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8007Y1 - 무선전화기의 밧데리 팩 착.탈장치 - Google Patents

무선전화기의 밧데리 팩 착.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007Y1
KR930008007Y1 KR2019910017771U KR910017771U KR930008007Y1 KR 930008007 Y1 KR930008007 Y1 KR 930008007Y1 KR 2019910017771 U KR2019910017771 U KR 2019910017771U KR 910017771 U KR910017771 U KR 910017771U KR 930008007 Y1 KR930008007 Y1 KR 9300080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support
operating
piece
battery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77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9758U (ko
Inventor
송인수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177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8007Y1/ko
Publication of KR9300097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7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0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0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선전화기의 밧데리 팩 착.탈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이 무선전화기의 밧데리 팩에 설치되는 상태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이 설치된 밧데리팩이 무선전화기에 착.탈되는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 (a)는 밧데리 팩이 무선전화기에 고정되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측단면도, (b)는 무선전화기에 결합된 밧데리 팩이 분리되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측단면도.
제 3 도는 무선전화기에 본 고안이 설치된 밧데리 팩이 착.탈되는 상태를 예시한 측면 상태도.
제 4 도는 본 고안이 설치된 밧데리 팩이 충전기에 착.탈되는 상태를 예시한 실시상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프링 20 : 스크류
30 : 무선전화기 100 : 몸체부
200 : 지지부 300 : 작동부
400 : 고정부
본 고안은 무선전화기의 밧데리 팩(Battery Pack) 착.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밧데리 팩을 무선전화기에 손쉽게 고정 및 분리되도록 하며, 조작이 간편하고 작동이 부드러운 착.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무선전화기의 밧데리 팩 착.탈장치들은 그 대부분이 밧데리 팩에는 슬라이드편을 무선전화기에는 슬라이드홈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무선전화기에 밧데리 팩을 슬라이드 결합한후, 무선전화기 본체 일측에 설치된 록킹장치로, 밧데리 팩이 고정되도록 한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무선전화기 본체에 밧데리 팩을 슬라이드결합시킨후 별도로 설치된 록킹장치로 밧데리 팩을 고정하여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둘째, 무선전화기에 밧데리 팩 결합이 불완전한데도 사용자의 부주의로 록킹상태를 확인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무선전화기의 사용중에 슬라이드결합된 밧데리 팩이 무선전화기에서 이탈되어 파손되거나 하였으며, 셋째, 록킹장치가 무선전화기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유아들의 장난이나 사소한 외부의 충격에도 쉽게 잠김상태가 풀리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록킹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무선전화기에 밧데리 팩의 슬라이드 결합이 완료됨과 동시에 록킹장치가 가동되도록 하여 견고하게 결합되어 쉽게 파손되거나 망가지지 않도록 하며 분리, 결합을 위한 조작이 간편하고 작동이 부드러운 팩 착.탈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40은 충전기를 표시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상면일측에 사각형상의 안내홈(111)이 형성된 반타원형의 상부케이스(110)와, 상기 상부케이스(110)와 끼워맞춤결합되고, 일측벽면 상단부에 고정편삽입홈(121)들을 갖으며, 양측단에 슬라이드 편(122)들을 갖고, 전.후 양측벽면으로 형성된 내부공간에 밧데리(130)가 위치되는 하부케이스(120)로 구성된 몸체부(100)와,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일측에 형성된 안내홈(111)의 하부면 양측단 적당위치에 상기 상부케이스(110)와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지지홀더(210)와 스프링(10)들을 지지할 수 있도록 스프링 지지봉(221)이 내측 중간부에 설치된 돌출 편 수납함(220)과 일측부 적당위치에 스프링 고정봉(221a)이 형성된 것으로 구성된 지지부(200)와, 전면하반부에 걸림턱(311)이 형성된 걸림대(312)들의 일측부에 돌출편(313)들을 갖으며, 중간부 일측면에 작동홈(314)을, 후단부로는 돌출대(315)를 갖는 작동구(310)과, 상기 안내홈(111)에 위치되며 전.후면 양측단에 이동안내편(332)(322')들을 갖으며, 저면부에는 상기 작동홈(314)에 끼워지는 작동편(321)을 갖는 노브(320)로 구성부 작동부(300)와, 상기 지지홀더(210)와 스크류(20) 결합되어 상기 작동구(310)를 지지하는 지지판(413)의 양측단에 스크류홈(411)등을 갖으며, 전.후면 일측상단에는 상기 이동안내편(322)(322')들을 받쳐주는 받침편(412)(412')들을 갖는 받침구(410)로 구성된 고정부(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100)는 반타원형의 상부케이스(110)와 전.후면에 벽면을 형성한 하부케이스(120)가 서로 끼워 맞춤 결합하여 형성된 내부공간부에 무선전화기(30)에 전원을 공급하여 주는 밧데리(130)가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일측단에 형성된 안내홈(111)에는 상기 노브(320)가 위치한다. 상기 밧데리(130)가 위치되는 하부케이스(120)의 일측벽면 상단부 양측단에 형성된 고정편 삽입홈(121)에는 상기 작동구(310)의 걸림대(312)들이 위치한다.
