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d
- tool body
- tool
- convex
- cutt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04—Tool holders for a single cutting tool
- B23B29/06—Tool holders equipped with longitudinally-arranged grooves for setting the cutting too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04—Tool holders for a single cutting tool
- B23B29/12—Special arrangements on tool hold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10/00—Details of turning tools
- B23B2210/08—Tools comprising intermediary tool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제6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으로서, 제1도는 머리부분부착·이탈형 절삭공구의 일부를 단면에서 본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B-B선 사시도.
제4도는 공구의 우측면.
제5도는 제2도의 C-C 단면도.
제6도는 제3도의 D-D 단면도.
제7도는 제8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으로서, 머리부분부착·이탈형 절삭공구의 일부를 단면에서 본 중요부분 평면도.
제10도-제12도는 종래의 머리부분부착·이탈형 절삭공구를 표시하는 도면으로서, 제10도는 평면도.
제11도는 좌측면도.
제12도는 일부를 단면에서 본 중요부분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절삭날 14 : 공구본체
15 : 머리부분 20 : 볼록한부분
30 : 오목한부분
본 고안은, 공구본체에 절삭날을 보유하는 머리부분을 부착, 이탈이 자유자재롭게 부착하여서된 머리부분부착·이탈형 절삭공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드릴, 바이트등 절삭공구의 한 종류로서 절삭날을 보유하는 절삭공구본체의 일부(머리부분)가 절삭공구본체에 붙였다. 떼었다하는 것이 자유자재롭게 고정된 머리부분부착·이탈형 절삭공구가 제안되고 있다.
이 종류의 머리부분부착. 이탈형 절삭공구의 1예를 제10도-12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들도면에 있어서, 부호(1)은 절삭공구이다.
이 절삭공구(1)는 단면이 구형의 기둥형상을 이루는 공구본체(2)의 앞쪽끝에 절삭날(3)을 고정한 머리부분(4)을 붙였다. 떼었다하는 것이 자유자재롭게 고정하여서 이루어진것이다.
공구본체(2)의 내부에는, 공구본체(2)의 축선방향에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삽입하여 통과한 인입체(引迅休)(5)가 설치되어있다.
이 인입체(5)의 뒷부분 바깥둘레면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가 형성된 부분의 일부는 공구본체(2)의 뒷쪽끝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이 돌출한 부분에는 넛트(6)가 나사로서 고정하여 부착되어 있다.
인입체(5)의 앞부분은 공구본체(2)의 앞쪽끝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이 돌출된 앞쪽끝부분은 원주형상으로 부풀어서 끼워맞춤 오목한 부분(7)을 형성하고 있다.
이 끼워맞춤 오목한 부분(7)은 상기한 넛트(6)를 회동시키므로서, 공구본체(2)의 축선에 따라서 이동시킬수 있도록 되어있다.
공구본체(2)의 앞쪽끝부분에는 ㄷ자형상으로 중앙이 절결된 끼워 맞춤 오목한 부분(8)이 형성되어있음과 아울러, 공구본체(2)에 고정되어 있는 머리부분(4)의 아래면에 맞닿고, 이를 지지하는 위치결정부재(9)가 볼트(10)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머리부분(4)은 그 앞쪽끝에 절삭날(3)이 고정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뒷쪽끝에는 상기한 끼워맞춤 오목한부분(8)내에 끼워져 눌려지는 끼워맞춤 오목한 부분(11), (11)과, 이 끼워맞춤 오목한부분(11), (11)사이에 상기 끼워맞춤 오목한부분(7), (7)과 끼워맞추어지는 끼워맞춤 오목한 부분(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머리부분부착·이탈형 절삭공구(1)와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절삭날(3)의 교환등의 작업상의 형편에 의해서, 공구본체(2)에서 머리부분(4)을 벗겨내고. 이것을 재차 공구본체(2)에 부착함에는, 먼저, 공구본체(2)의 뒷쪽끝에 있는 넛트(6)를 회동시켜서 공구본체(2)의 앞쪽끝에 끼워맞춤 볼록한 부분(7)을 돌출시켜둔다.
다음에 머리부분(4)의 뒷쪽끝을 공구본체(2)의 앞쪽끝으로 돌출시켜서 맞춘다.
공구본체(2)의 앞쪽끝으로 돌출한 끼워맞춤 볼록한 부분(7)은 머리부분(4)의 뒷쪽끝에 있는 끼워맞춤 볼록한 부분(11), (11)을 눌러 개방하면서 삽입되어서 끼워맞춤 오목한 부분(12)안으로 끼워맞추어진다.
