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847B1 - 혼화성 중합체 혼합물 - Google Patents

혼화성 중합체 혼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847B1
KR940004847B1 KR1019880011517A KR880011517A KR940004847B1 KR 940004847 B1 KR940004847 B1 KR 940004847B1 KR 1019880011517 A KR1019880011517 A KR 1019880011517A KR 880011517 A KR880011517 A KR 880011517A KR 940004847 B1 KR940004847 B1 KR 940004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olymer
general formula
mixture
mon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1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5210A (ko
Inventor
지올 베르너
테르브락 울리히
Original Assignee
룀 게엠바하
부크, 헤틀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룀 게엠바하, 부크, 헤틀러 filed Critical 룀 게엠바하
Publication of KR890005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8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25/00Synthetic resins or natural rubbers -- part of the class 520 series
    • Y10S525/931Blend of stated incompati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29Bicomponent, conjugate, composite or collateral fibers or filaments [i.e., coextruded sheath-core or side-by-side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28Ester, halide or nitrile of addition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혼화성 중합체 혼합물
본 발명은 두가지 이상의 상이한 중합체 성분을 포함하는 혼화성 중합체 혼합물(compatible polymer blends)에 관한 것인데, 여기서 하나의 중합체 성분은 폴리(메틸) 스티렌으로 이루어져 있고 기타의 중합체 성분은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의 삼원 공중합테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상이한 종류의 중합체는 서로 혼화시킬 수 없다. 즉, 상이한 종류의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성분들의 완전 혼화성을 특징으로 하는 균질상의 성분을 형성하지 않고 소량의 성분을 침강시킨다. 이 통례에 대한 특정한 예외는 특히 현상을 이론적으로 해석하는 데에 관심을 갖는 숙련가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중합체들의 완전-혼화성 혼합물은 모든 혼합비에서 완전-용해도(온전-혼화도)를 나타낸다. 혼화성은 종종 유리전이온도 Tg 또는 수위 "광학적 방법(optical method)"(중합체 혼합물의 균질 용액으로부터 주조된 필름의 투명도)을 이용하여 입증해왔다[참조 : Brandrup-Immergut, Polymer Handbook, 2nd. Ed., III, pp. 211-213; Kirk-Othmer, Encyclopaedia of Chemical Technology, 3rd. Ed., Vol. 18, pp. 443-478, J. Wiley & Sons(1982)].
거의 완전한 비-혼화성(incompatibility)의 예는 폴리스티렌 중합체 및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PMMA) 중합체에 의해 제공된다[참조 : O. Olabisi, L.M. Robeson, M.T. Shaw, Polymer-Polymer Miscibility, Academic Press(1979), pg. 4ff].
폴리스티렌, 폴리-m-메틸스티렌 및 폴리-p-메틸 스틸렌은 폴라사이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에 대한 혼화성이 크다[참조 : 미공개 독일연방공화국 특허원 제P 36 32 369.1호 및 제P 36 38 443.7호]. 그러나, 기타의 지방족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와의 혼화성은 밝혀진 바 없다. 그러나, 사이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와 어느정도 공중합시킬 경우, 혼화성이 다소 있음이 밝혀졌다. 이 발견은 순수한 폴리사이클로 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가 취화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산업적인 적용 관점에서 특히 유용하다.
스티렌 또는 이의 유도체의 중합체와 폴리사이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의 혼화성 혼합물의 용도 특성은 폴리사이클로 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에 의해 제공되는 취화성으로 인하여 전적으로 만족스럽지는 못하다. 놀랍게도, 사용된 공단량체가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만이 아니고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또는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와 장쇄-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특히 알킬부위의 탄소수가 4 내지 18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와의 혼합물인 경우, 취화 성분 사이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의 비율은 실제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해 밝혀졌다.
