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3730A -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착탈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착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3730A
KR20050103730A KR1020040029011A KR20040029011A KR20050103730A KR 20050103730 A KR20050103730 A KR 20050103730A KR 1020040029011 A KR1020040029011 A KR 1020040029011A KR 20040029011 A KR20040029011 A KR 20040029011A KR 20050103730 A KR20050103730 A KR 20050103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knob
hook
fastening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9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욱
정동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40029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3730A/ko
Publication of KR20050103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373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착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로 하여금 배터리를 교환할 때 간편하고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하고, 더욱이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도 단말기 본체와 배터리의 체결해제와 동시에 배터리가 분리됨으로써 배터리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배터리 착탈 노브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을 미려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착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터리 팩킹에 형성된 걸림후크; 상기 배터리 팩킹이 안착되며, 단말기 본체에 형성된 배터리 수용부; 상기 배터리 수용부 상단에 형성되는 노브 수용부; 상기 노브수용부에 구비되며, 일단에 상기 걸림후크가 체결되는 체결후크를 구비한 체결노브; 일단은 상기 노브 수용부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체결노브의 타단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 및 상기 체결노브의 타단을 커버하며, 상기 체결노브의 이탈을 방지하는 노브커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착탈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착탈장치{Attachable apparatus of a battery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착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로 하여금 배터리를 교환할 때 간편하고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하고, 더욱이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도 단말기 본체와 배터리의 체결해제와 동시에 배터리가 분리됨으로써 배터리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배터리 착탈 노브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을 미려시키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면에는 배터리가 슬라이딩방식 또는 상하끝단 고정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결합된 배터리는 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고, 배터리의 용량이 소진될 경우 상기 단말기로부터 배터리를 분리하여 수시로 충전기에 재충전하여 사용한다. 이를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상기 배터리를 단말기로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하는 착탈장치를 구비한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착탈장치를 도1a 및 도1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일실시형태의 슬라이딩 방식 배터리 착탈장치의 분해 평면도이고, 도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일실시형태의 슬라이딩 방식 배터리 착탈장치의 측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착탈장치는, 단말기 본체 일면의 배터리 수용부 상단에 형성되고, 내측에 스프링가이드(1)를 구비한 노브 수용부(2)와; 상기 스프링가이드부(1)에 수용되는 스프링부재(3); 및 손잡이 역할을 하고, 하단 일측면은 상기 스프링부재(3)에 의해 탄성지지되며, 하단 타측면에는 배터리(4)의 고정홈(5)으로 삽입되는 고정돌기(6)가 형성된 노브(knob)(7)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착탈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노브(7)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하단의 고정돌기(6)가 배터리(4)의 고정홈(5)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어 배터리(4)가 분리되고, 힘을 제거하면 상기 스프링부재(3)의 탄성력에 의해 하향 이동하여 원위치 된다. 이후, 상기 배터리(4)를 단말기에 결합시킬 때에는 배터리(4)를 단말기측으로 밀어 넣으면 배터리(4)의 상단측이 고정돌기(6)와 접촉되어 노브(7)는 상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배터리(4)가 단말기에 안착되면 상기 노브(3)는 스프링부재(3)의 탄성력에 의하여 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배터리(4)의 고정홈(5)으로 삽입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방식의 다른 실시형태인 도2의 배터리 착탈장치를 보면, 노브(8)의 후크(9)는 배터리(4)의 고정홈(5)의 걸림면에 걸려 배터리(4)를 단말기 본체의 후면 수용부에 고정된다. 