이와 동시에 끼워맞춤 볼록한 부분(11), (11)은 공구본체(2)의 끼워맞춤 오목한 부분(8)안으로 끼워맞추어진다.
또 머리부분(4)의 아래면은 위치결정부재(9)에 맞닿는다.
다음에 공구본체(2)의 뒷쪽끝에 넛트(6)를 회동하여 끼워맞춤 볼록한부분(7)을 공구본체(2)쪽으로 후퇴시키고, 머리부분(4)의 뒷쪽끝을 공구본체(2)의 앞쪽끝으로 맞닿게 한다.
상기와 같은 조작에 의해서, 머리부분(4)은 공구본체에 고정된다.
공구본체(2)에서 머리부분(4)을 떼어낼때에는 넛트(6)를 회동하여 끼워맞춤 볼록한 부분(7)을 공구본체(2)로부터 돌출시킨후 머리부분(4)을 공구본체에서 잡아당겨서 떼어낸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머리부분부착·이탈형 절삭공구(1)는 머리부분 끼워맞춤 오목한 부분(12)에 끼워맞춤 볼록한 부분(7)을 끼워 넣고, 이것을 공구본체(2)에 집어넣으므로서, 머리부분(4)의 뒷쪽끝과 공구본체(2)의 앞쪽끝과 맞닿음과 아울러, 머리부분(4)의 아래면과, 위치결정부재(9)와 맞닿아서 머리부분(4)이 일정한 위치에서 공구본체(2)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따라서, 이 공구에서는 머리부분(4)의 비틀림 및 상하좌우 어느쪽에 대해서는 강한 반항력을 얻을 수 없기때문에 절삭작업시 등에서 머리부분(4)에 강한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면서 머리부분(4)의 위치가 밀리고, 절삭칫수에 오차가 생기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머리부분(4)을 공구본체(2)에 고정할때에 끼워맞춤 볼록한 부분(7)은 끼워맞춤 볼록한 부분(11), (11)을 밀어 열어서 끼워지기 때문에 끼워맞춤 볼록한 부분(11), (11)의 탄성변형이 어려운 견고한 것으로 구성하면, 끼워맞춤 볼록한 부분(7)을 삽입하기가 어렵고, 끼워맞춤 볼록한 부분(11), (11)을 탄성변형하기 쉬운 것으로 구성하면, 머리부분(14)과 공구본체(2)와의 고정력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머리부분부착·이탈형 공구에 있어서, 공구본체와 머리부분과의 사이의 맞춤면 중 한쪽의 맞춤면위에 복수개의 볼록한부분을 형성하고, 다른쪽의 맞춤면위에 상기한 볼록한 부분에 끼워맞추어지는 복수개의 오목한부분을 형성하며, 또한 이들의 볼록한 부분및 오목한 부분을 서로 맞춤면에대해서 화변(花弁)형상으로 되는 위치로 배치하고, 상기한 볼록한 부분을 상기한 오목한 부분내에 끼워 맞추어서 상기한 고정수단에 의해서 머리부분을 공구본체에 부착·이탈이 자유자재롭게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1도-제6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서 부호(13)은 머리부분부착·이탈형 절삭공구이다.
이 절삭공구(l3)는 원주형상을 이루는 공구본체(14)의 앞쪽끝부분에 절삭날(3)을 고정한 머리부분(15)를 붙였다·떼었다하는 것이 자유자재롭게 고정한 것이다.
머리부분(15)은 원주형상을 이루고, 그 뒷쪽끝 가운데에는 이 머리부분(15)의 축선방향에 따라서 부루스터스(brewster's)(16)가 나사로서 고정되어 있다.
부루스터스(16)의 가운데부분에는 플랜지(17)가 형성되어있으며, 이 플랜지(17)은 부루스터스(16)를 머리부분(16)에 나사로서 고정하는 것에 의해서 머리부분 뒷쪽끝면에 맞닿도록 되어있다.
부루스터스(16)의 뒷부분에 있는 머리부분(18)은 인입체(19)(그 상세한 내용은 후술함)에 걸어 맞추어지도록 되어있다.
머리부분(15)뒷쪽끝의 플랜지(17)의 주위에는 머리부분(15)의 축선을 따라서 돌출하는 거의 반원형의 기둥모양을 이루는 4개의 볼록한 부분(20), (20)…이 형성되어 있다.
이 4개의 볼록한부분(20), (20)…은 플랜지(17)의 주위에 화변형상으로 되는 위치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설치되어있다.
볼록한부분(20)은 그 횡단면형상이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끝이 좁아지는 V자형상으로 형성되어있다.
