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7110Y1 - 이동전화단말기용 배터리 팩의 착탈구조 - Google Patents

이동전화단말기용 배터리 팩의 착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7110Y1
KR200167110Y1 KR2019990017293U KR19990017293U KR200167110Y1 KR 200167110 Y1 KR200167110 Y1 KR 200167110Y1 KR 2019990017293 U KR2019990017293 U KR 2019990017293U KR 19990017293 U KR19990017293 U KR 19990017293U KR 200167110 Y1 KR200167110 Y1 KR 2001671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mobile phone
phone terminal
lower case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72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인
Original Assignee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172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71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71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71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전화단말기용 배터리 팩의 착탈구조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 팩(20)이 착탈되는 이동전화단말기(2)의 일측 면부위에 설치되어서 상기 이동전화단말기(2)에 장착된 배터리 팩(20)을 외측방향으로 미는 힘을 갖는 탄성부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전화단말기의 배터리 팩 착탈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배터리 팩의 장착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전화단말기와 배터리 팩의 걸림부위에 마찰력을 제공하여 고정됨을 견고히 함과 아울러, 상기 이동전화단말기에 대한 배터리 팩의 탈거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보다 손쉽게 탈거되게 함으로써, 그 분리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전화단말기용 배터리 팩의 착탈구조{Mounting And Separating Of Bettery Pack For Portable Radio Telephone}
본 고안은 이동전화단말기용 배터리 팩의 착탈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전화단말기에서 배터리 팩이 장착되는 면부위에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배터리 팩이 이동전화단말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고정부위의 마찰력 증대로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탈거가 용이하도록 한 이동전화단말기용 배터리 팩의 착탈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산업이 고도로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각종 편의장치들이 제공되고 있다.
일예로, 원거리에서 상호 음성신호를 송수신하여 대화를 주고받도록 하는 전화기가 대량보급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간편하게 소지하고 다니면서 어느곳에서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이동전화단말기의 보급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런데, 잘 알다시피 전화기는 전자제품이므로,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게 되는 바, 이동전화단말기에는 별도의 충전장치에 의해 충전되어진 배터리 팩이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전화단말기에 배터리 팩이 장착되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의 부분측단면도로서, 이동전화단말기에 배터리 팩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b는 이동전화단말기에 대하여 배터리 팩이 탈거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팩(20)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대체적으로 이동전화단말기(2)의 하부 케이스(4) 후면부위에 장착되므로 상기 하부 케이스(4) 후면에 일정두께를 갖는 배터리 팩(20)이 장착되어 볼록 튀어나와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동전화단말기(2)의 하부 케이스(4) 후면에는 상기 배터리 팩(20)의 두께에 상응하는 요부(6)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 케이스(4)의 요부(6)에 배터리 팩(20)을 면접촉시킨 상태에서 고정시키기 위한 잠금수단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잠금수단의 일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 도면 도 2a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부(6)의 선단측에는 가이드부(8)를 사이에 두고 전후측에 각각 제 1,제 2슬라이드 홈(10,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제 2슬라이드 홈(10,12)상을 슬라이드하면서 배터리 팩(20)을 잠금/해제시키는 록커(3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 록커(30)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외측면에 돌기부(3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슬라이드 홈(10)상을 슬라이드하게 되는 슬라이드부(32)와, 이 슬라이부(32)와 연동하여 상기 제 2슬라이드 홈(12)상을 슬라이드하게 되며, 일측단이 일측방향으로 경사면(38)을 이루는 걸림부(36)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제 2슬라이드 홈(12)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부(36)와 그 단부가 고정된 리턴스프링(40)이 개재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하부 케이스(4)의 요부(6) 하측에는 요홈(1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부(6)에 대하여 착탈되는 배터리 팩(20)의 하측에는 상기 요홈(14)과 대응하여 돌출부(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에는 상기 록커(30)의 걸림부(36)에 대응하여 걸림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위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이동전화단말기(2)에 배터리 팩(20)을 장착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하부 케이스(4)의 요부(6) 하측에 형성된 요홈(14)에 배터리 팩(20)의 돌출부(24)를 끼워맞춘후에 이 부위를 기점으로 배터리 팩(20)을 힌지회동시켜서 그 선단측을 하부 케이스(4)의 요부(6)측으로 밀어넣는다.