하나의 양태로, 본 발명은
(A) 하기 일반식(I)의 단량체로부터 합성시킨 중합체 0.1 내지 99.9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9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중량%, 및
(B) (a) 사이클로헥시메트아크릴레이트 5 내지 40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중량%; (b) 하기 일반식(II)의 단량체 30 내지 70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중량%; 및 (c) 하기 일반식(III)의 단량체 10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중량%, 및 임의로 (d)성분 (a) 내지 (c)에 따른 단량체와 공중합시킬 수 있으나 이와는 상이한 또 다른 단량체 0 내지 10중량%로부터 합성시킨 공중합체 99.9 내지 0.1중량%,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20중량%를 함유하는 혼화성 중합체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상기식에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그룹이고, R2는 메틸 또는 에틸그룹이며, R3은 탄화수소, 바람직하게는 C4-18알킬그룹이다.
단량체(a) 내지 (d)의 중량의 합은 100중량%가 바람직하다.
특히, R2가 메틸인 혼합물이 중요하며, 일반식(III)에서 R3이 선형 C4-18알킬그룹이거나 환의 탄소수가 4 내지 18인 임의로 치환된 사이클로알킬그룹(여기서, 사이클로헥실은 제외된다)인 혼합물도 또한 중요하다.
사이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함량이 동일한 본 발명의 중합체 혼합물은 단지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와 사이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로부터 합성된 이원 공중합체보다 혼화성이 상당히 우수하다. 한편, 동일한 한계 조건하에서 중합체 혼합물은 이원 공중합체와의 혼합물보다 상당히 높은, 일반적오로는 약 50 내지 150℃의 저임계 용해 온도 (LCST, 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는 중합체 혼합물을 정의하자면 혼화성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중합체 화학의 실시양태에서의 통상적인 기술 및 정의에 따르면, 용어 "혼화성 혼합물"은 거시적으로 단일상 재료의 특성을 나타내는 안정한 균질성 혼합물을 의미한다[참조 : Kirk-Othmer, Vol. 18, loc cit. pg. 446, 457-460; Brandrup & Immergut, "Polymer Hand-book"loc. cit. III, p. 211].
표준문헌에 따라 혼화성에 대한 기준은 다음과 같다.
(I) 유리전이온도 Tg의 측정
중합체 성분이 "차동주사 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팽창계, 유전성 분광기 또는 방사-발광성 분광기에 의해 차동시키기에 충분히 상이한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경우, 존재하는 모든 혼화성은 중합체 성분 각각의 Tg 이동 또는 Tg 상실에 의해 나타날 것이다[참조 : Olabisi등, "Polymer-Polymer Miscibility", loc. cit. p. 21, p. 123].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혼합물에서의 유리전이온도는 120℃ 미만, 특히 100℃ 미만이다.
(II) 광학적 방법
이 방법에서는 필름을 중합체 성분의 균질용액으로부터 주조하고 건조시키는데, 확대경하에서 조차 광학적으로 감지가능한 비균질성을 나타내어서는 안된다.
(III) 상이한 중합체의 혼화성의 추가시험으로서, 저임계 용해온도(LCST)의 유발을 이용한다[참조 : 독일 연방공화국 특허원 제34 36 476.5호 및 제34 36 477.3호].
LCST의 유발은 가열시 투명하고 균질한 중합체 혼합물이 상으로 분리되고 광학적으로 혼탁화됨으로써 불투명하게 된다는 사실을 근거로 한다. 이러한 작용은 원래의 중합체 혼합물이 평형상태의 단일의 균질상으로 이루어진다는 문헌에 따른 명백한 증거로 입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혼합물에서 관찰되는 개선된 혼화성은 통상적으로 중합체 혼화성에 상당히 악영향을 미치는 쇄 이동성(chain mobility)이 증가하는 경우(예 : 아크릴레이트를 공단량체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오히려 보다 더 좋아진다.
일반식(I)의 단량체로부터 합성되는 중합체는 일반식(I)의 단량체를 공지된 방법으로 중합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참조 : R. Vieweg, G. Daumiller, Kunststoff-Handbuch, Vol, V, "Polystyrol", C.Hanser-Verlag(1969); Ullmann's Encyclopadie der Techn. Chemie, 4th. Ed., Vol. 19, p. 265, Verlag Chemie; Houben-Weyl, 4th, Ed., Vol XIV/1, Georg Thieme(1961), pp. 753-841].