공구본체(14)의 내부에는 그 축선방향에 따라서 안내구멍(21)이 형성되고, 이 안내구멍(21)에는 인입체(19)가 설치되어있다.
인입체(19)는 공구본체(14)의 앞쪽끝에 교지부(止部)(22)를 향한 콜릿척(23)과, 공구본체(14)의 뒷쪽끝 회동이 자유자재롭게 고정된 너트(24)와 한쪽끝이 콜릿척(23)과 끼워맞추어지고, 다른쪽끝이 넛트(24)안에 나사로서 부착하는 트로퍼(trop) (25)로서 이루어진것이다.
넛트(24)의 뒷쪽끝면 둘레가장자리 부분에는 공구본체(14)의 뒷쪽끝에 볼트(26), (26)…으로 고정된 커버(27)의 일부가 맞닿고, 넛트가 불필요하게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공구본체(14)의 앞쪽끝에 위치하는 안내구멍(21)의 일부에는 그 구멍의 칫수가 다른부분보다 크게된 큰지름부분(28)이 형성되어있다.
콜릿척(23)은 안내구멍(21)내를 공구본체(14)의 앞쪽끝으로 이동하여 그 교지부(22)가 큰 지름부분(28)에 들어가면 교지부(22)가 열린상태로 된다.
트로퍼(25)의 가운데부분에는 키이(29)가 맞닿아 접합하고, 넛트(24)의 회동에 의해서 트로퍼(25)가 함께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인입체(19)는 넛트(24)를 회동하는 것에 의해서 트로퍼(25)의 한쪽끝에 끼워 맞추어져서 콜릿척(23)을 안내구멍(21)에 공구본체(14)의 축선방향에 따라서 전후로 이동시키며, 교지부(22)가 상기한 부루스터스(16)의 머리부분(18)을 교지한다던가 혹은 교지하고 있던 머리부분(18)을 떨어지게하는 조작이 될수있도록 되어있다.
공구본체(14)의 앞쪽끝에는 상기한 볼록한부분(20), (20)…에 끼워맞추어지는 4개의 오목한부분(30), (30) 이 형성되어있다.
이 오목한부분(30)은 그 횡단면 형상이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볼록한 부분에 대응하는 V자 형상에 절결형성되어있다.
상기한 절삭공구(13)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절삭날(3)의 교환등의 작업상의 형편에 의해서 공구본체(14)에서 머리부분(15)을 떼어내고, 이것을 재화공구본체(14)에 부착함에 있어서는, 우선 공구본체(14)에 부착함에 있어서는, 우선 공구본체(14)의 뒷쪽끝의 넛트(24)를 회동시켜서 콜릿척(23)이 열린상태로 한다.
다음에 머리부분(15)의 뒷쪽끝을 공구본체(14)의 앞쪽끝에 맞춘다.
머리부분(15)의 뒷쪽끝의 볼록한부분(20), (20) …은 공구본체 (14) 의 앞쪽끝의 오목한부분(30), (30)내에 끼워넣는다.
부르스터스(16)의 머리부분(18)은 콜릿척(23)의 교지부(22)에 걸어맞춘다.
다음에 넛트(2)를 회동시켜서 콜릿첫(23)을 뒷방향으로 향하여 집어넣는다.
콜릿척(23)의 교지부(22)는 부루스터스(16)의 머리부분(18)을 교지하여 이것을 뒷쪽으로 집어넣는다.
볼록한부분(20), (20) …의 경사면(31a) (31a)…은 오목한 부분(30), (30)…의 경사면(31b) (31b)…에 맞닿는다.
상기한 바와 같은 조작에 의해서 머리부분(15)은 공구본체(14)에 고정된다.
공구본체(14)에서 머리부분(15)을 떼어낼때에는 넛트(24)를 회동해서 콜릿척(23)의 교지부(22)를 연다음 머리부분(15)을 공구본체(14)에서 잡아당겨서 떼어낸다.
상기한 절삭공구(13)는 머리부분(15)의 뒷쪽끝에 4개의 볼록한부분(20)(20)…을 형성하고, 공구본체(14)의 앞쪽끝에 이 볼록한부분(20)(20)…에 끼워맞추어지는 오목한부분을 (30)(30)…을 형성하고, 이 오목한부분(20)(20)을 오목한부분(30)(30)내에 끼워넣고, 인입체(19)에 의해서 머리부분(15)과 공구본체(14)를 고정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따라서, 이 절삭공구(13)은 머리부분(15)의 비틀림 및 상하좌우의 밀림에 대해서 강한 반항력을 얻을수 있고, 머리부분(15)의 위치가 밀려남에 따라서 생기는 절삭칫수의 오차발생을 생기기 어렵게 할수가 있었다.
