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112Y1 - 무선전화기 핸드셑의 밧데리팩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무선전화기 핸드셑의 밧데리팩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112Y1
KR940004112Y1 KR2019910019613U KR910019613U KR940004112Y1 KR 940004112 Y1 KR940004112 Y1 KR 940004112Y1 KR 2019910019613 U KR2019910019613 U KR 2019910019613U KR 910019613 U KR910019613 U KR 910019613U KR 940004112 Y1 KR940004112 Y1 KR 9400041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locking
receiving portion
supply terminal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96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2359U (ko
Inventor
이상희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196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4112Y1/ko
Publication of KR9300123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23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1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1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선전화기 핸드셋의 밧데리팩 고정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밧데리팩 고정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밧데리팩의 설치상태 요부절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밧데리팩의 설치상태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무선전화기 핸드셋 2 : 밧데리팩수납부
10 : 전면 케이스 11 : 안내돌기
12 : 지지편 13 : 걸림홈
20 : 백카바 21 : 받침턱
22 : 격벽 23 : 회로기판
24 : 전원공급단자 30 : 밧데리팩
31 : 걸림부 32 : 걸림돌기
33 : 안내홈
본 고안은 무선전화기의 핸드셋에 결합되는 밧데리팩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전화기의 핸드셋에 설치된 전원공급 단자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밧데리팩의 착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무선 전화기의 핸드셋 밧데리팩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무선 전화기의 핸드셋에 있어서의 밧데리팩 고정장치는 통상적으로 밧데리팩 몸체의 일측부에 걸림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가동체를 별도의 스프링으로 탄지시키고, 무선전화기 핸드셋의 몸체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의 걸림홈을 형성시켜, 상기 가동체의 걸림돌기가 선택적으로 걸림홈에 걸리도록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밧데리팩 고정장치의 구조가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조립성이 나빠 제품의 생산원가가 상승함은 물론,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사기 가동체의 걸림돌기가 마모되어 무선전화기의 핸드셋 몸체에 상기 밧데리 팩을 고정시킬 수 없는 문제점등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무선전화기 핸드셋의 백카바 일측부에 설치되는 전원공급 단자를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 즉, 판스프링이나 코일 스프링등으로 설치하여 밧데리팩의 일측면을 탄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밧데리팩의 타측면에는 전면 케이스에 형성된 걸림홈에 대응되는 걸림돌기를 형성시켜 밧데리팩을 무선 전화기의 핸드셋에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킬 때에는 밧데리팩의 일측면만을 타측부로 누른상태에서 상부로 올리거나 눌러주면 밧데리팩이 고정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밧데리팩의 착탈이 매우 용이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밧데리팩 고정장치는 제1도와 같이 휴대용 무선전화기 핸드셋(1)의 전면 케이스(10)에 결합된 백카바(20)의 일측부를 절개하여 밧데리팩(30)을 장착할 수 있는 밧데리팩 수납부(2)를 형성한다.
받침턱(21)이 일체로 형성된 상기 백카바(20)의 절개부에 형성된 격벽(22)에는 내부의 회로기판(23)과 연결되어 판스프링 및 코일스프링등의 탄성부재로 된 전원공급단자(24)를 설치하여 상기 전원공급단자(24)의 일단 이 밧데리팩 수납부(2)로 돌출되어 소정각도를 이룰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면 케이스(10)의 배면 전후부에는 안내돌기(11)를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그의 일측면에 돌출된 지지편(12)에는 걸림홈(13)을 천공한다.
상기 밧데리팩 수납부(2)에 끼워지는 밧데리팩(30)의 일측부에는 상기 받침턱(21)에 대향되는 걸림부(31)를 형성하고, 그의 타측부에 형성된 탈착홈(34)면에는 상기 걸림홈(13)에 대응되는 걸림돌기(32)를 형성하며, 밧데리팩(30)의 바닥면 전후부에는 상기 안내돌기(11)가 끼워지는 안내홈(33)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3은 도시생략된 아답터의 직류전원 플러그가 끼워지는 콘센트이고, 4는 안테나이며, 5는 버튼이며, 6은 건전지의 + 및 - 단자가 노출되는 구멍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 밧데리팩 고정장치의 작용효과를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무선전화기 핸드셋의 몸체(1)에 밧데리팩(30)를 장착시키기 위해서는 밧데리팩(30)을 제2도의 1점 쇄선과 같이 소정각도로 기울인 상태에서 걸림부(31)가 형성되어 있는 일측부를 백카바(20)의 격벽(22)에 위치시킨 다음 밧데리팩(30)을 제2도의 화살표 A방향으로 약간 밀어주게 되면 건전지 노출구멍(6)이 천공된 밧데리 팩(30)의 일측면이 상기 격벽(22)에 설치되어 일단이 일정각도로 돌설된 전원공급단자(24)를 누르게 되므로 판스프링 또는 코일스프링 등으로 구성되어 도전성이 좋은 전원공급단자(24)의 일단이 격벽(22) 축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발생하며 밀려들어가게 되고, 동시에 상기 백카바(20)의 받침턱(21)에 상기 밧데리팩(30)의 걸림부(31)가 끼워지게 된다.