상기 배터리(4)를 분리 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노브(8)를 가로로 밀면 상기 후크(9)가 고정홈(5)으로부터 이탈되어 배터리팩을 분리 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탈장치는 단말기 본체로부터 배터리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단말기 본체를 한 손으로 파지하고 다른 한 손으로 노브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체결해제한 상태에서 다시 배터리를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운 동작으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배터리 착탈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 예를 들면 노브를 눌러 배터리의 고정홈으로부터 노브의 후크를 이탈시키는 푸쉬타입의 경우에도 반드시 양손을 사용해야만 하며, 이 경우의 착탈장치도 단말기 본체와 배터리의 체결만을 해체하고 별도의 동작으로 본체부로부터 배터리를 분리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착탈장치는 단말기 본체와 배터리의 체결 해제동작과 동시에, 단말기 본체로부터 배터리가 분리되는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배터리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착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도 단말기 본체부로부터 배터리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착탈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 착탈 노브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을 미려시키는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터리 팩킹에 형성된 걸림후크; 상기 배터리 팩킹이 안착되며, 단말기 본체에 형성된 배터리 수용부; 상기 배터리 수용부 상단에 형성되는 노브 수용부; 상기 노브수용부에 구비되며, 일단에 상기 걸림후크가 체결되는 체결후크를 구비한 체결노브; 일단은 상기 노브 수용부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체결노브의 타단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 및 상기 체결노브의 타단을 커버하며, 상기 체결노브의 이탈을 방지하는 노브커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착탈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상기 체결노브를 탄성지지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노브의 타단에는 상기 코일스프링 내로 삽입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삽입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팩킹의 양측단 및 상기 배터리 수용부는 각각 상호 접촉하는 면에 슬라이드 가이드 및 상기 슬라이드가이드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착탈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착탈장치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터리 팩킹(500)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후크(510); 상기 배터리 팩킹(500)이 안착되며, 단말기 본체에 형성된 배터리 수용부(100); 상기 배터리 수용부(100) 상단에 형성되는 노브 수용부(110); 상기 노브 수용부(110)에 구비되며, 일단에 상기 걸림후크(510)가 체결되는 체결후크(210)를 구비한 체결노브(200); 일단은 상기 노브 수용부(110)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체결노브(200)의 타단을 탄성지지하는 코일스프링(300); 및 상기 체결노브(200)의 타단을 커버하며, 상기 체결노브(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노브커버(400)로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팩킹(500)이 장착되는 단말기 본체의 상기 배터리수용부(100)는 상기 배터리팩킹(500)의 외연과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다. 여기에서 상기 배터리팩킹(500)의 양측단은 상기 배터리수용부(100)에 대한 삽입방향을 따라 슬라이드가이드(미도시)가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수용부(100)는 상기 배터리팩킹(500)의 양측단과 접촉하는 측에 상기 슬라이드가이드(미도시)가 삽입되어 슬라이드하는 가이드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노브수용부(110)에 장착되는 체결노브(200)는 일측 선단에 상기 배터리팩킹(500)의 걸림후크(510)가 체결되는 체결후크(210)가 구비되고, 타단은 후술되는 코일스프링(300)으로부터 탄성지지를 받으며, 상기 코일스프링(300)에 삽입되는 삽입돌기(220)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체결노브(200)의 체결후크(210) 및 배터리팩킹(500)의 걸림후크(520)는 상호 접촉하는 면의 크기가 점차 작아지는 라운딩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관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체결노브(110)를 탄성지지하는 코일스프링(300)은 그의 일단이 상기 노브수용부(110)에 고정되고, 상기 체결노브(200)는 그의 타단에 구비된 삽입돌기(220)가 상기 코일스프링(300)에 삽입되어 상기 노브수용부(110)에 장착된다. 여기에서 상기 노브커버(400)는 상기 체결노브(200)를 커버하도록 상기 노브수용부(110)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노브커버(400)는 상기 체결노브(200)의 타단, 즉 체결후크(210)를 커버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브커버(40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 케이스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4a 내지 도4c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착탈장치의 착탈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팩킹(500)은 양측단에 형성된 슬라이드가이드(미도시)가 상기 배터리수용부(100)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홈(미도시)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상기 배터리팩킹(500) 선단의 체결후크(210)가 상기 체결노브(200)의 체결후크(210) 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하여 상기 체결후크(210)의 선단과 접촉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배터리팩킹(500)이 상기 슬라이드이동 방향으로 더 이동할 경우, 상기 체결노브(200)의 체결후크(210)는 상기 걸림후크(510)에 의해 밀려 내려가게 된다. 이때, 상기 상기 배터리팩킹(500)이 장착완료되면, 상기 체결노브(200)의 체결후크(210)는 상기 체결노브(200)의 타단에 장착된 코일스프링(300)에 의해 다시 밀려 올라가게 되어 상기 배터리팩킹(500)의 걸림후크(510)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배터리팩킹(500)을 장착한다.