스티렌을 라디칼-, 음이온-, 양이온- 또는 배위- 중합시킬 수 있으나, 라디칼 중합반응이 바람직하다.
중합반응은 열, 바람직하게는 라디칼 개시제를 첨가함으로써 개시시킬 수 있다. 대부분의 산업생산은 괴상(mass) 중합반응 또는 현탁 중합반응에 의한 것이다. 사용가능한 개시제는 통상적인 개시제[예 : 아조 화합물 또는 과-화합물], 임의로는 산화-환원(redox) 개시제이며, 개시제의 양은 일반적으로 단량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5 내지 2중량%이다. 개시제를 적합하게 선택함으로써, 전체 온도범위에 걸쳐 적합한 중합반응 속도로 수행할 수 있다. 선행기술에 의하면, 사용된 일반식(I)의 단량체로부터 합성된 중합체의 질은 본 발명의 수행용이성 및 유리한 효과에 있어 비제한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예를 들면, 분자량이 10,000 내지 1,000,000인 폴리스티렌을 사용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로부터 합성된 공중합체는 공지된 방법으로 통상적인 라디칼- 또는 그룹-전이 중합반응에 의해 (a), (b) 및 (c), 및 임의로 (d)에 따른 단량체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참조 : H. Rauch-Puntigam Th. Volker, Acryl-und Methacrylver-bindungern, Springer-Verlag(1967) ; Houben- Weyl, 4th. Ed., Vol. XIV/1 loc. cit. p. 1010ff]. 중합반응은 괴상, 현탁 또는 용액 중합반응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라디칼 중합체의 경우 통상적인 라디칼 개시제[예 : 과산화물, 특히 유기 과산화물(예 : 디벤조일 과산화물 또는 디라우로일 과산화물), 아조 혼합물(예 : 아조디이소부티로니트릴)], 임의로는 산화-환원 개시제를 통상적으로는 약 0.01 내지 2중량%(단량체 기준)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참조 : Rauch-Puntingam loc. cit., D.W. Wood, R.N. Lewis, Plastics Engineering(May 1975). pp. 51-53]. 그러나, 출발 라디칼은 또한 고-에너지 방사선에 의해 제공할 수 있다.
사용되는 조절제는 예를 들어 통상적인 홍-조절제, 특히 머캅토 화합물일 수 있다. 본 연구에 따르면, 메크 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의 분자량은 혼화성을 제한하는영향을 미치지는 않은 것으로 명백하게 밝혀졌다. 통례에 의하면, 중합체의 분자량이 증가하는 경우, 상이한 중합체와의 혼화성은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공중합체의 분자량 Mw(광-산란에 의해 측정)는 편리하게는 5,000 내지 1,000,000, 바람직하게는 10,000 내지 200,000이다. 비-균질도는 일반적으로 0.1 내지 10 이다.
(c)에 따르는 다량체의 예는 특히 선형 알킬 에스테르, 특히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라우릴, 테트라데실, 헥사데실, 및 옥타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사이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가 아닌, 임의로 치환된 C5-15사이클로 알킬 에스테르를 (c)에 따른 단량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임의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중량부, 특히 2 내지 5중량부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는 공중합체의 예에는 하기 일반식(IV)의 단량체가 포함된다.
Figure kpo00004
상기식에서, R은 수소원자 또는 -CH3그룹이고, Q는 그룹 -COOR4[여기에서, R4는 수소원자 또는 양이온 M, 특히 알칼리 금속 양이온(예 : 나트륨 또는 칼륨) 또는 암모늄 양이온, 바람직하게는 말단 위치에서 하이드록시그룹 또는 그룹 -NR5R6(여기에서 R5및 R6은 각각 C1-6알킬그룹이거나, 질소와 함께 5원- 또는 6원-환을 형성한다)에 의해 치환된 C1-6알킬그룹이거나; R이 수소원자인 경우에 R4는 C1-24알킬그룹, 바람직하게는 C1-8알킬그룹이다]; 그룹
Figure kpo00005
(여기에서 R7은 C1-3알킬그룹이다); 또는 페닐그룹이다.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또는 이의 염, (메트) 아크릴산의 하이드록시알킬에스테르, 및 (메트) 아크릴산의 아미노알킬 에스테르를 예시할 수 있다.