이와같이 밧데리팩 수납부(2)에서 격벽(22)측으로 밀려져 있는 상기 밧데리팩(30)의 타측을 전면 케이스(10)를 향해 눌러주게 돠면, 상기 전면 케이스(10)에 형성된 안내돌기(11)가 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밧데리팩(30)의 안내홈(33)에 끼워지고 상기 밧데리팩(30)의 타측면에 돌설된 걸림돌기(32)는 전면 케이스(10)의 일측면에 돌설된 지지편(12)의 걸림홈(13)에 위치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A방향으로 밀면서 상부를 누르고 있던 밧데리팩(30)에서 조립자의 손이 떼어지게 되면, 탄성부재로된 전원공급단자(24)에서 소정의 복원력이 발생되므로 A방향으로 밀려있던 밧데리팩(30)은 상기 수납부(2) 내에서 B방향으로 약간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밧데리팩(30)의 일측면에 돌설되어 있는 걸림돌기(32)가 상기 전면 케이스(10)의 지지편(12)에 천공된 걸림홈(19)에 끼워지게 되고, 그의 타측면에 형성된 걸림부(31) 역시 백카바(20)의 받침턱(21)에 걸려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밧데리팩(30)이 휴대용 무선 전화기 몸체(1)에 완벽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밧데리팩(30)에 형성된 안내홈(33)에 끼워지는 전면 케이스(10)의 안내돌기(11)는 밧데리팩(30)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전, 후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빠지는 것을 방지해준다.
또한, 상기에서와 같이 결합한 상태로 장기간 사용하게 되어 밧데리를 교환코자 무선 전화기의 핸드셋(1)으로 부터 밧데리팩(30)을 분리시킬 때에는 밧데리팩(30)을 A방향으로 밀어준다음 밧데리팩(30)만을 들어올리면 된다.
즉, 무선전화기의 핸드셋에 결합되어 있는 밧데리팩(30)을 A방향으로 밀게되면, 탄성부재의 전원공급단자(24)가 수축되는 만큼의 공간이 수납부(2)내에서 밧데리팩(30)의 타측면과 지지편(12)에 생성되므로 밧데리팩(30)의 걸림돌기(32)가 지지편(12)의 걸림홈(13)으로부터 빠지게 되고, 이와같은 상태의 밧데리팩(30)만을 살짝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밧데리 수납부(2)로 부터 밧데리팩(30)이 손쉽게 분리되는 것이다.
따라서 밧데리팩(30)의 착탈을 수회에 걸쳐 반복하더라도 걸림돌기(32)의 마모를 방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별도의 스프링이나 밧데리팩 고정용 가동체를 설치하지 않고도 전원공급 단자에서 발생되는 소정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걸림돌기등의 마모를 사전에 방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조립공정이 매우 간단하여 제품의 생산원가를 절감 및 신뢰도를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는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전면케이스(10)와 백카바(20)로 구성된 무선전화기의 몸체(1)에 밧데리팩 수납부(2)를 형성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백카바(20)에서 밧데리팩 수납부(2)와 경계를 이루는 결벽(22)에는 전원공급단자(24)를 설치하여 일단은 내부회로기판(23)에 연결하고, 그의 타단을 밧데리팩 수납부(2)로 경사지게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밧데리팩(30)이 결합되는 전면 케이스(10)의 밧데리팩 수납부(2) 테두리에는 안내돌기(11)와 걸림홈(13)이 천공된 지지편(12)을 형성하고, 상기 밧데리팩(30)의 일측면에는 상기 격벽(22)의 받침턱(21)에 대응되는 걸림부(31)를 형성하며, 그의 타측면에는 상기 걸림홈(13)에 끼워지는 걸림돌기(32)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 핸드셋의 밧데리팩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단자(24)는 전도성이 좋고,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배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전화기 핸드셋의 밧데리팩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걸림돌기(32)가 형성된 밧데리팩(30)의 타측면은 밧데리팩 수납부(2)에 삽입 및 이탈될때의 이동여유를 위해 오목하게 형성한 착탈홈(34)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 핸드셋의 밧데리팩 고정장치.
KR2019910019613U 1991-11-15 1991-11-15 무선전화기 핸드셑의 밧데리팩 고정장치 KR9400041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9613U KR940004112Y1 (ko) 1991-11-15 1991-11-15 무선전화기 핸드셑의 밧데리팩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9613U KR940004112Y1 (ko) 1991-11-15 1991-11-15 무선전화기 핸드셑의 밧데리팩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2359U KR930012359U (ko) 1993-06-25
KR940004112Y1 true KR940004112Y1 (ko) 1994-06-20

Family

ID=19322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9613U KR940004112Y1 (ko) 1991-11-15 1991-11-15 무선전화기 핸드셑의 밧데리팩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411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2359U (ko) 199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0124B2 (en) Electrical plu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5508123A (en) Power supplying device
US5615250A (en) Portable telephone set for use with IC card
CN111262601B (zh) 电子设备
KR940004112Y1 (ko) 무선전화기 핸드셑의 밧데리팩 고정장치
JP4119626B2 (ja) 無線電話機用充電装置
JPH0572066U (ja) 電気機器の電源プラグ装置
JP2007005074A (ja) 充電台と携帯機器
JP2558459Y2 (ja) 充電器
JPS604794Y2 (ja) 電動鉛筆削器
JPH11127231A (ja) 移動電話機用交流充電器
CN218018632U (zh) 一种理发器
JP2548446B2 (ja) 電話機の送受話器支持装置
JPH10336906A (ja) 充電台
KR20030080899A (ko)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배터리 팩 및 그 장착구조
KR930008007Y1 (ko) 무선전화기의 밧데리 팩 착.탈장치
JP2001351719A (ja) 回動式電源プラグ装置
KR200167110Y1 (ko) 이동전화단말기용 배터리 팩의 착탈구조
KR100511313B1 (ko)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JPH1188487A (ja) 電子機器用電話機ホルダー
KR840001564Y1 (ko) 축전지 팩 장착장치
KR940005292Y1 (ko) 카메라 일체형 브이씨알의 터미널 보호 및 안전장치
KR100974131B1 (ko) 통신용 단말기 본체의 각도 조절장치
KR200286625Y1 (ko) 데스크 충전기의 바테리 팩 록킹장치
JPH0593140U (ja) コードレス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