그러면, 상기 배터리 팩(20)의 선단측 모서리가 록커(30)의 걸림부(36)에 형성된 경사면(38)을 타고 내측으로 밀리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걸림부(36)가 리턴스프링(40)을 압축시키게 되는 바, 상기 록커(30)의 슬라이드부(32)와 걸림부(36)는 각각 제 1슬라이드 홈(10) 및 제 2슬라이드 홈(12)상을 따라 상향으로 슬라이드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팩(20)의 선단측이 하부 케이스(4)의 요부(6)측으로 완전히 밀려들어가서 배터리 팩(20)의 걸림홈(22)이 록커(30)의 걸림부(36)와 동일선상의 위치에 이르면 상기 리턴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록커(30)의 슬라이드부 (32)및 걸림부(36)가 다시 제 1슬라이드 홈(10) 및 제 2슬라이드 홈(12)상을 하향으로 슬라이드 하면서 상기 록커(30)의 걸림부(36) 일측단이 배터리 팩(20)의 걸림홈(22)에 요입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팩(20)은 그 하측의 돌출부(24)가 하부 케이스(4)의 요홈(14)에 끼워져 걸림되고, 선단측의 걸림홈(22)에는 록커(30)의 걸림부(36)가 요입되어 걸림되므로써, 이동전화단말기(2)의 하부 케이스(4)에 대하여 고정장착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동전화단말기(2)의 하부 케이스(4)에 대하여 고정장착된 배터리 팩(20)을 탈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한손으로 슬라이드부(32)에 형성된 돌기부(34)를 잡고 록커(30)를 상향으로 슬라이드시킨다.
그러면, 상기 록커(30)의 걸림부(36)가 슬라이드부(32)와 연동하여 제 2슬라이드 홈(12)의 내측에 설치된 리턴스프링(40)을 압축시키면서 동시에 상향으로 슬라이드 되는 바, 상기 슬라이드부(32) 및 걸림부(36)가 각각 제 1슬라이드 홈(10)과 제 2슬라이드 홈(12)상을 따라 상향으로 슬라이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록커(30)의 걸림부(36) 일측단은 배터리 팩(20)의 걸림홈(22)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므로써, 사용자는 다른 한손으로 배터리 팩(20)을 잡고 외측으로 잡아당겨서 그 선단측을 하부 케이스(4)의 요부(6)로부터 이격시킨 후, 그 하측의 돌출부(24)를 상기 하부 케이스(4)의 요홈(14)으로부터 빼내면 이동전화단말기(2)에 대한 배터리 팩(20)의 분리가 완료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이동전화단말기용 배터리 팩의 착탈구조는 상기 이동전화단말기의 하부 케이스에 형성된 요홈과 록커의 걸림부가 상기 배터리 팩의 돌출부및 걸림홈과 정확히 일치되는 크기로 제작하기는 어려운 바, 상기 배터리 팩이 이동전화단말기의 하부 케이스에 대하여 고정장착된 상태에서 소정의 간극에 의해 유격을 가지게 되어 배터리 팩에 흔들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이동전화단말기의 하부 케이스에 장착된 배터리 팩을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에 사용자가 한손으로 록커의 슬라이드부를 조작하고, 다른 한손으로는 배터리 팩을 잡아당겨 분리해야 하는 바, 그 분리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동전화단말기에서 배터리 팩이 장착되는 면부위에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배터리 팩이 이동전화단말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고정부위의 마찰력 증대로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탈거가 용이하도록 한 이동전화단말기용 배터리의 착탈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배터리 팩이 착탈되는 이동전화단말기의 일측 면부위에 설치되어서 상기 이동전화단말기에 장착된 배터리 팩을 외측방향으로 미는 힘을 갖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전화단말기에 배터리 팩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a는 도 1의 부분측단면도로서, 이동전화단말기에 배터리 팩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b는 이동전화단말기에 대하여 배터리 팩이 탈거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의하여 이동전화단말기에 배터리 팩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는 도 3의 부분측단면도로서, 이동전화단말기에 배터리 팩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b는 이동전화단말기에 대하여 배터리 팩이 탈거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이동전화단말기 4 : 하부 케이스