상기 지지부(200)는 상부케이스(110)와 일체로 내측면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안내홈(111)의 하단부 양측단 적당위치에 각각 중앙에 스크류(20)결합할 수 있는 스크류 요홈(210a)이 설치된 지지홀더(210)와, 내측중간부에 스프링 지지봉(221)들이 설치된 돌출편수납함(220)을 형성한 것으로 상기 지지홀더(210)는 받침구(410)에 형성된 스크류홈(411)과 스크류(20)결합하여 작동부(300)를 지지하여 준다.
상기 돌출편수납함(220)은, 상부케이스(110)와 일체로 형성된 웨브(WEB)가 벽면을 이루어 형성된 것으로 작동부(300)의 작동시, 걸림대(312)의 일측에 형성된 돌출편(313)이 상기 돌출편수납함(220)에 위치되어 작동구(310)의 상.하운동을 안정된 상태로 안내한다.
상기 돌출편수납함(220)의 내측 중간부와 상부케이스(110)의 내측면 적당위치에 형성된 상기 스프링지지봉(221)들은 지지부(200)와 작동부(300)사이에 탄력설치되는 스프링(10)들이 각각 위치되고, 위치된 스프링(10)들을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주며 상기 스프링지지봉(221)들에 위치된 스프링(10)들은 자체탄성력으로 작동구(310)를 직하방으로 항시 탄력적으로 압압하여 준다.
상기 스프링지지봉(221)(221a)들은 첨부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작동구(310)의 돌출편(313)들과 돌출대(315)의 세지점에 형성된 관통공(313a)(315a)들에 위치되어, 작동부(300)의 작동시 작동구(310)가 원활히 상,하운동을 하도록 가이드하여 준다.
상기 작동부(300)는 지지홀더(210)와 스크류(20) 결합하는 받침구(410)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몸체부(100)가 무선전화기(30)에 결합,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전.후면 양단에 이동안내편(322)(322')들을 갖으며, 저면부로는 작동편(321)을 갖는 노브(320)와, 상기 노브(320)의 직하방에 위치하며 전면하부에는 걸림턱(311)이 형성된 걸림대(312)의 일측단에는 돌출편(313)들을 갖으며 중간부 일측면에는 작동홈(314)을, 후단부로는 돌출대(315)를 갖는 작동구(31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노브(320)는 상부케이스(110)의 일측에 형성된 안내홈(111)에 위치한다. 상기 노브(320)의 상면에는 미끄럼방지돌기(320a)를 형성하여 노브(320)의 사용시 발생되는 미끄럼을 방지하면 보다 효과적이다. 상기 작동구(310)는 중간부 일측면에 형성된 작동홈(314)에 상기 노브(320)의 저면부에 설치된 작동편(321)이 끼워진 상태로 노브(320)의 직.하방에 위치한다.
상기 걸림대(321)는, 전면 하단부에 걸림턱(311)들을 갖으며, 일측부에는 돌출편(313)들을 형성한 것으로 무선전화기(30)에 몸체부(100)의 결합시 상기 무선전화기(30)의 본체일측에 형성된 걸림홈(31)에 상기 걸림턱(311)이 위치되어 무선전화기(30)에 몸체부(100)가 결합지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돌출편(313)에는 작동구(310)와 지지부(200)사이에 탄력설치된 스프링(10)들이 위치되고, 중앙부에는 관통공(313a)들을 형성하며 상기 스프링(10)을 지지하는 스프링지지봉(221)들이 상기 관통공(313a)들에 삽입되어 작동구(310)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여 준다.