혼화성 환합물은 각종 방법[예 : 성분(A)와 성분(B)를 용융상태로 압출기에서 강하게 기계-혼합시키는 방법 등]으로 제조할 수 있거나 통칭 "용액-주조 폴리블렌드(solution cast polybend)"로서 통상의 용매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참조 : Kirk-Othmer, "Encyclo-paedia of Chemical Technology" 3rd. Ed., Vol. 18, pp. 443-478, J. Wiley(1982)]. 또한, 중합체(A)를 다른 중합체(B)의 단량체 혼합물에 용해시킨 다음, 중합체(A)의 존재하에서 중합체(B)를 제조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중합체(A)는 또한 중합체(B)의 존재하에서 제조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중합체 혼합물 PM은 통상적인 침전체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혼합 유형에는 제한이 없다.
일반적으로 성분(A)와 성분(B)의 혼합물은, 예를 들어 천천히 작동하는 혼합기[예 : 드럼, 회전바퀴 또는 2실-보습(double chamber ploughshare) 혼합기]를 사용하여 비이드 중합체 또는 과립 형태의 고체로부터 출발시켜 초기에 생성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천천히 작동하는 혼합기는 일반적으로 상-한계점(phase limit)을 이동시키지 않으면서 기계적으로 혼합시킬 수 있다[참조 : Ullmanns Encyklopadie der Technischen Chemie, 4th, Ed., Vol. 2, pp. 282-311, Verlag Chemie)]. 연속적으로, 열가소성 제법은 적합한 온도(예 : 150 내지 300℃)에서 혼련기, 바람직하게는 압출기(예 : 모노- 또는 멀티-스크류 압출기), 임의로는 진동 스크류 및 전단 편이 정착된 압출기(예 : BUSSCO 혼련기)에서 가열성 혼합기를 사용하여 용융상태로 균질하게 혼합시켜 수행한다.
상기한 방법을 이용하여, 크기가 균일한 과립(예 : 고온입자, 주사위-형 입자, 환형 그레인 등)을 제조할 수 있다. 과립의 입자크기는 2 내지 5㎜인 것이 편리하다. 폴리블렌드를 제조하는 또 다른 간단한 방법은 중합체 성분(A)를 함유하는 중합체 분산액과 중합체 성분(B)를 함유하는 중합체 분산액을 혼합시키는 것이다 상기한 분산액 혼합물을 압출기에서 함께 응고, 분무-건조 또는 압축시킬 수 있다. 한편, 분산액 혼합물은 또한 함께 건조시켜 필름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혼합물의 조성에 대해 주어진 수는 중합체 혼합물을 실제로 사용하는 경우에 공지된 첨가제(예 ; 가소제, 염료 및 안료), 충전제, 윤활제 및 안정화제를 첨가할 수 있다는 사실을 고려하지 않은 수이다.
사용가능한 첨가제에는 일반적으로 하기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안정화제, 보조제, 가소제, 충전제, 증강제 및 염료이다[참조 : "Taschenbuch der Kunststoff-Additive", R. Gachter & H. Muller, Carl Hanser Verlag, Munich & Vienna]. 상기 문헌에 있어서, 특히 제3장을 참고로 한다[참조 : "Light stabilisers for thermoplastic plastics", pp. 101-198]. 적합한 안정화제는 특히 하기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다[참조 : Ullmann's Encyklopadie der Techn. Chemie, 4th, Ed., Vol. 15, pp. 253-273, Verlag Chemie(1978)]. 사용된 염료는 예를 들어 하기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참조 : Ullmann loc. cit. Vol. 15, pp. 275-279].