6 : 요부 20 : 배터리 팩
22 : 걸림홈 30 : 록커
32 : 슬라이드부 34 : 돌기부
36 : 걸림부 38 : 경사면
40 : 리턴스프링 50 : 탄성부재
52 : 오목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에 있어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의하여 이동전화단말기에 배터리 팩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a는 도 3의 부분측단면도로서, 이동전화단말기에 배터리 팩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b는 이동전화단말기에 대하여 배터리 팩이 탈거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전화단말기(2)의 하부 케이스(4)에서 배터리 팩(20)이 장착되는 요부(6)의 내면측에 양측에 걸쳐서 오목부(5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52)에 각각 탄성부재(50)가 설치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탄성부재(50)를 판 스프링으로 하는게 바람직하나 탄성부재(50)의 재질이나 형상에는 한정을 두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내측면에 탄성부재(50)가 설치된 하부 케이스(4)의 요부(6)에 배터리 팩(20)을 장착하고자 할 경우에는 종래에서와 마찬가지로 하부 케이스(4)의 하측에 형성된 요홈(14)에 배터리 팩(20)의 돌출부(24)를 끼워맞춘후 이 부위를 기점으로 배터리 팩(20)을 힌지회동하여 그 선단측이 하부 케이스(4)의 요부(6)측으로 밀려들어가게 한다.
그러면, 상기 배터리 팩(20)의 선단측 모서리가 록커(30)의 걸림부(36)에 형성된 경사면(38)을 타고 내측으로 밀리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걸림부(36)가 리턴스프링(40)을 압축시키게 되는 바, 상기 록커(30)의 슬라이드부(32)와 걸림부(36)는 각각 제 1슬라이드 홈(10) 및 제 2슬라이드 홈(12)상을 따라 상향으로 슬라이드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팩(20)의 선단측이 하부 케이스(4)의 요부(6)측으로 완전히 밀려들어가서 배터리 팩(20)의 걸림홈(22)이 록커(30)의 걸림부(36)와 동일선상의 위치에 이르면 상기 리턴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록커(30)의 슬라이드부 (32)및 걸림부(36)가 다시 제 1슬라이드 홈(10) 및 제 2슬라이드 홈(12)상을 하향으로 슬라이드 하면서 상기 록커(30)의 걸림부(36) 일측단이 배터리 팩(20)의 걸림홈(22)에 요입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팩(20)은 그 하측의 돌출부(24)가 하부 케이스(4)의 요홈(14)에 끼워져 걸림되고, 선단측의 걸림홈(22)에는 록커(30)의 걸림부(36)가 요입되어 걸림되므로써, 이동전화단말기(2)의 하부 케이스(4)에 대하여 고정장착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 경우 배터리 팩(20)의 내측면은 하부 케이스(4)의 내측면에 설치된 탄성부재(50)를 압축시키면서 장착되는 바, 상기 하부 케이스(4)의 요부(6)에 배터리 팩(50)이 장착되어진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50)는 배터리 팩(20)을 외측으로 미는 힘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팩(20)은 상,하측의 걸림홈(22)과 돌출부(24)가 각각 하부 케이스(4)의 록커(30) 및 요홈(14)과 걸림되어진 상태에서 탄성부재(50)의 탄성력에 의해 외측으로 밀리게 되므로써, 상기 배터리 팩(20)과 하우 케이스(4)의 걸림부위에 마찰력이 증대되어 유격의 제거로 인하여 보다 확실하게 고정되는 바,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배터리 팩(20)을 이동전화단말기(2)의 하부 케이스(4)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종래에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한손으로 록커(30)의 슬라이드부(32)에 형성된 돌기부(34)를 상향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록커(30)의 걸림부(36)가 제 2슬라이드 홈(12)의 내측에 설치된 리턴스프링(40)을 압축시키면서 상기 슬라이드부(32) 및 걸림부(36)가 각각 제 1슬라이드 홈(10)과 제 2슬라이드 홈(12)상을 상향으로 슬라이드하게 되며, 이때 상기 걸림부(36)가 배터리 팩(20)의 걸림홈(22)으로부터 빠져나오면, 상기 하부 케이스(4)의 요부(6) 내면측에 형성된 탄성부재(50)의 탄성력에 의해 배터리 팩(20)의 선단측이 상기 요부(6)로부터 튕겨져 나오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그 선단측이 하부 케이스(4)의 요부(6)로부터 튕겨져 나온 배터리 팩(20)은 그 하측에 형성된 돌출부(24)를 상기 