상기 돌출대(315)에도 상기한 스프링(10)이 위치되며, 끝단부 일측에도 관통공(315a)을 형성하여 상부케이스(110)의 내부 일측 적당 위치에 형성된 스프링지지봉(221a)이 삽입되어 작동구(31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한다.
따라서 상기 작동구(310)는 돌출대(315)와 한쌍의 걸림대(312)의 양측단에 형성된 돌출편(313)들에 관통공(313a)(315a)을 갖고, 상기한 지점에 스프링(10)들이 탄력설치되어, 상기 스프링(10)들의 탄발력이 작동구(310)을 압압한다. 상기 작동편(321)이 끼워 위치되는 작동홈(314)은 첨부도면에서와 같이 작동편(314)이 진입하는 선단부에서 작동홈(314)의 끝단부까지 상기 작동편(321)과 맞닿는 작동홈(314)의 상면은 경사면(314a)을 이룬다.
상기한 경사면(314a)은 무선전화기(30)에 결합된 몸체부(100)를 분리하고자 할때, 즉 첨부도면 제 2 도에서와 같이 무선전화기(30)에 결합되있는 몸체부(100)를 재충전등의 이유로 분리하고자 할때는 지지부(200)와 작동구(310)사이에 탄력설치된 스프링(10)의 탄발력에 의해 무선전화기(30) 본체 일측의 걸림홈(31)에 걸려있는 작동구(310)를 인위적으로 해지시켜야 한다. 따라서 상부케이스(110)의 안내홈(111)에 위치되어 있는 노브(320)를 첨부도면 제 2b 도에서와 같이 후단부로 잡아당기면 노브(320)는 받침편(412)(412')들에 지지되어 있는 이동안내편(322)(322')들이 수평이동을 하면서 노브(320)의 저면부에 설치된 작동편(321)이 작동홈(314)의 상면에 형성된 경사면(314a)을 따라 후퇴하게 되고, 후퇴하는 작동편(321)에 의해 상기 작동구(310)를 압압하는 스프링(10)들의 탄발력을 상쇄하면서 상기 작동구(310)를 수직상승시킨다.
따라서 인위적으로 수평이동시키는 작동편(321)에 의해 상기 작동구(310)가 수직상승하면 스프링(10)들의 탄발력에 의해 무선전화기(30) 본체 일측의 걸림홈(31)에 걸려있던 걸림턱(311)이 걸림홈(31)에서 이탈된다.
이때 사용자는 몸체부(100)를 무선전화기(30)의 후단부로 잡아당기면 상기 무선전화기(30)에 슬라이드결합된 몸체부(100)는 무선 전화기(30)본체에서 슬라이드 분리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분리된 몸체부(100)를 다시 무선전화기(30)에 결합시키고자 할때는 몸체부(100)를 무선전화기(30)에 슬라이드 결합시키면서 상기 몸체부(100)를 밀어넣으면 상기 지지부(200)와 작동부(300)사이에 탄력설치된 스프링(10)들의 탄발력에 의해 압압되있는 작동구(310)의 전면하단부에 형성된 걸림턱(311)이 상기 무선전화기(30)의 본체일측에 형성된 걸림홈(31)에 걸려지면서 결합완료된다.
상기 걸림턱(311) 전면에는 무선전화기(30)에 몸체부(100)의 결합시 상기 걸림턱(311)이 걸림홈(31)에 원활히 걸려질 수 있도록 전면부에 경사안내면(311a)을 형성하면 보다 효과적이다.