중합체 혼합물은 중합체 성분(A) 및 성분(B) 이외에, 성분(A) 및 성분(B)와의 혼화될 수 없는 또 다른 중합체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추가의 중합체 성분에는 편리하게는 고무(예 : 부타디엔 또는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고무(예 : 부타디엔 또는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는 두 중합체 성분중 하나이상의 성분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공유결합될 것이다(예 : 폴리스티렌과 함께 폴리부타디엔). 따라서, 첨가된 중합체와의 혼합물은 통상적으로 2-상 혼합물이다. 하나의 상은 성분(A)와 성분(B)의 혼화성 중합체 혼합물을 포함하며, 다른 하나의 상은 비혼화성 중합체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혼화성 중합체 혼합물은 특히 상응하는 산업적 적용에서 이용하기에 바람직한 하기의 장점을 갖는다(여기서, "폴리스티렌"은 중합체(A)의 예로서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혼화성 혼합물을 폴리스티렌의 적용시 사용할 수 있다) :
(a) 제1의 장점은 중합체 혼합물의 혼화성이다. 이는 비혼화성 중합체 혼합물보다 우수한 광학적 및 기계적 장점을 제공한다.
(b)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는 폴리사이클로 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에 비해 취화성이 상당히 감소되었다. 혼화성은 폴리스티렌 함량이 큰 혼합물에서 특히 양호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려는 공중합체(B)는 폴리스티렌에 얇은 보호성 피복물로 도포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따라서, 폐액의 추가 가공 문제를 상상히 해소시켜 준다.
(c) 폴리스티렌을 공중합체(B)로 도포함으로써, 폴리스티렌의 내용매성에 바람직한 영향을 미치게 될 접착성이 양호한 보호층이 생성된다. 특히 변화된 굴절율로 인하여, 폴리스티렌으로부터 제조된 제품의 투과율이 약2% 정도 증가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스티렌을 공중합체(B), 보다 특정하게는 UV- 안정화제 및 숙성방지제를 함유하는 공중합체(B)로 도포함으로써 폴리스티렌 제품의 내후성 및 통상적인 내구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d) 본 발명을 근거로 하는 발견은 광학적 그래디언트 섬유(gradient fiber)를 제조하기 위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가 폴리스티렌(n20 D=1.59)이고, 케이싱이 공중합체 P2(n20 D=1.49)인 구조를 갖는 그래디언트 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 코어로부터 케이싱까지는 연속적으로 통한다.
(e) 주목할만한 LCST 특성(연구된 모든 중합체 혼합물 시스템에 대해 이미 확인된 바 있음) 때문에, 광학적 스위치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참조 : DE-A 제34 36 476호].
(f) 공중합체(B)를 폴리스티렌용 가공 보조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열안정화 공단량체 1 내지 10중량%, 특히 R이 수소인 것이 바람직한 일반식(IV)의 열안정화공단량체를 추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g)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혼합물을 페인트 섹터(paint sector)에 사용하는 것에 특히 관심이 모아진다. 이 경우에 있어서, 공중합체(B)는 바람직하게는 공단량체(d), 특히 작용성 단량체[예 : (메트) 아크릴산, 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 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트)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메트) 아크릴레이트 등] 형태의 공단량체(d)를 함유한다. 특히 R2가 메틸이고, R3이 n-부틸인 공중합체(B)를 참고로 한다.