또 볼록한부분(20)(20)을 오목한부분(30)(30)…에 끼워맞추는 것에 의해서 머리부분(15)에 대한 비틀림 및 상하좌우에의 밀림을 방지할수가 있으므로, 머리부분(15)과 공구본체(14)와의 고정수단을 머리부분(15)을 공구본체(14)쪽으로 집어넣던가, 혹은 머리부분(15)을 공구본체(14)에 밀어붙이는 구성의 것으로도 좋기때문에 고정수단을 간략한 구성으로 할수가 있고, 머리부분(15)과 공구본체(14)와의 고정조작을 쉽게 할수가 있다.
도 볼록한부분(20) (20) …의 경사면(31a) (31a) 과 오목한부분(30) (30)…의 경사면(31b) (31b) 이 맞닿으므로 인입체(19)를 조작하여서 머리부분(15)과 공구본체(14)를 고정하는 조작중에 머리부분(15)의 고정위치가 밀려나는 것을 방지할수가 있다.
제7도 및 제8도는 본고안의 제2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는 볼록한부분(20) 및 오목한부분(30)의 횡단면 형상이 V자형상이였으나, 이 실시예에서는 볼록한부분(20) 및 오목한부분(30)의 횡단면형상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머리부분(15)의 위치가 밀려남으로 인하여 생기는 절삭칫수의 오차 발생이 생기기 어렵게된다.
머리부분(15)과 공구본체(14)와의 고정수단을 간략하게 할수 있는 등 상기 제2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수 있다.
제9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는 볼록한부분(20)(20)…의 경사면(31a)(31a)…과 오목한부분(30)(30)…의 경사면(31b)(31b)이 맞닿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볼록한부분(20)(20)… 혹은 오목한부분(30)(30)…의 위치를 조정해서 머리부분(15)과 공구본체(14)를 고정할때에 볼록한부분(20)(20)…의 경사면(31a)(31a)과 오목한부분(30)(30)…의 경사면(31b)(31b)이 맞닿음과 아울러, 머리부분(15) 뒷쪽끝면과 공구본체(14)앞쪽끝면과의 서로의 끼워맞추어지는 단면이 맞닿는 구성으로 한것이다.
이 실시예의 절삭공구(13)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특히 머리부분(15)과 공구본체(14)가 맞닿는 면적이 크므로 절삭작업시 등에서 발생하는 강한 진동에 의해서 두부(15)에 발생하는 동요에 대하여서도 강한 반항력이 얻어지고, 절삭작업시에서의 머리부분(15)의 위치안정성을 일층 향상시킬수가 있다.
그리고,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머리부분(15)의 뒷쪽에 볼록한부분(20)(20)을 형성하고, 공구본체(14)의 앞쪽끝에 오목한부분(30)(30)…을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공구본체(14)의 앞쪽끝에 볼록한부분(20)(20)을 형성하고, 머리부분(15)의 뒷쪽끝에 오목한부분(30)(30)…내에 볼록한부분(20)(20)을 끼워넣어서 고정수단에의하여 머리부분(15)을 공구본체(14)에 고정하는 것같과 같은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머리부분(15)과 공구본체(14)와의 고정수단으로서, 머리부분(15)의 뒷쪽끝에 고정한 부루스터스(16)를 공구본체(14)내의 인입체(19)로 집어넣고, 이에 의해서 머리부분(15)과 공구본체(14)를 붙였다·떼었다 하는 것이 자유자재롭게 고정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머리부분(15)과 공구본체(14)가 붙였다·떼었다 하는 것이 자유자재를 고정되는 것이라면 다른 것이라도 좋다.
본 고안의 머리부분부착·이탈형 절삭공구는 공구본체의 앞쪽끝면과, 머리부분 뒷쪽끝과의 어느쪽인가 한쪽에 복수개의 볼록한부분을 형성하고, 다른쪽에 이 볼록한부분에는 끼워지는 오목한부분을 형성하고, 이 오목한부분내에 볼록한부분을 끼워넣고, 고정수단에 의해서 머리부분을 공구본체에 고정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따라서 이 공구는 머리부분의 비틀림 및 상하좌우에의 밀림에 대해서 강한반항력이 얻어지고, 머리부분의 위치가 밀려나는 것에 의해서 생기는 절삭칫수의 오차발생을 생기기 어렵게 할수가 있다.