반면, 상기 배터리팩킹(500)을 상기 단말기 본체로부터 체결을 해제시키는 경우, 상기 배터리팩킹(500)의 걸림후크(510)와 상기 체결노브(200)의 체결후크(210)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팩킹(500)이 상기 체결노브(200)로부터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배터리팩킹(500)의 걸림후크(510) 또한 상기 체결후크(210)로부터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노브(200)는 타단이 상기 코일스프링(300)에 의해 탄성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체결후크(210)를 포함하는 체결노브(200) 전체가 상기 걸림후크(510)에 의해 하방향으로 밀려내려감과 동시에 상기 걸림후크(510)방향으로 회전하는 자유이동을 하여 상기 걸림후크(510)는 상기 체결후크(210)로부터의 체결이 해체된다. 또한, 상기 체결이 해제되면, 상기 체결노브(200)는 타단의 코일스프링(300)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배터리를 교환할 때 간편하고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하고, 더욱이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도 단말기 본체와 배터리의 체결해제와 동시에 배터리가 분리됨으로써 배터리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터리 착탈 노브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을 미려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일실시형태의 슬라이딩 방식 배터리 착탈장치의 분해 평면도.
도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일실시형태의 슬라이딩 방식 배터리 착탈장치의 측면도.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다른 실시형태의 슬라이딩 방식 배터리 착탈장치를 도시한 배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착탈장치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4a 내지 도4c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착탈장치의 착탈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배터리 수용부 110: 노브 수용부
200: 체결노브 210: 체결후크
220: 삽입돌기 300: 코일스프링
400: 노브커버 500: 배터리팩킹

Claims (4)

  1. 배터리 팩킹에 형성된 걸림후크;
    상기 배터리 팩킹이 안착되며, 단말기 본체에 형성된 배터리 수용부;
    상기 배터리 수용부 상단에 형성되는 노브 수용부;
    상기 노브수용부에 구비되며, 일단에 상기 걸림후크가 체결되는 체결후크를 구비한 체결노브;
    일단은 상기 노브 수용부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체결노브의 타단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 및
    상기 체결노브의 타단을 커버하며, 상기 체결노브의 이탈을 방지하는 노브커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착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상기 체결노브를 탄성지지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착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노브의 타단에는 상기 코일스프링 내로 삽입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삽입돌기가 형성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착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킹의 양측단 및 상기 배터리 수용부는 각각 상호 접촉하는 면에 슬라이드 가이드 및 상기 슬라이드가이드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착탈장치.
KR1020040029011A 2004-04-27 2004-04-27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착탈장치 KR200501037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011A KR20050103730A (ko) 2004-04-27 2004-04-27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착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011A KR20050103730A (ko) 2004-04-27 2004-04-27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착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730A true KR20050103730A (ko) 2005-11-01

Family

ID=37281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9011A KR20050103730A (ko) 2004-04-27 2004-04-27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착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373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00000056U3 (da) Radiotelefon
KR100640369B1 (ko) 휴대 단말기의 내장형 배터리팩 케이스 락킹 장치
KR10042509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팩 착탈 구조
KR100678198B1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
US20060019530A1 (en) Battery pack locking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KR20050103730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착탈장치
KR2005002807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착탈장치
KR10104606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탈거장치
KR200333769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착탈장치
KR100572472B1 (ko) 회전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4244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90111B1 (ko) 휴대형 무선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
CN211278329U (zh) 熔接机工具箱
JP2018075049A (ja) テーブル
KR10052475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커버 착탈 장치
KR930008007Y1 (ko) 무선전화기의 밧데리 팩 착.탈장치
KR200293958Y1 (ko) 휴대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KR20050001925A (ko) 토글스프링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KR20050000236A (ko) 휴대폰의 배터리커버 로킹장치
KR2005001721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착탈장치
KR20050023854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구조
KR2005008795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KR10071030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98054B1 (ko) 슬라이딩방식 배터리 록킹장치 및 이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60019967A (ko) 측면 누름식 배터리팩 착탈구조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