(h) 중합체(A) 및 중합체(B) 이외에, 중합체(A) 또는 중합체(B)와 혼화될 수 없는 제3의 중합체를 함유하는 중합체 혼합물이 특히 유용하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저하된 점도 η(spec/c)은 DIN 51 562(용매로서 CHCI3를 사용)에 따라 측정한다. 사용된 중합체 성분(A)는 η(spec/c)이 79㎖/g인 폴리스티렌이다 :
[실시예]
(α)공중합체(B)의 제조방법
교반기가 장착된 용기에서 사이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일반식(II)의 단량체 및 일반식(III)의 단량체, 임의로는 성분(a) 내지 (c)에 따른 단량체와 공중합시킬 수 있으나 이와는 상이한 단량체를 목적하는 비율로 함께 혼합한다(참고 : 하기 표). 교반시키면서 라우로일 과산화물(단량체를 기준으로 하여 0.2중량%), 3급-부틸퍼-2-메틸헥사노에이트(0.1중량%) 및 도데실 머캅탄(약 0.3중량%)을 가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플라스틱 백(훽스트 에이지(Hoechst AG)에 의해 제조된RHOSTAPHAN)에 이동시키고, 밀봉된 백 중에서 하기 방법에 따라 중합시킨다 : 수욕 중 50℃에서 44 내지 65시간 동안 중합시킨 다음, 90℃에서 17시간동안 템퍼링(temper) 시킨다.
(β) 중합체 혼합물의 제조방법
공중합체(B)를 톨루엔 중 20중량%의 양으로 용해시키고 폴리스티렌 용액(톨루엔 중 20중량%)과 혼합시킨다. 혼합물로부터 필름을 주조한다. 이들 필름을 우선 주위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시킨 다음, 50℃에서 진동중에 24시간동안 건조시킨다. 유리-투명 필름의 형성은 혼화성의 지표이다. (α) 및 (β)의 결과는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중합체 혼합물 PM 1은 상기 (α) 및 (β) 방법에 따라 폴리스티렌, 및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데실메트 아크릴레이트 및 사이클로헥시메트아크릴레이트(중량비 : 60/20/20)의 공중합체 P2(ηspec/c=49㎖/g)로부터 제조한다. 탈혼합성(demixing characteristic)은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중합체 혼합물 PM 1은 상기 (α) 및 (β) 방법에 따라 폴리스티렌, 및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 아크릴레이트 및 사이클로헥시메트아크릴레이트(중량비 : 40/20/20)의 공중합체 (ηspec/c=44㎖/g)로부터 제조한다. 탈혼합성은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대조용)
풀리스티렌(ηspec/c=19㎖/g) 및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와 사이클로헥시메트아크릴레이트(중량비 : 80/20)의 공중합체(ηspec/c=18㎖/g)의 중합체 혼합율 PM 3를 제조한다. 탈혼합성은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1]
실시예 1에 따른 중합체 혼합물 PM의 클라우드점(cloud point)
Figure kpo00006
[표 2]
Figure kpo00007
[표 3]
Figure kpo00008
상기 표에서와 같이, 폴리스티렌과 이원 공중합체의 혼합물은 분자량이 상당히 낮음(J=79, 44 또는 49㎖/g과 비교하여 18 또는 19㎖/g)에도 불구하고, 상응하는 본 발명에 따른 삼원공중합체(B)와의 혼합물보다 실제로 낮은 혼화성을 나타낸다.

Claims (6)

  1. (A) 하기 일반식(I)의 단량체로부터 합성시킨 중합체 0.1 내지 99.9중량%, 및 (B) (a) 사이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5 내지 40중량%, (b) 하기 일반식(II)의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30 내지 70중량% ;및 (c) 하기 일반식(III)의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10 내지 50중량% ; 및 임의로는 (d) 성분 (a) 내지 (c)에 따른 단량체와 공중합시킬 수 있으나 이와는 상이한 또 다른 단량체 0 내지 10중량부로부터 합성시킨 공중합체 99.9 내지 0.1중량%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혼화성 중합체 혼합물.
    Figure kpo00009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1
    상기식에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그룹이고, R2는 메틸 또는 에틸그룹이며, R3은 C4-18탄화수소 그룹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저임계 용해 온도(LCST, 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를 갖는 혼화성 중합체 혼합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일반식(II)의 단량체가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인 혼화성 중합체 혼화물.