즉, 첨부도면 제 2a 도에서와 같이 무선전화기(30)본체에 몸체부(100)의 결합시, 상기 걸림턱(311)전면에 형성된 경사안내면(311a)이 상기 걸림홈(31)의 벽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위로 상승하면서 작동구(310)를 압압하고 있는 스프링(10)들을 일시적으로 압축하면서 상기 걸림홈(31)에 위치된다. 상기 걸림홈(31)에 위치완료된 걸림턱(311)은 작동구(310)를 압압하고 있는 스프링(10)들의 탄발력에 의해 지속적으로 걸림홈(31)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기 몸체부(100)는 몸체부(100)를 전술한 바와 같이 인위적으로 분리시키기 위해 노브(320)를 후퇴시키지 않는 한 외부의 충격등에 의해 몸체부(100)가 무선전화기(30)본체에서 분리. 이탈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고정부(400)는 지지홀더(210)과 스크류(20)결합하여 지지판(413)내측에 위치하는 작동부(300)를 지지하여 원활한 작동을 이룰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작동부(300)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지지판(413)의 양측단에 스크류홈(411)들을 갖으며, 전.후면 일측상단에는 상기 노브(320)의 전.후면에 형성된 이동안내편(322)(322')들을 받쳐주는 받침편(412)(412')들을 갖는다. 상기 지지판(413)은 내측에 위치하는 작동구(310)를 지지고정하여 상기 작동구(310)가 외부의 충격등에 의해 제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지지부(200)와 작동구(310)사이에 탄력설치된 스프링(10)들의 탄발력을 받쳐주어 상기 작동구(310)가 원활히 상.하 작동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상기 스크류홈(411)들은 지지홀더(210)와 스크류(10)결합되어 지지판(413)의 내측에 위치하는 작동부(300)가 원활히 작동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상기 지지판(413)의 전.후면 양측단에 형성된 받침편(412)(412')들은 몸체부(100)의 분리시 위치이동하는 노브(320)의 전.후면 양측단에 형성된 이동안내편(322)(322')들을 하부에서 지지하여 노브(320)의 전.후 이동을 원활히 하여주며 상기 노브(320)가 안내홈(11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전체적으로 반타원형의 상부케이스(110)와 양측단에 벽면을 형성한 내부공간에 밧데리(130)가 위치하는 하부케이스(120)가 끼워맞춤 결합된 몸체부(100)의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일측단에는 안내홈(111)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홈(111)이 형성된 상부케이스(110)의 내부면 적당위치에 지지부(200)를 상기 상부케이스(110)와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안내홈(111)에는 직하방에 작동구(310)가 끼워 결합된 노브(320)를 위치시키고, 상기 작동구(310)와지지부(200)사이에는 스프링(10)들을 탄력설치하여 상기 스프링(10)들이 항시 상기 작동구(310)을 압압하도록 한 작동부(3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200)와스크류(10) 결합되며 양측상단부에 형성된 받침편(412)(412')들로 상기 노브(320)의 양측단에 형성된 이동안내편(322)(322')들을 지지가이드하는 고정부(400)를 설치하여, 무선전화기(30)에 몸체부(100)의 결합시는 상기 작동부(300)와 지지부(200)사이에 탄력설치된 스프링(10)들이 탄발력으로 압압되어 있는 작동구(310)의 전면하단부에 형성된 걸림턱(311)이 상기 무선전화기(30) 본체일측에 형성된 걸림홈(31)에 위치되어 결합되며, 분리시키는 상부케이스(110)의 안내홈(111)에 위치된 노브(320)를 인위적으로 뒤로 후퇴시키면 후퇴하는 노브(320)의 저면부에 형성된 작동편(321)이 상기 작동구(310) 중간부 일측면에 형성된 작동홈(314)의 내측상면에 형성된 경사면(314a)을 밀어올리면서 후퇴 이동한다. 이때 후퇴이동하는 작동편(321)에 의해 상기 경사면(314a)을 갖는 작동구(310)는 돌출대(315)와 돌출편(313)들에 탄력 설치된 스프링(10)들의 탄발력을 상쇄시키면서 위로 상승하여 상기 걸림홈(31)에 위치되있던 걸림턱(311)이 상기 걸림홈(31)에서 이탈되어 상기 몸체부(100)는 분리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사용자는 인위적으로 몸체부(100)를 잡아당기면 상기 몸체부(100)는 무선 전화기(30)에서 손쉽게 이탈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무선전화기(30)에 밧데리(130)가 내장된 몸체부(100)를 손쉽게 분리, 결합할 수 있으며 무선전화기(30)에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몸체부(100)가 분리되어 파손되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으며, 유아들의 장난에 의하여도 쉽게 몸체부(100)의 록커장치인 노브(320)가 파손되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는등의 여러 잇점이 있으며, 본 고안을 충전기등에 적용시키면 보다 유용한 효과를 거둘수 있는 고안이다.