요부(6)의 하측에 형성된 요홈(14)에서 빼내면 이동전화단말기(2)로부터의 분리가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동전화단말기용 배터리 팩의 착탈구조에 따르면, 배터리 팩을 장착하기 위하여 이동전화단말기의 하부 케이스에 형성한 요부의 내측면에 탄성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이 요부에 배터리 팩의 장착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그 걸림부위에 마찰력을 제공하여 고정됨을 견고히 함과 아울러, 상기 요부에 대한 배터리 팩의 탈거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보다 손쉽게 탈거되게 함으로써, 그 분리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배터리 팩(20)이 착탈되는 이동전화단말기(2)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20)이 착탈되는 이동전화단말기(2)의 일측 면부위에 설치되어서 상기 이동전화단말기(2)에 장착된 배터리 팩(20)을 외측방향으로 미는 힘을 갖는 탄성부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단말기의 배터리 팩 착탈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50)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단말기의 배터리 팩 착탈구조.
KR2019990017293U 1999-08-20 1999-08-20 이동전화단말기용 배터리 팩의 착탈구조 KR2001671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293U KR200167110Y1 (ko) 1999-08-20 1999-08-20 이동전화단말기용 배터리 팩의 착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293U KR200167110Y1 (ko) 1999-08-20 1999-08-20 이동전화단말기용 배터리 팩의 착탈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7110Y1 true KR200167110Y1 (ko) 2000-02-15

Family

ID=19585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7293U KR200167110Y1 (ko) 1999-08-20 1999-08-20 이동전화단말기용 배터리 팩의 착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711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87168A (en) Mobile telephone fastening with vibration function
EP0298759B1 (en) Housing and holder assembly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640369B1 (ko) 휴대 단말기의 내장형 배터리팩 케이스 락킹 장치
KR20050099138A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
US20100035136A1 (en) Battery fix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042826B1 (ko) 모뎀과 같은 전자 장치를 위한 장착 어셈블리
KR10042509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팩 착탈 구조
EP1158752B1 (en) Radiotelephone
KR200167110Y1 (ko) 이동전화단말기용 배터리 팩의 착탈구조
US20040129746A1 (en) Integrated retractable belt clip
KR200192692Y1 (ko) 휴대폰의 배터리 팩 자동분리장치
KR200295482Y1 (ko) 휴대무선전화기의 배터리팩 잠금장치
US20100188805A1 (en) Cover releasing mechanisms
US20100035134A1 (en) Battery System
KR200338281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팩 결합장치
KR200395873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잠금장치
CN214542423U (zh) 电池包的壳体结构及可拆卸式电池包
CN213524142U (zh) 一种腕戴电子产品
CN211182034U (zh) 按键组件以及移动电源
KR20040057327A (ko) 휴대폰의 배터리팩 록킹장치
KR0135906Y1 (ko) 원격조정기용 배터리 커버의 탈, 장착구조
KR10050480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
KR100514684B1 (ko) 평면캠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 결합장치
KR20000004869U (ko) 휴대무선전화기의 배터리팩 잠금장치
KR940004112Y1 (ko) 무선전화기 핸드셑의 밧데리팩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