또 상기한 볼록한부분을 오목한부분내에 끼워맞추어지는 것에 의해서 머리부분에 대한 비틀림 및 상하좌우에의 밀려남을 방지할수가 있으므로 머리부분과 공구본체쪽으로 집어넣는다던가, 혹은 머리부분을 공구본체에 밀어붙이는 구성의 것으로 좋기때문에 고정수단을 간략한 구성으로 할수가 있고, 머리부분과 공구본체와의 고정조작을 쉽게 할수가 있다.
Claims (3)
- 공구본체(14)의 절삭날(3)을 보유하는 머리부분(15)과 이 머리부분(15)을 상기한 공구본체(14)의 앞쪽끝부분에 맞추어서 붙였다·떼었다하는 것이 자유자재로 고정하는 고정방법을 갖추어서 이루어진 머리부분부착·이탈형 절삭공구에 있어서, 상기한 공구본체(14)와 상기한 머리부분(15)의 서로의 맞춤 면중에서 한쪽의 맞춤면위에 복수개의 볼록한부분(20)(20)…을 형성하고, 다른쪽 맞춤면위에 상기한 볼록한부분(20)(20)…에 끼워맞춤되는 복수개의 오목한부분(30)(30)…을 형성하고, 또한 이들의 볼록한부분 및 오목한부분을 서로의 맞춤면에 대하여 화변형상으로되는 위치관계로 배치하여서되며, 상기한 볼록한부분(20)을 상기한 오목한부분(20)내에 끼워넣어서, 상기한 고정방법에 의해서 머리부분(15)을 공구본체(14)에 부착·이탈이 자유롭게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부분부착·이탈형 절삭공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볼록한부분(20) 및 오목한부분의(30) 횡단면 형상이 V자형등의 비원호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머리부분부착·이탈형 절삭공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볼록한부분(20) 및 오목한부분의(30) 횡단면 형상이 원호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머리부분부착·이탈형 절삭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986123185U JPS6330407U (ko) | 1986-08-11 | 1986-08-11 | |
JP61-123185(U) | 1986-08-1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80004290U KR880004290U (ko) | 1988-05-07 |
KR920007063Y1 true KR920007063Y1 (ko) | 1992-10-02 |
Family
ID=14854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70008123U KR920007063Y1 (ko) | 1986-08-11 | 1987-05-25 | 머리부분부착 · 이탈형 절삭공구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S6330407U (ko) |
KR (1) | KR920007063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791826B2 (ja) * | 2006-01-06 | 2011-10-12 | オーエスジー株式会社 | 刃具交換式回転工具、その刃具交換式回転工具に用いられる交換刃具およびホルダー |
-
1986
- 1986-08-11 JP JP1986123185U patent/JPS6330407U/ja active Pending
-
1987
- 1987-05-25 KR KR2019870008123U patent/KR92000706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S6330407U (ko) | 1988-02-27 |
KR880004290U (ko) | 1988-05-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641929B2 (ja) | 穴あけ・たがね工具用工具ホルダー及び工具 | |
KR100590625B1 (ko) | 툴홀더 조립체 | |
JP3657613B2 (ja) | 穿孔用フライス削り工具 | |
JP4280457B2 (ja) | ねじ保持形ドライバービット及びねじとの組合せ | |
JP2009262323A (ja) | 金属切削差込工具を保持する工具ホルダ | |
JPS6210672B2 (ko) | ||
JP2515746B2 (ja) | 工作機械のクランプジヨ−急速交換装置 | |
US4585380A (en) | Tool attaching device in a machine tool | |
KR920007063Y1 (ko) | 머리부분부착 · 이탈형 절삭공구 | |
KR101844373B1 (ko) | 가공용 지그 조립체 | |
JP2013059988A (ja) | 動力工具用コアビット組 | |
JP3337215B2 (ja) | 切削機械加工用工具 | |
JPH09141607A (ja) | ルータコレットアセンブリ | |
CA1205621A (en) | Quick-change tool | |
JPH02124204A (ja) | 工具取付構造 | |
KR101221509B1 (ko) | 커터 공구 | |
JP2001515795A (ja) | 切り屑を除去する機械加工用の工具 | |
KR940004345Y1 (ko) | 드로우 어웨이식 커터 | |
JPS6315022Y2 (ko) | ||
FR2429646A1 (fr) | Dispositif de fixation d'un outil dans une position d'usinage determinee | |
WO2013073690A1 (ja) | 切削工具及び該切削工具に用いられる切削インサートのクランプ機構のための回転部材 | |
KR100296445B1 (ko) | 작은 구멍의 내경 가공을 위한 인덱서블 보링공구 | |
SU1255291A1 (ru) | Резцедержатель | |
CN220006027U (zh) | 一种槽加工刀具 | |
CN215548300U (zh) | 刀头齿轮箱传动组件拆卸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60904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