Claims (2)

  1. 상면일측에 사각형상의 안내홈(111)이 형성된 반타원형의 상부케이스(110)와, 상부 상부케이스(110)와 끼워맞춤결합되고 일측벽면 상단부에 고정편 삽입홈(12)들을 갖으며 양측단에 슬라이드편(122)들을 갖고, 전.후 양측벽면으로 형성된 내부공간에 밧데리(130)가 위치되는 하부케이스(120)로 구성된 몸체부(100)와,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일측에 형성된 안내홈(111)의 하부면 양측단 적당위치에 상기 상부 케이스(110)에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지지홀더(210)와, 스프링(10)들을 지지할 수 있는 스프링 지지봉(221)이 내측중간부에 설치된 돌출편수납함(220)과, 일측부 적당위치에 스프링고정봉(221a)이 설치된 것으로 구성된 지지부(200)와, 전면하부에 걸림턱(311)이 형성된 걸림대(312)들의 일측부에 돌출편(313)들을 갖으며 중간부 일측면에 작동홈(314)을 후단부로 돌출대(315)를 갖는 작동구(310)와, 상기 안내홈(111)에 위치되며, 전.후면 양측단에 이동 안내편(322)(322')들을 갖으며, 저면부에는 상기 작동홈(314)에 끼워지는 작동편(321)을 갖는 노브(320)로 구성된 작동부(300)와, 상기 지지홀더(210)와 스크류(20) 결합되어 상기 작동구(310)를 지지하는 지지판(413)의 양측단에 스크류홈(411)들을 갖으며, 전.후면 일측 상단부에는 상기 이동 안내편(322)(322')들을 받쳐주는 받침편(412)(412')들을 갖는 받침구(410)로 구성된 고정부(4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의 밧데리 팩 착.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구(310)의 중간부 일측면에 형성된 작동홈(314)의 상면은 선단부에서 상기 작동홈(114)의 끝단부까지 경사면(314a)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의 밧데리 팩 착.탈장치
KR2019910017771U 1991-10-23 1991-10-23 무선전화기의 밧데리 팩 착.탈장치 KR9300080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7771U KR930008007Y1 (ko) 1991-10-23 1991-10-23 무선전화기의 밧데리 팩 착.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7771U KR930008007Y1 (ko) 1991-10-23 1991-10-23 무선전화기의 밧데리 팩 착.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758U KR930009758U (ko) 1993-05-26
KR930008007Y1 true KR930008007Y1 (ko) 1993-11-30

Family

ID=19321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7771U KR930008007Y1 (ko) 1991-10-23 1991-10-23 무선전화기의 밧데리 팩 착.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800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758U (ko) 199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8007Y1 (ko) 무선전화기의 밧데리 팩 착.탈장치
CN215400316U (zh) 一种电子产品包装盒
KR200192692Y1 (ko) 휴대폰의 배터리 팩 자동분리장치
KR100535965B1 (ko) 토글스프링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KR0145735B1 (ko) 전화기 받침대
KR940004112Y1 (ko) 무선전화기 핸드셑의 밧데리팩 고정장치
CN218355919U (zh) 足浴器
KR20030047129A (ko) 휴대형 무선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
KR10064244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0136291Y1 (ko) 무선전화기용 홀더의 착탈구조
KR20040057327A (ko) 휴대폰의 배터리팩 록킹장치
KR100239828B1 (ko) 핸드폰용 그립퍼
KR2006010411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록킹 장치
KR200319738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 장치
KR0135906Y1 (ko) 원격조정기용 배터리 커버의 탈, 장착구조
KR100228713B1 (ko) 캠코더의 손잡이 장치
KR20040026164A (ko) 휴대용 이동통신기기의 배터리 탈착장치
KR20070010991A (ko) 배터리팩 결합구조
KR200167110Y1 (ko) 이동전화단말기용 배터리 팩의 착탈구조
KR2005001721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착탈장치
KR950014839B1 (ko) 상하이동이 가능한 보조흡입구 받침대를 갖는 보조흡입구 수납홈
JP2580350Y2 (ja) 電池パック固定装置
KR100514684B1 (ko) 평면캠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 결합장치
KR920003808Y1 (ko) 멜로디가 나오는 빗통
KR20050103730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착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