  4. 제1항에 따른 성분(A)와 (B)를 혼합하여, 제1항에 따른 혼화성 중합체 혼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5. 하기 일반식(I)의 단량체로부터 합성시킨 중합체(A) 0.1 내지 99.9중량%의 표면상에 (a) 사이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5 내지 40중량%, (b) 하기 일반식(II)의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30 내지 70중량% ; 및 (c) 하기 일반식(III)의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10 내지 50중량% ; 및 임의로는 (d)성분 (a) 내지 (c)에 따른 단량체와 공중합시킬 수 있으나 이와는 상이한 또 다른 단량체 0 내지 10중량부로부터 합성시킨 공중합체(B) 99.9 내지 0.1중량%의 부분적 피복물 하나 이상을 포함한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Figure kpo00012
    Figure kpo00014
    상기식에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그룹이고, R2는 메틸 또는 에틸그룹이며, R3은 C4-18탄화수소 그룹이다.
  6. 제5항에 있어서, 성분(A)의 코어 및 성분(B)의 케이싱(casing)을 갖는 그래디언트 섬유(gradient fibre)인 성형품.
KR1019880011517A 1987-09-08 1988-09-07 혼화성 중합체 혼합물 KR9400048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73730026 DE3730026C2 (de) 1987-09-08 1987-09-08 Verträgliche Polymermischungen (II)
DEP3730026.1 1987-09-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210A KR890005210A (ko) 1989-05-13
KR940004847B1 true KR940004847B1 (ko) 1994-06-02

Family

ID=6335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1517A KR940004847B1 (ko) 1987-09-08 1988-09-07 혼화성 중합체 혼합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4892909A (ko)
JP (1) JP2758173B2 (ko)
KR (1) KR940004847B1 (ko)
BE (2) BE1001241A5 (ko)
CA (1) CA1304859C (ko)
DE (1) DE3730026C2 (ko)
FR (1) FR2620126B1 (ko)
GB (1) GB2209527B (ko)
IT (1) IT1223805B (ko)
NL (1) NL19412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10942A1 (de) * 1989-04-05 1990-10-11 Basf Ag Thermoplastische formmasse
DE4040203A1 (de) * 1990-12-15 1992-06-17 Roehm Gmbh Eingetruebte kunststoffelemente
DE4105793A1 (de) * 1991-02-23 1992-08-27 Roehm Gmbh Vertraegliche polymermischungen
DE4231995A1 (de) * 1992-09-24 1994-03-31 Roehm Gmbh Lichtstreuende Polystyrolformmasse und daraus hergestellte Formkörper
DE4233374A1 (de) * 1992-10-05 1994-04-07 Buna Ag Polymerisate breiter Molmassenverteilung mit erhöhter Wärmeformbeständigkeit
DE4327464A1 (de) * 1993-08-16 1995-02-23 Roehm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monodisperser Poly(meth)acrylat-Teilchen
US5588084A (en) * 1995-04-28 1996-12-24 Johnson; Kurtis F. Scintillating optical fibers containing non-uniformly distributed dopants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DE69631740T2 (de) * 1995-12-13 2005-02-10 Mitsubishi Rayon Co., Ltd. Schmiermittel für thermoplastisches Harz
EP2085376B1 (en) 2008-01-30 2012-09-05 Evonik Röhm GmbH Process for preparation of high purity methacrylic acid
US9758636B2 (en) 2014-12-16 2017-09-12 Rebel, Inc. High-transparent, thermoplastically processible polymer compositions
EP3892367A1 (en) 2020-04-09 2021-10-13 Röhm GmbH A tube bundle reactor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methacrylic acid through the partial oxidation of methacrolein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01936A (en) * 1952-12-12 1957-08-06 American Motors Corp Acrylic resins bonded to polystyrene
NL99388C (ko) * 1956-09-28
US3236914A (en) * 1959-05-12 1966-02-22 Canadian Ind Method for rendering polymers compatible
US3619344A (en) * 1969-08-07 1971-11-09 Du Pont Oriented foam laminar structures
US3833404A (en) * 1972-05-31 1974-09-03 Research Corp Vibration or sound damping coating for vibratory structures
US4064099A (en) * 1974-06-06 1977-12-20 Shiseido Company,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a pearly luster
US4350742A (en) * 1979-12-26 1982-09-21 Standard Oil Company (Indiana) Method to adhere acrylic films to styrenic polymers
US4381269A (en) * 1980-11-11 1983-04-26 Nippon Telegraph & Telephone Public Corporation Fabrication of a low-loss plastic optical fiber
DE3436477A1 (de) * 1984-10-05 1986-04-10 Röhm GmbH, 6100 Darmstadt Verglasungen mit temperaturgesteuerter lichtdurchlaessigkeit
DE3436476A1 (de) * 1984-10-05 1986-04-10 Röhm GmbH, 6100 Darmstadt Verfahren zur darstellung optisch ablesbarer information
JPH062792B2 (ja) * 1985-05-10 1994-01-12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用滑剤
US4774291A (en) * 1985-12-26 1988-09-27 Denk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Polymer composition
DE3632369A1 (de) * 1986-09-24 1988-03-31 Roehm Gmbh Vertraegliche polymermischungen (i)
DE3632370A1 (de) * 1986-09-24 1988-03-31 Roehm Gmbh Vertraegliche polymermischungen (ii)
DE3638443C2 (de) * 1986-11-11 1996-04-04 Roehm Gmbh Verträgliche Polymermischungen
JPS63159459A (ja) * 1986-12-23 1988-07-02 Central Glass Co Ltd 樹脂組成物
US4883338A (en) * 1987-10-15 1989-11-28 Hitachi Cable, Ltd. & Hitachi, Ltd. Synthetic resin optical fi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8867798A0 (it) 1988-09-07
IT1223805B (it) 1990-09-29
DE3730026C2 (de) 1996-03-28
FR2620126A1 (fr) 1989-03-10
BE1001241A5 (fr) 1989-08-29
FR2620126B1 (fr) 1991-02-15
US4892909A (en) 1990-01-09
DE3730026A1 (de) 1989-03-16
BE1003993A3 (fr) 1992-09-08
GB8821021D0 (en) 1988-10-05
JPS6470548A (en) 1989-03-16
CA1304859C (en) 1992-07-07
JP2758173B2 (ja) 1998-05-28
NL8802137A (nl) 1989-04-03
GB2209527B (en) 1991-02-27
US4948668A (en) 1990-08-14
GB2209527A (en) 1989-05-17
KR890005210A (ko) 1989-05-13
NL194127B (nl) 2001-03-01
NL194127C (nl) 2001-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08831C (en) Compatible polymer blends
Hughes et al. Heterogeneous polymer systems. I. Torsional modulus studies
KR940004847B1 (ko) 혼화성 중합체 혼합물
JPH059359A (ja) 重合体組成物
Nishimoto et al. Miscibility of polycarbonate with methyl methacrylate-based copolymers
JP2601484B2 (ja) 2種のポリマー成分よりなる相容性のポリマー混合物
KR960005631B1 (ko) 상용성 중합체 혼합물
CA1335011C (en) Compatible polymer blends
US4952455A (en) Compatible polymer mixtures
JP2758172B2 (ja) 相容性のポリマー混合物
JP2839571B2 (ja) 相溶性ポリマー混合物
US5066718A (en) Compatible polymer mixtures
US5237011A (en) Compatible polymer mixtures of polystyrene and polycyclopentyl (meth)acrylate
JPH061903A (ja) 重合体組成物
KR970001716B1 (ko) 두가지 중합체 성분의 혼화성 중합체 블렌드를 형성하는 중합체로부터 제조된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Chong et al. Phase behaviour of blends of poly (tetrahydropyranyl-2-methyl methacrylate) with poly (styrene-co-acrylonitrile) and poly (p-methylstyrene-co-acrylonitrile)
CA2092620A1 (en) Composite articles made of flame-resistant polymerizates
JPS63183948A (ja) 2種類の重合体成分から成る相溶性重合体混合物及びこれを含有する重合体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